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80B1 -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 Google Patents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80B1
KR100799980B1 KR1020070027568A KR20070027568A KR100799980B1 KR 100799980 B1 KR100799980 B1 KR 100799980B1 KR 1020070027568 A KR1020070027568 A KR 1020070027568A KR 20070027568 A KR20070027568 A KR 20070027568A KR 100799980 B1 KR100799980 B1 KR 10079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hydraulic cylinder
displacement
core wall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기
김지영
김대영
하인호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7002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80B1/ko
Priority to US12/075,483 priority patent/US20080229684A1/en
Priority to CN2008100860996A priority patent/CN10127059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서 횡력에 저항하는 코어 월과, 건축구조물 외곽에 배치되는 외주기둥을 연결하여 횡력을 전달하는 아웃리거(outrigger)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구조물의 시공 중에 코어 월과 외주기둥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등축소를 자동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새로운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에 의하면, 아웃리거 단부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는 변위 수용장치가,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부에 구비되어, 코어 월과 외주기둥 사이의 부등축소량을 상기 변위 수용장치가 자동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횡력, 외주기둥, 코어 월, 아웃리거, 부등축소, 댐퍼

Description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Automatic Adjustment Device and System of Outrigger Structures to Release Additional Stres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변위 수용장치로서 유압실린더가 이용된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그 접합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외주기둥보다 더 큰 축소량이 코어 월에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접합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외주기둥이 코어 월 보다 더 많이 축소된 경우를 도시한 접합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복동식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접합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변위 수용장치로서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가 이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아웃리거를 구비한 건축구조물에 횡력이 작용할 때의 변형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a)는 코어 월과 외주기둥이 아웃리거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b)는 횡력이 작용하여 횡변위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a)는 부등축소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코어 월에 더 큰 축소량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c)는 상기 (b)의 상태로 인한 부가응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아웃리거
10 코어 월
20 외주기둥
30 유압실린더
31 오리피스 장치
40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서 횡력에 저항하는 코어 월과, 건축구조물 외곽에 배치되는 외주기둥을 연결하여 횡력을 전달하는 아웃리거(outrigger)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구조물의 시공 중에 코어 월과 외주기둥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등축소를 자동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새로운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에는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횡력과 기타 연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코어 월(core wall)이 설치된다. 특히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축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 코어 월 주변으로 외주 기둥을 설치하고 아웃리거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 월과 외주 기둥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 하중뿐만 아니라 풍하중 등으로 인한 횡력을 상기 외주 기둥이 나누어 부담하도록 하여 건축구조물에 과도한 횡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6에는 아웃리거(1)를 구비한 건축구조물에 횡력이 작용할 때의 변형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의 (a)는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이 아웃리거(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의 (b)는 횡력이 작용하여 횡변위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 월(10)에 아웃리거(1)가 설치되고 아웃리거(1)의 외측 단부(2)가 외주기둥(20)과 접합된 상태에서, 횡력에 의하여 횡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도 6의 (b)에서 좌측의 외주기둥(2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우측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코어 월(10)이 부담해야할 하중을 외주기둥(20)이 나누어서 부담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구조물에 과도한 횡변위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코어 월(10)은 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외주기둥(20)은 철골조 또는 콘크리트 또는 그 둘로 구성되는 합성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재료의 특성으로 인한 축소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그 축소량은 재료특성 및 분담하는 수직하중의 차이로 인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 사이에는 부등축소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1)를 통하여 외주기둥(20)으로부터 코어 월(10)로 또는 코어 월(10)로부터 외주기둥(20)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시공 중에 발생하는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 간의 부등축소에 의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1)를 통해 서로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아웃리거(1) 접합구조를 이용하였다. 