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467B1 -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467B1
KR100795467B1 KR1020067021637A KR20067021637A KR100795467B1 KR 100795467 B1 KR100795467 B1 KR 100795467B1 KR 1020067021637 A KR1020067021637 A KR 1020067021637A KR 20067021637 A KR20067021637 A KR 20067021637A KR 100795467 B1 KR100795467 B1 KR 10079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weight
fishing line
settl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683A (ko
Inventor
유이치 하마데
도모히로 미키
미노루 나리타
히로유키 요시노
데쓰야 후지와라
히로시 이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자이단호진 하코다테치이키산교신코자이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자이단호진 하코다테치이키산교신코자이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6702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4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 없이, 빠르게 추를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추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추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추, 사이클 수, 침강속도, 감속수단

Description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weight}
본 발명은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추를 침강시킬 때에 사용되는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 낚시를 행할 때에는 연결바늘의 선단에 추를 단 낚싯줄을 드럼에 감아 끼고 그 드럼을 오징어낚시기 본체로 감아내리고 감아올려서 오징어를 어획한다. 오징어낚시기의 감아내림, 감아올림의 사이클 수는 어획에 크게 영향을 주고 단순히 사이클 수가 많은 쪽이 낚싯바늘에 오징어가 걸릴 확률을 높이기 때문에, 어업자는 1회라도 많은 사이클 수의 증가를 바란다. 일반적으로는 오징어낚시기 한 대에 대하여 1일당 200회에서 300회 정도의 사이클 수로 행하여지고 있다.
추의 제어장치에는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한 쌍의 회전 드럼을 적당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을 감아올리고 감아내린다.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회전드럼의 드럼축 사이에는, 추의 침강시에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 웨이(한 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있다. 원 웨이 클러치는 감아올리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고, 감아내리는 방향으로는 구동모터의 회전 수 이상으로 돌지 않도록 구성한 클러치를 말한다. 즉, 모터축의 회전속도가 드럼축보다 빠른 경우에는 드럼축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드럼축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배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추가 원활하게 침강하지 않는 경우, 회전 드럼이나 롤러로부터 낚싯줄이 빠지는 줄 늘어짐의 문제 등이 생기고 만다. 그 때문에, 낚싯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모터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 오징어낚시기의 제어장치는, 특허문헌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 '샤쿠리(저킹, Jerking)’라 불리는 유인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있었다. 이 샤쿠리의 제어는 직접 오징어낚아올리기에 관계되기 때문에 조업 효율의 향상에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낚싯줄을 감아내릴 때의 제어는 목적하는 수심까지 어구를 침강시킬 뿐이며 중요시되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종래 추의 제어방법은 낚싯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 채 감아 내려지도록, 단순히 드럼축의 회전속도보다도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설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추의 제어방법은 추의 침강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하는 수심까지 추를 침강시키는 데에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감아내림, 감아올림의 사이클 수의 증가로 연결되지 않고 조업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추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종래 추의 제어방법은, 추의 침강속도를 소정의 수심으로 절환하여 행하는 것이었다. 즉, 추의 침강속도를 어느 고정속도로부터 다른 고정속도로 불연속적으로 절환하는 것이었다.
종래 추의 제어방법을 도 14의 플로차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스텝 31(S31)에 있어서, 낚싯줄의 감아내림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32(S32)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속도 v3이 되도록 지령한다. 다음으로, 스텝 33(S33)으로 이행하여, 추의 심도가 수심 L5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33(S33)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34(S34)로 이행하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v4로 지령한다. 스텝 33(S33)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35(S35)로 이행하고 추의 심도가 수심 L6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35(S35)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36(S36)으로 이행하고 감아내림동작을 종료한다. 스텝35(S35)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추는 목표심도인 수심 L7까지 침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의 경우에는,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와는 관계없이 속도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필요 이상으로 추의 침강속도가 제어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추를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데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속도에서 고정속도로의 2단계 절환이기 때문에,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대응한 세세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제어방법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v3, v4나, 심도 L5의 수치는, 실제로 사용하는 어업자의 감이나 경험에 의지해 설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수치를 설정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 었다.
