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724B1 - 모터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724B1
KR100797724B1 KR1020060058180A KR20060058180A KR100797724B1 KR 100797724 B1 KR100797724 B1 KR 100797724B1 KR 1020060058180 A KR1020060058180 A KR 1020060058180A KR 20060058180 A KR20060058180 A KR 20060058180A KR 100797724 B1 KR100797724 B1 KR 10079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ducer
coupling
motor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394A (ko
Inventor
김태우
박동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7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조립체(100)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110), 그 내부에 모터(110)를 수용하며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캐리어(125,126,127) 및 다수의 유성기어(125b,126b,127b)를 구비하는 감속기(120) 및 감속기(120)와 모터(110)간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도록 모터(110)와 감속기(1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30)을 포함하며, 결합수단(130)은 감속기(120)에 형성되는 결합홈(133)에 대응하도록 모터(11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31)와 결합돌기(131)에 대응하게 감속기(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133)으로 이루어진다.
모터조립체, 모터, 감속기, 결합돌기, 결합홈, 유성기어

Description

모터조립체{Mo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의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6은 도 5의 모터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모터조립체 110,210 : 모터
111,211 : 모터축 120,220 : 감속기
121 : 케이스 122 : 감속부
125,126,127 : 캐리어 125b,126b,127b :유성기어
128 : 수용부 129 : 개방구
131,231 : 결합돌기 133,233 : 결합홈
본 발명은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고 전체 부피가 감소될 수 있는 모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터는 매우 높은 회전속도에 비해 회전력, 즉 토크가 작은 단점이 있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하여 토크를 증대하기 위한 감속기와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속기는 대체로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유성기어들과 캐리어들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케이스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로 모터의 플렌지에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감속기가 체결되는 모터조립체의 일례가 도 5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모터조립체(300)는 모터(310), 감속기(320) 및 볼트(33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3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4개의 제1체결공(311)이 형성되는 플렌지(312)를 구비하고, 모터축(313)은 감속기(32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감속기(320)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감속기(320)는 모터축(313)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모터(31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케이스(321) 및 외부케이스(322)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321)는 그 내부에 모터축(313)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다수의 캐리어(미도시) 및 유성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외부케이스(322)는 모터(310)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311)에 대응하도록 4개의 제2체결공(323)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내부케이스(321)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볼트(330)는 외부케이스(322)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323) 및 모터(310)의 제1체결공(311)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331)에 의해 나사결합됨으로써 모터(310)에 감속기(320)를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모터조립체(300)는 모터(310)와 감속기(320)를 결합하기 위한 외부케이스(322) 및 플렌지(312)로 인해 모터조립체(300)의 전체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및 제2체결공(311,323)을 관통하는 볼트(330)를 통해 감속기(320)를 모터(310)에 체결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 외적으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외부케이스 및 플렌지를 제거하고 감속기에 모터를 직접결함함으로써, 모터조립체의 전체 부피를 줄이는 것이다.
또한, 감속기에 모터를 직접결합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수단, 그 내부에 구동수단을 수용하며 구동수단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수단 및 감속수단과 구동수단간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도록 구동수단과 감속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합수단은 구동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에 대응하게 감속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결합돌기는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돌기는 감속수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는 감속수단의 외주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감속수단은 구동수단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 및 일측말단에 구동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결합홈은 개방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용부는 구동수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조립 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조립체(100)는 모터(110), 감속기(120), 결합수단(130)을 포함한다.
모터(110)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그 내부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자(미도시) 및 전기자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자(미도시)가 설치되며, 전기자와 자기자 사이에 형성되는 힘으로 모터축(111)을 회전시킨다.
모터축(111)은 모터(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모터기어(112)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감속기(120)에 의해 모터축(111)의 회전속도가 감속되나 그 회전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모터(110)는 그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결합돌기(131)를 갖는다.
감속기(120)는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수단으로, 케이스(121), 다수의 캐리어(125,126,127) 및 다수의 유성기어(125b,126b,127b)를 구비한다.
케이스(12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모터(110)를 수용하며, 모터(1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캐리어(125,126,127) 및 유성기어(125b,126b,127b)가 설치되는 감속부(122) 및 일측말단에 모터(110)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구(129)가 형성되는 수용부(128)를 갖는다.
감속부(122)는 그 내부에 단턱부(123)가 형성되며, 단턱부(123)는 그 내주면 을 따라 유성기어(125b,126b,127b)와 대응하게 치합되는 톱니(124)가 형성된다.
제1캐리어(125)는 원판형으로, 일측에 제1축기어(125c)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중심축(125a)이 형성되며, 타측에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유성기어(125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유성기어(125b)는 모터기어(112) 및 단턱부(123)에 형성된 톱니(124)와 치합된다.
제2캐리어(126)는 원판형으로, 일측에 제2축기어(126c)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중심축(126a)이 형성되며, 타측에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2유성기어(126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유성기어(126b)는 제1축기어(125c) 및 단턱부(123)에 형성된 톱니(124)와 치합된다.
제3캐리어(127)는 원판형으로, 일측에 출력축(127a)이 형성되며, 타측에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3유성기어(127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3유성기어(127b)는 제2축기어(126c) 및 단턱부(123)에 형성된 톱니(124)와 치합되며, 출력축(127a)은 감속기(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수용부(128)는 모터(110)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구(129)가 형성되며, 개방구(129)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돌기(131)가 결합되는 결합홈(133)을 갖는다.
또한, 수용부(128)는 그 내경이 모터(110)의 외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모터(110)의 압입결합시 수용부(128)의 내주면이 모터(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모터(110)가 분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130)은 감속기(120)와 모터(110)간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도록 모 터(110)와 감속기(1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돌기(131)와 결합홈(133)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131)는 감속기(120)의 수용부(128)에 형성되는 결합홈(133)에 대응하도록 모터(110)의 외주면에 한 쌍이 돌출형성되며, 여기서 한 쌍의 결합돌기(131)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모터(110)의 구동시 모터(110)를 지지함으로써 모터(110)가 수용부(128)내부에서 모터축(111)의 회전방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돌기(131)는 감속기(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상단면(132)을 갖는다.
상단면(132)이 감속기(120)의 외부로 돌출되어 모터조립체(100)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T'모양을 하며, 여기서, 감속기(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1)는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모터조립체(100)를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결합홈(133)은 결합돌기(131)에 대응하게 감속기(120)의 외주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28)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개방구(129)가 형성되는 수용부(128)의 개방말단으로부터 수용부(12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결합돌기(131)에 대응하게 한 쌍의 결합홈(133)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조립체(200)는 모터(210), 감속기(220) 및 결합수단(23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모터(210) 및 감속기(2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결합수단(230)은 감속기(220)와 모터(210)간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도록 모터(210)와 감속기(2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돌기(231)와 결합홈(233)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231)는 감속기(220)의 수용부(228)에 형성되는 결합홈(233)에 대응하도록 모터(210)의 외주면에 한 쌍이 돌출형성되며, 여기서 한 쌍의 결합돌기(231)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모터(210)의 구동시 모터(210)를 지지함으로써 모터(210)가 수용부(228)내부에서 모터축(211)의 회전방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돌기(231)는 감속기(220)의 외주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단면(232)을 갖는다.
상단면(232)이 감속기(220)의 외부로 비돌출되어 모터(210)의 결합시 결합돌기(231)가 결합홈(233)에 채워져 상단면(232)이 감속기(220)의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모터조립체(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한다.
결합홈(233)은 결합돌기(231)에 대응하게 감속기(220)의 외주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28)에 형성되며, 개방구(229)가 형성되는 수용부(228)의 말단으로부터 수용부(22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결합돌기(231)에 대응하게 한 쌍의 결합홈(233)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모터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 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모터조립체에 따르면, 모터에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그에 대응하게 감속기의 케이스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맞물려 모터와 감속기간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기에 모터를 직접 결합함으로써 전체 부피가 감소된 모터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터조립체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7)