도 7의 (a)는 부등축소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코어 월에 더 큰 축소량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c)는 상기 (b)의 상태로 인한 부가응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기둥(20)의 측면에는 브래킷(21) 또는 아웃리거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 브래킷(21) 사이에는 아웃리거(1)의 단부(2)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아웃리거(1)의 단부(2)와 브래킷(21) 사이에는 간격조절을 위한 심 플레이트(Shim-Plate)(22)가 적층되어 구비된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시공 중에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기둥(20)보다 더 큰 축소량이 코어 월에 발생하게 되면, 아웃리거(1)에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아웃리거(1)의 단부(2) 아래 쪽 심 플레이트(22)가 가압되어 부가응력이 압축력 형태로 외주기둥(20)에 가해지게 됨과 동시에 아웃리거(1)의 단부(2) 위쪽 심 플레이트(22)는 브래킷(21)과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잭 장치(23)를 이용하여 아웃리거(1)의 단부(2)를 일시적으로 들어 올려 아웃리거(1)의 단부(2) 아래쪽에서는 코어 월의 축소량에 맞추어 심 플레이트(22)를 제거하고 아웃리거(1)의 단부(2) 위쪽에는 심 플레이트(22)를 추가로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잭 장치(23)를 해제함으로써, 외주기둥(20)에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경우는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반대로 외주기둥(20)에 더 큰 축소가 생기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작업자가 부등축소량이 얼마인지 일일이 측정해야 하는 계측 공정이 필수적이며, 그 계측된 값에 따라 위와 같은 번거로운 수작업을 통해서 매번 직접 조절하여 보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22)의 삽입 또는 제거 작업을 해야 하는데, 심 플레이트(22)의 두께와 부등축소량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세한 부등축소량에 의한 부가응력의 전달을 피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시공 중에 코어 월과 외주기둥 사이에서 발생하 는 부등축소량의 보정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부등축소량 계측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며, 미세한 부등축소 현상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보정되도록 하여 부가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새로운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의 코어 월에 결합된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로서, 상기 아웃리거 단부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는 변위 수용장치가, 상기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단부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주기둥과 코어 월 간의 부등축소에 의한 아웃리거 단부의 상, 하 변위로 나타나는 상기 외주기둥과 코어 월 사이의 부등축소량을 상기 변위 수용장치가 흡수함으로써 부가응력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접합구조에서,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상기 아웃리거 단부의 상, 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유압실린더는, 일측의 유압실린더가 가압되어 압력이 증가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증가된 압력이 점차로 감소되면서 그 감소된 압력에 대응되는 압력이 타측의 유압실린더에 가해지게 되어 상기 타측의 유압실린더가 신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 의 유압실린더는, 일측 유압실린더로부터의 유체가 통과하여 타측의 유압실린더로 흐르게 하는 오리피스 장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 너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 접합구조의 구체적인 구성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를 보여주는 그 접합부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웃리거(1)와 외주기둥(20)의 접합부 즉,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주기둥(20)에 일체로 부착된 상, 하 브래킷(21)의 사이에는 변위 수용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아웃리거 단부(2)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함으로써 아웃리거 단부(2)와 상기 외주기둥(20)의 상, 하 브래킷(21)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변위, 즉, 코어 월과 외주기둥(20) 사이의 부등축소량을 자동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주기둥(20) 사이에 발생되는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외주기둥(20)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코어 월은 도 5에서 부재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음).
상기 변위 수용장치로는 아웃리거 단부(2)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 는 구성이면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상기 변위 수용장치의 일예로서 유압실린더(30)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웃리거(1)의 단부(2)는 외주기둥(20)에 일체로 부착된 상, 하 브래킷(2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브래킷(21)과 아웃리거(1)의 단부(2) 사이에는 각각 상,하로 유체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이하, "유압실린더"라고 함)(3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유압실린더(30)는, 일측의 유압실린더(30)가 가압되어 압력이 증가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증가된 압력이 점차로 감소되면서 그 감소된 압력에 대응되는 압력이 타측의 유압실린더(30)에 가해지게 되어 상기 타측의 유압실린더(30)가 신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구비된 유압실린더(30)는, 양측의 유압실린더(30) 사이에 오리피스 장치(31)가 구비되어 있어, 위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 하 양측의 유압실린더(30)는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 장치(31)는, 일측 유압실린더(30)가 가압되어 압력이 증가되었을 때, 그 유압실린더(30)로부터의 유체가 천천히 타측의 유압실린더(30)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지진 또는 풍하중과 같은 동적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도, 유체를 천천히 흐르게 하는 상기 오리피스 장치(31)의 작용에 의하여 유압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며, 그에 따라, 유압실린더(30)에 작용하는 횡력에 대한 지지력이 외주기둥(20)과 아웃리거(1)의 단부(2)에서 발생하도록 하여, 동적하중에 대한 댐핑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2는 각각의 유압실린더(3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유체 펌프(32)이고, 부재번호 33은 공급관(33)이며, 부재번호 34는 공급 분기관(34)이다. 또한 부재번호 35는 공급 분기관(34)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밸브(35)이며, 부재번호 36은 각각의 유압실린더(30)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30)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과압 조절 밸브(36)이다.
