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27B1 -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27B1
KR100812827B1 KR1020060098290A KR20060098290A KR100812827B1 KR 100812827 B1 KR100812827 B1 KR 100812827B1 KR 1020060098290 A KR1020060098290 A KR 1020060098290A KR 20060098290 A KR20060098290 A KR 20060098290A KR 100812827 B1 KR100812827 B1 KR 10081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asthma
activity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헌
김상희
김태윤
장현욱
이봉호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6009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은 리폭시게나제(5-LO, 5-lipoxy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cyclooxygenase-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 PGD2)의 생성 억제, 포스포리파제 A2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틀대모자반, 항염, 항알레르기, 항천식 활성

Description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Sargassum sagamianum show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이란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하여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반응이 염증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다. 염증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염증의 과정은 보통 2가지로 나누며, 급성 과 만성 염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게재하여 이물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직의 증식 등이 보여진다.
천식 (asthma)이란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 (喘鳴), 호흡곤란, 기침 등의 임상 증세들은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해 가역적으로 호전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천식은 알레르기성이며, 만성 기도염증 (chronic airway inflammation)과 기도 과민반응성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이 특징이다(Minoguchi K and Adachi M. Pathophysiology of asthma. In: Cherniack NS, Altose MD, Homma I, editors.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New York: McGraw-Hill, 1999, pp97-104).
알레르기성 천식 환자는 세계인구의 약 10 %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억 7500만 명, 1995년), 미국에만 1700만 명이 천식으로 고생하고 있고, 이 중 500만 명이 청소년이라고 보고 되어 있다. 2000년도에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제의 미국 시장 규모가 약 64억 $ 이었으며, 한국 시장도 약 10억 $로 전체 한국 의약품 시장의 20 % 정도를 차지한다고 보고 되었다.
병태생리학적인 면에서 천식은 Th2 면역세포에서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염증세포가 증식, 분화 및 활성화되어 기도 및 기도주변 조직으로 이동, 침윤하여 나타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Elias JA, Lee CG, Zheng T, Ma B, Homer RJ, Zhu Z. New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Asthma., J. Clin. Invest., 111, pp291-297, 2003). 이 경우 활성화된 호산구, 비만세포, 폐포 대식세포 등의 염증세포는 다양한 염증매개인자들을 분비하는데 , 그 중 시스테인 류코 트리엔 (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은 가장 강력한 기관지 수축작용과 호산구증가를 유도하는 물질이다(Barnes PJ, Chung KF, Page CP. Inflammatory mediators of asthma: An update., Pharmacol Rev., 50, pp515-596, 1998).
