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459B1 -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459B1
KR100796459B1 KR1020060098619A KR20060098619A KR100796459B1 KR 100796459 B1 KR100796459 B1 KR 100796459B1 KR 1020060098619 A KR1020060098619 A KR 1020060098619A KR 20060098619 A KR20060098619 A KR 20060098619A KR 100796459 B1 KR100796459 B1 KR 10079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ol
linolenoyl
formula
compoun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헌
김상희
김태윤
장현욱
이봉호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6009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12Acetic acid esters
    • C07C69/18Acetic acid esters of trihydroxy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34Esters of acyclic 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48Azelaic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cyclooxygenase-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 PGD2)의 생성 억제, 포스포리파제 A2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항염, 항알레르기, 항천식

Description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Novel fatty acid derivatives show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이란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하여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반응이 염증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다. 염증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염증의 과정은 보통 2가지로 나누며, 급성과 만성 염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게재하여 이물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직의 증식 등이 보여진다.
천식 (asthma)이란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 (喘鳴), 호흡곤란, 기침 등의 임상 증세들은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해 가역적으로 호전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천식은 알레르기성이며, 만성 기도염증 (chronic airway inflammation)과 기도 과민반응성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이 특징이다(Minoguchi K and Adachi M. Pathophysiology of asthma. In: Cherniack NS, Altose MD, Homma I, editors.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New York: McGraw -Hill, 1999, pp97-104).
알레르기성 천식 환자는 세계인구의 약 10 %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억 7500만 명, 1995년), 미국에만 1700만 명이 천식으로 고생하고 있고, 이 중 500만 명이 청소년이라고 보고 되어 있다. 2000년도에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제의 미국 시장 규모가 약 64억 $ 이었으며, 한국 시장도 약 10억 $로 전체 한국 의약품 시장의 20 % 정도를 차지한다고 보고 되었다.
병태생리학적인 면에서 천식은 Th2 면역세포에서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염증세포가 증식, 분화 및 활성화되어 기도 및 기도주변 조직으로 이동, 침윤하여 나타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Elias JA, Lee CG, Zheng T, Ma B, Homer RJ, Zhu Z. New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Asthma., J. Clin . Invest ., 111, pp291-297, 2003). 이 경우 활성화된 호산구, 비만세포, 폐포 대식세포 등의 염증세포는 다양한 염증매개인자들을 분비하는데 , 그 중 시스테인 류코 트리엔 (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은 가장 강력한 기관지 수축작용과 호산구증가를 유도하는 물질이다(Barnes PJ, Chung KF, Page CP. Inflammatory mediators of asthma: An update., Pharmacol Rev ., 50, pp515-596, 1998).