다음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 접합부에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외주기둥(20)보다 더 큰 축소량이 코어 월에 발생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30)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아웃리거(1)의 단부(2) 상, 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30)에는 유체가 공급되어 있고 공급 분기관(34)의 개폐 밸브(35)는 폐쇄되어 있다. 즉, 상, 하의 유압실린더(30)는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 월이 아래쪽으로 수축하게 되면, 아웃리거(1)의 단부(2)가 화살표로 표시된 아래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아래쪽 유압실린더(30)를 가압하게 된다. 유압실린더(30)에 유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공급 분기관(34)에 구비된 개폐 밸브(35)가 잠겨 있으므로, 가압된 아래쪽 유압실린더(30)의 유체는 오리피스 장치(31)를 통하여 위쪽 유압실린더(30)로 공급되면서 아래쪽 유압실린더(3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하향 변위에 맞추어 수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코어 월의 축소량을 수용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오리피스 장치(31)를 통하여 유체가 추가로 공급된 위쪽 유압실린더(3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하향 변위 즉, 코어 월의 축소량에 맞추어 신장되어 아웃리거(1) 단부(2) 와 유압실린더(30)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외주기둥(20)이 코어 월 보다 더 많이 축소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기둥(20)이 코어 월 보다 더 많이 축소되는 경우, 즉 아웃리거(1)의 단부(2)가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위쪽 유압실린더(30)를 가압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2의 경우와 반대로 위쪽 유압실린더(30)로부터 오리피스 장치(31)를 통하여 아래쪽 유압실린더(30)로 유체가 공급되면서 위쪽 유압실린더(3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상향 변위에 맞추어 수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코어 월과 외주기둥의 부등축소량을 수용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유체가 추가로 공급된 아래쪽 유압실린더(3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상향 변위에 맞추어 신장되어 아웃리거(1) 단부(2)와 유압실린더(30)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축구조물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어 월과 외주기둥(20) 간의 부등축소에 의하여 아웃리거(1)의 단부(2)에 상, 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 하측의 유압실린더(30)의 자동적인 신장 및 수축에 의하여 아웃리거(1) 단부(2)의 변위가 자동적으로 수용되어 코어 월과 외주기둥(20) 사이의 부등축소량이 보정되므로,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1)를 통하여 외주기둥(20)에 전달되는 것이 예방된다.
특히, 위와 같은 유압실린더(30)의 신장 및 수축 작동은 코어 월과 외주기둥(20) 간의 부등축소량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코어 월과 외주기둥(20)의 부등축소량을 일일이 계측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지진 또는 풍하중 과 같은 동적하중이 작용하는 경우하게 되면 코어 월에 전도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 전도모멘트는 아웃리거에 의해 외주기둥의 축력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순간적인 동적하중에 대해서는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해 유압실린더(30) 간의 급격한 유량이동이 제한되므로 아웃리거에 의해 전달된 코어 월의 전도모멘트가 아웃리거(1)와 유압실린더(30)를 통해 외주기둥(20)의 축력으로 전달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횡력에 유효하게 저항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30)로는 록 너트(lock nut)(37)가 구비된 록 너트 방식의 유압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록 너트 방식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아웃리거 단부(2)의 상, 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유압실린더(3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압실린더(30)가 상기한 록 너트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록 너트(37)가 구비되지 않은 유압실린더(3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4에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30)가 2개의 오리피스 장치(31)를 구비한 복동식으로 구성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급관(33), 공급 분기관(34), 개폐 밸브(35) 및 과압 조절 밸브(36)를 더 구비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타 작동 과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것처럼 오리피스 장치(31)를 이용한 기계적 구조에 의하여 상, 하 유압실린더(30)의 압력 및 신장/수축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전자적인 방식으로 상, 하 유압실린더(30)의 압력 연동 및 신장/수축 연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은 위에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는 반드시 유체에 의한 유압으로 작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기압 등을 이용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5에는 상기 변위 