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97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97B1
KR100800197B1 KR1020060066745A KR20060066745A KR100800197B1 KR 100800197 B1 KR100800197 B1 KR 100800197B1 KR 1020060066745 A KR1020060066745 A KR 1020060066745A KR 20060066745 A KR20060066745 A KR 20060066745A KR 100800197 B1 KR100800197 B1 KR 10080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ocking
support
stand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738A (ko
Inventor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97B1/ko
Priority to EP07290090.5A priority patent/EP1881256B1/en
Priority to US11/702,066 priority patent/US7665696B2/en
Priority to CNA2007100919444A priority patent/CN101110274A/zh
Publication of KR2008000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8Ancillary device support associated with a video display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Angular and linear 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1Plural 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타측에 길다른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쐐기; 상기 쐐기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쐐기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가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연결체가 상기 홀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거나 삽입/이탈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을 걸거나 개방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 스탠드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품의 사용신뢰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포장 시에 포장된 부피가 줄어들어서, 물류비용을 줄이고,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연결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for 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와 그 스탠드가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그 스탠드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연결체 및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연결체 및 베이스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잠금부의 상면 사시도.
도 6은 잠금부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지지체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연결체, 지지체, 잠금부, 하측커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베이스 10 : 상측 커버 20 : 지지체 커버
23 : 쐐기부 30 : 지지체 40 : 지지판
50 : 테두리 링 60 : 하측 커버 70 : 미끄럼 방지부
80 : 잠금부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0136027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 크기가 줄어들고, 사용자가 스탠드의 분리 및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를 일정각도의 직립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탠드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안정된 지지의 목적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다수의 힌지를 구비하는 다양한 양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근래들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탠드가 소개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된 바가 있는 구체적인 스탠드로는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0136027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제안된 바가 있다.
제안된 바가 있는 선행기술은 베이스를 전방 및 후방의 베이스로 분리하고, 전방 베이스 및 후방 베이스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포장시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베이스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포장이 되고 난 다음에는 베이스가 접혀져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포장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의 폭만큼 포장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가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정해진 위치에 베이스가 놓여지기 때문에, 그만큼 포장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가 커지면 동일한 공간에 장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가 줄어들게 되고, 물류비용이 그만큼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들어서는 스탠드의 지주부와 베이스부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베이스 및 지주부가 별도로 분리된 상태에서 포장되어 배송이 되는 형태도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있어서도, 스탠드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배송된 다음에 별도로 체결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체결 후에 스탠드의 안정적인 동작이 담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 스탠드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포장 시에 포장된 부피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타측에 기다란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쐐기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가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연결체가 상기 홀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거나 삽입/이탈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을 걸거나 개방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으로는 기다란 바 형상의 쐐기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쐐기부가 안으로 삽입되는 베이스; 및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상기 쐐기부의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를 조작하는 잠금부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측에 지지되고, 힌지가 개입된 상태에서, 타측으로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다란 바 형상의 쐐기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및 상기 쐐기부를 안착시키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쐐기부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쐐기부가 안으로 삽입되는 수축홀이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가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측커버; 및 상기 지지체의 하측에서 일정깊이로만 삽입되고, 일정각도 주기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턱을 걸어서 상 기 쐐기부의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를 조작하는 잠금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와 디스플레이 기기를 편리하게 분리/조립할 수 있고, 포장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와 그 스탠드가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그 스탠드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1)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부에 그 일단이 체결되는 연결체(2)와, 상기 연결체(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베이스(3)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체(2)의 하단부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3)의 안으로 일정깊이 삽입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1)의 흔들거림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연결체(2)를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2)의 상단부는 면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어서, 나사등에 의해서 연결체(2)가 디스플레이 기기(1)에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연결체(2)를 중심으로 관찰하면, 상기 연결체(2)가 상기 베이스(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연결체(2)를 베이스(3)에서 빼낸 상태는 포장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연결체(2)가 베이스(3)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포장을 하면 되는 상태로서, 각각의 물품들이 어떠한 상대적인 위치에서라도 포게어 질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의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스탠드를 이루는 상기 연결체(2) 및 베이스(3)의 관련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와 함께 연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체(2)에는, 나사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고정부(21)와, 상기 베이스(3)의 안으로 삽입되는 쐐기부(23)와, 상기 쐐기부(23)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고정부(21)와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힌지(22)가 포함된다.
