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418B1 - 차량용고임목 - Google Patents

차량용고임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418B1
KR100798418B1 KR1020060076569A KR20060076569A KR100798418B1 KR 100798418 B1 KR100798418 B1 KR 100798418B1 KR 1020060076569 A KR1020060076569 A KR 1020060076569A KR 20060076569 A KR20060076569 A KR 20060076569A KR 100798418 B1 KR100798418 B1 KR 10079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sent
ground
stump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식
이중원
Original Assignee
태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닿는 저면판(30)과,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0)과,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판(70) 및 차량의 바퀴에 닿는 전방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부는 측면에서 볼 때 바퀴에 밀착되도록 호형 사면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면부에서 볼 때 파형을 이루면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하의 산(11)과 골(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상기 파상 가로판 부재의 마주보는 산(11)과 골(1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판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고임목을 개시한다.
차량, 고임목, 방지, 가로, 세로, 판, 파상, 호형, 면, 블레이드

Description

차량용고임목{A CHOCK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사시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전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측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손잡이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상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용 고임목
10: 파상 가로판 부재
20: 세로판 부재
30: 저면판
40: 후면판
45: 손잡이
50: 블레이드
60: 연장부
70: 측면판
80: 전방부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장이나 주차중인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에서 고임목은 고임목이 이루어지는 소재, 즉 고임목이 이루어지는 소재가 플라스틱이든지 금속이든지 모두 고임목으로 칭한다.
고임목은 차량의 주차 중에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바퀴 앞쪽이나 뒤쪽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전사고로부터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고임목은 휴대와 설치가 용이해야 하고 견고해야 한다. 고임목이 불필요하게 무겁거나 설치가 복잡하면 고임목을 설치하려는 사람은 고임목의 설치를 기피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안전사고의 발생률은 높아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제조시에도 플라스틱사출에 의해 경량화 된 고임목을 구성하되, 플라스틱 성형법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임목 구조가 견고한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고임목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성형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차량용 고임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특별한 기하학적 모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차량의 바퀴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고임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면과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면에 박히는 금속부재가 구비되어, 각종 공사 현장에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고임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바퀴 전방이나 후방에 밀착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하여, 차량의 바퀴에 밀착하는 작업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중량에 의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고임목 사용 작업장이나 사용자의 이용률을 높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비율을 낮추어 줄 수 있는 차량용 고임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닿는 저면판(30)과,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0)과,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판(70) 및 차량의 바퀴에 닿는 전방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부는 측면에서 볼 때 바퀴에 밀착되도록 호형 사면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면부에서 볼 때 파형을 이루면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하의 산(11)과 골(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파상(波狀, wavelike) 가로판 부재(10)와, 상기 파상 가로판 부재의 마주보는 산(11)과 골(1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판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파상 가로판 부재와 세로판 부재는 플라스틱 성형법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더라도 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면 금속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더라도, 금속 소재를 이용하는 데 따른 고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지면에 박혀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저면에 형성된 금속 블레이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공사장에서는 차량에 의한 대형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임목을 사용해야 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지면에 박히는 블레이드를 사용하면 안전사고는 더욱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후방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후방에서 형성되는 손잡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운반하기에도 용이하고, 차량의 바퀴 전후방에서 밀착하여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에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사시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a,10b는 파상 가로판 부재(10)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20a, 20b는 세로판 부재(20)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50a, 50b는 블레이드(50)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면에서도 같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은 지면에 닿는 저면판(30)과,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0)과,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판(70) 및 차량의 바퀴에 닿는 전방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80)는 측면에서 볼 때 바퀴에 밀착되도록 호형 사면(A)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방부에서 볼 때 파형을 이루면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하의 산(11)과 골(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상기 파상 가로판 부재의 마주보는 산(11)과 골(1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판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저면판(30)의 저면부에는 지면에 박히도록 하여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블레이드(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블레이드(50)는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전방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0)가 형성되고, 연장부(60)의 후방으로는 후면판(4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저면판(30)의 단면적을 넓게 하여 지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히고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상 가로판 부재(10)의 산(11)과 골(12)이 마주보도록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파상 가로판 부재(10)의 산과 골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세로판 부재(20)에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가 형성되더라도 차량의 바퀴를 고일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이 확보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세로판 부재(20)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은 호형 사면(A)을 이루도록 하여 차량의 바퀴 등이 본 발명의 호형 사면(A)을 따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형 사면(A)은, 차량의 바퀴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기하학적 형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세로판 부재(20)가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방 호형 사면(A)의 형태는 마치 벌집 모형과 유사하게 생겨 있으므로, 어느 한 쪽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의 전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전방에서는 상층과 하층에서 산(11)과 골(12)이 교대로 마주보고 있는 파상 가로판 부재(10)를 세로판 부재(20)가 산(11)과 골(12)을 교대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벌집의 형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방 상면의 호형 사면(A)은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하여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한다.
왜냐하면, 타이어의 접촉면에 대하여 서로 방향이 다르게 형성된 파상 가로판 부재(10)의 기하학적 형상이 어느 방향으로 미끄러질 경우에는 그와 다른 방향에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의 측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전방 호형 사면(A)과 후방의 경사면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측면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전방의 호형 사면(A)과 후방의 경사면에 의해서 저면의 단면적은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저면에는 지면에 박힐 수 있는 블레이드(50a, 50b)가 형성되어 있어 지면에 박히는 블레이드(50)에 의해서 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의 사용자는 고임목(1)을 차량의 바퀴 전후방에서 차량의 바퀴에 밀착하여 설치하면, 전방의 호형 사면(A)이 차량의 타이어 바퀴에 밀착 접촉되면서 차량의 바퀴를 괴어 주며, 차량의 비정상적인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0)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장부(60)와 후면판(40)이 이루는 공간에 손을 집어넣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의 손잡이(45)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후면판(40)에는 두개의 홀로 이루어진 손잡이(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개의 홀에 손가락을 인입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45)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45)는 차량의 바퀴 전후방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을 밀착시키기 위해 밀어 넣거나, 사용이 끝난 후에 분리하여 휴대나 저장하는 작업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하기에도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이와 같은 손잡이(45)는 후면판(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부(60)와 후면판(40)이 이루는 공간은 속이 빈 중공 상태이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의 상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전방부의 호형 사면(A)을 지나 연장부(60)로 이어지며, 연장부(60)의 후방에는 손잡이(45)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판(4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60)와 후면판(40)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을 이용할 때, 파지가 용이한 손잡이(45)를 형성하도록 홀이 형성된 후면판(40)이 도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산(11)과 골(12)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상기 파상 가로판 부재(10)의 산과 골에 교대로 교차하도록 지나는 복수의 수직면상의 세로판 부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전방부는 상기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세로판 부재(20)의 전방 변부에 의해서 호형 사면(A)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세로판 부재(20)는 플라스틱 성형법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지면에 박혀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해 저면에 형성된 금속 블레이드(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후방에는 손잡이(45)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차량용 고임목을 제공하여 각종 공사장에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용 고임목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했던 안전사고는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파상 가로판 부재의 산과 골이 위아래로 교대로 배치되고 세로판 부재가 가로판 부재의 산과 골을 교차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종 타이어의 기하학적인 형태에서 마찰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지면에 박히는 금속 블레이드에 의해서 공사장과 같이 안전사고에 더욱 유념해야 하는 장소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일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지면에 닿는 저면판(30)과,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0)과,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판(70) 및 차량의 바퀴에 닿는 전방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부(80)는 측면에서 볼 때 바퀴에 밀착되도록 호형 사면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면부에서 볼 때 파형을 이루면서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하의 산(11)과 골(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상기 파상 가로판 부재의 마주보는 산(11)과 골(1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판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80)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0)은 지면에 닿는 저면판이 넓어지도록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30)에는 지면에 박혀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한 금속 블레이드(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40)에는 손으로 고임목을 파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홀이 형성된 손잡이(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KR1020060076569A 2006-08-14 2006-08-14 차량용고임목 KR10079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69A KR100798418B1 (ko) 2006-08-14 2006-08-14 차량용고임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569A KR100798418B1 (ko) 2006-08-14 2006-08-14 차량용고임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748U Division KR200430231Y1 (ko) 2006-08-14 2006-08-14 차량용고임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418B1 true KR100798418B1 (ko) 2008-01-28