  1. 모터;
    그 내부에 상기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수단; 및
    상기 감속수단과 상기 모터 사이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게 상기 감속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한 쌍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감속수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감속수단의 외주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 및
    일측말단에 상기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개방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모터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조립체.
KR1020060058180A 2006-06-27 2006-06-27 모터조립체 KR10079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80A KR100797724B1 (ko) 2006-06-27 2006-06-27 모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80A KR100797724B1 (ko) 2006-06-27 2006-06-27 모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94A KR20080000394A (ko) 2008-01-02
KR100797724B1 true KR100797724B1 (ko) 2008-01-23

Family

ID=3921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80A KR100797724B1 (ko) 2006-06-27 2006-06-27 모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68B1 (ko) * 2007-11-29 2009-09-16 전자부품연구원 감속기 일체형 비엘디씨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894A (ja) 1999-10-14 2001-04-2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減速歯車機構付極小モータ
KR20030011198A (ko) * 2001-07-27 200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링 수단이 일체형으로 제공된 자동 안테나용 인입/인출감속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JP2003206997A (ja) 2002-01-16 2003-07-25 Seiko Epson Corp 小型減速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894A (ja) 1999-10-14 2001-04-2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減速歯車機構付極小モータ
KR20030011198A (ko) * 2001-07-27 200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링 수단이 일체형으로 제공된 자동 안테나용 인입/인출감속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JP2003206997A (ja) 2002-01-16 2003-07-25 Seiko Epson Corp 小型減速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94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671B2 (ja) モータ/変速装置
KR20080045176A (ko) 소형의 축방향 플럭스 모터 드라이브
US20080106163A1 (en) Driving Device With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180064299A (ko) 서보모터 및 로봇
US20140031160A1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5091852B2 (ja) 撹拌器のための駆動ユニットとして働く永久磁石モーター
KR102519998B1 (ko) 구동 장치
KR101529379B1 (ko) 다단 기어 스테이지를 가지는 유성기어 세트
KR20190133834A (ko) 브레이크장치용 엑츄에이터
US9362804B2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07071273A (ja) 減速機
JP2000120810A (ja) モータ組み込み減速機
KR101922557B1 (ko) 통합구동장치
KR100797724B1 (ko) 모터조립체
KR101837863B1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JP2015023659A (ja) 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駆動装置
KR101242268B1 (ko) 전동 휠체어의 구동장치
JP2015171292A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210051106A (ko) 기어드 인휠모터
CN114341521A (zh) 用于制动装置的致动器
KR20180125361A (ko) 원심분리기용 감속기
CN112013084A (zh) 齿轮箱及具有该齿轮箱的驱动装置
JP2010091009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KR20150024463A (ko) 감속기 엔드커버
KR20200119585A (ko)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