KR100801064B1 -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64B1
KR100801064B1 KR1020070106991A KR20070106991A KR100801064B1 KR 100801064 B1 KR100801064 B1 KR 100801064B1 KR 1020070106991 A KR1020070106991 A KR 1020070106991A KR 20070106991 A KR20070106991 A KR 20070106991A KR 100801064 B1 KR100801064 B1 KR 10080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ssure drop
gas discharge
cylinder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8Moulds with means for venting, e.g. releasing foam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1Means for preventing foam to leak out from the foaming device durin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성형금형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의 가스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원료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벤트홀에 결합되는 가스배출장치에 있어서,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마련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와, 일단에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탈착가능하도록 로드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되는 교환핀과,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되, 일단에는 실린더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벤트연통관을 포함하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의 외주면과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주면 사이로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되, 압력강하부로 인해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 가스배출장치, 실린더, 피스톤로드, 교환핀, 벤트연통관, 벤트홀, 압력강하홈

Description

금형용 가스배출장치{GAS EXHAUST APPARATUS FOR MOLD}
본 발명은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성형금형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의 가스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고, 원료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패드(pad) 류의 부품들은 폴리우레탄 폼을 금형의 내부에 발포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은 polyol, 물, Tetramethly ethane diamine, Dimethyl ethanol amine, polyisocyanate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액상 고분자 발포 혼합물을 성형할 때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발포성형금형이 열렸을 때 액상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물이 금형의 캐비티내로 투입시키면, 금형이 닫혔을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해 혼합물이 팽창하여 금형 내부의 공간을 채우게 되고, 이후 혼합물의 중합이 끝난 후 경화되어 금형의 모양을 영구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금형의 내부에서 혼합물이 중합되는 과정에서 가스(폴리우레탄의 경 우 CO2)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가스를 충분히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면 제품에 보이드(void)가 형성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하부금형(1), 벤트홀이 형성되는 상부금형(2), 상부금형(2)의 벤트홀(3)에 체결되어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벤트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금형(2)에는 벤트홀(3)이 마련되도록 벤트가이드관(5)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실린더(4)의 로드(6)는 벤트홀(3)에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금형 내부를 일정압력으로 유지하도록 실린더(4)의 로드(6)가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금형 내부의 가스가 벤트가이드관(5)의 내주면과 실린더(4)의 로드(6) 외주면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경우 벤트가이드관(5)의 내주면과 실린더(4)의 로드(6) 외주면 사이를 통해 금형 내부의 원료가 쉽게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료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4)의 로드(6)가 삽입되는 상부금형(2)의 벤트가이드관(5)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 제조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린더(4)의 로드(6) 및 벤드가이드관(5)이 고온 상태인 발포수지 원료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서 변형에 따른 고장이 발생되며, 고장 발생시 가스배출수단인 실린더(4) 전체를 교환 하거나 상부금형(2)을 교환해야 하므로, 금형 설비의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형 내부의 가스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원료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벤트홀에 결합되는 가스배출장치에 있어서,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마련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와,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탈착가능하도록 로드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되는 교환핀과,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되,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벤트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되, 상기 압력강하부로 인해 상기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의 외직경은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직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벤트홀에 결합되는 가스배출장치에 있어서, 피스톤 및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되 타단에는 외주면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되는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마련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와,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되,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벤트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되, 상기 압력강하부로 인해 상기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의 외직경은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의하면, 각 부품간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용이하게 분리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손상시 교환이 용이하여 설비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교환핀 또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됨으로써,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실린더(100), 교환핀(200), 벤트연통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100)는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이 밀폐되거나 또는 밀폐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10) 의 내부에는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될 수 있는 유입공(140a, 140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펌프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될 수 있는데, 도면상 상측의 유입공(140a)으로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도면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또한 도면상 하측의 유입공(140b)으로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도면상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여기서,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도면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는 금형이 밀폐되고, 도면상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에는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실린더는 피스톤과 피스톤로드를 갖는 일반적인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실린더에 관한 일반적인 기능이나 결합관계 등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교환핀(200)은 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30)에 연장설치되는 축부재로서, 일단에 로드연결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압력강하부(220)가 형성된다. 로드연결부(210)는 교환핀(200)이 피스톤로드(13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피스톤로드(130)와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드연결부(210)가 피스톤로드(130)의 끝단에 나사결합됨으로 인해 교환핀(200)은 피스톤로드(130)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경우 그 교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에 결합되는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와 밀착된 상태에서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료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강하부(220)는 그 외주면과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 사이로 금형 내부의 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외직경이 금형연결부(320)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압력강하부(220)의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강하부(220)의 외주면과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생기게 되어 가스가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압력강하부(220)의 외주면과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 사이의 미세한 공간으로 가스는 배출되지만, 매우 높은 점도를 띄는 원료의 배출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력강하부(220)의 단면은 3각형 내지 6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의 외주면과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 사이로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종래에는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력강하부(220)에는 외주면을 따라 압력강하홈(222)이 형성된다. 