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937B1 -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 Google Patents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937B1
KR101017937B1 KR1020090011016A KR20090011016A KR101017937B1 KR 101017937 B1 KR101017937 B1 KR 101017937B1 KR 1020090011016 A KR1020090011016 A KR 1020090011016A KR 20090011016 A KR20090011016 A KR 20090011016A KR 101017937 B1 KR101017937 B1 KR 10101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outrigger
pressure
outer cylinde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700A (ko
Inventor
양동현
박기동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1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9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심 플레이트와 함께 아웃리거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간격보정부재와; 상기 간격보정부재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측정부재와;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간격측정부재; 및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간격보정부재 내에 압력 라인을 통해 압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리거 접합부 내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간격보정부재의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심 플레이트와 단부 사이의 간격을 보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갭 관리치를 유지 및 조정할 수 있고, 간격보정부재의 사용으로 아웃리거 접합부의 갭이 닫혔을 경우 인공 가력을 위한 유압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의 설치에 따른 공사비 및 공사 기간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심 플레이트의 제거 및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건축구조물, 아웃리거, 외주기둥, 간격 보정, 부등축소

Description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DEVICE ADJUSTING GAPS FOR OUTRIGGER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RRECTING DIFFERENTIAL SHORTENING BWTWEEN CORE AND PERIMETER COLUMNS IN OUTRIGGER SYSTEM}
본 발명은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웃리거와 외주 기둥 간 접합부의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간격보정부재의 내부 압력을 가감하여 심 플레이트와 단부 사이의 간격을 보정하도록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에는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횡력과 기타 연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코어 월(Core Wall)이 설치된다. 특히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축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 코어 월 주변으로 외주 기둥을 설치하고 아웃리거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 월과 외주 기둥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 하중뿐만 아니라 풍하중 등으로 인한 횡력을 상기 외주 기둥이 나누 어 부담하도록 하여 건축구조물에 과도한 횡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에는 아웃리거(1)를 구비한 건축구조물에 횡력이 작용할 때의 변형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의 (a)는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이 아웃리거(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의 (b)는 횡력이 작용하여 횡변위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 월(10)에 아웃리거(1)가 설치되고 아웃리거(1)의 외측 단부(2)가 외주기둥(20)과 접합된 상태에서, 횡력에 의하여 횡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도 1의 (b)에서 좌측의 외주기둥(2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우측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코어 월(10)이 부담해야할 하중을 외주기둥(20)이 나누어서 부담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구조물에 과도한 횡변위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코어 월(10)은 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외주기둥(20)은 철골조 또는 콘크리트 또는 그 둘로 구성되는 합성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재료의 특성으로 인한 축소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그 축소량은 재료특성 및 분담하는 수직하중의 차이로 인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 사이에는 부등축소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1)를 통하여 외주기둥(20)으로부터 코어 월(10)로 또는 코어 월(10)로부터 외주기둥(20)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시공 중에 발생하는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 간의 부등축소에 의한 부가응력이 아웃리거(1)를 통해 서로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종래에는 도 2에 도 시된 것과 같은 아웃리거(1) 접합구조를 이용하였다. 도 2의 (a)는 부등축소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외주기둥에 더 큰 축소량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의 (c)는 상기 (b)의 상태로 인한 부가응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기둥(20)의 측면에는 브래킷(21) 또는 아웃리거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 브래킷(21) 사이에는 아웃리거(1)의 단부(2)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아웃리거(1)의 단부(2)와 브래킷(21) 사이에는 간격조절을 위한 심 플레이트(Shim-Plate)(22)가 적층되어 구비된다. 이때, 심 플레이트(22)가 브래킷(21)과 1㎜의 갭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시공 중에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 월(10)보다 더 큰 축소량이 외주기둥(20)에 발생하게 되면, 아웃리거(1)에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아웃리거(1)의 단부(2) 위쪽 심 플레이트(22)가 가압되어 부가응력이 압축력 형태로 외주기둥(20)에 가해지게 됨과 동시에 아웃리거(1)의 단부(2) 아래쪽 심 플레이트(22)는 브래킷(21)과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잭(23)을 이용하여 아웃리거(1)의 단부(2)를 일시적으로 내려 아웃리거(1)의 단부(2) 위쪽에서는 외주기둥(20)의 축소량에 맞추어 심 플레이트(22)를 제거하고 아웃리거(1)의 단부(2) 아래쪽에는 심 플레이트(22)를 추가로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유압잭(23)을 해제함으로써, 외주기둥(20)에 부등 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경우는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부등축소로 인한 부가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작업자가 부등축소량이 얼마인지 일일이 측정해야 하는 계측 공정이 필수적이며, 그 계측된 값에 따라 위와 같은 번거로운 수작업을 통해서 매번 직접 갭 관리치를 유지해야만 하고, 유압잭이 설치됨으로 인해 유압잭 설치에 따른 브래킷과,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라 고용량 크레인 필요하거나 또는 분리제작 후 현장 용접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심 