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287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287B1
KR100798287B1 KR1020060074557A KR20060074557A KR100798287B1 KR 100798287 B1 KR100798287 B1 KR 100798287B1 KR 1020060074557 A KR1020060074557 A KR 1020060074557A KR 20060074557 A KR20060074557 A KR 20060074557A KR 100798287 B1 KR100798287 B1 KR 10079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ternal
electrodes
bridge conductor
termina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357A (ko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Abstract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 1 단자전극과 각 제 2 단자전극은, 적층체상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적층체는, 복수의 내부 도체로서,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과,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2 내부전극과,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를 갖고 있다. 각 제 1 내부전극은,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전극은, 제 1 내부전극과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브리지 도체는, 제 2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의 제 1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제 2 브리지 도체는, 제 1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적층 콘덴서, 적층체, 단자전극, 내부 도체, 브리지 도체, 인출 도체

Description

적층 콘덴서{A laminated condenso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도.
본 발명은, 적층(積層)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9152호).
상기 적층 콘덴서는, 예를 들면, LSI의 전원 회로에 짜여 들어가고, 급격한 전류 변동에 따른 전압 변동을 제어하여 전원 회로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적층 콘덴서의 등가직렬(等價直列) 저항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면, 주변회로의 인덕턴스에 의해서 공진현상이 일어났을 때에 크게 전원이 떨어지거나, 링 잉(ringing) 등의 감쇠 진동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전원 회로가 불안정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9152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직렬 인덕턴스를 작게 하기 위해서, 내부전극으로부터 인출되어 단자전극과 접속하는 인출 도체를 1개의 내부전극에 대하여 복수 형성하는 동시에 그 인출 길이를 짧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9152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직렬 저항이 극단적으로 작아지고, 접속된 전원 회로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등가직렬 저항이 비교적 큰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다단자형의 적층 콘덴서는, 정전 용량의 검사시에 동극의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어, 검사를 번거롭게 하고 있었다. 그래서, 또한 본 발명은, 정전 용량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과,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의 제 1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적층체가,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끼우도록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를 갖고, 복수의 내부 도체가,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 과,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2 내부전극과,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를 포함하고, 각 제 1 내부전극은,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제 2 내부전극은, 제 1 내부전극과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브리지 도체는, 제 2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의 제 1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 2 브리지 도체는, 제 1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복수의 제 1 단자전극끼리가 제 1 브리지 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단자전극끼리가 제 2 브리지 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정전 용량의 검사시에, 적층 콘덴서의 외부에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고, 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 브리지 도체는 제 2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고, 제 2 브리지 도체는 제 1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에 의해, 콘덴서로서의 기능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각 제 1 내부전극이,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 되고, 각 제 2 내부전극이,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전류 경로가 제한되고, 등가직렬 저항은 비교적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리지 도체는, 복수의 내부 도체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한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제 2 브리지 도체는, 복수의 내부 도체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다른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를 배치하는 것에 의한 적층 콘덴서의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리지 도체는, 제 1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제 2 브리지 도체는, 제 2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브리지 도체는 이극(異極)인 제 2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지 않고, 제 2 브리지 도체는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내부전극의 사이, 및 제 2 브리지 도체와 제 1 내부전극의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리지 도체 및 제 2 브리지 도체는, 폭이 각 제 1 단자전극 및 각 제 2 단자전극의 폭보다 좁은 부분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제 2 브리지 도체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적층 콘덴서의 등가직렬 저항이 한층 더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리지 도체 및 제 2 브리지 도체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제 1 내부전극 및 각 제 2 내부전극보다도 면적이 작다. 이 경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제 2 브리지 도체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적층 콘덴서의 등가직렬 저항이 한층 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 용량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게다가, 등가직렬 저항이 비교적 큰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와, 단지 도시에 의하여 부여되는 첨부 도면으로 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 적용성의 부가의 범위는 이후에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특정 실시예는, 단지 도시를 목적으로 주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가 구비하는 적층체의 분해도이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적층체(1) 와, 적층체(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을 구비한다. 적층체(1)는, 적층 방향과 수직이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1a, 1b)과, 적층 방향 및 측면(1a, 1b)과 수직이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면(1c, 1d)과, 측면(1a, 1b) 및 단면(1c, 1d)과 수직이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1e, 1f)을 갖는다.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은, 적층체(1)의 측면(1a, 1b)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전극(3A, 3B)은, 적층체(1)의 측면(1a)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띠모양의 전극부분을 갖고, 측면(1e) 및 측면(1f)까지 돌아들어가고 있다. 제 1 단자전극(3C, 3D)은, 측면(1b)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평행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띠모양의 전극부분을 갖고, 측면(1e) 및 측면(1f)까지 돌아들어가고 있다. 