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192B1 -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192B1
KR100796192B1 KR1020070001667A KR20070001667A KR100796192B1 KR 100796192 B1 KR100796192 B1 KR 100796192B1 KR 1020070001667 A KR1020070001667 A KR 1020070001667A KR 20070001667 A KR20070001667 A KR 20070001667A KR 100796192 B1 KR100796192 B1 KR 10079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members
frame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봉
박상우
전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102007000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제 실외 서브프레임와 합성수지제 실내 서브프레임 사이에 연결부재를 개재시킨 후 연결부재와 실내 서브프레임만을 용접 접합한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으로 밀착된 금속제 실외 서브프레임과; 사각틀 형상으로 용접 접합된 합성수지제 실내 서브프레임과; 실내·외 서브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시각틀 형상으로 용접 결합된 다수의 바형 연결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 4본에 연결부재의 폭 방향 일측단부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와; 연결부재의 폭 방향 타측단부에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를 결합하여 복합 프레임부재 4본을 제조하는 단계와;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를 사각틀 형상으로 밀착시키는 단계와; 밀착된 연결부재들 및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을 용접하는 단계 등의 순차적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은, 설비비가 절약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창호, 슈퍼 창호, 징공 창호

Description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the partially welded window fr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 슈퍼 윈도우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제조 방법의 공정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 제조 방법을 보인 부분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실외 서브프레임 21A. 실외 서브프레임부재
22. 실내 서브프레임 22A.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23. 연결부재 24. 보조프레임
24A. 보조프레임부재
G. 삽입홈 L. 리브
L'. 삽입리브
본 발명은, 단일 압출 형재 프레임이 아닌 실내·외 두 서브프레임이 결합된 창호 프레임에서, 금속제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와 합성수지제 바형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사이에 합성수지제 연결부재를 개재시켜 바형 복합 프레임부재로 조립한 후,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를 사각틀 형상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는 두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사이 및 두 연결부재 사이를 용접하여 창호 프레임으로 제조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 통로가 되며, 실내의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로서, 창호는 다양한 구조가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호는, 크게 벽체에 결합되는 외곽틀로서의 창문틀 프레임과, 창문틀 내에 결합되는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창문틀 프레임에 대한 창문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따라 여닫이 창호와 미닫이 창호 및 창문틀 프레임에 유리창이 직접 결합되는 고정 창호 등으로 구분되고, 창문틀 또는 창문 프레임은 각각 사각틀 형상의 실내 서브프레임과 실외 서브프레임이 서로 중첩 또는 적층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창문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창의 구조에 따라, 한 장의 유리를 결 합시킨 단일 창호, 두 장의 유리를 단순 적층한 상태로 결합시킨 이중 창호, 두 장의 두리 사이에 틈새를 형성시킨 후 그 큼새에 진공을 형성시킨 진공 창호, 두 유리 사이의 틈새에 가스를 충전한 슈퍼 창호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이들 중 단열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은 진공 창호이다.
그러나, 진공 창호는, 대향하는 두 장의 유리 사이에 형성된 진공층과 대기압 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대향하는 두 유리가 밀착되려고 하기 때문에, 두 유리 사이에는 진공층의 간격 유지를 위한 다수의 지지수단이 배치되어야만 하고, 그 결과,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 아니라, 일반 유리창에 사용되는 유리에 비하여 강성이 더욱 우수한 유리가 요구된다.
또한, 진공 창호는, 대향하는 두 유리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시키는 과정과, 진공의 완전한 유지를 위하여 두 유리의 테두리부를 접합시키는 과정에 상당한 기술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호 중에서도 가강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보급은 극히 미미하고 현재에도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유리창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 창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슈퍼 창호로서, 슈퍼 창호는, 각 유리의 표면에 저방사 코팅이 이루어지고,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되는 대신 충진가스가 주입되며, 더욱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저방사 필름이나 플라스틱 판 등이 유리 사이의 가스 충진 공간에 추가로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창호의 종류에 따라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리창은 서로 다른 구 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의 구조는, 회의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형재인 단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거나, 단면 상에서 대략 반으로 나뉘어져 각각 압출된 후 한 몸체로 결합되는 실내·외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 창호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한 단일 프레임 구조이다.
