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980B1 -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 Google Patents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980B1
KR101064980B1 KR1020090052772A KR20090052772A KR101064980B1 KR 101064980 B1 KR101064980 B1 KR 101064980B1 KR 1020090052772 A KR1020090052772 A KR 1020090052772A KR 20090052772 A KR20090052772 A KR 20090052772A KR 101064980 B1 KR101064980 B1 KR 101064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otrusion
washer
hanger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250A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반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반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9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셔(130)의 제1 돌기(133)가 삽입되는 걸림부(119)가 형성된 중공의 상부체(110)와 상기 상부체(110)에 결합되며 경사돌출부(143)를 가지는 중공의 하부체(140)로 이루어지며 측방향으로 제2 개구부(1441)가 형성되어 돌출된 수용돌출부(144)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체(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몸체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와셔(130)를 가압하는 탄성체(120)와, 일측으로 상기 걸림부(119)로 삽입되는 제1 돌기(133)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120)와 하부체(140) 사이에서 경사지게 위치하는 환형의 와셔(130)와, 상기 제2 개구부(1441)에 위치하며 와셔(130)와 접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에 관한 것으로; 와셔(130)에 의한 소부재(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들의 분실 염려가 없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하부체(140)에 수용돌출부(144) 이외에 외부로 돌출된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레버(150)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레버(150)를 회전 지지하는 핀(170)의 이탈 염려가 없으며, 고정수단(160)과 레버(150)의 결합에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행거, 레버, 조정

Description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Length Adjusting Device For Hanger}
본 발명은 행거용 길이 조절 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으며, 조정이 용이하며, 부품 수가 감소되어 구조가 간단한 행거용 길이 조절 수단에 관한 것이다.
옷걸이용 행거는 옷걸이나 옷을 걸어 놓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견고한 고정수단이 제공되어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옷걸이용 행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용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용으로 나눌 수 있다.
고정용 행거(1)는 도 1에서와 같이 복수의 수직부재(11)를 천장과 지면 사이에 반발력으로 일렬로 되게 설치한 후, 옷걸이나 의류가 걸리는 하나 이상의 횡부재(12)를 상기 수직부재(11)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이동용 행거(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받침부재(14)를 가지는 복수의 수직부재(11)에 횡부재(12)를 수평으로 설치한다. 상기 횡부재(12)는 홀더(17)에 걸어서 설치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5는 상기 수직부재(11)를 이루는 중공의 대부재를, 13은 상기 대부재(15)로 일부가 삽입되는 소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2는 상기 수직부재(11)의 상하단에 구비되어 천장과 지면에 접하는 접촉 부재를, 도 2에서 도면부호 16은 수직부재(11)의 하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부재(1)와 횡부재(2)는 단면이 원형인 합성수지 중공체를 사용한다.
상기 홀더(17)는 수직부재(11)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방향으로 굴곡지게 돌출되어 측방향으로 횡부재가 안착하는 걸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은 "U"자형으로 형성된다.