압력강하부(220)에 압력강하홈(222)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및 "C"위치에서의 압력보다 압력강하홈(222)에 의해 공간이 넓어진 "B"위치에서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 서, 금형 내부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는 "B"위치 보다 압력이 높은 "C"의 위치까지는 이송 누출되지 않게 되어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벤트연통관(300)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30)와 교환핀(20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벤트연통관(300)의 일단에는 실린더(100)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3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320)가 형성되는데, 벤트연통관(300)은 실린더연결부(310)를 통해 실린더(100)에 나사결합되고 금형연결부(320)를 통해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온의 발포수지 원료에 의한 손상시 교환 사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벤트연통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330)이 형성되는데,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과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의 외주면 사이로 배출되는 가스가 가스배출공(3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통해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금형 내부에 발포수지 원료를 투입한 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벤트연통관(300)을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를 금형에 장착한다. 그리고, 실린더 몸체(110)의 상 측 유입공(140a)을 통해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도면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110)의 상측 및 하측의 유입공에는 각각 공압 또는 유압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수단(150a, 150b)이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가수단은 일반적으로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에 이용되는 인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인가수단(150a)에 의해 몸체(110)의 내부에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피스톤로드(130)에 연결된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는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를 관통하여 금형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또한 교환핀(200)은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과적으로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금형이 밀폐되어 있어서, 금형 내부에서 발포수지 원료가 중합될 때 발생되는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후, 발포수지 원료의 발포가 더 진행되면서 가스 발생에 의한 압력이 상승되어 금형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성이 생기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의 피스톤(120)이 도면상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110)의 하측 유입공(140b)에 결합되는 인가수단(150b)에 의해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120)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120)과 연결되어 있는 교환핀(200)도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가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에 위치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강하부(220)의 외직경이 금형연 결부(320)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또한 압력강하부(220)의 단면이 3각형 내지 6각형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와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생기게 되어 상부금형(20)의 벤트홀(22)의 밀폐상태는 해제가 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의 외주면과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 사이의 미세 공간을 통해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된 후 벤트연통관(300)의 가스배출공(3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가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에 압력강하홈(222)이 형성됨으로 인해 발포수지 원료의 외부 누출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즉,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와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 사이의 공간 중 압력강하홈(222)이 형성된 "B"부분은 "A" 및 "C"부분보다 부피가 커짐으로 인해 그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포수지 원료가 "A"부분을 거쳐 "B"부분까지 이송될 수 있지만, "B"부분보다 압력이 높은 "C"부분까지는 이송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가 금형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포가 종료된 후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에 손상이 생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실린더(100)와 벤트연통관(300), 피스톤로드(130)와 교환핀(200)이 각각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실린더(100'), 벤트연통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100')는 금형의 내부가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 상부금형)의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10')의 내부에는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 및 타측에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될 수 있는 유입공(140a', 140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유입공(140a', 140b')에는 공압 또는 유압 인가수단(150a', 150b')이 결합되어 몸체(110')의 내부로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몸체(110')의 유입공(140a', 140b')으로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됨으로 인한 피스톤(120') 및 피스톤로드(130')의 상하 슬라이딩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30')의 타단에는 압력강하부(132')가 형 성되어 있는데, 이 압력강하부(132')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교환핀(200)의 압력강하부(220)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경우와는 달리 압력강하부(132')를 직접 피스톤로드(130')에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이로써 부품절감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로드(130')의 압력강하부(132')에도 외주면에 압력강하홈(134')이 형성되며, 압력강하홈(134')은 금형 내부의 발포수지 원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스톤로드(130')의 압력강하부(132')는 벤트연통관(300')의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을 관통하게 되며, 압력강하부(132')의 외직경이 금형연결부(320')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강하부(132')의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로드(130')의 압력강하부(132')의 일반적인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교환핀(200)에 형성되는 압력강하부(220)와 동일하며, 여기에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연통관(300')은 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30')에 외삽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벤트연통관(300')의 일단에는 실린더(100')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3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320')가 형성되는데, 벤트연통관(300')은 실린더연결부(310')를 통해 실린더(100')에 나사결합되고 금형연결부(320')를 통해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온의 발포수지 원 료에 의한 손상시 교환 사용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벤트연통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330')이 형성되는데, 금형연결부(320')의 내주면과 피스톤로드(130')의 압력강하부(132')의 외주면 사이로 배출되는 가스가 가스배출공(3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압력강하부(220)가 피스톤로드(130)에 연결되는 교환핀(200)에 형성되는 것과 달리 피스톤로드(130')에 직접 압력강하부(132')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7는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금형용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하부금형 20 : 상부금형
22 : 벤트홀 100, 100' : 실린더
120, 120' : 피스톤 130, 130' : 피스톤로드
132' : 압력강하부 134' : 압력강하홈
200 : 교환핀 210 : 로드연결부
220 : 압력강하부 222 : 압력강하홈
300, 300' : 벤트연통관 310, 310' : 실린더연결부
320, 320' : 금형연결부 330, 330' : 가스배출공

