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811B1 -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811B1
KR101054811B1 KR1020110068771A KR20110068771A KR101054811B1 KR 101054811 B1 KR101054811 B1 KR 101054811B1 KR 1020110068771 A KR1020110068771 A KR 1020110068771A KR 20110068771 A KR20110068771 A KR 20110068771A KR 101054811 B1 KR101054811 B1 KR 10105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bracket
active vibration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1006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20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the piston-rod extending through both ends of the cylinder, e.g. constant-volume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1, 2챔버로 나뉘는 제 1실린더와; 제 2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3, 4챔버로 나뉘어 상기 제 1실린더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 2실린더의 제 1, 2피스톤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고, 저항 부재가 측면에 연결되는 제 1브라켓과; 제어 대상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2실린더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브라켓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챔버를 제 1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4챔버를 제 2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1, 2유압 관로의 유압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블록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 4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4압력계와; 상기 제 1실린더 또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및 상기 제 1~4압력계와 변위계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실린더가 아닌 2개의 실린더로 구성되며, 각 실린더의 피스톤을 중심으로 구분된 좌우 챔버는 서로 다른 실린더의 챔버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밸브 한 개로 각 실린더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실린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밸브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한 개의 제어밸브만을 사용함으로써 각 실린더 내에 동일한 동특성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제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TWIN AND SEMI-ACTIVE TYPE VIBRATION REDUCING DEVICE}
본 발명은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어 대상 구조물과 저항부재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저항부재 요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는 단일 실린더(11)로 구성되며 피스톤(13)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좌우 챔버(15)에서 생성되는 압력 차를 이용하여 필요한 댐퍼력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댐퍼는 동작 제어를 위해, 제어 밸브(V1)와, 릴리프 밸브(V2)와, 안전 밸브(V3)로 이루어지는 밸브 블록(17)이 구비되고, 밸브 블록(17)의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19)가 구비된다.
이러한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리거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아웃리거 단부(1)에 2개의 댐퍼(10)를 각각 설치하여 기둥(3)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용하는 경우 각 실린더마다 각각의 밸브 블록을 설치하여 제어 밸브 2개를 동시에 제어해야 하므로 각 실린더마다 밸브 블록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이는 진동 저감장치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각 실린더 내 동특성의 차이를 보정하지 않은 채 한 개의 컨트롤러(19)로 각 밸브를 동시에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실린더가 아닌 2개의 실린더로 구성되며, 각 실린더의 피스톤을 중심으로 구분된 좌우 챔버는 서로 다른 실린더의 챔버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밸브 한 개로 각 실린더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실린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한 개의 밸브블록만을 사용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한 개의 제어밸브만을 사용함으로써 각 실린더 내에 동일한 동특성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제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 1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1, 2챔버로 나뉘는 제 1실린더와; 제 2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3, 4챔버로 나뉘어 상기 제 1실린더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 2실린더의 제 1, 2피스톤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고, 저항 부재가 측면에 연결되는 제 1브라켓과; 제어 대상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2실린더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브라켓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챔버를 제 1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4챔버를 제 2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1, 2유압 관로의 유압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블록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 4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4압력계와; 상기 제 1실린더 또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및 상기 제 1~4압력계와 변위계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 블록은 상기 제 1유압 관로와 제 2유압 관로에서 각각 분기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제 1유압 관로와 제 2유압 관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제 1, 2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오리피스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릴리프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체크 밸브; 및 상기 제 1, 2체크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변위계로부터 측정된 변위값에 따라 기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 발생시 상기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저항 부재의 압축 인장을 구속하고, 상기 제 1~4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최대 변형에너지에 도달 시 상기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2실린더 내의 증가된 압력을 초기압력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저장된 변형 에너지를 해방시켜 저항 부재의 구속을 푼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밸브 블록과 컨트롤러는 케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브라켓은 플랜지와 볼트를 통해 상기 제 1, 2실린더의 제 1, 2피스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항 부재와 연결 플레이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브라켓은 상기 제어 대상 구조물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와 핀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에 따르면, 단일 실린더가 아닌 2개의 실린더로 구성되며, 각 실린더의 피스톤을 중심으로 구분된 좌우 챔버는 서로 다른 실린더의 챔버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밸브 한 개로 각 실린더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실린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밸브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한 개의 제어밸브만을 사용함으로써 각 실린더 내에 동일한 동특성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제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중 밸브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중 밸브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는 제 1실린더(110)와, 제 2실린더(120)와, 제 1브라켓(130)과, 제 2브라켓(140)과, 밸브 블록(150)과, 제 1~4압력계(P1~P4)와, 변위계(160)와, 컨트롤러(170)로 구성된다.
