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49B1 -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49B1
KR101897149B1 KR1020170134704A KR20170134704A KR101897149B1 KR 101897149 B1 KR101897149 B1 KR 101897149B1 KR 1020170134704 A KR1020170134704 A KR 1020170134704A KR 20170134704 A KR20170134704 A KR 20170134704A KR 101897149 B1 KR101897149 B1 KR 10189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aling
frame
heat insulat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근영
Original Assignee
(주) 동양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하우징 filed Critical (주) 동양하우징
Priority to KR102017013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Abstract

복수개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호 조립체가 제공된다. 창호 조립체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창문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에 형성되는 레일홈에 삽입 결합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창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밀폐홈에 삽입 결합되어 창문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은 제 1 밀폐부재와 제 2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은 제 1 밀폐부재와 마주보는 제 3 밀폐부재와 제 2 밀폐부재와 마주보는 제 4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밀폐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조립체 {Windows assembly}
본 발명은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등의 성능을 요구한다. 현대에 이르러 하절기 및 동절기에 냉난방의 필요성과 에너지 비용의 증가에 따라 더욱 에너지 절감형 창호의 개발이 필요하다. 단지 겨울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냉기를 차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름철 내부의 냉방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열교차단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의 시스템 창호는 통상 알루미늄으로만 압출하여 창문 샤시를 형성하므로 프레임을 통해서 전달되는 열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 원가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되, 창문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 1 측면 프레임 및 제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 1 창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조립체로서, 상기 제 1 창문이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창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 1 레일홈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레일부재;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1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1 밀폐부; 및 상기 제 1 창문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 1 밀폐홈에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밀폐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 1 레일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창호 조립체는 상기 제 1 창문에 나란하게 슬라이딩되는 제 2 창문; 상기 제 2 창문이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창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 2 레일홈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레일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레일부재;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2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2 밀폐부; 및 상기 제 2 창문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 2 밀폐홈에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 2 레일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밀폐부재 및 상기 제 2 밀폐부재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 1 밀폐부 및 상기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와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2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3 밀폐부와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1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4 밀폐부와 상기 제 3 밀폐부 및 상기 제 4 밀폐부 각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3 밀폐부재 및 제 4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밀폐부재 및 상기 제 4 밀폐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3 밀폐부재는 상기 제 1 밀폐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레일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밀폐부재는 상기 제 2 밀폐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레일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홈은 제 1 슬라이딩 홈 및 제 2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타측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의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홈 사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추가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제 1 중공 단열부재 및 제 2 중공 단열부재와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와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를 연결하되 내부에 단열 조성물을 구비하는 연결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에는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에는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단열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지지홈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2 창문의 타측 단부에는 각각 제 1 단열부재 및 제 2 단열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단열부재는 상기 제 2 창문을 향해 경사지는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열부재는 상기 제 1 창문을 향해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창문과 상기 제 2 창문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면 접촉하여, 상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2 창문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창호 조립체는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창호 조립체를 포함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2 창호 조립체의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프레임;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2 창호 조립체의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난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난간부재는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의 개수를 쉽게 조절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창호 조립체의 내 외부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창호 조립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T자형의 밀폐부재는 측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설치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창호와 달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에 PVC 재질의 밀폐부재를 레일 형태로 쉽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열교차단 성능을 가진다. 