플레이트의 삽입 또는 제거 작업을 해야 하는데, 시공오차로 인해 갭의 높이 편차가 일정하지 못하여 심 플레이트의 삽입이 실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갭의 발생으로 인해 구조물이 일체로 거동하지 않기 때문에 태풍이나 지진 발생시 과대 변위가 발생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간격보정부재의 내부 압력을 가감하여 심 플레이트와 단부 사이의 간격을 보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갭 관리치를 유지할 수 있고, 간격보정부재의 설치로 인해 유압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의 설치에 따른 공사비 및 공사 기간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심 플레이트의 제거 및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간격보정부재로 인해 구조물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태풍이나 지진 발생시 과대 변위가 발생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보정부재와; 상기 간격보정부재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측정부재와;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간격측정부재; 및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간격보정부재 내에 압력 라인을 통해 압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보정부재는 강선이 구비된 고무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력 튜브와; 상기 압력 튜브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인입구와; 상기 압력 튜브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배출구;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전면 및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의 압력원으로 오일류와 같은 비압축성이면서 공급/배출이 용이한 충진재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는 상기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기 설정된 간격보정부재의 압력 관리치를 초과할 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압력 및 간격을 보정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있어서, 아웃리거의 골조를 설치하는 골조 공정과; 아웃리거의 단부로부터 외주기둥의 브래킷 상으로 심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심 플레이트의 최상단과 상기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보정부재와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압력 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간격보정부재 설치 공정과; 압력측정부재 및 간격측정부재를 설치하는측정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압력측정부재 및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통해 상기 간격보정부재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보정 공정과; 건축구조물의 골조 공사를 완료한 후 상기 간격보정부재와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 및 심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 및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 보정 공정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압력 및 변위 발생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보정하거나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를 기설정된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간격보정부재의 압력 관리치를 초과할 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차를 보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따르면,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간격보정부재의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심 플레이트와 단부 사이의 간격을 보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갭 관리치를 유지할 수 있고, 간격보정부재의 설치로 인해 유압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의 설치에 따른 공사비 및 공사 기간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심 플레이트의 제거 및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간격보정부재로 인해 구조물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태풍이나 지진 발생시 과대 변위가 발생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 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중 간격보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중 간격보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100)는 간격보정부재(110)와, 압력측정부재(120)와, 간격측정부재(130)와,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간격보정부재(110)는 심 플레이트(22)와 아웃리거(1)의 단부(2) 사이에 설치되며, 고압에 견디고, 변형이 없도록 강선이 구비된 고무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력 튜브(111)와, 압력 튜브(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인입구(113)와, 압력 튜브(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배출구(115)와, 압력 튜브(11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압력 튜브(111)의 전면 및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11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압력 튜브(111)는 압력 유입시 용이하게 유입되고, 탄성을 갖으며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테두리가 라운드 형태를 이뤄 테두리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압력 인입구(113)와 압력 배출구(115)는 1개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압력측정부재(120)는 하기에서 설명할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과 간격보정부재(110)를 연결하는 압력 라인(141) 상에 설치되어 간격보정부재(110)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여기에서, 압력측정부재(120)는 디지털 압력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측정부재(130)는 아웃리거(1)의 단부(2) 또는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측에 설치되어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여기에서, 간격측정부재(130)는 디지털 변위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또,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은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간격보정부재(120) 내에 압력 라인(141)을 통해 압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을 배출하여 간격보정부재(1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여기에서,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의 압력원은 오일류와 같은 비압축성이면서 공급/배출이 용이한 충진재를 사용하고, 압력 라인(141)에는 압력원을 차단 및 전달하도록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100)는 컨트롤러(150)를 구비하여 컨트롤러(150)에서 압력측정부재(120)와, 간격측정부재(13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압력관리치와 비교하여 오차발생시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을 제어하여 외부 간섭없이 능동적으로 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S100-골조 공정》
먼저, 코어 월(10)과, 외주기둥(20) 사이에 아웃리거의 골조를 설치한다.