먼저, 제 1실린더(110)는 통상의 유압으로 작동되는 구조로 제 1피스톤(111)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1, 2챔버(113, 115)로 나뉜다.
그리고, 제 2실린더(120)는 통상의 유압으로 작동되는 구조로 제 2피스톤(121)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3, 4챔버(123, 125)로 나뉘어 제 1실린더(110)와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 1브라켓(130)은 강재 재질로 형성되어 플랜지(131)와 볼트(133)를 통해 제 1, 2실린더(110, 120)의 제 1, 2피스톤(111, 12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저항 부재(3), 즉 기둥과 연결 플레이트(135)와 볼트(13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 제 2브라켓(140)은 강재 재질로 형성되어 제어 대상 구조물(아웃리거와 코어를 포함하는 구조물)(1)에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141)와 핀볼트(143)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제 1, 2실린더(110, 12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 밸브 블록(150)은 제 1실린더(110)의 제 1챔버(113)와 제 2실린더(120)의 제 3챔버(123)를 제 1유압 관로(L1)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제 1실린더(110)의 제 2챔버(115)와 제 2실린더(120)의 제 4챔버(125)를 제 2유압 관로(L2)를 통해 상호 연결하며, 제 1, 2유압 관로(L1, L2)의 유압 흐름 방향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밸브 블록(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압 관로(L1)와 제 2유압 관로(L2)에서 각각 분기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분기 관로(L3)에 각각 병렬 연결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제 1유압 관로(L1)와 제 2유압 관로(L2)의 유압을 제어하는 제 1, 2솔레노이드 밸브(S1, S2)와, 분기 관로(L2)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오리피스 밸브(OR1, OR2)와, 분기 관로(L3)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릴리프 밸브(R1, R2)와, 분기 관로(L3)에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체크 밸브(TR1, TR2)와, 제 1, 2체크 밸브(TR1, TR2) 사이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AC1)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4압력계(P1~P4)는 제 1실린더(110)의 제 1, 2챔버(113, 115)와 제 2실린더(120)의 제 3, 4챔버(123, 125)에 각각 설치되어 압력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4압력계(P1~P4)는 유선 또는 무선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변위계(160)는 제 1실린더(110) 또는 제 2실린더(120)와 제 1브라켓(130) 사이에 연결되어 제 1피스톤(111) 또는 제 2피스톤(121)의 변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70)로 전송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변위계(160)로부터 측정된 변위값에 따라 기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 발생시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폐쇄하여 저항 부재(3)의 압축 인장을 구속하고, 제 1~4압력계(P1~P4)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최대 변형에너지에 도달 시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개방하여 제 1, 2실린더(110, 120) 내의 증가된 압력을 초기압력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저장된 변형 에너지를 해방시켜 저항 부재(3)의 구속을 푼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컨트롤러(170)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변위계(160)로부터 측정된 변위값에 따라 기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 발생시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폐쇄하여 저항 부재(3)의 압축 인장을 구속하여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에 압축 인장력을 전달하게 되어 장치(100)는 해당 방향으로 강성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저항 부재(3)가 압축에서 인장 또는 인장에서 압축으로 변환될 때, 즉 제 1~4압력계(P1~P4)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최대 변형에너지에 도달시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개방하여 제 1실린더(110)(또는 제 2실린더(120)) 내에 압축된 유체를 제 2실린더(120)(또는 제 1실린더(110)) 쪽으로 방출시켜 제 1실린더(110)(또는 제 2실린더(120)) 내의 압력을 초기압력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저장된 변형 에너지를 해방시켜 저항 부재(3)의 구속을 풀어준다. 이 때, 저항 부재(3)는 구속에서 해방되면서 압축 인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로 환원된 후 다시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에 의해 구속돼 저항 부재(3)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170)는 제 1~4압력계(P1~P4)가 무선 타입인 경우 무선 단말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정값과 제어값을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이들을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는 밸브 블록(150)과 컨트롤러(170)는 케이스(180)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스(180)가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의 댐퍼력은 초기압이 증가할수록 최대 댐퍼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진다. 즉, 초기압이 증가할수록 시간에 대한 댐퍼력의 기울기가 커진다.
