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676Y1 - 창호 및 창호틀 - Google Patents

창호 및 창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676Y1
KR200246676Y1 KR2020010018216U KR20010018216U KR200246676Y1 KR 200246676 Y1 KR200246676 Y1 KR 200246676Y1 KR 2020010018216 U KR2020010018216 U KR 2020010018216U KR 20010018216 U KR20010018216 U KR 20010018216U KR 200246676 Y1 KR200246676 Y1 KR 200246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s
window
frame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2020010018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676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제조에 대한 비용 및 제조를 위한 시설의 투자비,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또 사용자에 의해서도 쉽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각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2)(4)(6)(8),(12)(14)(16)(18)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창호 및 창호틀에 있어서, 창호(20) 및 창호틀(10)을 이루는 각각의 상기 다수 프레임(2)(4)(6)(8),(12)(14)(16)(18)이,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외측 창호프레임(42)(44)(46)(48)과, 소정 단면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의 압출 성형시 그들의 각 일측면에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42)(44)(46)(48) 및 다수 외측 창호프레임(32)(34) (36)(38)의 각 일측면에 상기한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끼워짐으로써 결할될 수 있는 'T'자형의 홈(60)(62)(64)(6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및 창호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창호 및 창호틀{door and door frame}
본 고안은 창호 및 창호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형태로 형성되는 창호와, 이 창호가 여닫힐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내부 공간을 여닫게 되도록 미닫이형 창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창호는 건축물 벽체에 장착되는 창호틀에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 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2)(4)(6)(8)으로 창호틀(10)을 구성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창호틀(10)의 내측 개구부를 유리창(W)을 갖는 창호(20)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틀(10)은, 그 상,하부 프레임(2)(6) 내측면으로 레일(R)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레일(R)에 접하여 구를 수 있는 다수의 바퀴(도시생략)들을 상기한 창호(20)의 상하단부에 각각 장착하여 창호(20)로 하여금 창호틀(10)에서 원만히 움직여 여닫히게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틀(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2)(4)(6)(8)들은, 대개 그 단면 형태가 일정하게 형성된 길이부재의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창호(20) 역시, 그 단면 형태가 일정하게 길이부재로서의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된 다수의 창호프레임(12)(14)(16)(18)들을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설명되지 않은 부호 '22'는 창호틀(10) 및 창호(20)의 각프레임(2)(4)(6)(8),(12)(14)(16)(18)들을 연장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지칭하고 있다.
그런테, 이와 같은 창호 및 창호틀은, 겨울철 실,내외의 기온 차이에 따라 실내측의 프레임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써 창호가 창호틀에 얼어 붙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창호 및 창호틀로 하여금 각각 전열의 차단기능이 부여된구조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실1988-0016462호에 '단열창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열창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질의 창문바아(16)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착요구에 합성수지재질의 보조바아(102)의 하단을 결착시키고, 보조바아(102) 외면 돌기편으로 목재비드(104)를 결착시키며 창문바아(16)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목재판(106)을 밀어끼워 결합시킨 후 스크류 등으로 창문바아(16)에 고정시키며, 이 위에 내장목재판(108)을 접착시킨 구조의 창호(2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또, 알루미늄재질의 문틀바아(6) 위에 합성수지재 레일바아(110)를 설치하고, 문틀바아(6)의 내측 수직편 상단부가 문틀내장목재(112)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의 창호틀(10)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겨울철 실,내외의 기온 차이에 따라 실내측의프레임(2)(4)(6)(8),(12)(14)(16)(18)면에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창호(20)가 창호틀(10)에 얼어붙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창호 및 창호틀은, 제조가 곤란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에 대한 비용 및 제조를 위한 시설의 투자비 또한 높고, 따라서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조립될 수 없으므로 그 만큼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폭이 좁게 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특별할 가공설비 및 숙련도를 요하지 않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제조에 대한 비용 및 제조를 위한 시설의 투자비,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또 사용자에 의해서도 쉽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폭을 넓히게 되는 창호 및 창호틀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호 및 창호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창호 및 창호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창호 및 창호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단면도이 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4,6,8 : (창호틀의) 프레임
12,14,16,18 : (창호의) 프레임
10 : 창호틀
20 : 창호
32,34,36,38 : 외측 창호틀프레임
42,44,46,48 : 외측 창호프레임
32',34',36',38' : 외측 창호프레임
42',44',46',48' : 내측 창호프레임
50,52,54,56 : 'T'자형의 결합턱
60,62,64,66 : 'T'자형의 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창호 및 창호틀에 있어서, 창호 및 창호틀을 이루는 각각의 상기 다수 프레임이,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 및 다수의 외측 창호프레임과,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의 압출 성형시 그들의 각 일측면에 'T'자형의 결합턱이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재질의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 및 다수 외측 창호프레임의 각 일측면에 상기한 'T'자형의 결합턱이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는 'T'자형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및 창호틀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2)(4)(6)(8),(12)(14)(16)(18)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창호틀(10) 및 창호(20)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한 창호틀(10)의 내측 개구부는 종래에서와 같이, 유리창(G)을 갖는 상기 창호(20)에 의해 개폐되며, 이러한 창호틀(10)은 또, 그 상,하부프레임(2)(6) 내측면으로 레일(R)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레일(R)에 접하여 구를 수 있는 다수의 바퀴들을 상기한 창호(20)의 하단에 각각 장착하여 창호(20)로 하여금 창호틀(10)에서 원만히 움직여 여닫힐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틀(10) 및 창호(20)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2)(4)(6)(8),(12)(14)(16)(18)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태가 일정하게 형성된 길이부재의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되는 외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외측 창호프레임(42)(44)(46)(48)과, 일정한 단면형태를 갖는 길이부재로서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다수의 부호 '22'는 창호틀(10) 및 창호 (20)의 각 프레임(2)(4)(6)(8),(12)(14)(16)(18)들을 연장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지칭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창호틀(10) 및 창호(20)의 각 프레임(2)(4)(6)(8),(12)(14)(16)(18)들은,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알루미늄 재질로 압축 성형되는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외측 창호프레임(42)(44)(46)(48)과,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 내측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재의 다수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의 압출 성형시 그들의 각 일측면에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재질의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외측 창호프레임(42)(44)(46)(48)의 압출 성형시 그들의 각 일측면에, 상기한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는 'T'자형의 홈(60)(62)(64)(66)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후 서로 한 쌍을 이루도록 결합된 창호틀프레임(2)(4)(6)(8)과 창호프레임(12)(14)(16)(18)들은 소정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그 각각의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창호틀(10) 및 창호(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창호 및 창호틀은, 특별한 가공설비 및 숙련도를 요하지 않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제조에 대한 비용 및 제조를 위한 시설의 투자비,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되며, 또 사용자에 의해서도 쉽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각 단부의 연속적인 연결 작업에 따라 사방으로의 폐쇄구간을 갖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프레임(2)(4)(6)(8),(12) (14)(16)(18)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창호및 창호틀에 있어서,
    창호(20) 및 창호틀(10)을 이루는 각각의 상기 다수 프레임(2)(4)(6)(8),(12)(14)(16)(18)이,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외측 창호프레임(42)(44)(46)(48)과, 소정 단면 형태의 긴 길이부재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내측 창호틀프레임(32')(34')(36')(38') 및 다수의 내측 창호프레임(42')(44')(46')(48')의 압출 성형시 그들의 각 일측면에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다수 외측 창호틀프레임(42)(44)(46)(48) 및 다수 외측 창호프레임(32)(34)(36)(38)의 각 일측면에 상기한 'T'자형의 결합턱(50)(52)(54)(56)이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는 'T'자형의 홈(60)(62)(64)(6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및 창호틀.
KR2020010018216U 2001-06-18 2001-06-18 창호 및 창호틀 KR200246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16U KR200246676Y1 (ko) 2001-06-18 2001-06-18 창호 및 창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16U KR200246676Y1 (ko) 2001-06-18 2001-06-18 창호 및 창호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689A Division KR20020096063A (ko) 2001-06-14 2001-06-14 창호 및 창호틀과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676Y1 true KR200246676Y1 (ko) 2001-10-31