이를 통해, 강도와 단열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은 액상의 단열재를 경화시켜 형성된 수지 단열부와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는 중공 단열부를 포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측면 프레임에 모든 밀폐부재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측면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제 1 창문과 제 2 창문의 단열부재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제 1 창문과 제 2 창문의 단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측면 프레임에 모든 밀폐부재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측면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제 1 창문과 제 2 창문의 단열부재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제 1 창문과 제 2 창문의 단열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는 상부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50) 및 측면 프레임(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에는 복수개의 창문(2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창문은 유리를 포함하거나 또는 유리가 제외된 창틀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창문(200)은 일반적인 창문과 창틀의 형태를 포함하며,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창문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 창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은 창호 조립체(1)에 설치된 각 창문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창문(200)은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창문은 창호 조립체(1)에 설치되어, 각 창문의 위치관계에 따라 창문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는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부를 가지는 프레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공부를 통해 공기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중공부에는 열교차단 성능이 우수한 수지형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레임부(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110, 120)은 제 1 수지 단열부(115, 125)와 제 2 수지 단열부(117, 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지 단열부(115, 117, 125, 127)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110, 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열교차단 성능이 우수한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수지 단열부에 형성되는 단열재는 액상 단열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아존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수지 단열부(115, 125) 및 제 2 수지 단열부(117, 127)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중공에 액체 상태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충전 경화시킨 후, 절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충전 경화시켜 단열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 1 수지 단열부(115, 125)와 제 2 수지 단열부(117, 127) 사이에는 중공 단열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중공 단열부(116)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창틀의 내 외부 간 단열 성능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밀폐부재(112, 114, 122, 124)는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중공부에 의해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T형 밀폐부재(112, 114, 122, 12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폐부(111, 113, 121, 12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T자형 밀폐부재(112, 114, 122, 124)는 수지형 단열재로서,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셀룰로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메틸메타크릴 수지 및 폴리비닐크로마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교차단 성능이 우수한 수지형 단열재로 형성되는 밀폐부재(112, 114, 122, 124)와 밀폐부재(112, 114, 122, 124)가 장착되는 프레임 부에는 공기 단열층이 형성되는 중공 단열부(116) 및 또 다른 단열재인 액상의 폴리우레탄수지를 경화시킨 수지 단열부를 구비하여, 창틀의 단열 성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높은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 단열부(116)와 액상의 단열재를 경화시킨 수지 단열부가 형성되어 높은 단열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수지형 단열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112, 114, 122, 124)가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 부에 장착되는 특유의 구성으로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프레임부(10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의 측부에는 측면 프레임(110, 120)이 결합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0, 120)은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측면 프레임을 제 1 측면 프레임(110), 우측에 배치된 측면 프레임을 제 2 측면 프레임(120)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 때,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에는 창문에 형성되는 레일홈에 삽입되어 창문이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재(132, 134, 152, 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레일부재는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창문의 레일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는 상부 프레임(130) 및 하부 프레임(150) 각각에 적어도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의 개수는 창호 조립체(1)에 설치되는 창문(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레일부재의 개수는 창문의 개수에 비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레일부재에 복수개의 창문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레일부재의 개수는 적어도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레일부재에 결합된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기 위한 최소한의 개수이다.
