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37B1 -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37B1
KR100796937B1 KR1020060003546A KR20060003546A KR100796937B1 KR 100796937 B1 KR100796937 B1 KR 100796937B1 KR 1020060003546 A KR1020060003546 A KR 1020060003546A KR 20060003546 A KR20060003546 A KR 20060003546A KR 100796937 B1 KR100796937 B1 KR 10079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luid
vehicle
motor pump
wash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129A (ko
Inventor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진 filed Critical 최성진
Priority to KR102006000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9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021Details of the dispens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04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 B60B39/08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the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fluid means
    • B60B39/083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the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fluid means dispensing being effected by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04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 B60B39/10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granular, e.g. sand the dispensing being controlled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7Liquid supply therefor the liquid being heat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겨울철용 워셔액을 미끄럼방지액으로 사용하고, 차량의 타이에 주변에 미끄럼방지액워셔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뿌려주어 빙판길과 같이 노면상태가 고르지 못할 때에 노면으로부터의 타이어 미끄럼이 감소되어 안전 운전할 수 있도록 차량 타이어와 노면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하는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타이어, 미끄럼, 슬립, 방지, 부동액

Description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Vehicles sliding prevention liquid spr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주요 요부인 미끄럼 방지액의 저장탱크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주요 요부인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과 차량 타이어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워셔액 용기 2: 뚜껑
3, 4: 제1, 2모터펌프
7: 연결호스 10: 윈도브러시 세트
20: 주 연결호스 21, 22, 23, 24: 보조연결호스
25: 주 분배기
30, 30a, 30b: 분사장치 31: 노즐 팁
32: 보조 분배기 33: 고정 브래킷
34: 장착 브래킷 35: 축
36: 스위치 37: 탄성부재
40a, 40b, 40c: 가열장치 41a, 41b: 온도센서
42: 하우징
100: 차량 101: 타이어
102: 부츠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겨울철용 워셔액을 미끄럼방지액으로 사용하고, 차량의 타이에 주변에 미끄럼방지액워셔액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뿌려주어 빙판길과 같이 노면상태가 고르지 못할 때에 노면으로부터의 타이어 미끄럼이 감소되어 안전 운전할 수 있도록 차량 타이어와 노면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하는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이 미끄러운 눈길을 차량이 주행할 경우에는, 보통의 주행용 타이어 대신에 스노타이어로 교체해서 갈아 끼우거나, 타이어에 스노체인을 체결하여 차량이 눈길을 주행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또한, 스노타이어를 갈아 끼우거나 스노체인을 체결하는 타이어 교체작업 없이 휴대용으로 제작된 미끄럼방지액을 타이어 표면에 분사시켜 타이어가 눈길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사고를 막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를 교체하여 스노타이어로 갈아 끼우거나 타이어에 스노체인을 체결하는 눈길 주행할 때의 준비 조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대단히 힘들고 불편하였으며 노면 사정에 따라 스노타이어 또는 스노체인을 조립하고 분리시켜야 하는 탈부착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보통의 스페어타이어 이외에 스노타이어나 스노체인을 별도로 장만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미끄럼 방지액은 폭설 때 사용되는 스노 체인과는 달리 약간의 눈이 내린 노면이나 빙판길에서 타이어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즉, 미끄럼 방지액은 타이어의 접지 면에 분사되면 타이어의 접지 면에 얇고 점성이 높은 마찰 막을 형성하여 빙판길 주행할 때 주행성이나 제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끄럼 방지액은 그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분사용기에 저장된 미끄럼 방지액을 타이어에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을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장소에 정차시켜 놓고, 각각의 타이어에 분사시켜 주어야 하며, 타이어의 접지 면에 골고루 분사시켜 주어야 한다.
특히, 빙판이 정리된 노면의 주행 중 다시 빙판노면 주행으로 들어설 때,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시키고 타이어에 미끄럼 방지액을 분사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더러, 뒤따르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고 미끄럼 방지액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미끄럼 방지액의 상시 보관도 사용자의 입장에선 번거로웠던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모래, 소금(또는 염화칼슘), 톱밥 등 미끄럼방지 보조 재료를 탱크에 저장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미끄럼 방지 보조 재료를 노면에 뿌려주는 차량 미끄럼방지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상술한 모래는 뿌려지는 면적에 비교하여 모래를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중량이 많이 차지하여 승용차와 같은 차량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금을 눈 또는 빙판에 뿌려주는 것은 차체를 부식시키는 다른 문제를 발생되었다.