인지질 (phospholipi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다. 이 인지질은 인간의 체내에서 효소 포스포리파제 A2 (phospholipase A2)에 의하여 분해되어 고도불포화 지방산인 아라키돈 산 (arachidonic acid)를 유리하고 이 아라키돈 산은 아라키돈 산 카스케이드(cascade) 라고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din), 트롬복산(tromboxane), 류코트리엔 (leukotriene) 등 에이코사노이드 (eicosanoids)라 불리는 다수의 지질성 화학전달물질을 생성한다. 류코트리엔 및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의 중요한 매개체이며, 각각 다양한 방식으로 염증 반응과 기타 생화학적 반응의 진행에 기여한다. 즉, 류코트리엔은 염증 부위에 호중구와 같은 염증 세포를 보충하고 호중구와 같은 염증 세포를 보충하고 이들 세포의 분출을 촉진시키며 조직을 손상시키는 초산화물 및 프로테아제의 방출을 자극한다. 또한 천식에 의한 과민 반응에서 병태생리적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스타글란딘은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염증 부위에 백혈구의 침투를 증가시켜 염증을 심화시킨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은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반응을 강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포스포리파제 A2 는 세포막구성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의 sn-2 위치에 작용하여 아라키돈산을 유리하는 작용을 한다. 결과적으로 포스포리파제 A2를 억제하면 염증 유발물질인 에이코사노이드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기전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천식(asthma), 관절염(arthritis), 류마티스성 질환(rheumatic disease)의 증상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Pinon P. et al., Rev . Esp . Cardiol . 59, pp 247-250, 2006; Farooqui AA et al., LA . Neuroscientist . 12, pp 245-260, 2006).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는 혈액 응고(blood clotting)와 염증(inflammation)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효소로, 세포막에 결합되어 있다. 이 효소는 아라키돈산의 산화반응으로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과 트롬복산(thromboxane)이란 두 가지 주요한 산물을 형성한다. 트롬복산은 혈소판(platelets)에 존재하는 COX-1이라는 효소에 의해 생성되며 혈관의 수축과 혈소판의 끈적거리는 성질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같은 트롬복산의 기능은 심장마비(heart attack)와 뇌졸중(stroke)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COX-2라는 효소는 혈관에서 발현되면서 프로스타사이클린을 생성한다.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관을 확장시키며 혈소판의 활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런 차이점 때문에 COX-1을 저해하는 약물은 혈액을 희석시키는 효능을 나타내고 COX-2를 차단하는 약물은 염증에 동반하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작용이 있는 대부분의 약물은 국소염증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에 의한 진통, 항부종작용, 해열작용, 항염증 및 혈소판 항응집성이 있으며, 이 러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혈전증(thrombus), 부종(edema)의 경감, 경색(infarction), 발작(stroke) 및 뇌혈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Learney, PM, et al. BMJ, 332, pp 1302-1308, 2006; Silva, PJ, et al. Theoret. Chem . Accounts , 110, pp 345-351, 2003; Vally, M et al. Curr . Pharm . Biotechnol. 7, pp 241-246, 2006; Capone, ML et al. Expert . Opin . Drug Metab . Toxicol. 1, pp 269-282, 2005).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산화반응을 촉매시켜 류코트리엔을 생합성시키는 경로에서 첫 번째로 공개된 효소이다. 리폭시게나제는 아라키돈산을 하이드로퍼옥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PETE)으로 전환시키는데, 이것은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ETE) 및 류코트리엔을 생성시키는 대사경로의 첫번째 단계이다. 여러가지 생물학적 효과는 아라키돈산의 리폭시게나제 대사로부터의 생성물과 관련되며 이들은 여러 가지 질병상태에서의 조절제로서 관련된다. 예를들면, Lts C4 및 D4의 에어로졸은 기관지 수축을 유발시키며, LTB4 와 5-HETE는 다형핵 류코사이트(polymorphonuclear leukocytes)와 같은 염증세포에 대해 강력한 주화인자이다. 이들은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환자의 혈액에서 발견된다. 류코트리엔은 또한 알러지성 비염, 건선, 성인 호흡기 질환 증상, 크론병(Crohn's disease), 체내독성 쇼크(endotoxin shock) 및 심근 손상으로 유도된 허혈(ischemia)에서 중요한 조절제로서 관련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 효소가 염증, 천식, 알러지성 관절염, 건선(psoriasis) 및 암 등 다양한 질병에 중요한 역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dmark O. J. Lipid Mediat. Cell Signal . 12, pp 171-184, 1995; Dwyer JH, et al. New Engl . J. Med . 350, pp 4-7, 2004; Taccone-Gallucci M, et al. Kidney Int . 69, pp 1450-1454, 2006; Manev H et al., Med . Hypotheses 66, pp 501-503, 2006).