특허문헌1 : 특개2002-291388호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신속하게 추를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킬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서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즉, 추의 침강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기 때문에,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킨 것과 같은 정도의 속도로 추를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최고속도유지수단, 및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도달한 후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서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는,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추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추의 침강속도가 감소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기 때문에,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킨 것과 같은 정도의 속도로 추를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 제어방법은,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최고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최고속도유지수단,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도달한 후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 상기 추가 상기 속도일정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일정치 또는 그 근방에 유지하는 저속도유지수단, 및 상기 추가 소정 심도에 도달한 경우에 추의 침강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서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는,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추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추의 침강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 경향에 따라서 감속시키기 때문에,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킨 것과 같은 정도의 속도로 추를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속도일정영역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일정치 또는 그 근방에 유지하기 때문에, 추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 추의 속도변화가 그리는 증가곡선을 따라 침강속도를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기까지 증속하는 증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서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는, 증속수단에 의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추의 속도변화가 그리는 증가곡선을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면서 증속하기 때문에,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정치 및 그 근방은 상기 일정치의 90 ~ 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수치로서 추를 빠르게 침강시키며, 또한 낚싯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값이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최고속도 및 그 근방은 상기 최고속도의 90 ~ 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수치로서 추를 빠르게 침강시키며, 또한 낚싯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값이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감속수단이 추의 침강속도를 직선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간단한 제어방법에 의해 추의 침강속도를 감속경향에 따르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추의 위치가 낚싯줄의 조출(繰出) 길이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추의 위치를 낚싯줄의 조출 길이로부터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추가 달린 낚싯줄을 풀어내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드럼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낚싯줄의 조출 길이를 검지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지되어 얻어진 상기 조출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조출 길이가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근거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회전드럼으로부터 풀려나간 낚싯줄을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에 있어서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속시키기 때문에,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에 가까운 속도로 추를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장치는 추가 달린 낚싯줄을 풀어내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드럼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낚싯줄의 조출 길이를 검지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지하여 얻어진 상기 조출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출 길이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 추의 속도변화가 그리는 증가곡선을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기까지 증속하는 증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근거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회전드럼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낚싯줄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추를 소정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의 속도변화가 그리는 증가곡선을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기까지 증속하기 때문에, 추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근거하여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도 없다. 또한, 추를 소정의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징어잡이기의 감아올림, 감아내림의 사이클 수가 증가하고,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 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근거하여 그 속도변화에 대응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추를 소정의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오징어잡이기의 감아올림, 감아내림의 사이클 수가 증가하고,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형태2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형태2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한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한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한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추의 제어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추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추의 제어장치 10 제어장치본체 11 추
12 낚싯줄 13 낚싯바늘 14 회전 드럼
15 구동모터 16 감속 수단 17 롤러
18 유망 20 제어부 21 입력수단
211 통신수단 212 KEY 213 외부누름버튼
214 디스플레이 215 비상정지 스위치 216 인코더
22 인터페이스 회로 23 제어수단 231 CPU
232 FLASH ROM 233 RAM 24 파워부
S 오징어잡이 배 v1 ~ v4 속도 Vmax 최고속도
Vc 일정치 L0 ~ L7 수심 A 해면
B~D 수심 X 속도증가영역 Y 속도감소영역
Z 속도일정영역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 및 그 것을 이용한 추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는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본체(10)에는 한 쌍의 회전드럼(14)이 부착되어 있다. 제어장치본체(10)에는 구동모터(15)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모터(15)에 의해 한 쌍의 회전드럼(14)을 적당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추(11)가 달린 낚싯줄(12)을 감아올리거나 감아내린다. 그리고, 구동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회전드럼(14)의 회전속도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회전드럼(14)과의 사이에 유망(18)이 배치되도록 롤러(17)가 마련되어, 롤러(17)가 바다 위에 위치된다. 추(11)가 달린 낚싯줄(12)은 롤러(17)에 의해 가이드되어 감아올려지거나 감아내려진다. 그리고, 낚아 올려진 오징어는 유망(18)에 떨어진 것이 선내에 수용된다.
이렇게 추의 제어장치(1)는 오징어잡이배(S)의 좌현 및 우현에 복수개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이들 복수개의 추의 제어장치(1)는 집중제어장치에 의해 집중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있다.