그러나, 슈퍼 창호 등과 같은 고급 창호의 경우에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내측 반인 실외 서브프레임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실내측 반인 실내 서브프레임은 합성수지로 각각 압출된 후 한 몸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즉, 슈퍼 창호의 프레임 중 창문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하면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실외 서브프레임(11A)과, 실외 서브프레임(11A)에 중첩 결합되어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사각틀 형상의 실내 서브프레임(11B)으로 이루어진 주프레임(11)과;
상기 주프레임(11)을 구성하는 실내 서브프레임(11B)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주프레임(11)의 실외 서브프레임(11A)과 함께 슈퍼창(W)을 고정 지지하는 보조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프레임(11)을 벽체에 직접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창문 프레임이, 창문 프레임이 아닌 창문틀 프레임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의 슈퍼 창호는 고정 창호가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 서브프레임(11A)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실내 서브프레임(11B)과 보조프레임(12)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슈퍼 창호의 창문틀 프레임 역시 실외 서브프레임과 실내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슈퍼 창호가 고정 창호일 경우, 상기 슈퍼창용 창문 프레임은 창문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종 재질의 압출재로 이루어진 실외 서브프레임과 실내 서브프레임이 결합되는 종래의 창호 프레임, 특히, 슈퍼 창호의 프레임은, 그 조립 과정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실내·외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창호 프레임의 경우, 직선 바형의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 각각 4본씩을 사각틀의 형상으로 조립하여 실내·외 서브프레임(11B)(11A)을 우선 제조한 후, 실내·외 서브프레임(11B)(11A)을 중첩하여 적층시킨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일측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타측 서브프레임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두 서브프레임의 억지끼움식 결합전, 4본의 서브프레임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의 각 서브프레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실외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다수의 볼트못 등을 사용하여 서브프레임부재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용접 결합된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실외 서브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사람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바, 별도의 가압 프레스가 필요로 되고, 그 결과, 두 서브프레임의 전용 조립 장치가 필요로 되어 설비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동시에, 조립 장치의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슈퍼 창호 프레임 등과 같이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 즉, 두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종래의 창호 프레임이 가지고 있는 조립 과정에서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나사못 등의 사용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람의 힘으로 조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프레스 등의 전용 가압 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용접 장치로 결합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서로 대향하는 바형의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바형 연결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은, 각각 사각틀의 형상을 하는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은, 실내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간의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며, 실외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실외 서브프레임부재들은 단순 밀착된 상태로서, 실내·외 서브프레임 사이의 결합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두 서브프레임 사이에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과 함께 용접 결합되는 직선 바형 연결부재를 개재시킴에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창호 프레임"은 "창문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창호 프레임은, 창문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 중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적용되는 바, 이하에서, 본 고안 창호 프레임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특히, 슈퍼 창호의 창문 프레임 구조를 주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외 서브프레임부재를 제외한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 및 연결부재들만의 부분적인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본 발명의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은,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과; 실외 서브프레임과 대향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과; 실내 서브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후 실외 서브프레임과 함께 유리창을 고정 지지하는 보조프레임과; 실내·외 서브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내·외 서브프레임은, 각각, 알루미늄 함근 등의 금속 재질 및 피브이씨(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4본의 직선 바형 서브프레임부재로 구성되며, 각각 4본씩 서브프레임부재가 동일 평면 상에서 사각틀의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각 서브프레임부재의 양 단부는 45°로 경사진 선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의 각 대향면에는, 다수의 대상(帶狀) 리브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직립하여 돌출 형성되는 바, 다수의 리브는 서브프레임부재의 강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두 서브프레임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연결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실내·외 두 서브프레임부재를 연결하되, 두 부재 사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의 폭 방향 일측단부는,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두 리브 사이로 억지끼움식 삽입 결합되며, 폭 방향 타측단부는,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두 리브 사이로 억지끼움식 삽입 결합됨으로써, 대향하는 실내·외 두 서브프레임부재를 한 몸체로 결합시키는 브리지의 역할을 한다.
즉, 대향하는 한 본씩의 실내·외 두 서브프레임부재는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한 본의 복합 프레임부재가 되고,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가 동일 평면 상에서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의 창문 또는 창문틀 프레임을 이루게 되는 바,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부재끼리는 단순 밀착된 상태로 사각틀을 형상을 이루면서,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및 연결부재끼리는 서로 용접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각각 직각을 이루는 두 연결부재 및 두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는 서로 용접됨으로써 그 길이가 축소되는 바, 각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의 길이는 각 실외 서브프레임부재보다 길며, 두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의 양 단부는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의 양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연결부재는,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와 동일한 길이가 될 수도 있으며, 다수로 구성된 후 동일선 상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될 수도 있는 바, 각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다수로 구성되는 경우, 양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외측단부는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와 같이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의 양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의 각 단부에 대한 연결부재와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의 돌출부가 용접에 의해 축소되면서 이격되었던 두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의 두 단부가 서로 밀착된다.