《S110-적층 공정》
그리고, 아웃리거(1)의 단부(2)로부터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상으로 심 플레이트(22)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때, 심 플레이트(22)의 적층 높이는 간격보정부재(110)의 삽입이 가능한 높이까지 적층한다.
《S120-간격보정부재 설치 공정》
그런 다음, 심 플레이트(22)의 최상단과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사이에 간격보정부재(110)를 설치하고, 간격보정부재(110)와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을 압력 라인(141)을 통해 상호 연결한다.
《S130-측정부재 설치 공정》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측정부재(120) 및 간격측정부재(130)를 설치한다. 이때, 압력측정부재(120)는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과 간격보정부재(110)를 연결하는 압력 라인(141) 상에 설치하고, 간격측정부재(130)는 아웃리거(1)의 단부(2) 또는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측에 설치한다.
《S140-간격보정 공정》
그리고, 관리자가 압력측정부재(120) 및 간격측정부재(130)의 측정값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간격보정부재(110)의 압력을 조절하여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 주기둥(20)의 브래킷(21) 간의 간격을 기설정값으로 보정한다. 이때, 컨트롤러(150)를 설치하고, 설치된 컨트롤러(150)를 통해 압력측정부재(120)와, 간격측정부재(13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를 기설정된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오차발생시 압력 공급/배출 수단(140)을 제어하여 간격보정부재(110)에 압력을 가하거나 빼서 자동으로 오차를 보정할 수도 있다.
《S150-제거 공정》
간격이 조정되는 상태에서 건축구조물의 골조 공사를 완료한 후 간격보정부재(110)와 압력측정부재(120)와 간격측정부재(130) 및 심 플레이트(22)를 제거한다.
《S160-접합 공정》
마지막으로 아웃리거(1)의 단부(2)와 외주기둥(20)의 브래킷(21)을 접합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아웃리거를 구비한 건축구조물에 횡력이 작용할 때의 변형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a)는 코어 월과 외주기둥이 아웃리거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b)는 횡력이 작용하여 횡변위가 발 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a)는 부등축소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코어 월에 더 큰 축소량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c)는 상기 (b)의 상태로 인한 부가응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중 간격보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중 간격보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압력 라인 110 : 간격보정부재
120 : 압력측정부재 130 : 간격측정부재
140 : 압력 공급/배출 수단 150 : 컨트롤러

Claims (6)

  1. 심 플레이트와 아웃리거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보정부재와;
    상기 간격보정부재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압력측정부재와;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간격측정부재; 및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간격보정부재 내에 압력 라인을 통해 압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보정부재는,
    강선이 구비된 고무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력 튜브와;
    상기 압력 튜브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인입구와;
    상기 압력 튜브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력 배출구;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전면 및 배면에 부착되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의 압력원은,
    오일류와 같은 비압축성이면서 공급/배출이 용이한 충진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는,
    상기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기설정된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오차발생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차를 보정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5. 제 1 항의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에 있어서,
    아웃리거의 골조를 설치하는 골조 공정과;
    아웃리거의 단부로부터 외주기둥의 브래킷 상으로 심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심 플레이트의 최상단과 상기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에 간격보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보정부재와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압력 라인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간격보정부재 설치 공정과;