상기 쐐기부(23)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서 사용자가 쐐기부(23)를 보다 쉽게 베이스(3)의 안쪽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힌지(2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조절할 때 베이스(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3)는 크게 대별하여, 금속을 재질로 하여 베이스(3)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다수의 물품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제공되어 베이스(3)의 커버구조를 이루는 하측 커버(60)와, 상기 하측 커버(60)의 몇 군데에 고정되어 상기 하측 커버(6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70)와,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커버(10)와, 상기 쐐기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체(30)가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0)가 상기 상측커버(1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더 나올때, 금속재질의 지지체(3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상측커버(10)의 홀(13)에 정확하게 맞추어져서 흔들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30)에는 수지재의 지지체 커버(20)가 더 씌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의 테두리 부분에는 테두리 링(50)이 더 고정되어, 베이스(3)의 테두리 부분을 더 안전하게 보호하고 상측 커버(10)와 지지판(40)와 하측 커버(60) 간의 결합라인이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하여 미적 감각이 개선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지지체(30)의 하측에는 잠금부(80)가 제공되어, 상기 쐐기부(23)가 삽입되고 난 다음에, 쐐기부(23)의 하단부가 상기 잠금부(80)에 의해서 잠겨지도록 하다. 상기 잠금부(80)에 의해서 쐐기부(23)가 지지체(30)의 상방으로 다시금 이탈하여 빠지는 일이 없다. 물론, 스탠드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80)를 조작해서 쐐기부(23)가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적어도 상기 쐐기부(23)와 지지체(30)는 금속을 재질로 함으로써, 무거운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중을 견고하고 지지하면서도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3)를 이루는 각 부품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체(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안착돌기(31)를 지지판(40)의 가이드홀(41)과 정렬시킨 상태에서 지지체(30)의 고정홀(32)과 지지판(40)의 고정홀(42)을 관통해서 제 1 나사(33)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테두리 링(50)을 내려서 테두리 링(50)의 안착부(51)가 안착 가이드(45)에 정렬되어 놓이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51)가 안착 가이드(45)에 정렬된 상태에서 테두리 링(50)를 하측으로 더 내리면, 테두리 링(50)의 몸체부는 하측으로 더 이동되어 테두리 링(50)에서 상기 안착부(51)를 제외하는 전체 부분은 지지판(4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안착부(51)과 안착 가이드(45) 간의 고정력에 의해서 지지판(40)과 테두리 링(50)은 가조립된다.
이상과 같이 지지체(30)와 지지판(40)과 테두리 링(5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지지체 커버(20)를 지지체(30)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측 커버(10)에 형성되는 홀(13)의 안으로 지지체(30)를 통과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측 커버(10)의 고정단(11)이 걸림부(43)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단(11)은 일종의 래치로서, 고정단(11)이 걸림부(43)에 끼워진 다음에는 상측 커버(10)가 지지판(40)에 가 조립된다.