제 2 단자전극(5A, 5B)은, 적층체(1)의 측면(1a)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띠모양의 전극부분을 갖고, 측면(1e) 및 측면(1f)까지 돌아들어가고 있다. 제 2 단자전극(5C, 5D)은, 측면(1b)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띠모양의 전극부분을 갖고, 측면(1e) 및 측면(1f)까지 돌아들어가고 있다.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은, 각각 거의 일정한 폭 D로 형성되어 있다. 폭 D는, 각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각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의, 한 쌍의 단면(1c, 1d)의 대향 방향(한 쌍의 측면(1a, 1b)에 평행이고 또한 적층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측면(1a, 1b)상에서는,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측면(1a)상에서는, 측면(1c)측으로부터 측면(1d)측으로 향하여, 제 1 단자전극(3A), 제 2 단자전극(5A), 제 1 단자전극(3B), 제 2 단자전극(5B)이 이러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측면(1b)상에서는, 측면(1c)측에서 측면(1d)측으로 향하여, 제 1 단자전극(3C), 제 2 단자전극(5C), 제 1 단자전극(3D), 제 2 단자전극(5D)이 이러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과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적층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전체층(10 내지 20)과, 복수의 내부 도체 IC를 갖고 있다. 복수의 유전체층(10 내지 20)은, 대략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적층되어 있다. 유전체층(10 내지 2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11층 적층되어 있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유전체층(10 내지 20)은, 유전체층(10 내지 2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1)에 있어서, 각 유전체층(10 내지 20)과, 각 내부 도체 IC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내부 도체 IC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내부 도체 IC는,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과,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과,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브리지 도체(5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과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은 각 4층,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브리지 도체(50)는 각 1층 적층되어 있다.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은, 대략 직사각형상을 띠고 있고, 적층체(1)의 각 측면(1a 내지 1d)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은, 하나의 인출 도체(31A, 32B, 33C, 34D)를 갖고 있다. 인출 도체(31A)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1 단자전극(3A)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단자전극(3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32B)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1 단자전극(3B)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단자전극(3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33C)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1 단자전극(3C)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단자전극(3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34D)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1 단자전극(3D)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단자전극(3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은, 대응하는 인출 도체(31A, 32B, 33C, 34D)를 통하여 복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은, 대략 직사각형상을 띠고 있고, 적층체(1)의 각 측면(1a 내지 1d)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은, 하나의 인출 도체(51A, 52B, 53C, 54D)를 갖고 있다. 인출 도체(51A)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2 단자전극(5A)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단자전극(5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52B)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2 단자전극(5B)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단자전극(5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 체(53C)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2 단자전극(5C)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단자전극(5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54D)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2 단자전극(5D)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단자전극(5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서,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은, 대응하는 인출 도체(51A, 52B, 53C, 54D)를 통하여 복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브리지 도체(30)는, 복수의 인출 도체(30A 내지 30D)와, 복수의 접속도체(30p)를 포함하고 있다. 각 인출 도체(30A 내지 30D)는, 대응하는 하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접속도체(30p)는, 적층체(1)내에서, 대응하는 각 인출 도체(30A 내지 30D)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인출 도체(30A)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1 단자전극(3A)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0B)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1 단자전극(3B)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0C)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1 단자전극(3C)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0D)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1 단자전극(3D)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브리지 도체(30)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 및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보다도 면적이 작다.
각 접속도체(30p)는, 대응하는 각 인출 도체(30A 내지 30D)끼리를 연결하도 록 대략 직선형으로 신장하고 있다. 접속도체(30p)는, 인출 도체(30A)와 인출 도체(30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인출 도체(30D)와 인출 도체(30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인출 도체(30B)와 인출 도체(30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각 접속도체(30p)의 폭은, 제 1 단자전극(3A 내지 5A) 및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의 폭 D보다 좁다. 각 접속도체(30p)의 폭은, 인출 도체(30A 내지 30D)의 폭보다 좁다. 인출 도체(30A 내지 30D)의 폭은, 인출 도체(30A 내지 30D)의, 측면(1a, 1b)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제 2 브리지 도체(50)는, 복수의 인출 도체(50A 내지 50D)와, 복수의 접속도체(50p)를 포함하고 있다. 각 인출 도체(50A 내지 50D)는, 대응하는 하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접속도체(50p)는, 적층체(1)내에서, 대응하는 각 인출 도체(50A 내지 50D)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인출 도체(50A)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2 단자전극(5A)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0B)는, 적층체(1)의 측면(1a)에서의 제 2 단자전극(5B)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0C)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2 단자전극(5C)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50D)는, 적층체(1)의 측면(1b)에서의 제 2 단자전극(5D)이 배치되는 위치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브리지 도체(50)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 및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보다도 면적이 작다.