도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20은 상기 대부재(15)의 끝단에 구비되어 대부재(15)에 삽입되는 소부재(13)가 자유롭게 인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인출 길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2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수직부재(11)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20)은 상부체(205)와 하부체(209)로 구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장부(204)의 내부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211)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스토퍼(215) 및 스토퍼(215)의 일측을 압압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푸쉬버튼(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215)는 밸런스링(212)과 와셔(213)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하우징(210)은 상부체(205)와 하부체(209)를 결합하여 내부에 중공 상태의 수장부(204)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체(205)의 구성은 소부재(13)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부재(13)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20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코일스프링(21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01a)이 형 성된다. 일측에는 푸쉬버튼(220)을 결합하기 위한 장착홈(20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210)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체(209)의 구성은 중앙에는 하부지주(15)를 결합하기 위한 중공부(207)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206)와 일측에는 푸쉬버튼(220)을 결합하기 위한 장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체결부(206)는 일측으로 경사각을 이루어 코일스프링(211)의 내측에 삽입되는 벨런스링(212)에 형성된 경사부(212d)와 당접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의 체결부(206)의 상한점(206a)과 하한점(206b)의 경사부는 푸쉬버튼(220)의 침부(216)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로크 상태에는 와셔(213)가 경사면의 하한점(206b)에 당접되어 위치되고 푸쉬버튼(220)을 압압하게 되면, 와셔(213)에 형성된 슬라이딩편(213a)을 밀어올려 벨런스링(212)과 코일스프링(211)이 수축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소부재(13)가 자유롭게 이동되는 해제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12a는 상기 코일스프링(211)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20)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와셔(213)가 소부재(13)를 가압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운반이나 포장 중에 와셔(213)에 의하여 소부재(13)의 외경면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와셔에 의한 소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들이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레버의 일부만이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심미성이 향상되며, 하부체에 수용돌출부 이외에 외부로 돌출된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레버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레버를 회전 지지하는 핀의 이탈 염려가 없으며, 고정수단과 레버의 결합에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셔의 제1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중공의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에 결합되며 경사돌출부를 가지는 중공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며 측방향으로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돌출된 수용돌출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몸체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와셔를 가압하는 탄성체와, 일측으로 상기 걸림부로 삽입되는 제1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와 하부체 사이에서 경사지게 위치하는 환형의 와셔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며 와셔와 접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핀공과 상기 핀공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공의 형성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와셔와 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일부가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제2 개구부를 가로질러 제1 핀공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과 제1 핀공에 핀이 삽입되어 상기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공에 미끄 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레버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제1 오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부와 평행하게 돌출되며 끝단은 제1 오목부의 타측과 간격을 형성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연장부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노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레버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부에 삽입되어 레버의 회전이 구속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돌출부는 끝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체로부터 상부체의 끝단에 접하는 제1 턱부를 형성하면서 상부체를 향하여 돌출되며, 내향 돌출되어 와셔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체는 일측으로 제1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며 단면이 역"U"자형인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체의 수용돌출부는 하부체를 향하여 턱부를 형성하는 단면이 역"U"자형인 접촉부를 가지며, 제1 핀공은 제2 개구부를 가로질러 접촉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가 하부체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 내측으로 접촉부가 위치하여 핀공과 제1 핀공에 삽입된 핀의 양단은 제1 돌출부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제1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장공은 제1 돌출부의 하단으로 노출되도록 제2 개구부를 가로질러 수용돌출부에 형성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는 레버를 향하여 라운드 돌출된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고정부의 전방으로 고정수단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레버가 회전할 때 접촉면에 접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에 의하면, 와셔(130)에 의한 소부재(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들이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레버(150)의 일부만이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심미성이 향상되며, 하부체(140)에 수용돌출부(144) 이외에 외부로 돌출된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레버(150)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레버(150)를 회전 지지하는 핀(170)의 이탈 염려가 없으며, 고정수단(160)과 레버(150)의 결합에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종래 기술에 설명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6에 도시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상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하부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5에 도시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은 와셔(130)의 제1 돌기(133)가 삽입되는 걸림부(119)가 형성된 중공의 상부체(110)와 상기 상부체(110)에 결합되며 경사돌출부(143)를 가지는 중공의 하부체(140)로 이루어지며 측방향으로 제2 개구부(1441)가 형성되어 돌출된 수용돌출부(144)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체(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몸체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와셔(130)를 가압하는 탄성체(120)와, 일측으로 상기 걸림부(119)로 삽입되는 제1 돌기(133)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120)와 하부체(140) 사이에서 경사지게 위치하는 환형의 와셔(130)와, 상기 제2 개구부(1441)에 위치하며 와셔(130)와 접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40)는 접착재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서로 접하는 부분을 고주파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110)는 중공체로서, 상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공(113)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탄성체(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턱부(114)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제1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돌출된 제1 돌출부(117)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개구부(115)는 상부체(110)의 하단까지 연장된 다. 상기 제1 돌출부(117)는 역"U"자 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통공(113)으로 소부재(13)가 삽입된다. 상기 상부체(110)의 내측에는 오목하게 걸림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9)에는 와셔(130)의 제1 돌기(133)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부(119)는 관통된 통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140)는 중공체로서, 상부체(110)를 향하여 제1 턱부(142)를 형성하며 돌출된 경사돌출부(143)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돌출부(143)의 상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40)가 결합할 때, 상기 제1 턱부(142)에 상부체(110)의 하단이 접하여 걸리게 되며, 상기 경사돌출부(143)는 하부체(140) 내로 삽입된다.