인지질 (phospholipi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다. 이 인지질은 인간의 체내에서 효소 포스포리파제 A2 (phospholipase A2)에 의하여 분해되어 고도불포화 지방산인 아라키돈 산 (arachidonic acid)를 유리하고 이 아라키돈 산은 아라키돈 산 카스케이드(cascade) 라고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din), 트롬복산(tromboxane), 류코트리엔 (leukotriene) 등 에이코사노이드 (eicosanoids)라 불리는 다수의 지질성 화학전달물질을 생성한다. 류코트리엔 및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의 중요한 매개체이며, 각각 다양한 방식으로 염증 반응과 기타 생화학적 반응의 진행에 기여한다. 즉, 류코트리엔은 염증 부위에 호중구와 같은 염증 세포를 보충하고 호중구와 같은 염증 세포를 보충하고 이들 세포의 분출을 촉진시키며 조직을 손상시키는 초산화물 및 프로테아제의 방출을 자극한다. 또한 천식에 의한 과민 반응에서 병태생리적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스타글란딘은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염증 부위에 백혈구의 침투를 증가시켜 염증을 심화시킨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은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반응을 강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포스포리파제 A2 는 세포막구성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의 sn-2 위치에 작용하여 아라키돈산을 유리하는 작용을 한다. 결과적으로 포스포리파제 A2를 억제하면 염증 유발물질인 에이코사노이드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기전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천식(asthma), 관절염(arthritis), 류마티스성 질환(rheumatic disease)의 증상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Pinon P. et al., Rev. Esp. Cardiol. 59, pp 247-250, 2006; Farooqui AA et al., LA. Neuroscientist. 12, pp 245-260, 2006).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는 혈액 응고(blood clotting)와 염증(inflammation)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효소로, 세포막에 결합되어 있다. 이 효소는 아라키돈산의 산화반응으로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과 트롬복산(thromboxane)이란 두 가지 주요한 산물을 형성한다. 트롬복산은 혈소판(platelets)에 존재하는 COX-1이라는 효소에 의해 생성되며 혈관의 수축과 혈소판의 끈적거리는 성질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같은 트롬복산의 기능은 심장마비(heart attack)와 뇌졸중(stroke)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COX-2라는 효소는 혈관에서 발현되면서 프로스타사이클린을 생성한다. 프로스타사이클린은 혈관을 확장시키며 혈소판의 활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런 차이점 때문에 COX-1을 저해하는 약물은 혈액을 희석시키는 효능을 나타내고 COX-2를 차단하는 약물은 염증에 동반하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작용이 있는 대부분의 약물은 국소염증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에 의한 진통, 항부종작용, 해열작용, 항염증 및 혈소판 항응집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혈전증(thrombus), 부종(edema)의 경감, 경색(infarction), 발작(stroke) 및 뇌혈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Learney, PM, et al. BMJ, 332, pp 1302-1308, 2006; Silva, PJ, et al. Theoret. Chem. Accounts, 110, pp 345-351, 2003; Vally, M et al. Curr. Pharm. Biotechnol. 7, pp 241-246, 2006; Capone, ML et al. Expert. Opin. Drug Metab. Toxicol. 1, pp 269-282, 2005).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산화반응을 촉매시켜 류코트리엔을 생합성시키는 경로에서 첫 번째로 공개된 효소이다. 리폭시게나제는 아라키돈산을 하이드로퍼옥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PETE)으로 전환시키는데, 이것은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ETE) 및 류코트리엔을 생성시키는 대사경로의 첫번째 단계이다. 여러가지 생물학적 효과는 아라키돈산의 리폭시게나제 대사로부터의 생성물과 관련되며 이들은 여러 가지 질병상태에서의 조절제로서 관련된다. 예를들면, Lts C4 및 D4의 에어로졸은 기관지 수축을 유발시키며, LTB4 와 5-HETE는 다형핵 류코사이트(polymorphonuclear leukocytes)와 같은 염증세포에 대해 강력한 주화인자이다. 이들은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환자의 혈액에서 발견된다. 류코트리엔은 또한 알러지성 비염, 건선, 성인 호흡기 질환 증상, 크론병(Crohn's disease), 체내독성 쇼크(endotoxin shock) 및 심근 손상으로 유도된 허혈(ischemia)에서 중요한 조절제로서 관련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 효소가 염증, 천식, 알러지성 관절염, 건선(psoriasis) 및 암 등 다양한 질병에 중요한 역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dmark O. J. Lipid Mediat. Cell Signal. 12, pp 171-184, 1995; Dwyer JH, et al. New Engl. J. Med. 350, pp 4-7, 2004; Taccone-Gallucci M, et al. Kidney Int. 69, pp 1450-1454, 2006; Manev H et al., Med. Hypotheses 66, pp 501-503, 2006).