각 접속도체(50p)는, 대응하는 각 인출 도체(50A 내지 50D)끼리를 연결하도 록 대략 직선형으로 신장하고 있다. 접속도체(50p)는, 인출 도체(50D)와 인출 도체(50A)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인출 도체(50A)와 인출 도체(50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인출 도체(50C)와 인출 도체(50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각 접속도체(50p)의 폭은,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의 폭 D보다 좁다. 각 접속도체(50p)의 폭은, 인출 도체(50A 내지 50D)의 폭보다 좁다. 인출 도체(50A 내지 50D)의 폭은 인출 도체(50A 내지 50D)의, 측면(1a, 1b)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과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은, 각 유전체층(12 내지 18)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된다. 제 1 브리지 도체(3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 제 1 내부전극(31)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즉, 제 1 브리지 도체(3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한쪽의 최외측에 위치한다. 제 2 브리지 도체(5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 제 2 내부전극(54)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즉, 제 2 브리지 도체(5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다른쪽의 최외측에 위치한다.
유전체층(10)이, 제 1 브리지 도체(30)보다도 적층 방향의 외측에 적층되어 있다. 유전체층(20)이, 제 2 브리지 도체(50)보다도 적층 방향의 외측에 적층되어 있다. 유전체층(10, 20)은, 보호층으로서도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끼리가 제 1 브리지 도체(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단자전극끼리(5A 내지 5D)가 제 2 브리지 도체(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 과, 적층 콘덴서(C1)의 정전 용량을 검사할 때에, 적층 콘덴서(C1)의 외부에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복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져, 검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 브리지 도체(30)는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고, 제 2 브리지 도체(50)는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브리지 도체(50)에 의해, 적층 콘덴서(C1)의 콘덴서로서의 기능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이, 하나의 인출 도체(31A, 32B, 33C, 34D)를 통하여 복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이, 하나의 인출 도체(51A, 52B, 53C, 54D)를 통하여 복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전류 경로가 제한되고, 등가직렬 저항은 비교적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브리지 도체(3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한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제 2 브리지 도체(50)는, 복수의 내부 도체 IC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다른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내부전극(3A 내지 3D)과 제 2 내부전극(5A 내지 5D)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브리지 도체(5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브리지 도체(50)를 배치하는 것에 의한 적 층 콘덴서(C1)의 정전 용량으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브리지 도체(30)는, 제 1 내부전극(31)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제 2 브리지 도체(50)는, 제 2 내부전극(54)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브리지 도체(30)는 이극인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지 않고, 제 2 브리지 도체(50)는 이극인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지 않는다. 이 결과, 제 1 브리지 도체(30)와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의 사이, 및 제 2 브리지 도체(50)와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의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브리지 도체(30) 및 제 2 브리지 도체(50)는, 폭이 각 제 1 단자전극(3A 내지 3D) 및 각 제 2 단자전극(5A 내지 5D)의 폭 D보다 좁은 접속도체(30p, 50p)를 갖고 있다. 이로써, 제 1 브리지 도체(30) 및 제 2 브리지 도체(50)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이 도모되어 한층 더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브리지 도체(30) 및 제 2 브리지 도체(50)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제 1 내부전극(31 내지 34) 및 각 제 2 내부전극(51 내지 54)보다도 면적이 작다. 이것에 의해서도, 제 1 브리지 도체(30) 및 제 2 브리지 도체(30)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적층 콘덴서(C1)의 등가직렬 저항이 한층 더 커진다.