따라서 포스포리파제 A2, 시클로옥시게나제-2에 대한 저해물질은 각종 형태의 염증 (급성 류머티스열, 류머티스성 관절염, 다른 유형의 관절염, 골관절증, 천식 등), 심장 및 뇌혈관 장해 (편두통(migraine), 발작, 경색, 허혈, 패혈증(sepsis), 내독소성(endotoxic) 및 출혈성 쇼크, 통증 등) 및 면역 장애 (바이러스 또는 비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약물 남용, 암 및 인체 또는 동물에 있어서 산소질소(NO) 및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의 과잉 생성이 수반되는 질병의 상태)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 글리세롤 화합물들을 합성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들이 우수한 효소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염증 등 아라키돈산 분해과정과 관련된 제반 질병의 치료제로서 개발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A) 및 (B)의 신규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아라키도닐 글리세롤(arachidon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1
(A)
도코사-7, 10, 13, 16, 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docosa-7, 10, 13, 16, 19-penta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2
(B)
상기 구조식 (A) 및 (B)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 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구조식 (A) 및 (B)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구조식 (A) 및 (B)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지방산과 일반식 (II)의 고리화된 글리세롤을 중합시켜 일반식 (III)의 에스테르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는 제 2단계; 정제된 일반식 (III)의 에스테르를 붕산과 같은 환원제로 탈고리화하여 일반식 (IV)의 지방산 글리세롤을 합성하는 제 3단계; 상기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는 제 4단계 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아라키도닐 글리세롤(arachidonyl glycerol), 신규 도코사-7, 10, 13, 16, 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docosa-7, 10, 13, 16, 19-pentaenoyl glycerol), 팔미토일 글리세롤(palmitoyl glycerol), 스테아로일 글리세롤(stearoyl glycerol), 올레오일 글리세롤(oleoyl glycerol), 리놀레오일 글리세롤(linoleoyl glycerol),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linolenoyl glycerol),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linolenoyl glycerol),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dihomo-γ-linolenoyl glycerol),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eicosapentaenoyl glycerol), 아드레노일 글리세롤(adrenoyl glycerol) 및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docosahexaenoyl glycerol)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는 신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3
(I)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4
(II)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5
(III)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6
(IV)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탈고리화 반응은 2-메톡시에탄올 및 첨가제는 붕산을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조식 (A) 및 (B)의 신규 화합물 또는 하기 구조식 (C) 내지 (L)로 표기되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팔미토일 글리세롤(palmit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7
(C)
스테아로일 글리세롤(stear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8
(D)
올레오일 글리세롤(ole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09
(E)
리놀레오일 글리세롤(linole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0
(F)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linol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1
(G)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linol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2
(H)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dihomo-γ-linol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3
(I)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eicosapenta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4
(J)
아드레노일 글리세롤(adr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5
(K)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docosahexaenoyl glycerol)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6
(L)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들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염증 관련 질환에는 동맥경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 후 통증, 편두통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병증, 신경손상, 과민성 장증후군, 내독소에 의한 쇼크 또는 염증성 장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을 포함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조식 (A) 내지 (L)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기의 반응식들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지만,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반응식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제조방법을 제조 단계별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여러 화합물들은 반응식 1의 합성과정에서 사용되는 시약, 용매 및 반응 순서를 바꾸는 등의 작은 변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화합물들은 반응식 1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과정에 따라 합성되었으며, 이러한 화합물들에 대한 상세한 합성 과정은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다.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7
반응식 (1)은 상용 화합물 또는 기존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합성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2단계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제 1단계에서는 지방산 및 2,2-디메틸-[1,3]디옥소레닐 -메탄올에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제를 첨가하여 화합물 (1)을 얻을 수 있다. 제 2단계에서는 화합물 (1)을 출발물질로 하여 2-메톡시 에탄올 및 붕산을 넣고 환류시켜 화합물 (2)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 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탄올 또는 에탄올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냉온 내지 상온에서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구조식 (A) 내지 (L)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cyclooxygenase-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 PGD2)의 생성 억제, 포스포리파제 A2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01 ~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50 중량%의 함량으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구조식 (A) 내지 (L)의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염증,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 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험 준비 및 기기
1-1. 분석기기
본 실험에 사용된 기기로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1H NMR, 13C NMR) 은 500MHz 를, 용매는 CDCl3를 사용하였다. 짝지음(Coupling) 상수 ( J )는 Hz 로 표시하였다. 질량(Mass) 스펙트럼은 지올(Jeol)사의 JMS-SX 102A와 JMS-700 고해상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으며 m/z 형태로 표시하였다.
1-2. 사용 시약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란캐스터(Lancaster), 플루카(Fluk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분리용매인 메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은 아르곤 기류에서 가열환류하여 재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들의 합성
Figure 112006073231073-pat00018
상기 반응식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방산 (500mg)을 50mL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디클로로메탄(6 mL)을 넣어 녹인 후, R-(-)-(2,2-디메틸-[1,3]디옥솔란-4-일)-메탄올 (0.36 mL)와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603 mg), 10 몰 %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었고 실온에서 2-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경과는 TLC(thin layer chromatography)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8:1 조건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반응이 종료되면 디에틸 에테르 (6mL)을 사용하여 희석하였고 물 (6mL)로 2-3 회 세척한 다음, 식염수(10mL)로 2-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후 감압건조하였고 실리카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lica flash chromatography; 유리관 50 mm x 30 mm에 충진, 용리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를 이용하여 지방산 케탈 화합물을 얻었다.