또한 모래와 톱밥 등의 알갱이 형태의 미끄럼방지 보조 재료는 차량의 미끄럼 방지 효과는 있으나 빙판 노면이 녹았을 때에 매우 지저분하고, 노면을 청소하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모터펌프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워셔액을 저장하고, 저장탱크의 한쪽에는 연결호스를 차량의 타이어의 앞쪽 또는 뒤쪽까지 연결하며, 차량의 타이어 앞쪽에는 노즐을 구비하여 노즐에 연결호스를 연결한 것으로 정차 중에 출발할 때 또는 주행 중에 운전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터펌프를 구동시켜 워셔액을 차량 타이어와 차량타이어의 주변에 뿌려주어 빙판을 적셔서 녹이고 이로 인하여 타이어가 헛돌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액을 타이어의 주변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뿌려 주도록 하되, 자동으로 뿌려줄 때에는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스위치 조작만으로 미끄럼 방지액을 뿌리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하고, 수동으로 워셔액을 뿌릴 때에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타이어의 노면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뿌릴 수 있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액이 필요한 곳에만 뿌릴 수 있어 미끄럼 방지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전면유리를 닦기 위한 워셔액을 미끄럼 방지액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워셔액인 워셔액을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구입하고 쉽게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겨지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제1모터펌프; 및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 예는, 상기 연결호스의 끝단부에는 상기 차량의 바퀴 또는 바퀴의 구름 방향을 향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노즐 팁이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는, 상기 연결호스와 상기 노즐 팁의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주름관이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노즐 팁과 인접된 상기 연결호스에는 보조 분배기가 배치되며, 상기 노즐 팁은 상기 보조 분배기에 복수 개로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보조 분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연결호스는 그 관로 중에 장착된 분배기, 및 한쪽 끝은 상기 분배기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각각의 차량바퀴를 향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조 연결호스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분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노즐 팁은 상기 바퀴를 에워쌓는 휠 하우스에 장착된 장착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장착 브래킷은 축에 의해 고정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사이에는 장착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의 위치를 가변 및 고정시키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링과 스프링와셔 중에 어느 하나 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뚜껑의 아래쪽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의 내부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워셔액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뚜껑의 아래쪽 다른 곳에는 상기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기 가열장치는 상기 연결호스의 관로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가열장치는 워셔액 용기의 몸체에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주요 요부인 미끄럼 방지액의 저장탱크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주요 요부인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과 차량 타이어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에서 미끄럼 방지액의 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의 위도브러시 세트(10)와 유사한 구성을 이루는 것이고, 워셔액은 계절에 따라 종류가 나누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겨울철용 워셔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윈도브러시 세트(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량(100)의 엔진룸의 한쪽에 장착되는 워셔액 용기(1), 상술한 워셔액 용기(1)의 안쪽에는 워셔액에 담긴 채로 장착되는 제1모터펌프(3), 상술한 제1모터펌프(3)에 의해 토출되는 워셔액을 토출구(8a)(8b)까지 연결하는 연결호스(7), 토출구(8a)(8b)에서 뿜어지는 워셔액을 차량 앞 유리창에 닦는 브러시(9a)(9b)로 이루어진다.
차량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소정의 스위치 레버를 작동시키면 모터펌프(3)가 구동하여 소정 량의 워셔액을 뿜어주어 차량 앞 유리창을 닦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2는 부츠(boots)이다.