따라서 포스포리파제 A2, 시클로옥시게나제-2, 5-리폭시게나제 등에 대한 저해물질은 각종 형태의 염증 (급성 류머티스열, 류머티스성 관절염, 다른 유형의 관절염, 골관절증, 천식 등), 심장 및 뇌혈관 장해 (편두통(migraine), 발작, 경색, 허혈, 패혈증(sepsis), 내독소성(endotoxic) 및 출혈성 쇼크, 통증 등) 및 면역 장애 (바이러스 또는 비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약물 남용, 암 및 인체 또는 동물에 있어서 산소질소(NO) 및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의 과잉 생성이 수반되는 질병의 상태)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천연저해제의 개발은 주로 육상의 식물과 미생물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으나 우리나라 연안의 해조류에 대해서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비틀대모자반(Sargasuum sagamianum)은 모자반과(Sargassaceae)로 우리나라 덕적도 등 외해역의 조하대 암반과 일본에 서식하며 크기가 30cm로 다른 모자반류에 비해 작다. 형태적 특징은 혹 모양의 부착기에서 수 개체가 같이 자란다. 하나의 줄기에 작은 가지들이 어긋나기를 한다. 개체의 길이는 약 30cm. 중앙부 및 상부의 잎은 길쭉한 형태이며, 가장자리에 약간의 톱니가 있기도 한다. 입자루는 매우 짧으며, 엽체는 약간 두껍고 단단하며 갈색을 띤다(강제원, 한국동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1968).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추출, 정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해조류인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의 우수한 효소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염증 등 아라키돈산 분해과정과 관련된 제반 질병의 치료제로서 개발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 물 또는 유기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용매 가용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등의 극성용매 및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 질환에는 동맥경화,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 후 통증, 편두통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병증, 신경손상, 과민성 장증후군, 내독소에 의한 쇼크, 염증성 장 질환 및 암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바람직하게는 관절염을 포함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은 비틀대 모자반을 채집, 음건한 다음 마쇄하여 분말화한 후, 비틀대 모자반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20배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염화메틸렌,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등의 극성용매 및 디클로로메탄, 아세톤등의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20 내지 50 ℃에서 약 10시간 내지 48일,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3회 추출한 후에, 이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은 포스포리파제-2(PLA2), 시클로옥시나제-2(COX-2), 리폭시나제-5(LOX-5)와 같은 효소에 대한 강력한 활성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 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0.0001 ~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50 중량%의 함량으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추출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 )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 서귀포의 조간대에서 채집한 동결건조된 갈조류의 해조류 비틀대 모자반 190g을 칼로 2-3cm 길이로 자른 뒤 디클로로메탄 2 L를 가하여 24시간 방치하고 그 용액을 여과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남은 시료에 대하여 아세톤 2 L를 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그 용액을 여과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남은 시료에 대하여 다시 메탄올 2 L를 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여과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아세톤과 메탄올 여과액을 합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기화시켜 제거하여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18.7 g을 얻었다.
실험예 1. 포스포리파제 A 2 (phospholipase A 2 ) 저해능 검정
1-팔미토일-2-[1-14C]아라치도닐-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1-Palmitoyl-2-[1-14C]arachidonyl-Phosphatidylethanolamine, NEN, Boston, MA, USA) 적당량을 시험관에 분취한 후, 질소가스로 용매를 휘발시켜 얻은 지질막(lipid film)에 적당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초음파 (Branson 2200, USA)처리하여 기질로 사용한다. CaCl2 (4mM), Tris-HCl (100mM, pH 7.4, pH 9.0), BSA (0.1%), 기질 (0.3nmol), 효소 (sPLA2-IIA, IB, V, X; cPLA2) 및 검체를 일정농도 함유한 반응 액을 37℃ 에서 30분 반응시킨 뒤, 돌의 시약(Dole' s reagent, Dole, VP et al., J Biol Chem, 235, p 2595, 196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3000 rpm 19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에 혼입된 리소(lyso)체를 실리카겔로 제거한 후, 액체 섬광 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BECKMAN, Ramsey, Minnesota, USA)를 사용하여 유리된 [14C] AA를 측정하여 PLA2활성으로 환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cDNA는 모두 일본 쇼와(Showa) 대학 쿠도 이치로(Kudo Ichiro) 교수로부터 제공 받아 실험에 사용하 였으며, 형질전환체(transfectant)는 논문에 의하여 HEK293 cells(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에 LipofecAMINE PLUS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사용하여 만든 후 배양 상등액 중에 분비되는 효소를 사용하였다. (Chen J et al., J. Biol. Chem., 269, pp 2365-2368, 1994, Sawada H et al., Eur J Biochem, 263, pp 826-835, 1999).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은 100μg/ml의 농도에서 89.5%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프로스타글란딘 D 2 생합성에 대한 영향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획득한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 (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를 BALB/C 마우스로부터 무라카미 등의 방법(Murakami et al. J. Biol. Chem. 269, pp 22269-22275, 1994)으로 골수에서 분리하여, IL-3 생산 세포인 WEHI-3 세포(일본 쇼와 대학 약학부 쿠도 이치로 교수 제공)의 배양상등액을 함유한 50% WEHI-3 조건하 배지(conditioned medium, 10% FCS함유)로 배양하였다. 배양 3주 후 비만세포에 SCF/LPS/IL-10 혼합자극제(Sigma 사)를 30분처리 처리하였다. 세포 자극 후의 상층액의 PGD2 정량은 PGD2 분석 키트(Cayman 사)를 이용하여 EIA(Enzyme linked immuno assay)로 측정하였다. 