지방산 케탈 화합물 (107 mg)을 25 mL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2-메톡시에탄올로 녹이고 붕산(2.67 g)을 넣고 환류시켰다. 반응경과는 TLC(thin layer chromatography)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1 조건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반응이 종료하면 플라스크를 얼음물에서 식힌 다음 디에틸 에테르 (10 mL)로 희석하였고 물 (10 mL), 식염수 (10 mL)로 각각 2-3회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 후 감압건조하였고 실리카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lica flash chromatography; 유리관 50 mm x 30 mm에 충진, 용리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6:1)를 이용하여 지방산 케탈 화합물을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물성치를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A) - (L)을 합성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구조는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스펙트럼과 고해상 질량분석 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에서 1H-NMR 시그날과 13C-NMR 시그날에 대한 위치지정(assignment)은 COSY, TOCSY 등의 다차원 핵자기 공명 실험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신물질인 상기의 구조식 (A) 및 (B) 화합물은 적외선 분광분석도 함께 이루어졌다.
A. 아라키도닐 글리세롤( arachidonyl glycerol )
합성 수율: 88.4%
(1) 분자식 : C23H38O
(2) 분자량 : 37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3-5.29(m, 8H), 4.17-4.02(m, 2H), 3.84-3.79(m, 1H), 3.54-3.52(m, 2H), 2.86-2.81(m, 6H), 2.36(t, J = 7.5 Hz, 2H), 2.16-2.03(m, 4H), 1.73-1.63(m, 2H), 1.38-1.28(m, 6H), 0.90(t, J = 7.1 Hz, 3H)
(6)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25, 1740, 1660, 1470 cm-1
B. 도코사 -7, 10, 13, 16, 19- 펜타에노일 글리세롤( docosa -7, 10, 13, 16, 19-penta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94%
(1) 분자식 : C25H40O4
(2) 분자량 : 404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2-5.28(m, 10H), 4.16-4.02(m, 2H), 3.84-3.77(m, 1H), 3.54-3.53(m, 2H), 2.86-2.80(m, 8H), 2.34(t, J = 7.2Hz, 2H), 2.13-2.03(m, 4H), 1.67-1.58(m, 2H), 1.38-1.33(m, 4H), 0.96(t, J = 7.5 Hz, 3H)
(6)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0, 1745, 1665, 1460 cm-1
C. 팔미토일 글리세롤( palmitoyl glycerol )
합성수율: 99%
(1) 분자식 : C19H38O4
(2) 분자량 : 330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4.16-4.02(m, 2H), 3.84-3.77(m, 1H), 3.54-3.52(m, 2H), 2.38-2.31(m, 2H), 1.63-1.58(m, 2H), 1.28(m, 24H), 0.89(t, J = 6.9 Hz, 3H)
D. 스테아로일 글리세롤( stearoyl glycerol )
합성 수율: 86.8%
(1) 분자식 : C21H42O4
(2) 분자량 : 35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4.16-4.01(m, 2H), 3.82-3.78(m, 1H), 3.55-3.52(m, 2H), 2.35(t, J = 6.6 Hz, 2H), 1.63-1.58(m, 2H), 1.28(m, 28H), 0.89(t, J = 6.3 Hz, 3H)
E. 올레오일 글리세롤( oleoyl glycerol )
합성 수율: 74%
(1) 분자식 : C21H40O4
(2) 분자량 : 35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35-5.32(m, 2H), 4.17-4.02(m, 2H), 3.84-3.79(m, 1H), 3.55-3.53(m, 2H), 2.34(t, J = 7.2 Hz, 2H), 2.03-2.01(m, 4H), 1.63-1.58(m, 2H), 1.30(m, 20H), 0.89(t, J = 7.5 Hz, 3H)
F. 리놀레오일 글리세롤( linoleoyl glycerol )
합성 수율: 80.5%
(1) 분자식 : C21H38O4
(2) 분자량 : 354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0-5.27(m, 4H), 4.16-4.02(m, 2H), 3.84-3.76(m, 1H), 3.54-3.51(m, 2H), 2.78-2.75(m, 2H), 2.38-2.32(m, 2H), 2.11-2.00(m, 4H), 1.63-1.59(m, 2H), 1.38-1.28(m, 14H), 0.89(t, J = 6.6 Hz, 3H)
G. 감마- 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 linol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96.0 %
(1) 분자식 : C21H36O4