초기압은 별도의 유압잭(미도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 내에 발생시킬 수 있고, 초기압을 생성시키기 직전에 제 1실린더(110)의 제 1, 2챔버(113, 115)와 제 2실린더(120)의 제 3, 4챔버(123, 125), 제 1유압 관로(L1) 및 제 2유압 관로(L2) 내에 기름을 만충시킨다. 이 때,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와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개방하여 초기압이 제 1실린더(110)와 제 2실린더(120) 내에 동일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1~4압력계(P1~P4)를 이용하여 제 1실린더(110)와 제 2실린더(120) 내의 압력이 목표 초기압에 도달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트롤러(170)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폐쇄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의 메커니즘은 구조물 진동 방향에 반대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어 대상 구조물(아웃리거와 코어를 포함하는 구조물)(1)과 저항부재(3)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제어 대상 구조물(1)과 저항 부재(3)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그리고, 제어 대상 구조물(1)에 작용하는 저항력은 유체의 점성보다는 연결된 저항 부재(3)의 탄성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구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는 기존 댐퍼와 달리 속도와 무관하며, 제어 대상 구조물(1)의 진동 방향과 반대되며 변위에 비례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저감 장치(10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리거 시스템에 설치되었을 경우, 구동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170)는 변위계(160)로부터 측정된 변위값과 제 1~4압력계(P1~P4)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저항 부재(3)인 기둥에 발생하는 압축, 인장에 대해 구속하게 되거나 또는 구속을 풀어주게 된다.
그리하여, 컨트롤러(170)는 기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 발생시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면 제 1피스톤(111)과, 제 2피스톤(121)이 고정되어 저항 부재(3)의 압축 인장을 구속하게 된다.
반대로, 컨트롤러(170)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만을 개방시켜 유체의 이동을 해제하면 제 1피스톤(111)과, 제 2피스톤(121)이 자유롭게 이동되어 저항 부재(3)의 구속을 해제한다.
한편, 제 1솔레노이드 밸브(S1) 및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가 폐쇠된 상태에서 저항 부재(3)에서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에 압축력을 전달하게 되면, 장치(100)는 압축 방향으로 강성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저항 부재(3)에 대해 압축력을 구속하는 조건을 보여준다. 비슷하게,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장치(100)는 인장 방향으로 강성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압축에서 인장 또는 인장에서 압축으로 변환될 때, 장치(100)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만을 개방시킴으로써 구속을 해방시키며 저항 부재(3)에 저장된 변형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100)는 일정 시간동안 변위 발생시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폐쇄시켜 유체를 압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변형에너지를 장치 내에 축적시키다가 최대 변형에너지에 도달했을 때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개방시켜 압축된 유체를 다른 쪽으로 방출시켜 초기 압력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저장된 변형에너지를 해방시킨다. 저장된 모든 에너지가 소산되면 제 1, 2실린더(110, 120)내의 압력차는 "0"이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축 구조물의 아웃리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저항 부재와 제어 대상 구조물이 있는 기계 장치, 기타 구조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1 : 제어 대상 구조물 3 : 저항 부재
110, 120 : 제 1, 2실린더 130, 140 : 제 1, 2브라켓
150 : 밸브 블록 160 : 변위계
170 : 컨트롤러 180 : 케이스
P1~P4 : 제 1~4압력계 S1, S2 : 제 1, 2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6)

  1. 제 1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1, 2챔버로 나뉘는 제 1실린더와;
    제 2피스톤에 의해 내부가 각각 제 3, 4챔버로 나뉘어 상기 제 1실린더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 2실린더의 제 1, 2피스톤의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고, 저항 부재가 측면에 연결되는 제 1브라켓과;
    제어 대상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2실린더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브라켓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챔버를 제 1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4챔버를 제 2유압 관로를 통해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 1, 2유압 관로의 유압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블록과;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1, 2챔버와 상기 제 2실린더의 제 3, 4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4압력계와;
    상기 제 1실린더 또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1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계; 및