    압력측정부재 및 간격측정부재를 설치하는측정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압력측정부재 및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통해 상기 간격보정부재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보정 공정과;
    건축구조물의 골조 공사를 완료한 후 상기 간격보정부재와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 및 심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 및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보정 공정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오차발생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오차를 보정하거나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압력측정부재와, 간격측정부재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이를 기설정된 상기 아웃리거의 단부와 외주기둥의 브래킷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오차발생시 상기 압력 공급/배출 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KR1020090011016A 2009-02-11 2009-02-11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KR10101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16A KR101017937B1 (ko) 2009-02-11 2009-02-11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16A KR101017937B1 (ko) 2009-02-11 2009-02-11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00A KR20100091700A (ko) 2010-08-19
KR101017937B1 true KR101017937B1 (ko) 2011-03-04

Family

ID=4275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16A KR101017937B1 (ko) 2009-02-11 2009-02-11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76B1 (ko) * 2010-10-26 2011-05-19 (주)대우건설 준능동형 아웃리거 댐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666A (ja) * 1990-11-02 1992-06-17 Fujita Corp 構造物の支持装置
JPH10184095A (ja) 1996-12-26 1998-07-14 Taisei Corp 建物の免震装置
JP2000097279A (ja) 1998-07-21 2000-04-04 Sekisui Chem Co Ltd 免震装置、免震装置付建物及び免震装置の制御方法
KR100799980B1 (ko) 2007-03-21 2008-01-31 (주)대우건설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666A (ja) * 1990-11-02 1992-06-17 Fujita Corp 構造物の支持装置
JPH10184095A (ja) 1996-12-26 1998-07-14 Taisei Corp 建物の免震装置
JP2000097279A (ja) 1998-07-21 2000-04-04 Sekisui Chem Co Ltd 免震装置、免震装置付建物及び免震装置の制御方法
KR100799980B1 (ko) 2007-03-21 2008-01-31 (주)대우건설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00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636806U (zh) 一种钢支撑结构
CN205077845U (zh) 建筑物核心筒井道液压智能爬升操作脚手架
CN103195256B (zh) 吊柱式钢结构胎架法施工工法
EP3124843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tationary support in a planned position
CN103666494A (zh) 一种焦炉炉柱安装方法
CN113404059A (zh) 一种自动调控变形的支撑结构及其实施方法
CN202023150U (zh) 用于桥梁挂篮施工中的反力架预压系统
CN104032678A (zh) H型塔柱内力可调的临时横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929148B (zh) 风力发电塔基础环基础的倒装加固系统及其加固方法
TW201439402A (zh) 橋梁頂升同步控制整合系統
CN105569242A (zh) 一种叠合楼板的装配方法
CN108824443A (zh) 精准调节基坑钢支撑预加轴力的装置及其加载方法
KR100799980B1 (ko)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CN110904829A (zh) 一种桥梁抗倾覆可调支座施工方法
CN210529715U (zh) 可拆卸的深基坑开挖支撑系统
KR101017937B1 (ko) 아웃리거용 간격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코어와 외주기둥 간의 부등축소량 보정 공법
CN211256708U (zh) 一种用于更换桥梁支座的同步顶升装置
CN202401024U (zh) 推焦杆旁弯在线校正装置
CN113789712A (zh) 钢拱桥的纵梁和拱肋成型控制方法
CN113718665A (zh) 桥梁换墩方法
CN113090040A (zh) 一种竖向预制构件的安装装置及方法
KR20140056900A (ko)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
CN111560862A (zh) 一种预压自平衡支座更换方法
CN203843404U (zh) 核电结构模块组装工装
CN104843143A (zh) 半自动火工压力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