창호 조립체(1)에 설치되는 각 창문은 각 창문에 형성된 레일홈에 각각의 레일부재가 삽입 결합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레일부재를 제 1 레일부재(152), 상부에 배치된 레일부재를 제 2 레일부재(154)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제 1 레일부재(152)에는 제 1 창문(2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2 레일부재(154)에는 제 2 창문(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은 각각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의 이동 방향 길이는 상부 프레임(130) 및 하부 프레임(150)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창문(210)의 우측 단부(212)에는 밀폐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창문(220)의 좌측 단부(222)에는 밀폐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창문(210)의 좌측 단부(214)와 제 2 창문(220)의 우측 단부(224)에는 단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창호 조립체(1)는 창문이 닫힌 경우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창문(210)의 우측 단부(212)는 제 2 측면 프레임(120)에 접촉되고, 제 2 창문(220)의 좌측 단부(222)는 제 1 측면 프레임(110)에 접촉될 수 있다.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 각각의 단열 부재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창호 조립체(1)가 이중으로 설치된 이중창이 도시되는 것으로, 창문과 레일부재의 결합관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제 1 창호 조립체와 제 2 창호 조립체는 연결부재(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70)는 창호 조립체(1) 각각의 측면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수지형 단열재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양끝의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프레임(110, 120) 각각은 내측 및 외측 단부에 창문(200)의 이탈 방지를 위한 가이드 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82)는 상부 프레임(130)과 결합되어,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단부의 가이드 홈(181a)는 창문이 실내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측 단부의 가이드 홈(181b)은 창문이 실외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홈(181a, 181b)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ㄷ' 자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81a, 181b)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182)는 가이드 홈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82)를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부에 창문(200)을 설치한 후 가이드 부재(182)를 가이드 홈(181a, 181b)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는 밀폐부재가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은 제 1 측면 프레임(110)과 제 2 측면 프레임(120)을 포함하며, 각각 밀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측면 프레임(110)과 제 2 측면 프레임(120)는 밀폐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111, 113, 121, 123)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밀폐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부는 제 1 측면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제 1 밀폐부(111, 113)와 제 2 측면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제 2 밀폐부(121, 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모든 이중창 구조에서 모든 밀폐부재가 밀폐부에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밀폐부(111, 113)에는 제 1 밀폐부재(112) 및 제 2 밀폐부재(1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밀폐부(121, 123)에는 제 3 밀폐부재(122) 및 제 4 밀폐부재(124)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밀폐부에는 제 1 내지 제 4 밀폐부재가 모두 결합되거나, 또는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4 밀폐부재(124)가 결합되거나, 또는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3 밀폐부재(1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부재는 제 1 창문(210)의 우측 단부(212)와 제 2 창문(220)의 좌측 단부(222)에 형성된 밀폐홈(22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창문이 닫힌 경우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측면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밀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제 1 측면 프레임(110)에는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2 밀폐부재(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측면 프레임(120)에는 제 3 밀폐부재(122)와 제 4 밀폐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3 밀폐부재(122)는 제 1 레일부재(152)와 연결되며,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4 밀폐부재(124)는 제 2 레일부재(154)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창문(210)이 제 1 레일부재(15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 1 창문(210)이 전부 열리는 경우, 제 1 밀폐부재(112)는 제 1 창문(210)의 좌측 단부(214)에 접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창문(220)이 제 2 레일부재(154)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 2 창문(220)이 전부 열리는 경우 제 4 밀폐부재(124)는 제 2 창문(220)의 우측 단부(224)에 접촉될 수 있다.
반면,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3 밀폐부재(122)는 각각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이 전부 닫힌 경우에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의 밀폐홈(215, 225)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종합하면, 창문이 전부 닫히는 경우,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3 밀폐부재(122)가 밀폐홈(215, 225)에 삽입 결합되어, 창문의 외부와 내부가 단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창문이 닫힐 때 창문의 밀폐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4 밀폐부재(124)는 창호 조립체(1)의 단열성능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밀폐부재(112) 및 제 4 밀폐부재(124)는 제 2 밀폐부재(114) 및 제 3 밀폐부재(122)와 달리 측면 프레임(110, 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144)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3 밀폐부재(122)는 창문이 닫힌 경우 단열을 유지하기 위해 밀폐홈에 삽입되는 돌출형 몸체부(142)를 구비하여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4 밀폐부재(124)는 돌출됨이 없이 측면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I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창호 조립체(1)와 도 4에 도시된 창호 조립체(1)는 단열 성능에 있어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창호 조립체(1)는 도 3에 비해 적은 수의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밀폐부재 중 창호 조립체(1)의 단열성능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부 밀폐부재를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창호 조립체(1)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 조립체(1)는 제 1 내지 제 4 밀폐부재(112', 114, 122, 124')가 모두 설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밀폐부재와 제 4 밀폐부재는 제 2 밀폐부재와 제 3 밀폐부재와 마찬가지로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2 밀폐부재(114) 사이와 제 3 밀폐부재(122)와 제 4 밀폐부재(124') 사이에는 완충부재(184)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84)는 창문과 측면 프레임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창문을 닫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각 밀폐부재(140)와 측면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밀폐부재(140)은 제 1 내지 제 4 밀폐부재(112, 114, 122, 124) 전부를 지칭한다.
먼저, 밀폐부재(140)는 내부에 중공(143)이 형성되는 몸체부(142)와 측면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부재(140)는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14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143)은 창문이 전부 닫힌 경우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전달 계수를 낮추기 위해 내부에 열 전도율이 낮은 유체가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등의 유체는 고체에 비해 열 전도율이 낮다.