본 발명의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술한 워셔액 용기(1)의 한쪽에는 복수개의 제1, 제2모터펌프(3)(4)를 장착하고, 제1모터펌프(3)는 상술한 위도브러시 세트(10)에 워셔액을 배출하기위한 연결호스(7)가 연결되고, 제2모터펌프(4)는 차량(100)의 바퀴(101)쪽으로 워셔액을 배출하기 위한 주 연결호스(20)가 연결되며, 주 연결호스(20)는 다른 복수의 보조 연결호스(21)(22)(23)(24)에 연결되어 워셔액을 차량(100)의 바퀴(101) 주변으로 배출시키고, 복수의 보조 연결호스(21)(22)(23)(24)의 끝 부분에는 분사장치(30)(30a)(30b)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퀴(101)는 차량의 휠 하우스(wheel house)내에 장착된 것이고, 상술한 분사장치(30)(30a)(30b)는 상술한 휠 하우스의 한쪽에 장착되어 바퀴(101)를 향하는 것이다.
상술한 워셔액 용기(1)는 통상의 워셔액을 저장하는 것이고,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수한 워셔액만을 저장하는 워셔액 용기(1a)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워셔액 용기(1)(1a)의 한쪽에는 채워진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1a)(41b)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로는 워셔액의 온도가 빙점까지 내려가지 않도록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온도센서(41a)는 도 2a에 나타낸바와 같이 뚜껑(2)의 저면한 쪽에 장착할 수 있고,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센서(41b)를 워셔액 용기(1)(1a)의 몸체 한쪽에 장착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에는 뚜껑(2)을 제조할 때에 쉽게 조립이 가능한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워셔액에 직접 접촉함으로서 좀 더 정확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워셔액 용기(1)(1a)의 한쪽에는 워셔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에 가열장치(40a)와 같은 가온 부재를 장착해 줄 수 있으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장치(40c)와 같은 열선 등을 워셔액 용기(1)(1a)의 바깥 면에 부착되거나 감싸는 형태로 구성해 주어도 무방하다.
다른 예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셔액이 배출되는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한쪽에 연선 또는 가열장치(40b)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가열장치(40b)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42)으로 감싸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선, 히터 등과 같은 가열장치(40a)(40b)는 상술한 온도센서(41a)(41b)의 감지 신호에 의해 연동되는 것으로 워셔액이 빙점까지 온도가 낮춰지기 전에 가온하고 30도씨 이상으로 가온되었을 때에 가열장치를 정지시켜 워셔액의 점성을 낮춰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상술한 주 연결호스(20)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분배기(25)에 연결된 것이고, 주 분배기(25)에는 복수의 보조연결호스(21)(22)(23)(24)가 연결되어 차량(100)의 각 바퀴(101)쪽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한 주 분배기(25)는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특정한 포트(port)를 차폐시킬 수 있는 것이고 예를 들어 차량이 전륜구동일 때에는 앞바퀴 쪽으로만 유로를 열어 줄 수 있고, 차량이 후륜구동일 때에는 뒷바퀴 쪽으로만 유로를 열어줄 수 있으며, 차량이 4륜구동일 때에는 앞 뒷바퀴 모두의 유로를 열어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보조연결호스(21)(22)(23)(24)는 본 발명에서 4개를 연결하는 예를 보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이 전륜구동 또는 후륜구동 차량일 때에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워셔액을 배출하는 것으로 2개소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트럭과 같은 화물운반 차량 또는 특장차 등의 경우 바퀴의 수가 일반 승용차보다 더 많으며 이러한 경우 바퀴의 개수만큼 보조연결호스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분사장치(30)(30a)(30b)는 상술한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끝부분에 연결되고 바퀴(101)를 향하여 차량(100)의 한쪽에 장착되는 것이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바퀴(101)의 앞쪽 또는 뒤쪽에 장착할 수 있고,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상황에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바퀴(101)의 전후 방 모두에 장착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분사장치(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101)와 노면이 접하는 방향을 향하여 고정 장착된 예를 보인 것이고, 분사장치(30)는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끝부분에 노즐 팁(31)을 장착하여 분사 압력을 높여주고,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술한 노즐 팁(31)은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의 노즐 팁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노즐 팁(31)을 분사장치(30)에 꽉 조이면 노즐 팁(31)의 분사구멍이 조여져 단위시간당 분사 량이 작아지는 대신 가늘게 멀리까지 분사되는 것이고, 노즐 팁(31)을 느슨하게 조이면 노즐 팁(31)의 분사구멍이 확장되어 단위시간당 분사 량은 많아지는 대신에 분사되는 거리가 짧아지는 것이며 이러한 노즐 팁(31)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바와 같이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끝부분에는 주름관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4에 나타낸 분사장치(30a)는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끝부분에 보조 분배기(32)를 장착하고, 보조 분배기(32)에는 여러 개의 노즐 팁(31)을 장착한 것이다.