Family

ID=7310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16U KR200246676Y1 (ko) 2001-06-18 2001-06-18 창호 및 창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92B1 (ko) 2007-01-05 2008-01-21 주식회사동양강철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92B1 (ko) 2007-01-05 2008-01-21 주식회사동양강철 부분 용접 창호 프레임과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597A (en) Window mounting assembly
KR101511823B1 (ko)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US20080196342A1 (en) Thermal composite window
KR101947224B1 (ko) 복합 소재 창호
CA2794488C (en) Frame members, corner key and assembly method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JPS5943634B2 (ja) 鉛直方向又は水平方向の引違い窓のためのサツシユ構造
US4259813A (en) Plastic window
US20110146160A1 (en) Glazing with encasement pivotally mounted about an axis in a fixed opening frame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246676Y1 (ko) 창호 및 창호틀
KR20020096063A (ko) 창호 및 창호틀과 이들의 제조방법
JP3324416B2 (ja) 断熱形材
JPS6349482Y2 (ko)
KR200241471Y1 (ko) 미닫이 창문
KR200163582Y1 (ko) 복합창호
KR101897149B1 (ko) 창호 조립체
KR20170069311A (ko) 단열미서기창이 일체로 설치된 단열커튼월
KR100538008B1 (ko) 이중창 프레임 구조
KR20160113844A (ko) 창호에 구비된 창짝과 창틀의 단열구조
KR102185534B1 (ko) 가구의 측면 몰딩 결합구조
KR200355664Y1 (ko) 미닫이 문틀 및 창문틀의 조립구조
KR102511338B1 (ko) 복합 창호 프레임 및 그 체결 방법
JP2850088B2 (ja) 四枚建て引き分け窓
KR101368220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