    상기 제 1~4압력계와 변위계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제 1피스톤 또는 제 2피스톤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블록은,
    상기 제 1유압 관로와 제 2유압 관로에서 각각 분기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제 1유압 관로와 제 2유압 관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제 1, 2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오리피스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2릴리프 밸브와;
    상기 분기 관로에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제 1, 2체크 밸브; 및
    상기 제 1, 2체크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변위계로부터 측정된 변위값에 따라 기준 변위를 초과하는 변위 발생시 상기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저항 부재의 압축 인장을 구속하고, 상기 제 1~4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최대 변형에너지에 도달 시 상기 제 2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2실린더 내의 증가된 압력을 초기압력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저장된 변형 에너지를 해방시켜 저항 부재의 구속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블록과 컨트롤러는,
    케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은,
    플랜지와 볼트를 통해 상기 제 1, 2실린더의 제 1, 2피스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항 부재와 연결 플레이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브라켓은,
    상기 제어 대상 구조물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와 핀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KR1020110068771A 2011-07-12 2011-07-12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KR10105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71A KR101054811B1 (ko) 2011-07-12 2011-07-12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71A KR101054811B1 (ko) 2011-07-12 2011-07-12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811B1 true KR101054811B1 (ko) 2011-08-05

Family

ID=4493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771A KR101054811B1 (ko) 2011-07-12 2011-07-12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8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38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능동형 토크암 마운트
KR102068641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축정렬 감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308A (ja) * 1993-10-29 1995-05-16 Bridgestone Corp 制振装置
KR100799980B1 (ko) * 2007-03-21 2008-01-31 (주)대우건설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KR20110052661A (ko) * 2008-09-12 2011-05-1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실린더 장치
KR101035076B1 (ko) * 2010-10-26 2011-05-19 (주)대우건설 준능동형 아웃리거 댐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308A (ja) * 1993-10-29 1995-05-16 Bridgestone Corp 制振装置
KR100799980B1 (ko) * 2007-03-21 2008-01-31 (주)대우건설 부가응력 전달 방지를 위한 자동조절 기능을 가진 댐퍼용아웃리거와 외주기둥의 접합구조, 접합장치 및 접합공법
KR20110052661A (ko) * 2008-09-12 2011-05-1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실린더 장치
KR101035076B1 (ko) * 2010-10-26 2011-05-19 (주)대우건설 준능동형 아웃리거 댐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38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능동형 토크암 마운트
KR102068641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축정렬 감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1453B2 (ja) ダンパ
CN102705302A (zh) 高压大流量油缸动态测试系统
EP3004470A1 (en) Hydrauli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om bounce with counter-balance protection
CN104233951B (zh) 一种多功能粘滞阻尼器及其连接方法
KR101054811B1 (ko) 복동식 준능동형 진동 저감장치
CN109563849A (zh) 电静液压驱动系统
CN103061425A (zh) 一种串、并联多级阀粘滞阻尼方法及阻尼器
US20150115701A1 (en) Brake device for vehicle
Golzar et al. Desig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re-centring viscous dissipater
EP3152445A1 (en) Hydraulic cylinder
CN202279132U (zh) 一种矿用单轨吊机车制动器缓冲装置
CN106593977A (zh) 一种齿轮齿条爬升式垂直升船机液压控制系统
JP5356563B2 (ja) 粘弾性流体が封入された緩衝器
US10858791B2 (en) Multipurpose viscous damper
CN102501880B (zh) 矿用单轨吊机车制动器缓冲装置
CN102562697A (zh) 一种双缸同步液压系统及起重机
WO2018084098A1 (ja) バルブブロック
CN100374736C (zh) 液压管路
CN103952969A (zh) 智能速度锁定装置
CN210886899U (zh) 一种新型减隔震装置
JP6384726B2 (ja) 振動低減装置
JP7437100B1 (ja) 制動装置
RU2789167C1 (ru) Гидропривод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лесного манипулятора
CN206860579U (zh) 一种挖掘机履带张紧缸筒装置
US2678115A (en)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