Claims (6)

  1.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벤트홀에 결합되는 가스배출장치에 있어서,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마련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탈착가능하도록 로드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되는 교환핀;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되,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벤트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되, 상기 압력강하부로 인해 상기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의 외직경은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직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환핀의 압력강하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4.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벤트홀에 결합되는 가스배출장치에 있어서,
    피스톤 및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되 타단에는 외주면에 압력강하홈을 갖는 압력강하부가 형성되는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마련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
    양단이 개구된 관형상을 갖되,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에 탈착가능하도록 실린더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벤트홀에 탈착가능하도록 금형연결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벤트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주면 사이로 상기 금형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되, 상기 압력강하부로 인해 상기 금형 내부의 원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의 외직경은 상기 벤트연통관의 금형연결부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력강하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KR1020070106991A 2007-04-13 2007-10-24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KR100801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37 2007-04-13
KR20070036537 2007-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064B1 true KR100801064B1 (ko) 2008-02-04

Family

ID=3934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91A KR100801064B1 (ko) 2007-04-13 2007-10-24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0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248B1 (ko) 2009-08-12 2011-12-20 한일이화주식회사 발포금형의 가스배출장치
KR101398535B1 (ko) * 2013-07-04 2014-05-27 현대다이모스(주) 금형용 가스 배출장치
KR101959420B1 (ko) 2018-11-27 2019-03-18 윤동수 차량 엔진룸 흡음재의 발포금형
KR101972468B1 (ko) * 2018-08-23 2019-04-25 정진락 발포 금형용 오토 벤트
KR20190066238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820U (ja) 1982-07-06 1984-01-19 プラマツク株式会社 真空圧空成形装置
KR880010887A (ko) * 1987-03-26 1988-10-25 윤기창 합성수지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100443645B1 (ko) 2001-10-10 2004-08-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JP2006110954A (ja) 2004-10-18 2006-04-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用金型、タイヤ成形用金型のベントホールに使用する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用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820U (ja) 1982-07-06 1984-01-19 プラマツク株式会社 真空圧空成形装置
KR880010887A (ko) * 1987-03-26 1988-10-25 윤기창 합성수지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100443645B1 (ko) 2001-10-10 2004-08-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JP2006110954A (ja) 2004-10-18 2006-04-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用金型、タイヤ成形用金型のベントホールに使用するプラグ、及びこのタイヤ成形用金型を用いて製造したタイ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248B1 (ko) 2009-08-12 2011-12-20 한일이화주식회사 발포금형의 가스배출장치
KR101398535B1 (ko) * 2013-07-04 2014-05-27 현대다이모스(주) 금형용 가스 배출장치
KR20190066238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KR101996473B1 (ko) 2017-12-05 2019-07-03 주식회사 오성다이요 금형 에어 플러그 가압확인 및 가압용 실린더
KR101972468B1 (ko) * 2018-08-23 2019-04-25 정진락 발포 금형용 오토 벤트
KR101959420B1 (ko) 2018-11-27 2019-03-18 윤동수 차량 엔진룸 흡음재의 발포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064B1 (ko)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JP6140679B2 (ja) 再使用可能なレジン分配ラインを具備する真空を利用したレジン注入成形プロセス
JP2002538028A (ja) 複合品のモールド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57800B1 (ko) 타이어 제작금형에 설치되는 에어플러그
JP2008544886A5 (ko)
KR20060041720A (ko) 폴리우레탄 성형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6246332B2 (ja) 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9531896B (zh) 一种聚氨酯弹性体的浇注模具及其制备方法
CN211334673U (zh) 一种硫化胶囊机构
JP5781826B2 (ja) タイヤ修理用修理液ボトル用アダプター
KR200451819Y1 (ko) 막힘 소통용 압축기
JP2007030421A (ja) ゴム製筒体の製造方法
CS223857B2 (en) Method of casting and facility for executing the same
CN110901118A (zh) 一种硫化胶囊机构及其硫化方法
CN106042145A (zh) 方便脱模的混凝土模具
KR20040083049A (ko) 발포금형의 튜브실링장치
KR101095248B1 (ko) 발포금형의 가스배출장치
KR20200041002A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JP2007098873A (ja) タイヤ加硫方法および装置
JP5999838B2 (ja) コンクリートまたはモルタルの供試体成型用型枠
JP2006224429A (ja) タイヤの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1160235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JPH11156857A (ja) ベルトスリ−ブ等の加硫装置及び加硫方法
KR102567416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숄더부 벤트리스 플러그
JP3875796B2 (ja) 伝動ベルトの加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