상기 하부체(140)는 측방향으로 제2 개구부(1441)가 형성되어 돌출된 중공의 수용돌출부(144)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돌출부(144)에는 제2 개구부(144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핀공(146)과 장공(148)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48)은 제1 핀공(146)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체(140)의 수용돌출부(144)는 하부체(140)를 향하여 턱부를 형성하는 단면이 역"U"자형인 접촉부(147)를 가지며, 제1 핀공(146)은 접촉부(147)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110)가 하부체(14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117) 내측으로 접촉부(147)가 위치하여 핀공(155)과 제1 핀공(146)에 삽입된 핀(170)의 양단은 제1 돌출부(117)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제1 돌출부(117)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장공(148)은 제1 돌출부(117)의 하단으로 노출되도록 제2 개구부(1441)를 가로질러 수용돌출부(144)에 형성된다. 도 11에서 도면부호 149는 상기 장공(148)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160)을 지지하는 제2 턱부(149)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경사돌출부(143)의 내경면에는 내향 돌출된 복수의 제1 돌기부(1403)가 구비되며, 경사돌출부(143)의 하단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환형을 이루는 제2 돌기부(145)가 구비된다. 하부에서 대부재(15)가 삽입된 때, 대부재(15)의 상단은 상기 제2 돌기부(145)에 접하여 걸리게 된다. 상기 대부재(15)는 하부체(140)의 하부로부터 억지 끼워 맞춤 되어 삽입된다. 물론 접착재를 도포하여 하부체(140) 내로 대부재(15)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돌출부(143)는 상부에서 가압되는 와셔(13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도 8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130)는 환형으로서 일측으로 상기 걸림부(119)로 삽입되어 걸리는 제1 돌기(13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기(13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35)를 구비한다. 상기 와셔(130)는 상기 탄성체(120)와 하부체(140) 사이에서 경사지게 위치한다. 상기 와셔(130)는 탄성체(120)와 하부체(140)의 경사돌출부(143)와 사이에 경사지게 위치한다. 상기 와셔(130)는 탄성체(120)에 의하여 경사돌출부(143)의 경사면으로 가압된다.