특히 상술한 분사장치(30a)의 노즐 팁(31)은 차량의 전후진 주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차량은 대부분 전진 또는 후진하는 때의 주행방향으로 워셔액을 진로 방향에 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또한 상술한 보조 분배기(3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특정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특정한 노즐 팁(31)에 워셔액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보조 분배기(32) 제어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분사장치(30b)는 차량(100)의 한쪽에 고정 브래킷(33)을 장착하고, 그 고정 브래킷(33)에 장착 브래킷(34)을 회전 가능하도록 축(35)으로 결합시키며, 장착 브래킷(34)에는 보조연결호스(21)(22)(23)(24)를 연결하고, 보조연결호스(21)(22)(23)(24)의 끝부분에는 노즐 팁(31)을 장착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고정 브래킷(33)의 한쪽에는 스위치(36)를 장착하고, 이 스위치(36)의 조작 신호는 제2모터펌프(4) 및 주 분배기(25)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고정 브래킷(33)과 장착 브래킷(34) 사이에는 탄성부재(37)를 압착된 상태로 끼워 넣은 것이고, 탄성부재(37)의 예로서 마찰력이 큰 고무패킹 링 또는 스프링와셔를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장착 브래킷(34)에 인위적인 외력을 가하여 축(35)을 중심으로 장착 브래킷(34)을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을 완료한 위치 또는 가변된 위치는 상술한 탄성부재(37)의 복원력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을 주정차 시킨 위치가 공교롭게도 빙판일 때에는 차량을 미끄럼 현상 없이 주행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차량의 타이어가 위치한 곳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주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빙판길에서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서 운전석에 위치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워셔액 용기(1)(1a)내에서는 제2모터펌프(4)가 구동하여 워셔액을 내보내게 된다.
상술한 제2모터펌프(4)의 구동과 동시에 주 분배기(25)와 보조분배기(32)가 작동하여 유로를 열어주면 워셔액은 노즐 팁(31)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때 분사된 워셔액은 노면에 뿌려지면 눈길 또는 빙판을 적시게 되고 워셔액의 점성과 온도 등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마찰력은 높아지는 것이며, 마찰력이 높아짐으로서 바퀴(101)는 헛돌지 않고 굴러갈 수 있는 것이다.
차량이 전륜구동일 때에는 당연히 앞바퀴 쪽에 워셔액을 뿌리는 것이고, 후륜구동일 때에는 당연히 뒷바퀴 쪽에 워셔액을 뿌리는 것이며, 전륜구동일 때에는 앞 뒷바퀴 쪽에 워셔액을 뿌리는 것이다.
또한 육안으로 노면의 상태를 확인하였을 때에는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특별히 어느 한쪽 타이어 부근에 노면상태가 매우 나쁠 경우 그 쪽 타이어부분만 집중하여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날씨가 매우 추울 때에는 워셔액이 비록 부동액일지라도 점성이 높아져 잘 흐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센서(41)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워셔액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권장온도이하일 때에는 자동으로 가열장치(40a)(40b)가 가동되어 워셔액을 가온시키고 아울러 흐름이 원활하도록 돕는 것이다.