낚싯줄(12)은 낚싯바늘(13)을 오징어 떼가 존재하는 영역까지 침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선의 와이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낚싯줄(12)의 선단부에는 낚싯바늘(13)이 마련되어 있다. 낚싯바늘(13)로는, 일반적으로, 가지바늘과 연결바늘이 있다. 가지바늘은 오징어의 부착성에 관하여 유리하다. 예를 들어, 감아올리는 과정에 있어서 오징어가 찢어져 동체부분은 낙하하고 촉수부분만이 감겨 올라오는 일이 있는, 소위 촉수가 약한 붉은 오징어 등에 관해서도 확실하게 낚아 올릴 수가 있다. 한편, 연결바늘은 감겨 올라온 오징어가 유망이 있는 곳에서 자동적으로 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지바늘과 비교하여 해수 중에서의 저항이나, 회전드럼, 롤러부분을 통과할 때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감아 내릴 때에는 빠르게 추를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낚싯바늘(13)로서 복수의 연결바늘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연결바늘은 실제로 조업하는 해역 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낚싯줄(12)의 선단부에 약 30 내지 50m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12)의 최선단부에는 추(11)가 달려있다. 추(11)는 달구형, 육각형, 가지형 등 여러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본래 추가 침강해야 하는 방향인 연직방향과 추의 축선과의 각도차(추각도)가 항상 0도 부근에 복원하도록 하는 복원 모멘트를 발생하는 형상, 또는 구조를 구비하여, 항력이 작은 자세로 안정되게 수중에 침강하는 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추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서로 직각인 두 개의 투영면에 있어서, 추의 중심보다 상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U와, 중심보다 하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D의 비를 k=MU/MD 로 한 경우에, 2.3≤k≤5.0을 만족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수중을 침강할 때의 자세를 안정시켜 사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추의 주행거리를 짧게 하고 단시간에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조류에 떠내려가지 않고 목적하는 장소에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추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서로 직각인 두 개의 투영면에 있어서, 추의 중심보다 상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U와, 중심보다 하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D의 비를 k=MU/MD 로 한 경우에, 2.3≤k≤5.0을 만족시키고, 추의 하부를 날개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수중을 침강할 때의 침강 자세를 항력이 작은 방향으로 안정시킴으로써, 단시간에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조류에 떠내려가지 않고 목적하는 장소에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추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서로 직각인 두 개의 투영면에 있어서, 추의 중심보다 상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U와, 중심보다 하부의 투영면적의 일차 모멘트 MD의 비를 k=MU/MD 로 한 경우에, 2.3≤k≤5.0을 만족하고, 추의 하부에는 추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부재와는 별개의 안정화부재를 추의 상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수중을 침강할 때의 침강자세를 항력이 작은 방향으로 안정시킴으로써, 단시간에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조류에 떠내려가지 않고 목적하는 장소에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드럼(14)은 낚싯줄(12)을 풀어내기 위한 것으로, 낚싯줄(12)을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리는 동작을 행한다. 회전드럼(14)으로는 원형드럼이나 마름모형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원형드럼은, 감아 내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낚싯줄(12)과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추를 빠르게 침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름모형 드럼은 ‘샤쿠리(저킹, Jerking)’ 동작을 설정할 때에 유리하며 오징어를 유인할 때에 뛰어나다.
구동모터(15)는 회전드럼(14)을 적당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15)의 구동력은 구동모터(15)에 부착된 감속수단(16)을 개재하여 회전드럼(14)에 전달된다.
또한, 감속수단(16)은 구동모터(15)의 모터축과 회전드럼(14)의 드럼축 사이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는 원 웨이 클러치가 마련되어있다. 원 웨이 클러치는 감아올리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고, 감아 내리는 방향으로는 구동모터(15)의 회전수 이상으로는 돌지 않도록 구성한 클러치이다. 즉, 모터축의 회전속도가 드럼축보다 빠른 경우에는 드럼축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12)을 필요 이상으로 풀어 내지 않도록 제한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수단(21), 인터페이스회로(22), 제어수단(23)이 마련되어 있다. 입력수단(21)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개재하여 제어수단(23)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23)은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파워부(24)를 개재하여 구동모터(15)에 대하여 속도지령을 행한다.
제어수단(23)은 CPU(231), FLASH ROM(232), RAM(233)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231)는 인터페이스회로(22)를 개재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파워부(24)를 개재하여 구동모터(15)에 대하여 속도지령을 행한다.
입력수단(21)은 주로 인코더(216) 및 KEY(212)로 구성되어 있다. KEY(212)는 추의 침강속도나 낚싯줄의 조출(繰出) 길이 등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KEY(212)에 의해 입력된 소정의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214)에 표시된다. 또한, 인코더(216)는 드럼축의 회전수를 읽어내는 것으로, CPU(231)에 입력된 드럼축의 회전수는 낚싯줄(12)의 조출 길이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추(11)의 심도가 후술하는 속도증가영역(X), 속도감소영역(Y), 속도일정영역(Z) 중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된다.