(2) 분자량 : 35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2-5.28(m, 6H), 4.17-4.02(m, 2H), 3.84-3.77(m, 1H), 3.55-3.53(m, 2H), 2.81(t, J = 4.8 Hz, 4H), 2.36(t, J = 7.5 Hz, 2H), 2.15-2.03(m, 4H), 1.68-1.59(m, 2H), 1.45-1.28(m, 8H), 0.9(t, J = 7.2 Hz, 3H)
H. 알파- 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 linol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99%
(1) 분자식 : C21H36O4
(2) 분자량 : 35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1-5.27(m, 6H), 4.17-4.02(m, 2H), 3.84-3.77(m,1H), 3.55-3.53(m, 2H), 2.80(t, J = 5.4 Hz, 4H), 2.34(t, J = 7.5 Hz, 2H), 2.12-2.03(m, 4H), 1.64-1.59(m, 2H), 1.32(m, 8H), 0.97(t, J = 7.5 Hz, 3H)
I. 다이호모 -감마- 리놀레노일 글리세롤( dihomo -γ- linol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87.9%
(1) 분자식 : C23H40O4
(2) 분자량 : 380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87.9%, 5.41-5.28(m, 6H), 4.17-4.02(m, 2H), 3.84-3.770 (m, 1H), 3.54-3.52 (m, 2H), 2.85(t, J = 5.4 Hz, 4H), 2.34(t, J = 7.5 Hz, 2H), 2.14-2.00(m, 4H), 1.63-1.57(m, 2H), 1.41-1.25(m, 12H), 0.9(t, J = 6.6 Hz,3H)
J.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 eicosapenta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83.8%
(1) 분자식 : C23H36O4
(2) 분자량 : 37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3-5.25(m, 10H), 4.17-4.02(m, 2H), 3.84-3.77(m, 1H), 3.54-3.52(m, 2H), 2.89-2.79(m, 8H), 2.36(t, J = 7.8 Hz, 2H), 2.16-2.00(m, 4H), 1.73-1.63(m, 2H), 0,96(t, J = 7.8 Hz, 3H)
K. 아드레노일 글리세롤( adr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80%
(1) 분자식 : C25H42O4
(2) 분자량 : 40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36-5.33(m, 8H), 4.16-4.02(m, 2H), 3.82(m, 1H), 3.54-3.52(m, 2H), 2.83-2.79(m, 6H), 2.34(t, J = 7.2 Hz, 2H), 2.11-2.05(m, 4H), 1.38-1.21(m, 12H), 0,90(t, J = 6.6 Hz, 3H)
L.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docosahexaenoyl glycerol )
합성 수율: 68.9%
(1) 분자식 : C25H38O4
(2) 분자량 : 40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1H-NMR (CDCl3, 500 MHz): 5.41-5.27(m, 12H), 4.17-4.02(m, 2H), 3.82-3.79(m, 1H), 3.54-3.52(m, 2H), 2.86-2.79(m, 10H), 2.41-2.39(m, 4H), 2.12-2.03(m, 2H), 0.96(t, J = 7.5 Hz, 3H)
실험예 1. 포스포리파제 A 2 ( phospholipase A 2 ) 저해능 검정
1-팔미토일-2-[1-14C]아라치도닐-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1-Palmitoyl-2-[1- 14C]arachidonyl-Phosphatidylethanolamine, NEN, Boston, MA, USA) 적당량을 시험관에 분취한 후, 질소가스로 용매를 휘발시켜 얻은 지질막(lipid film)에 적당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초음파 (Branson 2200, USA)처리하여 기질로 사용하였다. CaCl2 (4mM), Tris-HCl (100mM, pH 7.4, pH 9.0), BSA (0.1%), 기질 (0.3nmol), 효소 (sPLA2-IIA, IB, V, X; cPLA2) 및 검체를 일정농도 함유한 반응 액을 37℃ 에서 30분 반응시킨 뒤, 돌의 시약(Dole‘ s reagent, Dole, VP et al., J Biol Chem , 235, p 2595, 196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3000 rpm 19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에 혼입된 리소(lyso)체를 실리카겔로 제거한 후, 액체 섬광 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BECKMAN, Ramsey, Minnesota, USA)를 사용하여 유리된 [14C] AA를 측정하여 PLA2활성으로 환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cDNA는 모두 일본 쇼와(Showa) 대학 쿠도 이치로(Kudo Ichiro) 교수로부터 제공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형질전환체(transfectant)는 논문에 의하여 HEK293 cells(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에 LipofecAMINE PLUS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사용하여 만든 후 배양 상등액 중에 분비되는 효소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Chen J et al., J Biol Chem , 269, pp 2365-2368, 1994, Sawada H et al., Eur J Biochem , 263, pp 826-835, 1999).