유리창이 없는 창문틀 프레임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이 생략된 상태 즉, 보조프레임을 실내 서브프레임에 일체화하면서 그 실외측 대향면의 상단면이 실외 서브프레임의 실내측 대향면에 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창문 프레임의 경우에도, 보조프레임을 실내 서브프레임에 일체화함으로써 실내·외 서브프레임에 의해 유리창이 직접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상기 보조프레임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실내 서브프레임과 한 몸체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일실시예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를, 도 3에 부분 분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은, 창문 프레임의 경우,
4본의 직선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가 사각틀 형상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밀착되는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21)과;
상기 각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와 각각 대향하는 4본의 직선 바형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용접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22)과;
상기 각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와 이에 대향하는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의 각 대향면에 폭 방향 양 단부가 각각 억지끼움식 결합되며, 동일 평면 상에서 사각틀의 형상으로 이루도록 서로 용접 접합되는 4본의 바형 연결부재(23)와;
상기 각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사각틀의 형상을 하는 4본의 보조프레임부재(24A)로 이루어지며, 실외 서브프레임(21)과 함께 유리창(W')을 지지하는 보조프레임(2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의 창문 프레임은, 고정 창호의 창문틀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유리창(W')이 없는 창문틀 프레임의 경우, 상기 보조프레임(24)은 실내 서브프레임(22)과 한 몸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경우, 실내·외 서브프레임(22)(21)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제조되면서 서로의 대향면 상단부는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실외 서브프레임(21)은 압출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며, 상기 4본의 보조프레임부재(24A)는 용접 결합될 수도 있고, 실내 서브프레임(22)에 억지끼움식 단순 결합 상태일 수도 있으나, 용접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23)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와 실내 서브 프레임부재(22A)의 각 대향면에는 각각 다수의 리브(L)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재(23)는, 각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의 대향면에 돌출된 두 리브(L)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의 상면,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의 리브,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의 리브 및 실외 서브 프레임부재(21A)의 리브,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의 리브, 연결부재(23)의 저면이 순차적으로 부분 적층되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의 각 단부가 서로 걸리도록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재(23)와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시 위하여, 연결부재(23)의 양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G)을 형성시키는 동시에, 각 삽입홈(G)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리브(L')를, 연결부재(23)의 양 면에 각각 밀착되는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의 각 면에 돌출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은,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들로서 실외 프레임과 실내 프레임을 각각 조립하지 않고,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실외 서브프레임부재 1본과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1본을, 1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로 결합한 후,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 4본의 각 대향면에 4본의 연결부재를 각각 억지끼움 결합하는 단계(100)와;
실외 서브프레임부재가 결합된 각 연결부재에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를 억지끼움 결합하여 복합 프레임부재 4본을 제조하는 단계(200)와;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를 사각틀의 형상으로 밀착하는 단계(300)와;
서로 밀착된 연결부재들 및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을 용접하는 단계(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들을 통하여 실·내외 서브프레임이 결합된 후, 실내 서브프레임의 내주면 측으로 유리창을 넣어 유리창의 실외측 면을 실외 서브프레임의 실내측 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보조프레임을 실내 서브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완전한 창문의 조립 완료되며, 서브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보조프레임끼리는 서로 용접될 수도 있고, 용접이 실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은, 서로 밀착시킨 실내 서브프레임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의 접촉면에 얇은 금속판을 삽입한 후, 전기 등을 이용하여 금속판을 가열한 상태에서 금속판을 접촉면 사이로부터 분리하면서 반융융된 두 부재의 접촉면을 압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은, 창호 프레임이 단일 구조가 아닌, 실외측 서브프레임과 실내측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각각이 서로 다른 금속과 함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에 적합한 것으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1본씩의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를 우선 결합시키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 충분히 가능한 바, 프레스 등과 같은 실내·외 서브프레임 제조용 전용 조립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가 절약되며, 나사못 등에 의한 서브프레임부재들의 조립 과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실내 서프프레임부재들 뿐 아니라 연결부재까지도 함께 용접 결합될 뿐 아니라, 연결부재가 개재되어 결합 강도 저하가 없으면서도 단열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4본의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가 사각틀 형상으로 밀착되는 금속 재질의 실외 서브프레임(21)과;
    상기 각 실외 서브프레임부재(21A)와 대향하는 4본의 바형 실내 서브프레임부재(22A)가 용접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서브프레임(22)과;