수용장치로서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가 이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는 앞서 설명한 유압실린더(30)와 마찬가지로 외주기둥(20)과 아웃리거(1)의 단부(2) 사이에서 각각 상기 아웃리거(1)의 단부(3) 상, 하로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 자체는 공지의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유압실린더(30)와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한 부등축소량 흡수작동과 마찬가지로, 아웃리거(1)의 단부(2)가 화살표로 표시된 아래 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아래쪽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를 가압하게 되면 아웃리거(1) 단부(2)의 하향 변위에 맞추어 천천히 수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코어 월의 축소량을 수용하게 된다. 이 때, 위쪽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하향 변위 즉, 코어 월의 축소량에 맞추어 신장되어 아웃리거(1) 단부(2)와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웃리거(1)의 단부(2)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향으로 변위되는 경우는, 이와 반대로 위쪽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가 가압되고 아웃리거(1) 단부(2)의 상향 변위에 맞추어 위쪽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가 수축하게 되어 코어 월의 축소량을 수용하게 된다. 이 때, 아래쪽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는 아웃리거(1) 단부(2)의 상향 변위 즉, 코어 월의 축소량에 맞추어 신장되어 아웃리거(1) 단부(2)와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변위 수용장치의 일예로서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를 설명하였으나,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 이외에도 유체댐퍼, 가스 댐퍼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공지의 댐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위에서 예시한 유압실린더(30)와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웃리거 단부(2)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아웃리거 단부(2)가 외주기둥(20)에 일체로 부착된 상, 하 브래킷(21)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외주기둥(20) 자체를 상, 하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외주기둥(20) 사이에 아웃리거 단부(2)가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에 의하면, 아웃리거 단부(2)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는 변위 수용장치가, 아웃리거(1)와 외주기둥(20)의 접합부에 구비되어, 코어 월과 외주기둥(20) 사이의 부등축소량을 상기 변위 수용장치가 자동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아웃리거 접합부에서의 부등축소량을 일일이 계측해야 하는 번거로운 종전의 계측 관리 공정이 본 발명에서는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잭 장치를 작동시켜 심 플레이트의 배치를 변경(심 플레이트를 추가로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작업)해야 하는 수고스러운 작업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 그만큼 공정이 단축되고 시공성이 향상되어 공사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부등축소량의 흡수 및 보정 과정이 시공 과정 및 시공 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장기적인 부등축소 현상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아웃리거(1) 단부(2)에 구비된 변위 수용장치가 진동 하중 등에 대한 댐퍼(damper) 부재로서도 기능하게 되므로, 시공 중 및 시공 후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고 제어하는 효과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의 시공 중에 횡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아웃리거에 의한 횡력 분산 효과 즉, 코어 월뿐만 아니라 외주기둥도 횡력을 나누어 부담할 수 있게 되어 과도한 횡력이 코어 월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구조물의 코어 월에 결합된 아웃리거(1)와 외주기둥(20)의 접합구조로서,
    상기 아웃리거 단부(2)의 변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는 변위 수용장치가, 상기 외주기둥(20)과 아웃리거(1)의 단부(2)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기둥(20)과 코어 월 간의 부등축소에 의한 아웃리거(1) 단부(2)의 상, 하 변위로 나타나는 상기 외주기둥(20)과 코어 월 사이의 부등축소량을 상기 변위 수용장치가 흡수함으로써 부가응력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유압실린더 (30))로 구성되며,
    상기 변위 수용장치는 상기 아웃리거 단부(2)의 상, 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유압실린더(30)는, 일측의 유압실린더(30)가 가압되어 압력이 증가되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증가된 압력이 점차로 감소되면서 그 감소된 압력에 대응되는 압력이 타측의 유압실린더(30)에 가해지게 되어 상기 타측의 유압실린더(30)가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압실린더(30)는, 일측 유압실린더(30)로부터의 유체가 통과하여 타측의 유압실린더(30)로 흐르게 하는 오리피스 장치(3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0)에는,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 너트(3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수용장치가 오리피스 일체형 유압실린더(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주기둥과 아웃리거의 접합구조.