화합물 포스포리파제 A2 저해능 (%)
아라키도닐 글리세롤 (A) 92.1 %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 92.8 %
팔미토일 글리세롤 (C) 72.4 %
스테아로일 글리세롤 (D) 57.7 %
올레오일 글리세롤 (E) 94.6 %
리놀레오일 글리세롤 (F) 92.1 %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 (G) 96.2 %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 (H) 93.7 %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 (I) 93.8 %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 (J) 95.1 %
아드레노일 글리세롤 (K) 88.5 %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96.3 %
실험결과,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의 포스포리파제 A2 저해능이 가장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프로스타글란딘 D 2 생합성에 대한 영향 조사
상기 실시예에서 획득한 불포화지방산 글리세롤 화합물들의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 (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를 BALB/C 마우스로부터 무라카미 등의 방법(Murakami et al. J. Biol. Chem . 269, pp 22269-22275, 1994)으로 골수에서 분리하여, IL-3 생산 세포인 WEHI-3 세포(일본 쇼와 대학 약학부 쿠도 이치로 교수 제공)의 배양상등액을 함유한 50% WEHI-3 조건하 배지(conditioned medium, 10% FCS함유)로 배양하였다. 배양 3주 후 비만세포에 SCF/LPS/IL-10 혼합자극제(Sigma 사)를 30분처리 처리하였다. 세포 자극 후의 상층액의 PGD2 정량은 PGD2 분석 키트(Cayman 사)를 이용하여 EIA(Enzyme linked immuno assay)로 측정하였다. 이때 COX-1에 의해서 생성되는 PGD2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BMMC에 아스피린(aspirin, 10 ug/ml)을 미리 1시간 전 처리한 BMMC를 사용하였다. 안스리신은 미리 15분간 전처리 한 후 자극제를 가하여 생성되는 PGD2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시클로옥시게나제-2 의 저해능 (%)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 92.9 %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 (J) 71.9 %
아드레노일 글리세롤 (K) 86.8 %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74.2 %
실험결과,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의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저해능이 가장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B)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 (L)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방산 글리세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cyclooxygenase-2) 의존적인 프 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 PGD2)의 생성 억제, 포스포리파제 A2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하기 구조식 (B)로 표기되는 신규 도코사-7,10,13,16,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112006073231073-pat00020
    (B)
  3. 일반식 (I)의 지방산과 일반식 (II)의 고리화된 글리세롤을 축합시켜 일반식 (III)의 에스테르를 얻는 제 1단계; 상기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는 제 2단계; 정제된 일반식 (III)의 에스테르를 환원제인 붕산으로 탈고리화하여 일반식 (IV)의 지방산 글리세롤을 합성하는 제 3단계; 상기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는 제 4단계 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 2항의 구조식 (B) 화합물 및 팔미토일 글리세롤(palmitoyl glycerol), 스테아로일 글리세롤(stearoyl glycerol), 올레오일 글리세롤(oleoyl glycerol), 리놀레오일 글리세롤(linoleoyl glycerol),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linolenoyl glycerol),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linolenoyl glycerol),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dihomo-γ-linolenoyl glycerol),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eicosapentaenoyl glycerol), 아드레노일 글리세롤(adrenoyl glycerol)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docosahexaenoyl glycerol) 유도체 화합물을 합성하는 신규 제조방법:
    Figure 112007075469383-pat00021
    (I)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Figure 112007075469383-pat00022
    (II)
    Figure 112007075469383-pat00023
    (III)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Figure 112007075469383-pat00024
    (IV)
    상기식에서,
    x 및 y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z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탈고리화 반응은 i) 2-메톡시 에탄올; 및 ii) 첨가제로서 붕산; 을 함께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2항의 도코사-7, 10, 13, 16, 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docosa-7, 10, 13, 16, 19-pentaenoyl glycerol), 팔미토일 글리세롤(palmitoyl glycerol), 스테아로일 글리세롤(stearoyl glycerol), 올레오일 글리세롤(oleoyl glycerol), 리놀레오일 글리세롤(linoleoyl glycerol),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linolenoyl glycerol),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linolenoyl glycerol),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dihomo-γ-linolenoyl glycerol),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eicosapentaenoyl glycerol), 아드레노일 글리세롤(adrenoyl glycerol)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docosahexaenoyl glycerol)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관지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2항의 도코사-7, 10, 13, 16, 19-펜타에노일 글리세롤(docosa-7, 10, 13, 16, 19-pentaenoyl glycerol), 팔미토일 글리세롤(palmitoyl glycerol), 스테아로일 글리세롤(stearoyl glycerol), 올레오일 글리세롤(oleoyl glycerol), 리놀레오일 글리세롤(linoleoyl glycerol), 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γ-linolenoyl glycerol), 알파-리놀레노일 글리세롤(α-linolenoyl glycerol), 다이호모-감마-리놀레노일 글리세롤(dihomo-γ-linolenoyl glycerol), 아이코사펜타에노일 글리세롤(eicosapentaenoyl glycerol), 아드레노일 글리세롤(adrenoyl glycerol)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일 글리세롤(docosahexaenoyl glycerol)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관지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삭제