    상기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의 각 대향면에 폭 방향 양 단부가 결합되어 시각틀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맞닿은 부분이 용접 결합되는 다수의 바형 연결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합금이며, 합성수지는 피브이씨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3)의 양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G)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재(23)의 양 면에 밀착되는 실내·외 서브프레임부재(22A)(21A) 각 면에는, 상기 각 삽입홈(G)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리브(L')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
  4. 바형 실외 서브프레임부재 4본의 각 대향면에 연결부재의 폭 방향 일측단부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100)와;
    각 실외 서브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연결부재의 폭 방향 타측단부에 각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를 결합하여 복합 프레임부재 4본을 제조하는 단계(200)와;
    4본의 복합 프레임부재를 동일 평면 상에서 사각틀 형상으로 밀착시키는 단계(300)와;
    사각틀의 형상으로 각 단부가 서로 밀착된 연결부재들 및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들이 밀착부를 용접하는 단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단계(400)는, 서로 밀착된 두 연결부재와 실내 서브프레임부재 사이에 금속판을 개재시켜 금속판을 가열한 후 금속판을 분리하면서 두 연결부재와 실내 서브프레임부재를 가압하여 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1020070001667A 2007-01-05 2007-01-05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KR10079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667A KR100796192B1 (ko) 2007-01-05 2007-01-05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667A KR100796192B1 (ko) 2007-01-05 2007-01-05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192B1 true KR100796192B1 (ko) 2008-01-21

Family

ID=3921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667A KR100796192B1 (ko) 2007-01-05 2007-01-05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3B1 (ko) 2010-08-02 2012-04-13 김순석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CN103464883A (zh) * 2013-08-15 2013-12-25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平开铝合金门窗生产方法
CN103465029A (zh) * 2013-08-15 2013-12-25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推拉铝合金门窗生产方法
WO2017073925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KR101930473B1 (ko) 2016-11-30 2018-12-17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280A (ja) 1997-05-27 1998-12-08 Tateyama Alum Ind Co Ltd 断熱サッシ
KR19990012863A (ko) * 1997-07-31 1999-02-25 박우대 이중창틀용 이음부재 및 그를 이용한 이중창틀의 조립방법
KR200246676Y1 (ko) 2001-06-18 2001-10-31 이종만 창호 및 창호틀
KR20030093426A (ko) * 2002-06-03 2003-12-11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알루미늄과 목재 그리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 창호및 제작방법
KR200344969Y1 (ko) 2003-11-26 2004-03-1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틀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280A (ja) 1997-05-27 1998-12-08 Tateyama Alum Ind Co Ltd 断熱サッシ
KR19990012863A (ko) * 1997-07-31 1999-02-25 박우대 이중창틀용 이음부재 및 그를 이용한 이중창틀의 조립방법
KR200246676Y1 (ko) 2001-06-18 2001-10-31 이종만 창호 및 창호틀
KR20030093426A (ko) * 2002-06-03 2003-12-11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알루미늄과 목재 그리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복합 창호및 제작방법
KR200344969Y1 (ko) 2003-11-26 2004-03-1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틀의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3B1 (ko) 2010-08-02 2012-04-13 김순석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CN103464883A (zh) * 2013-08-15 2013-12-25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平开铝合金门窗生产方法
CN103465029A (zh) * 2013-08-15 2013-12-25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推拉铝合金门窗生产方法
WO2017073925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KR20170049063A (ko) * 2015-10-28 2017-05-10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KR101947224B1 (ko) * 2015-10-28 2019-02-12 (주)엘지하우시스 복합 소재 창호
KR101930473B1 (ko) 2016-11-30 2018-12-17 김태수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6192B1 (ko)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US10704317B2 (en) Insulated reinforced door panel and door frame with thermal break
KR102209026B1 (ko)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US201800381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KR20160040413A (ko) 알루미늄-합성수지 단열 복합창호
JP2010037873A (ja) 内壁構造
KR100701332B1 (ko) 슈퍼창용 이중단열 프레임
KR102161499B1 (ko) 단열 창짝
JP2008528826A (ja) 断熱窓ユニットに適したサッシバー
KR200438147Y1 (ko)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KR20160113780A (ko) 창문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00070534A (ko) 건물용 복합창호
CN220869174U (zh) 一种密封隔热型复合门窗
CN110644905B (zh) 一种节能型铝合金门窗
CN217402620U (zh) 一种可提高密封及保温性能的空调箱隔热型面板
KR200420873Y1 (ko)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CN203891197U (zh) 铝包木阳光房的竖向或横向构件组装结构
CN217841390U (zh) 一种隔热复合角码
JP6396763B2 (ja) 開口部建材
KR20130066888A (ko)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
CN220555945U (zh) 一种门窗隔热条
CN215671908U (zh) 一种窗框架断桥铝型材结构
KR102102162B1 (ko) 현장 맞춤형 폭조절이 가능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