이 때, 중공(143)은 몸체부(14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143)에는 몸체부(142)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에 의해 중공(143)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몸체부(142)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는 몸체부(142)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4)는 몸체부(142)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40)는 전체적으로 'ㅗ'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144)는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는 몸체부(142)를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는 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4)는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 사이에 지지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47)은 밀폐부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147)은 측면프레임의 지지부(118)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밀폐부재(140)는 측면 프레임과 다중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는 제 1 슬라이딩 홈(119a)에 결합되고,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는 제 2 슬라이딩 홈(119b)에 결합되고, 지지홈(147)에는 지지부(118)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면 프레임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딩 홈(119a), 제 2 슬라이딩 홈(119b) 및 지지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 홈(119a) 및 제 2 슬라이딩 홈(119b)은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47)에 삽입되는 지지부(118)는 지지홈(14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의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측면 프레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상용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내부 중공부는 창호 조립체(1)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거나, 무게 절감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밀폐부재(140)의 제 1 슬라이딩 부재(146a)와 제 2 슬라이딩 부재(146b) 및 측면 프레임의 지지부(118)에 의해 밀폐부재(140)가 측면 프레임에 슬라이딩되어 착탈 가능하다. 즉, 밀폐부재(14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4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측면 프레임(110)에는 제 1 밀폐부재(112)가 제거되고, 제 2 측면 프레임(120)에는 제 4 밀폐부재(124)가 제거될 수 있다. 즉, 일부의 밀폐부재를 측면 프레임에서 제거하고,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50)을 연결시켜 창호 조립체(1)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측면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는 밀폐부재 중 일부만을 설치하여 창호 조립체(1)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내 외부 단열을 위해서는 제 1 측면 프레임(110)과 제 2 측면 프레임(120) 각각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밀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레일부재(152)에 연결되는 제 1 밀폐부재(112)와 제 3 밀폐부재(12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제 2 레일부재(154)에 연결되는 제 2 밀폐부재(114)와 제 4 밀폐부재(124)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야 한다.
제 1 측면 프레임(110)에 제 1 밀폐부재(112)가 있는 경우 제 2 밀폐부재(114)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측면 프레임(120)에 제 1 밀폐부재(112)에 마주보는 제 3 밀폐부재(122)는 제거되고, 제 4 밀폐부재(124)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소한의 밀폐부재(140)만을 측면 프레임에 결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전술한 창호 조립체(1)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단열형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형 창문은 창문이 닫혀 각 창문이 결합될 때, 각 창문의 틈새를 보완하는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창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창틀에 있어서, 유리부재(216, 226)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면을 전면(218a, 228a)으로, 유리부재(216, 226)와 수직되게 형성되는 면을 측면(218b, 228b)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단열부(230)는 단열부재(232) 및 단열부재(232)와 창틀을 결합하는 결합부재(2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부재(232)는 창틀의 측면과 결합되는 측면부와 및 창틀의 전면과 결합되는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와 전면부는 각각 창틀의 측면 및 전면과 나란하게 결합되며, 단열부재(232)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단열부재(232)는 유리부재(216, 226)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224, 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24, 234)는 전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창호 조립체(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열형 창문 중 어느 하나의 단열형 창문의 경사부는 다른 하나의 단열형 창문의 경사부와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창문이 결합되면, 각 경사부가 접촉되어 창문 사이의 틈새를 막아 내 외부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단열부재(232)와 창틀을 더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36)는 단열부재(232)와 삽입 결합되는 제 1 홈(236a)과 제 2 홈(236b)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홈(236a)과 제 2 홈(236b)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단열부재(232)의 측면부 일측(232a)과 타측(232b)이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창틀에 결합부재(236)를 이용하여 단열부재(232)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1)에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난간부(160)는 제 1 창문(210)과 제 2 창문(220) 사이에 배치되며,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봉부재는 제 1 측면 프레임(110)과 제 2 측면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 봉부재는 적어도 사람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외측에 위치한 제 2 창문(2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람, 특히 어린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40)의 개수를 쉽게 조절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달성함과 동시에 창호 조립체(1)의 내 외부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창호 조립체(1)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창호 조립체 110: 제 1 측면 프레임
120: 제 2 측면 프레임 130: 상부 프레임
140: 하부 프레임 210: 제 1 창문
220: 제 2 창문 112: 제 1 밀폐부재
114: 제 2 밀폐부재 122: 제 3 밀폐부재
124: 제 4 밀폐부재

Claims (12)