또한, 입력수단(21)에는 외부누름버튼(213)도 설치되어 있고, 외부누름버튼(213)에 의해 구동모터(15)의 동작을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입력수단(21)에는 비상정지스위치(215)가 마련되어 있고, 트러블 발생시에는 CPU(231)가 파워부(24)로의 속도지령을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통상은 통신수단(211)을 개재하여 집중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어있고, 집중제어장치에 의한 지령에 의해 동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의 제어장치(1)를 사용하여, 실제로 추의 침강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의 속도에 따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뒤에, 그들 영역에 대응하여 추의 침강속도를 변화시켜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것이다.
우선, 추의 속도에 따른 복수의 영역 구분은 이하에 나타낸 대로 행한다. 본 발명자는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처음으로 찾아내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침강곡선을 그리는 것을 명백히 했다. 낚싯줄(12)의 선단부에는 연결바늘이 부착되어있고, 최선단부에는 추(11)가 부착되어 있다. 낚싯줄(12)은 회전드럼(14)에 감겨 있고 롤러(17)를 개재하여 해수 중에 드리워진다.
본 발명의 추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몇 개의 구간은 낚싯줄(12)에 부착된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해면(A)으로부터 목적하는 수심을 향하여 속도증가영역(X), 속도감소영역(Y), 속도일정영역(Z)으로 구분한 것이다.
속도증가영역(X)은 추(11)가 해면(A)에 투입되고 나서 추(11)에 주어지는 중력에 의해 가속되어 최고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이것은, 해면(A)에 투입되고 나서 초기는 낚싯바늘(13)의 일부가 수중에 침강하고 있을 뿐 낚싯바늘(13)에 대하여 물의 저항이 작기 때문에, 추(11)가 가속되면서 침강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가속된 추(11)는 수심(B)에 있어서 최고속도(Vmax)에 도달한다.
계속해서, 속도감소영역(Y)은 속도증가영역(X)에 이어서 추(11)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영역을 나타낸다. 추(11)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이유로서는, 낚싯바늘(13)이 회전드럼(14) 및 롤러(17)를 통과할 때의 저항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추(11)의 침강에 따라 낚싯바늘(13)의 대부분이 수중에 침강하기 때문에, 낚싯바늘(13)이 받는 저항이 커서 추(11)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속도일정영역(Z)은 속도감소영역(Y)에 이어서 추(11)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Vc)로 수렴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수심(C)에서 수심(D)의 범위이다. 이것은 낚싯줄(12)나 낚싯바늘(13)이 받는 저항력이 감소하여, 추(11)에 부여되는 중력과 거의 같은 정도로 되어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낚싯바늘(13)이 회전드럼(14)나 롤러(17)에 감겨 있지 않기 때문에, 회전드럼(14)이나 롤러(17)로부터 받는 저항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 영역에 있어서는, 낚싯줄(12)의 조출 길이는 증가하기 때문에 물에 의해 낚싯줄(12)이 받는 저항은 커지지만 추(11)의 속도는 대략 일정치(Vc)로 수렴된다. 이것은 낚싯줄(12)이 회전드럼(14)이나 롤러(17)를 통과할 때의 저항력이, 낚싯바늘(13)이 물로부터 받는 저항력과 비교하여 작은 것이기 때문에, 추(11)의 속도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영역에 따라서 추의 침강속도를 변화시켜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추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도 5에는, 추의 침강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구동모터(15)에 지령하는 속도 v1 내지 v2에 관하여도 덧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11(S11)에 있어서, 낚싯줄(12)을 감아 내리는 동작이 개시된다. 이 동작에 의해, 추(11)는 해면(A)으로부터 해수 중에 투입된다. 또한, 낚싯줄(12)의 조출 길이는 추(11)가 해면(A)에 위치한 때를 기준(0)으로 측정한다.