도 9, 10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50)는 핀공(155)과 상기 핀공(155)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부(157)가 형성되고, 상기 핀공(155)의 형성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와셔(130)와 접하는 돌출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57)는 핀공(155)의 하부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57)는 통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버(150)는 고정부(157)의 전방으로 고정수단(160)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레버(150)가 회전할 때 고정수단(160)의 접촉면(1603)에 접하는 안착부(159)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153)는 와셔(130)의 제2 돌기(135)의 하부로 접한다. 상기 레버(150)의 일부는 상기 제2 개구부(1441)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수용돌출부(144)의 끝단으로부터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핀공(155)과 제1 핀공(146)에 핀(170)이 삽입되어 상기 레버(150)는 제2 개구부(14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핀(170)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장공(148)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레버(150)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 오목부(165)가 형성된 연장부(163)와, 상기 제1 오목부(16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부(163)와 평행하게 돌출되며 끝단은 제1 오목부(165)의 타측과 간격을 형성하는 고정돌기(167)와, 상기 연장부(163)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148)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측면부(1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부(161)는 장공(148)의 외측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장공(148)에 결리면서 고정수단(160)이 장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장부(163)는 고정수단(160)이 장공(148)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도 15에서, 상기 레버(150)의 노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레버(150)가 핀(17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부(157)가 고정돌기(167)의 전방으로 위치하면, 고정수단(160)을 장공(148) 내에서 미끄럼 이동시켜(도 15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기(167)가 고정부(157)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고정부(157) 가 고정부(167)에 삽입되면 스프링(120) 하중이 레버(150)의 돌출부(153)에 작용하여도 레버(150)는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5에서 레버(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153)는 와셔(130)의 우측 즉 와셔(130)의 제2 돌기(135)를 들어올리게 되고, 와셔(130)는 걸림부(119)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부재(13)에 가하여지는 외력은 해제되어 소부재(130)는 대부재(15)로부터 자유롭게 인출 삽입 가능한 상태로 되고, 스프링(120)은 더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수단(160)을 장공(148) 내에서 미끄럼 이동시켜(도 15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기(167)가 고정부(157)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대부재(15)로부터 소부재(130)를 인출하거나 대부재(15)로 삽입시켜 수직부재(11)의 길이를 조정한 후, 고정수단(160)을 장공(148) 내에서 미끄럼 이동시켜 고정돌기(167)가 고정부(157)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스프링(120) 하중에 의하여 와셔(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부재(13)를 가압하여 인출 및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연장부(163)는 레버(150)를 향하여 라운드 돌출된 접촉면(1603)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150)는 고정부(157)의 전방으로 고정수단(160)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레버(150)가 회전할 때 접촉면(1603)에 접하는 안착부(159)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159)가 접촉면(1603)에 접할 때까지 레버(150)를 가압하고 고정수단(160)을 장공(148) 내에서 미끄럼 이동시켜(도 15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돌기(167)가 고정부(157)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수단(160)과 레버(150)의 결합에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60)의 측면부(161) 중 어느 하나는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접착돌기(168)에 삽입되는 삽입공(1611)이 형성되어, 고정수단(160)이 장공(148)에 삽입된 후 돌출된 부분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측면부(161) 모두를 분리형으로 하고 장공(148)에 삽입된 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고정용 행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이동용 행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상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하부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5의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한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Claims (4)

  1. 와셔(130)의 제1 돌기(133)가 삽입되는 걸림부(119)가 형성된 중공의 상부체(110)와 상기 상부체(110)에 결합되며 경사돌출부(143)를 가지는 중공의 하부체(140)로 이루어지며 측방향으로 제2 개구부(1441)가 형성되어 돌출된 수용돌출부(144)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체(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몸체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와셔(130)를 가압하는 탄성체(120)와, 일측으로 상기 걸림부(119)로 삽입되는 제1 돌기(133)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120)와 하부체(140) 사이에서 경사지게 위치하는 환형의 와셔(130)와, 상기 제2 개구부(1441)에 위치하며 와셔(130)와 접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150)는 핀공(155)과 상기 핀공(155)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부(157)가 형성되고, 상기 핀공(155)의 형성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와셔(130)와 접하는 돌출부(153)를 구비하며, 일부가 상기 제2 개구부(1441)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제2 개구부(1441)를 가로질러 제1 핀공(146)과 장공(148)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155)과 제1 핀공(146)에 핀(170)이 삽입되어 상기 레버(15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체(110)는 일측으로 제1 개구부(115)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며 단면이 역"U"자형인 제1 돌출부(117)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체(140)의 수용돌출부(144)는 하부체(140)를 향하여 턱부를 형성하는 단면이 역"U"자형인 접촉부(147)를 가지며, 제1 핀공(146)은 접촉부(147)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가 하부체(14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117) 내측으로 접촉부(147)가 위치하여 핀공(155)과 제1 핀공(146)에 삽입된 핀(170)의 양단은 제1 돌출부(117)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제1 돌출부(117)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출부(143)는 끝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하부체(140)로부터 상부체(110)의 끝단에 접하는 제1 턱부(142)를 형성하면서 상부체(110)를 향하여 돌출되며, 내향 돌출되어 와셔(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부(140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장공(148)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레버(150)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 오목부(165)가 형성된 연장부(163)와, 상기 제1 오목부(16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부(163)와 평행하게 돌출되며 끝단은 제1 오목부(165)의 타측과 간격을 형성하는 고정돌기(167)와, 상기 연장부(163)의 양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148)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측면부(161)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150)의 노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레버(150)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167)가 고정부(157)에 삽입되어 레버(150)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63)는 레버(150)를 향하여 라운드 돌출된 접촉면(1603)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150)는 고정부(157)의 전방으로 고정수단(160) 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레버(150)가 회전할 때 접촉면(1603)에 접하는 안착부(15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100).