  1.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 1 측면 프레임 및 제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1 창문에 나란하게 슬라이딩되는 제 2 창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호 조립체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이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2 창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 1 레일홈 및 제 2 레일홈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레일부재 및 상기 제 1 레일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레일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밀폐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창문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밀폐홈에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레일 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홈은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 각각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 사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의 슬라이딩을 추가로 지지하는 창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는 T자형 또는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창호 조립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2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3 밀폐부와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 1 창문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제 4 밀폐부와 상기 제 3 밀폐부 및 상기 제 4 밀폐부 각각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3 밀폐부재 및 제 4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밀폐부재 및 상기 제 4 밀폐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3 밀폐부재는 상기 제 1 밀폐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레일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밀폐부재는 상기 제 2 밀폐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레일부재에 연결되는 창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밀폐부재는 T자형 또는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창호 조립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재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타측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창호 조립체.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제 1 중공 단열부재 및 제 2 중공 단열부재와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와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를 연결하되 내부에 단열 조성물을 구비하는 연결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에는 상기 제 1 중공 단열부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에는 상기 제 2 중공 단열부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단열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지지홈에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창호 조립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는 창호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2 창문의 타측 단부에는 각각 제 1 단열부재 및 제 2 단열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단열부재는 상기 제 2 창문을 향해 경사지는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열부재는 상기 제 1 창문을 향해 경사지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창문과 상기 제 2 창문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이 면 접촉하여, 상기 제 1 창문 및 상기 제 2 창문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키는 창호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조립체는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창호 조립체를 포함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2 창호 조립체의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프레임;
    상기 제 1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제 2 창호 조립체의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난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난간부재는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창호 조립체.
KR1020170134704A 2017-10-17 2017-10-17 창호 조립체 KR10189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04A KR101897149B1 (ko) 2017-10-17 2017-10-17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04A KR101897149B1 (ko) 2017-10-17 2017-10-17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149B1 true KR101897149B1 (ko) 2018-09-12

Family

ID=6359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704A KR101897149B1 (ko) 2017-10-17 2017-10-17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504A (ko) * 2020-06-18 2021-12-27 황인재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이중 중연창 또는 중중연창 방식 미서기창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62Y1 (ko) * 2000-05-17 2000-11-01 최익규 슬라이딩 창호시스템의 후레임 구조
KR200300529Y1 (ko) 2002-10-02 2003-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결로와 누수 방지 및 마감구조
KR101187561B1 (ko) * 2012-07-24 2012-10-08 김기안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65522B1 (ko) * 2010-11-04 2013-05-20 장혁수 밀착부재와 차폐바를 이용한 밀폐형 창문시스템
KR101446899B1 (ko) * 2014-02-25 2014-10-06 김순석 ㄷ자 형상의 롤러지지대를 구비한 평레일 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62Y1 (ko) * 2000-05-17 2000-11-01 최익규 슬라이딩 창호시스템의 후레임 구조
KR200300529Y1 (ko) 2002-10-02 2003-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결로와 누수 방지 및 마감구조
KR101265522B1 (ko) * 2010-11-04 2013-05-20 장혁수 밀착부재와 차폐바를 이용한 밀폐형 창문시스템
KR101187561B1 (ko) * 2012-07-24 2012-10-08 김기안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1446899B1 (ko) * 2014-02-25 2014-10-06 김순석 ㄷ자 형상의 롤러지지대를 구비한 평레일 창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504A (ko) * 2020-06-18 2021-12-27 황인재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이중 중연창 또는 중중연창 방식 미서기창호
KR102416224B1 (ko) 2020-06-18 2022-07-12 지엘아이 주식회사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이중 중중연창 방식 미서기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090B2 (en) Thermally efficient window assembly
KR101514022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044628B1 (ko) 단열성,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단열창호
KR101506016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
CA2709620C (en) Insulated frame member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CN210178201U (zh) 隔热单边固定纱窗变轨推拉窗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897149B1 (ko) 창호 조립체
KR101630675B1 (ko) 고효율 단열 보강형 창호 구조물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75077B1 (ko) 미서기 창호 및 미서기 창호를 위한 이탈 방지 장치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US10731400B2 (en) Door panel and door panel connection assembly for a patio door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0538761B1 (ko) 2중 열교차단재를 이용한 단열창호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1598521B1 (ko) 커튼월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130001975U (ko)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KR101708286B1 (ko)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210051505A (ko) 창짝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1368220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