워셔액은 상용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워셔액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온도는 워셔액 제품의 표면에 표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워셔액 제품은 영하 20도씨가 빙점으로 알려져 있고 상술한 온도센서(41)는 워셔액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고 가열장치(40a)(40b)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4는 노즐 팁(31)을 보조 분배기(32)에서 여러 방향으로 미리 설정하여 장착한 것으로 주정차상태에서 차량을 움직이기 시작할 때에는 차량의 바퀴(101)와 노면이 접하는 부분에 다른 위치 보다 많은 량의 워셔액을 분사시켜주는 것이고,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한 다음에는 차량의 주행방향 쪽으로 바퀴(101)에서 먼 쪽에 워셔액을 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보조 분배기(3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특정한 유로를 제어가 가능함으로 특정한 노즐 팁(31)에서 분사되는 워셔액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이 주정차 상태인지 주행 중인지의 판단은 차량의 속도계(미도시)와 연계할 수 있는 것이고, 근래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마이컴(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한 보조분배기(32)는 상술한 마이컴과 연계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한 다음에는 차량의 주행방향 쪽으로 바퀴(101)에서 먼 쪽에 워셔액을 뿌려주도록 함으로서 차량 타이어기 지나갈 진로에 미리 미끄럼 방지액을 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분사장치(30b)는 특정한 바퀴(101)쪽에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워셔액을 뿌려주는 것으로, 스위치(36)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스위치(36)를 조작한 위치에서만 워셔액을 뿌려주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단하였을 때에 노면의 상태가 빙판으로서 매우 고르지 못한 상태라고 판단될 때에 특정 바퀴(101)쪽에서 스위치(36)를 조작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스위치(36)를 조작하였을 때에 스위치(36)와 연계된 제2모터펌프(4)와 주 분배기(25) 및 보조 분배기(32)가 작동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쪽으로 워셔액을 뿌려주는 것이다.
또한 노즐 팁(31)은 장착 브래킷(34)을 회전시킴에 따라 뿌려주는 방향이 바뀌는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장착 브래킷(34)을 움켜쥔 상태에서 왔다 갔다 하는 형태로 워셔액을 뿌려줄 수 있고, 주행방향이 예상되는 쪽으로 향하도록 장착 브래킷(34)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이 진행할 때에 운전석에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분사장치(30b)의 노즐 팁(31)에서 워셔액이 분사되는 것이고 주행 중에는 타이어가 지나갈 예상 진로에 미리 워셔액을 뿌려주는 것이다.
워셔액이 소모되었을 때에는 마켓, 자동차용품점, 휴게소 등에서 쉽게 워셔액을 구입하여 보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예를 들어 워셔액 용기(1)(1a)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처럼 통상의 워셔액 저장탱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별도의 전용 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고, 차량의 타이어 전후방향에 분사장치(30)(30a)(30b)를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는 겨울철용 워셔액을 미끄럼방지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차량용품 판매점, 휴게소, 편의점 등 어디서든 쉽고 빠르게 워셔액의 구입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워셔액을 채워 넣는 것 역시 매우 쉬운 것으로 기계를 잘 다루지 못하는 운전자라도 별다른 전문지식 없이도 쉽게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미끄럼방지 재료 예를 들어 모래, 소금, 톱밥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미끄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편의성의 증대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본인 의사판단에 따라 특별히 노면이 고르지 못한 특정한 타이어 쪽에 더 많은 량의 워셔액을 분사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노면이 양호한 타이어 쪽에는 워셔액을 분사시키지 않아 워셔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의 끝 부분에는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바퀴 또는 바퀴의 구름 방향을 향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는 노즐 팁; 및
    상기 연결호스와 상기 노즐 팁의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주름관;
    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팁과 인접된 상기 연결호스에는 보조 분배기가 배치되며, 상기 노즐 팁은 상기 보조 분배기에 복수 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 팁은 차량 바퀴의 진행방향과 일직선 방향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9.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의 관로 중에 장착된 분배기; 및
    한쪽 끝은 상기 분배기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각각의 차량바퀴를 향하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연결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1. 삭제
  12.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
    상기 차량의 바퀴 또는 바퀴의 구름 방향을 향하여 상기 바퀴를 에워싸는 휠 하우스에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 장착되는 축;
    상기 축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축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사이에는 압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장착 브래킷의 회전각도 가변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장착 브래킷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호스의 끝 부분에 배치는 노즐 팁;