이때 COX-1에 의해서 생성되는 PGD2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BMMC에 아스피린(aspirin, 10 ug/ml)을 미리 1시간 전 처리한 BMMC를 사용하 였다. 안스리신은 미리 15분간 전처리 한 후 자극제를 가하여 생성되는 PGD2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2에 대하여 100 μg/ml의 농도에서 59.4% 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5-리폭시게나제(5-lipoxigenase; 5-LOX)에 대한 저해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비틀대 모자반 추출물의 류코트리엔 C4(LTC4)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5-리폭시게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를 BALB/C 마우스로부터 무라카미 등의 방법 (Murakami et al. J. Biol. Chem. 269, pp 22269-22275, 1994)으로 골수에서 분리하여, IL-3 생산 세포인 WEHI-3 세포(일본 쇼와 대학 약학부 쿠도 이치로 교수 제공)의 배양상등액을 함유한 50% WEHI-3 조건하 배지(conditioned medium, 10% FCS함유)로 배양하였다. 배양 3주 후 비만세포에 SCF(Sigma 사)를 30분 처리 하였다. 세포 자극 후의 상층액의 LTC4 정량은 LTC4 분석 키트(Cayman 사)를 이용하여 EIA로 측정하였다. 지방산 글리세롤 화합물들을 미리 15분간 전 처리한 후 자극제를 가하여 생성되는 LTC4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74.0%의 우수한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은 리폭시게나제(5-LO, 5-lipoxy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시클로옥시게나제-2 (COX-2, cyclooxygenase-2) 의존적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D2, PGD2)의 생성 억제, 포스포리파제 A2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염증질환, 알레르기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비틀대모자반의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비틀대모자반의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KR1020060098290A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1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290A KR100812827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290A KR100812827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827B1 true KR100812827B1 (ko) 2008-03-17

Family

ID=3941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290A KR100812827B1 (ko) 2006-10-10 2006-10-10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02B1 (ko) * 2008-05-21 2011-02-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259A (ja) * 1990-06-14 1992-02-18 Kao Corp 新規トルキノン化合物
US20030129294A1 (en) 2001-09-04 2003-07-10 Unilever Patent Holdings Blends comprising a substituted fatty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US20050003030A1 (en) 2003-05-05 2005-01-06 Simon James 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and preparations from African nutmeg seeds
KR100675541B1 (ko) 1999-08-20 2007-01-29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259A (ja) * 1990-06-14 1992-02-18 Kao Corp 新規トルキノン化合物
KR100675541B1 (ko) 1999-08-20 2007-01-29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US20030129294A1 (en) 2001-09-04 2003-07-10 Unilever Patent Holdings Blends comprising a substituted fatty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US20050003030A1 (en) 2003-05-05 2005-01-06 Simon James 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and preparations from African nutmeg see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02B1 (ko) * 2008-05-21 2011-02-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9522B2 (en) Method of preparing a glycoside of a mono- or diacylglycerol product from a plant material
US2007012250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KR101298243B1 (ko) 낙석등 및 목단피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50643B1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531584A (ja) マタタビ属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KR101026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7003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679853B1 (ko)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812827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비틀대 모자반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81631A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796459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지방산 글리세롤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72309B1 (ko) 갈대 내생균 배양액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48355B1 (ko) 등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96458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불포화지방산글리세롤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0070531A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用または抗炎症用の食品、医薬、動物飼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原料用組成物
KR20050084725A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20093534A (ko) 비파엽추출물 함유 류마티스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WO2005092357A1 (ja) 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KR20050084724A (ko) 전호로부터 분리된 안스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739398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sce25­20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성 질환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07708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sce25­20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성 질환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용건강기능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