Family

ID=3921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569A KR100798418B1 (ko) 2006-08-14 2006-08-14 차량용고임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753B1 (ko) 2010-07-08 2012-12-07 최동식 개량된 차량용 고임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070A (en) 1988-07-29 1989-02-14 Bohler Gerard M Lockable vehicle wheel chock device
EP0736427A1 (en) 1995-04-06 1996-10-09 IVECO FIAT S.p.A. Chock for industrial vehicles
KR200168277Y1 (ko) 1999-07-28 2000-02-15 이선휘 자동차 바퀴 고정대
KR200414365Y1 (ko) 2005-11-25 2006-04-20 마정곤 휴대용 차량 바퀴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070A (en) 1988-07-29 1989-02-14 Bohler Gerard M Lockable vehicle wheel chock device
EP0736427A1 (en) 1995-04-06 1996-10-09 IVECO FIAT S.p.A. Chock for industrial vehicles
KR200168277Y1 (ko) 1999-07-28 2000-02-15 이선휘 자동차 바퀴 고정대
KR200414365Y1 (ko) 2005-11-25 2006-04-20 마정곤 휴대용 차량 바퀴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753B1 (ko) 2010-07-08 2012-12-07 최동식 개량된 차량용 고임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753B1 (ko) 개량된 차량용 고임목
KR100798418B1 (ko) 차량용고임목
CN103225374A (zh) 一种踏板
CN206141212U (zh) 一种防滑装置及其汽车
KR200430231Y1 (ko) 차량용고임목
EP2184253B1 (en) A levelling device
CN202296777U (zh) 自动扶梯楼层防滑踏板
CN202271975U (zh) 便携式车辆驻车限位装置
CN211383594U (zh) 水带护桥
CN206053835U (zh) 一种爬梯固定装置
CN211256545U (zh) 一种道路施工临时搭建用坑洼钢筋承力板
CN207060015U (zh) 一种车辆防滑垫
GB2501314A (en) Levelling device for caravan
JP3854583B2 (ja) 道路マット
CN210101718U (zh) 一种客车倒车镜安装平台
CA3086140C (en) Traction device
CN210454354U (zh) 一种全路况越野轮胎花纹结构
CN217997701U (zh) 一种车辆陷坑打滑辅助脱离构件
CN212560992U (zh) 一种车辆脱困器
JP3169205U (ja) フォークリフト用雪かき等のブレード
CN217100034U (zh) 运载装置和能够行驶的单元
JP3102142U (ja) 車止め
CN210680291U (zh) 一种汽车救援垫板
US20210129586A1 (en) Wheel Traction Surface for Vehicle
JPS5851668Y2 (ja) ゴムクロ−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