스텝 12(S12)의 고속도유지수단에 있어서,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를 미리 설정된 속도 v1이 되도록 지령한다. 또한, 스텝 12에 있어서는 속도 v1을 최고속도 Vmax 또는 그 근방으로 설정하지만, 추(11)를 해면(A)에 투입한 초기는,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와 마찬가지로 가속되어 침강하고, 속도 v1에 도달하면 스텝 12(S12)의 고속도유지수단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속도 v1은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에 도달하는 최고속도 Vmax 또는 그 근방으로 한다. 또,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추를 가능한 한 빠르게 침강시킨다는 관점에서, 속도 v1은 상기 최고속도 Vmax의 90~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텝 13(S13)로 이행하여, 추(11)의 심도가 수심 L1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13(S13)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14(S14)로 이행하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감속 처리된다. 스텝 13(S13)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수심 L1은 추의 침강속도를 감속시키는 변곡점에 해당하고, 속도감소영역(Y) 내의 수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수심 L1은, 전술한 스텝 12(S12)에서 설정되어 있는 속도 v1이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에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추의 속도를 넘지 않는 수심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추의 속도가 최고속도의 90~100%에 상당하는 속도에 도달하는 수심을 L1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14(S14)의 감속처리에 있어서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를 하기의 수식1에 근거하여 직선적으로 감속처리하고 추의 침강속도를 감속시킨다.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경우, 속도는 감소 경향으로 바뀌고 감소곡선을 그린다.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는 이 감소곡선을 따라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가 감소곡선에 대하여 작은 값인 경우에는 추의 침강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어 추의 침강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가 감소곡선에 대하여 큰 값인 경우에는, 낚싯줄(12)의 당김이 느슨해져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지령속도는 추의 속도를 넘지 않도록, 또한 감소곡선을 따르는 속도가 되도록 수식1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1)
지령속도=(속도v1-속도v2)/((수심L2-수심L1)/(수심L2-추의 심도))+속도v2
이어서, 스텝 15(S15)로 이행하여, 추의 심도가 수심 L2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15(S15)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16(S16)으로 이행하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속도 v2가 되도록 지령한다. 스텝 15(S15)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수심 L2는 추의 침강속도를 감속으로부터 일정치로 유지하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수심 L2는 실제로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킨 데이터로부터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낚싯바늘(13)이 달려 있는 길이를 L2로 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텝 16(S16)의 저속도유지수단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속도 v2가 되도록 지령한다. 즉, 추의 침강속도는 스텝 16의 저속도유지수단에 의해 속도 v2로 제한된다. 또한, 속도 v2는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에 속도가 수렴되는 일정치 Vc 또는 그 근방으로 한다. 또한,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또한 추를 가능한 한 빠르게 침강시킨다는 관점에서, 속도 v2는 상기 일정치 Vc의 90~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 v2가 Vc의 100%에 상당하는 속도를 넘을 경우에는, 낚싯줄(12)의 당김이 느슨해져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경우에는 일정치 Vc로 수렴하지만, 통상 어느 정도 진폭을 가진 범위 내에서 변동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값으로 v2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중심위치에 따른 추를 사용하면, 진폭이 작고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치 Vc의 100%에 상당하는 속도에 가까운 설정치를 속도 v2로 채용할 수가 있다. 전술한 추는, 본래 추가 침강해야 하는 방향인 연직방향과 추의 축선과의 각도차(추각도)가 항상 0도 부근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복원 모멘트가 발생되기 때문에, 속도의 진폭이 작고 안정된 속도로 침강해가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17(S17)로 이행하여, 추의 심도가 수심 L3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17(S17)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18(S18)의 정지수단으로 이행하고, 감아내림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17(S17)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이 일련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추(11)는 목표수심인 수심 L4까지 빠르게 침강한다.
실시형태1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에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낚싯줄(12)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추(11)를 소정 심도까지 빠르게 침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속도증가영역(X)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최고속도 Vmax 또는 그 근방에 설정한 속도 v1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추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추의 침강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경향(Y)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 경향에 따라서 감속시키기 때문에,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킨 것과 같은 정도의 속도로 추(11)를 침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낚싯줄(12)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속도일정영역(Z)에 있어서는, 추의 침강속도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일정치 Vc 또는 그 근방에 설정한 속도v2에 유지하기 때문에, 추(11)를 빠르게 침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낚싯줄(12)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하여 도 7,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은,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추가 속도증가영역에 위치할 때에 증속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의 제어장치(1)의 구성 등에 관하여서는 실시형태1에 준한다. 또한, 추의 속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에 관하여도 실시형태1에 준한다.