이후에는, 상기 지지판(40)에 형성되는 홀(49)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체(30)의 하부 개구부로 잠금부(4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측커버(60)를 상측커버(10)와 정렬시킨다. 이때 미리 상기 하측커버(60)에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부(7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측커버(60)가 상측커버(10) 및 다른 부품과 정렬되면, 하측커버(60) 의 제 1 고정홀(61)과 지지판(40)의 제 2 고정홀(44)과 상측커버(10)의 제 3 고정홀(12)은 일렬로 정렬되고, 정렬된 고정홀을 관통하여 제 2 나사(71)가 삽입되어 상측커버(10), 지지판(40) 및 하측커버(60)의 견고한 고정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하측커버(6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62)가 상기 안착부(51)에 형성되는 홀과 지지판(40)에 형성되는 홀에 함께 관통함으로써, 상기 테두리 링(5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80)는 상기 지지판(40)에 형성된 홀(49)은 통과할 수 있지만, 상기 하측커버(60)에 형성되는 함몰부(도 8의 63참조)에는 통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부(80)는 상기 지지체(30) 하부의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하는 운동만이 수행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상기 잠금부(80)의 손잡이(88)는 상기 함몰부(63)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88)를 잡고서 잠금부(8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는 베이스(3) 및 연결체(2)의 상호 작용을 도 4에 제시되는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쐐기부(23)가 비원형으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쐐기부(23)의 대칭되는 어느 일방 및 타방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3)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24)와 동일한 양상으로 한 쌍의 걸림턱(25)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23)의 하단에는 구형단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체(40)의 내부에는 쐐기부(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좁아지는 양상으로 수축홀(도 8의 36참조)이 형성되어서, 상기 쐐기부(23)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쐐기부(23)가 삽입된 다음에 는 상기 돌출부(24)에 의해서 쐐기부(23)는 상기 지지체(40)에 대하여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축홀(36)과 쐐기부(23)의 크기를 조정하여-상기 지지체와 쐐기부는 금속을 재질로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공차관리를 할 수 있다- 정하여진 깊이로 쐐기부(23)가 삽입된 다음에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체(40) 하부의 내부 공간에는 잠금부(80)가 놓이는데, 상기 잠금부(80)는 상기 걸림턱(25)이 완전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걸림턱 수용공간(도 5의 86참조)과, 상기 걸림턱(25)이 선택적으로 빠지지 못하도록 하는 수축부(8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호관계에 의해서 연결체(2)가 상기 지지체(3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잠금부(80)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연결체(2)가 빠질 수 있거나 빠지지 못하는 상태로 된다. 이는 연결체(2)가 삽입되는 동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체(2), 지지체(30), 잠금부(80), 하측커버(60)의 관련되는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잠금부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잠금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지지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연결체, 지지체, 잠금부, 하측커버의 단면도이다.
상기 잠금부(80)의 상측부(도 5참조)에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기동으로 제공되어 내부에 걸림턱 수용공간(86)을 형성하는 벽(81)이 형성되고, 상기 벽(81)의 상단의 내측으로는 대응되는 일방 및 타방에 수축부(85)가 형성되고, 상기 벽(81)의 하단의 외측으로는 원형의 테두리부(91)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91)의 바깥 쪽으로는 서로 이격되는 다리(82)를 매개체로 하여 이탈방지링(83)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링(83)의 외측으로는 90도의 간격으로 맞춤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80)의 하측부(도 6참조)에는, 상기 다리(82)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87)가 형성되고, 잠금부(80)의 중심부에서 중심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사용자가 잠금부(8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88)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30)의 하측에는 상기 잠금부(80)의 테두리부(91) 및/또는 이탈방지링(83)이 안착되는 잠금부 안착면(34)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안착면(34)에는 90도 간격으로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잠금부(80)는, 상측으로는 상기 잠금부 안착면(34)에 놓인 상태에서 회전운동이 가이드되고, 하측으로는 이탈방지링(83)이 하측커버(60)의 함몰부(63)의 외곽 테두리에 걸려서 하측커버(60)의 하측으로 빠지지 않고 지지된다.
또한, 상기 맞춤부(84) 및 홈(35)은 서로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8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맞춤부(84) 및 홈(35)이 서로 끼워 맞춰져서 사용자는 현재 잠금부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80)를 회전시키는 중에 딸깍하면서 정지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는 연결체가 빠질 수 있는 상태이고, 딸깍하면서 정지되는 다른 한 위치에서는 연결체가 빠질 수 없는 상태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축부(85)의 형성 위치와 맞춤부(84)의 형성위치와 홈(35)의 형성위치는 적어도 수직 또는 수평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90도의 각도로 잠금부(80)를 회전시키는 주기로 연결체(2)의 고정 및 빠짐을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수축부(85)의 형성 위치와 맞춤부(84)의 형성위치와 홈(35)의 형성위치는 적어도 수직 또는 수평의 각도로 하지만, 그와 달리 다른 각도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각도 관계로 상기 수축부(85)와 맞춤부(84)와 홈(35)의 형성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연결체(2)의 고정 및 빠짐은 상기 걸림턱(25)과 수축부(85) 상호 간의 걸림작용에 기인한 것임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다.