    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링과 스프링와셔 중에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4.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및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아래쪽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의 내부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워셔액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뚜껑의 아래쪽 다른 곳에는 상기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5.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및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호스의 관로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되어 상기 워셔액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16.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고 워셔액이 담기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워셔액 용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모터펌프;
    상기 제1 모터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어 워셔액을 배출시키는 제2모터펌프; 및
    상기 제2모터펌프의 배출구에 한쪽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모터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워셔액이 흐르는 연결호스;을 포함하고,
    상기 워셔액 용기의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워셔액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워셔액 용기의 한쪽에 장착되고 상기 워셔액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면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KR1020060003546A 2006-01-12 2006-01-12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KR10079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546A KR100796937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546A KR100796937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14U Division KR200416220Y1 (ko) 2006-01-12 2006-01-12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129A KR20070075129A (ko) 2007-07-18
KR100796937B1 true KR100796937B1 (ko) 2008-01-28

Family

ID=3850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546A KR100796937B1 (ko) 2006-01-12 2006-01-12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55B1 (ko) * 2016-03-29 2017-11-2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바퀴용 마찰용액 자동 스프레이 시스템
KR20220061400A (ko) 2020-11-06 2022-05-13 양준혁 미끄럼방지재자동분사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35Y1 (ko) * 2012-06-25 2014-06-19 오은섭 철도차량 살사장치의 서포트암 구조
KR101483088B1 (ko) * 2014-02-25 2015-01-19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차내 스프레이 체인 분사 및 탈청장치
KR101583721B1 (ko) * 2014-04-29 2016-01-08 주식회사 밸리스오토파츠 차량용 스프레이 체인 작동장치
KR101601456B1 (ko) 2014-07-29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저버 일체형의 워셔액 가열장치
KR101601457B1 (ko) 2014-07-29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저버 일체형의 워셔액 가열장치
IT201600083970A1 (it) * 2016-08-09 2018-02-09 Francesco Felicioni Dispositivo di deposizione, kit e rispettivo metodo
WO2023038589A1 (en) * 2021-09-09 2023-03-16 Agir Sercan A system for de-icing sprayers in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62A (ko) * 1997-10-22 1999-05-15 정몽규 차량용 수막현상 제거장치
KR200352944Y1 (ko) 2004-03-16 2004-06-22 고경찬 자동차의 노면해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62A (ko) * 1997-10-22 1999-05-15 정몽규 차량용 수막현상 제거장치
KR200352944Y1 (ko) 2004-03-16 2004-06-22 고경찬 자동차의 노면해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55B1 (ko) * 2016-03-29 2017-11-2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바퀴용 마찰용액 자동 스프레이 시스템
KR20220061400A (ko) 2020-11-06 2022-05-13 양준혁 미끄럼방지재자동분사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129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937B1 (ko)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RU26242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аквапланирова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1705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vehicle rollover
US6237861B1 (en) Window deicer and anti-icer
KR200416220Y1 (ko) 차량 미끄럼 방지액 분사장치
US4316625A (en) Vehicular salt dispenser
JPS63500511A (ja) 自動車の車輪の路面に対する把持力を向上するための装置
US5582441A (en) Device for applying sand to roads for use in vehicles
US20050224271A1 (en) Vehicle traction improvement system
US20160325587A1 (en) Automobile salt dispenser
US20040070265A1 (en) Vehicle slip stop device
KR101385359B1 (ko) 자동차 미끄럼 방지장치
KR101625736B1 (ko) 자동차 타이어를 위한 장치
KR20150044133A (ko) 차량용 미끄러짐 방지 장치의 제어방법
KR101583721B1 (ko) 차량용 스프레이 체인 작동장치
US9278579B2 (en) Automobile salt dispenser
KR101801555B1 (ko) 차량 바퀴용 마찰용액 자동 스프레이 시스템
KR19990046040A (ko) 자동차의미끄러짐방지방법및그장치
JPH07279138A (ja) 自動車用雪道融雪装置
US20040182656A1 (en) Vehicle slip stop device
KR20160008911A (ko)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방법
KR101184314B1 (ko) 차량의 미끄럼 방지용 포설장치
JP3901306B2 (ja) 産業車両の液体噴霧装置
KR20160006143A (ko) 자동차 타이어 온도유지 장치
KR20020069427A (ko)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방지액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