접속도체(30p, 50p)의 폭은, 인출 도체(30A 내지 30D, 50A 내지 50D)의 폭보다 좁다. 이와 같이, 접속도체(30p, 50p)의 폭을 보다 좁게 함으로써 등가직렬 저 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도체(30A 내지 30D, 50A 내지 50D)의 폭을 보다 넓힘으로써, 인출 도체(30A 내지 30D, 50A 내지 50D)와 제 1, 제 2 단자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도체(30p, 50p)의 폭을, 인출 도체(30A 내지 30D, 50A 내지 50D)의 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인출 도체(30A 내지 30D, 50A 내지 50D)와 제 1, 제 2 단자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의 물리적인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등가직렬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설명된 본 발명으로 부터,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간주되기 때문에, 당업자는 이러한 모든 변경이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정전 용량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등가직렬 저항이 비교적 큰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전체층을 끼우도록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내부 도체가,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과, 하나의 인출 도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제 2 내부전극과, 제 1 브리지 도체와, 제 2 브리지 도체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1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인출 도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다른 하나의 제 2 단자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 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는, 상기 복수의 내부 도체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한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상기 복수의 내부 도체 중에 적층 방향에서의 다른쪽의 최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는 적층 콘덴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폭이 각 상기 제 1 단자전극 및 각 상기 제 2 단자전극의 폭보다 좁은 부분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적층 방향에 인접하고 있지 않는 적층 콘덴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폭이 각 상기 제 1 단자전극 및 각 상기 제 2 단자전극의 폭보다 좁은 부분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폭이 각 상기 제 1 단자전극 및 각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의 폭보다 좁은 부분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폭이 각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각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의 폭보다 좁은 부분을 갖고 있는 적층 콘덴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상기 제 1 내부전극 및 각 상기 제 2 내부전극보다도 면적이 작은 적층 콘덴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상기 제 1 내부전극 및 각 상기 제 2 내부전극보다도 면 적이 작은 적층 콘덴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도체 및 상기 제 2 브리지 도체는, 적층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상기 제 1 내부전극 및 각 상기 제 2 내부전극보다도 면적이 작은 적층 콘덴서.
KR1020060074557A 2005-08-26 2006-08-08 적층 콘덴서 KR10079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6340A JP4146858B2 (ja) 2005-08-26 2005-08-26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5-00246340 2005-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57A KR20070024357A (ko) 2007-03-02
KR100798287B1 true KR100798287B1 (ko) 2008-01-28

Family

ID=3777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557A KR100798287B1 (ko) 2005-08-26 2006-08-08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3054B2 (ko)
JP (1) JP4146858B2 (ko)
KR (1) KR100798287B1 (ko)
CN (1) CN100570773C (ko)
TW (1) TWI3134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82B1 (ko) 2007-06-08 2011-05-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8276B2 (ja) * 2006-05-22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US7388738B1 (en) * 2007-03-28 2008-06-17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US8310804B2 (en) * 2007-05-22 2012-11-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JP4525773B2 (ja) * 2007-05-22 2010-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475298B2 (ja) * 2007-07-09 2010-06-0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0905879B1 (ko) * 2007-09-28 2009-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US8304112B2 (en) * 2008-12-01 2012-11-06 Tai-Her Yang Electrode plate multi-end sides to single end side current collector of an electricity storage/discharge device
KR101514532B1 (ko) * 2013-07-22 2015-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494A (en) 1988-06-27 1989-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KR100215546B1 (en) * 1997-05-20 1999-08-16 Korea Inst Sci & Tech Stack type hybrid device and its manufacture
KR20010021239A (ko) * 1999-08-06 2001-03-15 무라타 야스타카 Lc 노이즈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9152A (ja) 2001-03-29 2002-10-11 Kyocera Corp コンデンサ
JP3897745B2 (ja) * 2003-08-29 2007-03-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494A (en) 1988-06-27 1989-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KR100215546B1 (en) * 1997-05-20 1999-08-16 Korea Inst Sci & Tech Stack type hybrid device and its manufacture
KR20010021239A (ko) * 1999-08-06 2001-03-15 무라타 야스타카 Lc 노이즈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82B1 (ko) 2007-06-08 2011-05-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3472B (en) 2009-08-11
US20070047176A1 (en) 2007-03-01
US7203054B2 (en) 2007-04-10
JP2007059814A (ja) 2007-03-08
CN100570773C (zh) 2009-12-16
TW200710893A (en) 2007-03-16
CN1921039A (zh) 2007-02-28
JP4146858B2 (ja) 2008-09-10
KR20070024357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287B1 (ko) 적층 콘덴서
JP437837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0702642B1 (ko) 적층 커패시터
US7046500B2 (en) Laminated ceramic capacitor
KR100702641B1 (ko) 적층 커패시터
KR101052437B1 (ko)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실장 구조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US10622146B2 (en) Multilayer capacitor and electronic component device
JP2006261584A (ja) 積層コンデンサ
KR20050021291A (ko) 적층콘덴서
KR101386540B1 (ko) 적층 콘덴서
KR20080008979A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US7652869B2 (en) Multilayer capacitor
KR101026649B1 (ko) 적층 콘덴서
JP6064362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20090061579A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2017208531A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US20170330691A1 (en) Capacitor Module
JPH11251180A (ja) 積層コンデンサ
JP666223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9046877A (ja) 電子部品装置
JP2019046876A (ja) 積層コンデンサ
JP585787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9004070A (ja) コンデンサユニット及び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