KR1020070027568A 2007-03-21 2007-03-21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KR10079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68A KR100799980B1 (ko) 2007-03-21 2007-03-21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US12/075,483 US20080229684A1 (en) 2007-03-21 2008-03-12 Hydraulic jack systems to be installed to the outrigger to perimeter column joints to automatically adjust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and provide additional structural damping
CN2008100860996A CN101270593B (zh) 2007-03-21 2008-03-19 安装在支架和周边柱体接头处的液压千斤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568A KR100799980B1 (ko) 2007-03-21 2007-03-21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980B1 true KR100799980B1 (ko) 2008-01-31

Family

ID=3921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568A KR100799980B1 (ko) 2007-03-21 2007-03-21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9980B1 (ko)
CN (1) CN101270593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37B1 (ko) 2009-02-11 2011-03-04 (주)대우건설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KR101054811B1 (ko) * 2011-07-12 2011-08-05 (주)대우건설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KR101068513B1 (ko) * 2009-02-04 2011-09-28 (주)대우건설 가변형 오리피스 장치
KR101180240B1 (ko) 2009-12-29 2012-09-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아웃리거 접합 장치
KR101259247B1 (ko) * 2010-10-22 2013-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댐핑형 구조물
KR101449930B1 (ko) 2014-03-19 2014-10-14 한국토지주택공사 아웃사이드 타입 제진시스템
WO2018117389A3 (ko) * 2016-12-20 2018-08-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실과 본 건물의 사이를 활용한 감쇠 시스템
CN113931312A (zh) * 2021-12-17 2022-01-14 北京科技大学 一种重力与侧力分离的装配式消能结构体系及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42A (en) 1891-12-29 Edmund 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95513Y (zh) * 2004-04-14 2005-04-27 润泰营造股份有限公司 建筑物的位移连动装置
CN2809065Y (zh) * 2005-08-05 2006-08-23 北京工业大学 钢筋混凝土限位支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42A (en) 1891-12-29 Edmund a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13B1 (ko) * 2009-02-04 2011-09-28 (주)대우건설 가변형 오리피스 장치
KR101017937B1 (ko) 2009-02-11 2011-03-04 (주)대우건설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KR101180240B1 (ko) 2009-12-29 2012-09-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아웃리거 접합 장치
KR101259247B1 (ko) * 2010-10-22 2013-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댐핑형 구조물
KR101054811B1 (ko) * 2011-07-12 2011-08-05 (주)대우건설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KR101449930B1 (ko) 2014-03-19 2014-10-14 한국토지주택공사 아웃사이드 타입 제진시스템
WO2018117389A3 (ko) * 2016-12-20 2018-08-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단실과 본 건물의 사이를 활용한 감쇠 시스템
US11299902B2 (en) 2016-12-20 2022-04-12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Damping system utilizing space between stair chamber and inner building
CN113931312A (zh) * 2021-12-17 2022-01-14 北京科技大学 一种重力与侧力分离的装配式消能结构体系及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0593A (zh) 2008-09-24
CN101270593B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980B1 (ko)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US20080229684A1 (en) Hydraulic jack systems to be installed to the outrigger to perimeter column joints to automatically adjust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and provide additional structural damping
KR100952404B1 (ko) 하이브리드 비좌굴 가새
US20030230032A1 (en) Take-up devices for use in building structure
US20230366194A1 (en) Hydraulic expandable connector
JP2007278411A (ja) ダンパー装置
CN210461945U (zh) 一种水利管道铺设用加固装置
CN210529715U (zh) 可拆卸的深基坑开挖支撑系统
JP4770096B2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その設計方法
CN108533834B (zh) 一种支撑刚度可调节的减振型抗震支吊架
JP4198296B2 (ja) オイルダンパ
KR101180240B1 (ko) 아웃리거 접합 장치
KR101035076B1 (ko) 준능동형 아웃리거 댐퍼 장치
JP2020029925A (ja) 複合型制震装置
KR100926421B1 (ko)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KR20060072934A (ko) 낙교방지를 위한 교량 교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방법
JP2005112518A (ja) タワクレーン
JP5389746B2 (ja) 水中仮締切り設備の水密金物
CN111140698A (zh) 中性面设柔性动密封组件的防水穿墙套管结构及施工方法
CN114108945B (zh) 一种减振拉索张弦梁结构及方法
KR101068513B1 (ko) 가변형 오리피스 장치
CN113482160B (zh) 用于钢混组合梁的钢梁与翼缘板的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214996020U (zh) 一种建筑模板用斜支撑结构
JP4012063B2 (ja) 枠付き鉄骨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及び補強工法
JP2015148044A (ja) 可撓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