KR1020060098619A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9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619A KR100796459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619A KR100796459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459B1 true KR100796459B1 (ko) 2008-01-21

Family

ID=3921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619A KR100796459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631A (ja) * 2008-11-04 2010-06-17 Bizen Chemical Co Ltd カンナビノイド受容体のインバースアゴニストおよび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101056541B1 (ko) * 2008-10-13 2011-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par 알파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WO2012033348A2 (ko) * 2010-09-08 2012-03-15 (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2-리놀레오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 2016-02-03 2017-04-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980A1 (en) 1999-07-06 2001-01-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the amelioration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by inhibiting the inactivating transport of endogenous cannabinoid substan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980A1 (en) 1999-07-06 2001-01-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the amelioration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by inhibiting the inactivating transport of endogenous cannabinoid substan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4594-8(1965).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41B1 (ko) * 2008-10-13 2011-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par 알파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JP2010132631A (ja) * 2008-11-04 2010-06-17 Bizen Chemical Co Ltd カンナビノイド受容体のインバースアゴニストおよびアンタ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組成物
WO2012033348A2 (ko) * 2010-09-08 2012-03-15 (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2-리놀레오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33348A3 (ko) * 2010-09-08 2012-05-31 (재)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2-리놀레오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8896B1 (ko) * 2010-09-08 2013-10-23 대한민국(보건복지부장관) 2-리놀레오일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 2016-02-03 2017-04-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619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7448A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6459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15167B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22279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11111A (ko) 피토스테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310799B1 (en) A novel compound (ks 513)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0119B1 (ko) 신선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2135B1 (ko) 신규한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22189B1 (ko) 신규한 로테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96458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불포화지방산글리세롤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96387B1 (ko) 재조합 아밀로수크라제를 이용한 바이칼레인-6-알파-d-글루코사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칼레인-6-알파-d-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23138A (ko) 갈대 내생균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2827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59308B1 (ko) 불가사리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194463A1 (en) Inotodiol ester derivative precursor drug
KR101854144B1 (ko) 신규한 디노익산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084724A (ko) 전호로부터 분리된 안스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RU2685732C2 (ru) 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выделенное из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астмы или хронической обструктивной болезни легких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1065610B1 (ko) 둥근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7706B1 (ko) 신규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31209A (ko) 헛개나무 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136546A (ko) 대황으로부터 분리된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