여기서, 상기 맞춤부(84)는 홈(35)에 용이하게 끼이거나 빠질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링(83)이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한 쌍의 다리(82)의 사이 간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87)는 상기 함몰부(63)의 내벽과 거의 접하는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잠금부(80)가 일정한 영역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88)는 상기 하측커버(60)의 함몰부(68)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하측커버(60)에 의해서 스탠드가 지지될 때, 손잡이(88)에 의해서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상세구성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스탠드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탠드를 구입하면, 상기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기기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스탠드의 포장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임을 이미 설명한 바가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물류비용이 현저하게 줄게 되는 것임은 이미 설명 된 바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구매한 뒤에는, 상기 연결체(2)를 상기 지지체(30)의 안으로 삽입해서 이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잠금부(80)가 연결체의 삽입을 허용하지 않는 상태-상기 걸림턱이 상기 수축부에 걸려서 상기 걸림턱 수용공간의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연결체가 베이스에 설치될 수 없다. 이때에 사용자는 베이스(3)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손잡이(88)를 돌려서 잠금부(80)가 연결체의 삽입을 허용하는 상태-상기 걸림턱이 상기 수축부와 올바르게 정렬되어 상기 걸림턱 수용공간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서, 다시금 상기 연결체(2)를 베이스(3)로 끼워넣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2)의 쐐기부(23)가 지지체(30)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수축홀(36)의 상기 쐐기부(23)의 자체적인 형상에 의한 끼움결합에 의해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쐐기부의 구형단부(26)는 잠금부(80)의 단부 안착면(89)에 닿아서 잠금부(80)의 회전운동이 부드럽게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에는 양 물품이 대응되는 구형으로 제공되어 부드럽게 상호 운동될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될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부의 회전운동은 상기 맞춤부(84) 및 홈(35)의 상호관계에 의해서 경쾌하게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회전 가이드(87)에 의해서 더욱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체(2)가 베이스(3)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사용자는 상기 잠금부(80)를 더 돌려서 상기 수축부(85)가 상기 걸림턱(25)과 직교되는 방향으 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다시금 사용자가 연결체를 당기더라도 걸림턱(25)이 수축부(85)에 걸려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되는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먼저, 쐐기부(23)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드는 일반적인 쐐기형상이 아니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하단부에 크기가 커지는 걸림턱(25)이 형성되기만 하면 본 발명이 동작은 이상이 없다. 그러나, 연결체가 장착이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연결체의 삽입동작의 편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체(2)는 일 자유도의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단일의 힌지(22)가 제공되는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양상의 다른 힌지가 적용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이 뿐만 아니라, 본원발명의 사상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연결된 연결체가 지지체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 없고, 포장 및 배송시의 물류비용이 주는 것과, 삽입된 연결체가 고정되거나 풀리는 것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와 동일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 스탠드에 조립 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품의 사용신뢰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포장 시에 포장된 부피가 줄어들어서, 물류비용을 줄이고,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타측에 기다란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
    상기 쐐기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가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연결체가 상기 홀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거나 삽입/이탈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을 걸거나 개방시키는 잠금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정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을 걸거나 개방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3. 삭제
  4. 삭제
  5.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측에 지지되고, 힌지가 개입된 상태에서, 타측으로는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다란 바 형상의 쐐기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및
    상기 쐐기부를 안착시키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쐐기부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쐐기부가 안으로 삽입되는 수축홀이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가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측커버; 및
    상기 지지체의 하측에서 일정깊이로만 삽입되고, 일정각도 주기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턱을 걸어서 상기 쐐기부의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를 조작하는 잠금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잠금부의 손잡이가 내부에 수용되는 하측커버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하측커버에 걸려서 하방으로 이탈되지 못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60066745A 2006-07-18 2006-07-18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800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745A KR100800197B1 (ko) 2006-07-18 2006-07-18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EP07290090.5A EP1881256B1 (en) 2006-07-18 2007-01-23 Stand for display device