KR1020090052772A 2009-06-15 2009-06-15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KR101064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72A KR101064980B1 (ko) 2009-06-15 2009-06-15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72A KR101064980B1 (ko) 2009-06-15 2009-06-15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50A KR20100134250A (ko) 2010-12-23
KR101064980B1 true KR101064980B1 (ko) 2011-09-15

Family

ID=4350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72A KR101064980B1 (ko) 2009-06-15 2009-06-15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75B1 (ko) * 2011-07-20 2013-04-26 반도산업 주식회사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KR101338393B1 (ko) * 2012-07-10 2013-12-10 반도산업 주식회사 옷걸이용 홀더
KR101465869B1 (ko) * 2013-03-26 2014-11-27 반도산업 주식회사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KR101535165B1 (ko) * 2013-10-07 2015-07-08 반도산업 주식회사 행거의 길이 조절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583U (ja) * 1993-04-19 1994-11-01 小川 仙次 伸縮支持筒
KR200325316Y1 (ko) 2003-05-23 2003-09-02 구명화 가이드포스트형 옷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432614Y1 (ko) * 2006-08-01 2006-12-05 이철중 옷걸이용 홀더
KR20080005385U (ko) * 2007-05-11 2008-11-14 이철중 옷걸이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583U (ja) * 1993-04-19 1994-11-01 小川 仙次 伸縮支持筒
KR200325316Y1 (ko) 2003-05-23 2003-09-02 구명화 가이드포스트형 옷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432614Y1 (ko) * 2006-08-01 2006-12-05 이철중 옷걸이용 홀더
KR20080005385U (ko) * 2007-05-11 2008-11-14 이철중 옷걸이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50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302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KR101064980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US20100308196A1 (en) Telescopic prop-up pole device
US8403272B2 (en) Clip
US9192215B2 (en) Quick assembly methods and components for shade structures
US20160192798A1 (en) Tree stand
KR20190004712A (ko) 2개의 가구 부품을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피팅
KR200432614Y1 (ko) 옷걸이용 홀더
KR101258675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KR102275164B1 (ko) 휴대폰 케이스용 링홀더
US10791846B2 (en) Textile clip
KR101869593B1 (ko) 행거용 지주의 고정장치
KR20090003568U (ko) 옷걸이용 고정지주 연결 콘넥터
KR101267773B1 (ko) 행거용 홀더
KR200479126Y1 (ko) 파이프용 고정클립
KR101465869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WO2003013322A1 (en) Garment hanger
CN108162821B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壳的旋转安装式安装的紧固件及方法
KR200247104Y1 (ko)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길이조절장치
KR200482825Y1 (ko) 절첩다리용 회전 브래킷
CN220720741U (zh) 重力轮
US2467042A (en) Display device
KR200172095Y1 (ko) 상다리
KR200181222Y1 (ko)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길이 조절장치
KR100219465B1 (ko) 후크핀 이탈방지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