US11/702,066 US7665696B2 (en) 2006-07-18 2007-02-05 Stand for display device having a locking member to fix a connecting member to a base
CNA2007100919444A CN101110274A (zh) 2006-07-18 2007-03-30 用于显示装置的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745A KR100800197B1 (ko) 2006-07-18 2006-07-18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738A KR20080007738A (ko) 2008-01-23
KR100800197B1 true KR100800197B1 (ko) 2008-02-01

Family

ID=3859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745A KR100800197B1 (ko) 2006-07-18 2006-07-18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5696B2 (ko)
EP (1) EP1881256B1 (ko)
KR (1) KR100800197B1 (ko)
CN (1) CN101110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39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0674A1 (en) * 2010-01-25 2011-07-28 Bliven Robert P Display Mount
CN101839389B (zh) * 2010-07-01 2012-04-11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可快速拆装的显示器支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76Y1 (ko) 2001-12-28 2002-06-15 주식회사 콤텍시스템 엘시디 모니터의 지지구조
KR20030045449A (ko) * 2001-12-04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2004354804A (ja) 2003-05-30 2004-12-16 Sharp Corp 薄型表示装置
KR20060070052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비
KR100677930B1 (ko) 2004-10-13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793A (en) * 1993-02-08 1996-01-23 Crowell; Anthony D. Vehicle desk
KR200156371Y1 (ko) * 1996-11-15 1999-09-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블장치
US6315252B1 (en) * 1997-10-17 2001-11-13 Jefrey S. Schultz Removably mounted computer stand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TW457445B (en) * 2000-02-24 2001-10-01 Acer Inc Flat display capable of replacing different bases
TW532735U (en) * 2002-06-25 2003-05-11 Benq Corp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flat monitor
KR100630969B1 (ko) * 2002-08-2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TW543017B (en) * 2002-09-20 2003-07-21 Benq Corp Monitor with changeable stand
ES2393270T3 (es) * 2003-01-09 2012-12-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lgado y método para separar la parte de visualización
TWI224467B (en) * 2003-03-26 2004-11-21 Benq Corp Stand
TWI224927B (en) * 2003-08-21 2004-12-01 Benq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tractable base thereof
TWI224253B (en) * 2003-12-24 2004-11-21 Quanta Comp Inc Knob lock mechanism with slot
US20050236533A1 (en) * 2004-04-27 2005-10-27 Dell Products L.P. Height adjustable stand for LCD monitor with detachment and lockdown features
KR20060016664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TWI271139B (en) * 2004-12-13 2007-01-11 Benq Corp Suppor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0813726B1 (ko) 2005-12-3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20070221798A1 (en) * 2006-03-27 2007-09-27 Taiwan Thick-Film Ind. Corp. Rotary structure for display base docks
KR101253569B1 (ko) * 2006-05-09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WI309530B (en) * 2006-06-05 2009-05-01 Au Optronics Corp Separable base
US7667957B2 (en) * 2006-10-11 2010-02-23 Cherng Jyieh Corp. Thin-type disp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449A (ko) * 2001-12-04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277976Y1 (ko) 2001-12-28 2002-06-15 주식회사 콤텍시스템 엘시디 모니터의 지지구조
JP2004354804A (ja) 2003-05-30 2004-12-16 Sharp Corp 薄型表示装置
KR100677930B1 (ko) 2004-10-13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70052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39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93627B2 (en) 2017-11-09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1256A2 (en) 2008-01-23
EP1881256A3 (en) 2009-05-06
EP1881256B1 (en) 2015-09-30
KR20080007738A (ko) 2008-01-23
US7665696B2 (en) 2010-02-23
CN101110274A (zh) 2008-01-23
US20080185486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9953B (en) Self-tightening fastening system
CN100440103C (zh) 监视器
RU2506873C2 (ru) Складной высокий стул со столиком
KR10080019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JP5715949B2 (ja) 食器棚を壁面に固定するための調整可能壁掛食器棚ホルダー群
CN110300531A (zh) 用于家具部件的连接销
WO2005113286A1 (en) A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KR20070038761A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TW433991B (en) Secure pinch-grip hanger
JP5347201B2 (ja) 組立自在な合成樹脂製容器
US9820599B1 (en) Collapsible hook hanger
KR101064980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US10172489B2 (en) Collapsible hook hanger
US10815040B2 (en) Antitheft display pack for hand tool
JP2011167449A (ja) 物品掛け具
JPH10266674A (ja) 扉の振動ロック装置
JP6081255B2 (ja) 保管容器
JP2009136617A (ja) 物品掛け具
JP2004298335A (ja) 物品支持金具
JP4301850B2 (ja) キャップ及び支柱付家具
JP3030976U (ja) 耐震性引出し装置
JP5593348B2 (ja) ドアストッパ
KR102062456B1 (ko) 자전거용 접이식 페달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200333101Y1 (ko) 가방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