추의 속도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에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변화시켜 소정의 심도까지 침강시키는 추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스텝 21(S21)에 있어서, 낚싯줄(12)을 감아내리는 동작이 개시된다. 이 동작에 의해, 추(11)는 해면(A)으로부터 해수 중에 투입된다. 또한, 낚싯줄(12)의 조출 길이는 추(11)가 해면(A)에 위치할 때를 기준(0)으로서 측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22(S22)의 증속처리에 있어서 구동모터(15)의 회전속도를 하기의 수식2에 근거하여 직선적으로 증속한다.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경우, 속도는 가속되어 증가곡선을 그린다.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는 이 증가곡선을 따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가, 증가곡선에대하여 작은 값인 경우에는 추의 침강이 필요 이상으로 제한되어 추의 침강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 줄 늘어짐 등의 문제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수식2)
지령속도=속도v1-(속도v1/(수심L1-수심L0)/(수심L1-추의 심도))
이어서, 스텝 23(S23)으로 이행하여, 추(11)의 심도가 수심 L0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23(S23)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24로 이행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속도 v1으로 유지된다. 스텝 23(S23)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수심 LO는 속도증가영역 내에 있어서 추의 침강속도가 최고속도의 근방에 다다른 수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추의 속도가 최고속도의 90~100%에 상당하는 속도에 도달하는 수심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24(S24)의 고속도유지수단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속도 v1이 되도록 지령한다. 이 지령에 의해, 추의 침강속도는 속도 v1으로 유지된다. 속도 v1은 추(11)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에 도달하는 최고속도Vmax 또는 그 근방으로 한다. 또한,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추를 가능한 한 빠르게 침강시킨다는 관점에서, 속도 v1은 상기 최고속도 Vmax의 90~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텝 25(S25)로 이행하여, 추(11)의 심도가 수심 L1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25(S25)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26(S26)으로 이행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감속 처리된다. 스텝 25(S25)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수심 L1의 설정 등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형태1의 스텝 13(S13)에 준한다.
스텝 26(S26)의 감속처리에 있어서, 구동모터(15)로의 지령속도는 직선적으로 감속 처리된다. 감소처리의 방법 등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형태1의 스텝 14(S14)에 준한다.
이어서, 스텝 27(S27)으로 이행하여 추의 심도가 수심 L2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27(S27)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28(S28)의 저속도유지수단으로 이행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가 속도 v2가 되도록 지령한다. 스텝 27(S27)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수심 L2의 설정 등에 관하여는 상기 실시형태1의 스텝 15(S15) 및 스텝 16(S16)에 준한다.
그리고, 스텝 29(S29)로 이행하여, 추의 심도가 수심 L3에 도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29(S29)에서 YES일 때에는 스텝 30(S30)의 정지수단으로 이행하여 감아내림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29(S29)에서 NO일 때에는 상기 판별을 반복한다. 이 일련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추(11)는 목표수심인 수심 L4까지 빠르게 침강한다.
실시형태2의 추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1에 관한 추의 제어방법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동시에, 속도증가영역(X)에 있어서 줄 늘어짐 등의 문제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1 및 2에서는 낚싯줄의 조출 길이에 근거하여 감속처리나 저속유지수단으로 이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추가 해수 중에 투입되고 난 후 경과시간에 근거하여 마찬가지의 판단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1 및 2에서는, 감속수단이 추의 침강속도를 직선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있었으나, 수식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계단형상, 오목곡선형상, 볼록곡선형상, 요철곡선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2에서는 증속수단이 추의 침강속도를 직선적으로 증속시키는 것이었지만, 마찬가지로 수식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계단형상, 오목곡선형상, 볼록곡선형상, 요철곡선형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추의 침강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1 및 2에서는, 낚싯줄(12)의 조출 길이로부터 추의 위치를 검지하여 추의 제어를 행하고 있으나, 추의 위치를 추의 침강속도로부터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감속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인코더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의 추의 침강속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얻어진 추의 침강속도가 미리 정한 설정속도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추(11)가 속도감소영역(Y)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감속처리를 개시한다. 감속처리를 개시하는 설정속도는 90~95%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추의 침강속도에 근거하여 리얼타임으로 추의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밖에는 낚싯줄의 장력을 계측하여, 추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감속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낚싯줄의 장력에 근거하여, 낚싯줄의 장력이 미리 정한 설정치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추(11)가 속도감소영역(Y)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감속처리를 개시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낚싯줄의 당김의 상태와 추의 침강속도와의 밸런스를 판단하고, 리얼타임으로 감속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1 및 2에서는, 낚싯바늘(13)로서 연결바늘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연결바늘과 가지바늘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가지바늘을 복수개로 이루어진 연결바늘의 아래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이하의 방법에 의해, 추의 침강시험을 행하였다.
사용한 추는 주철제인 것(질량1125[g], 체적155.9[㎤], 밀도7.2[g/㎤])이다. 추는 낚싯줄의 최선단에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낚싯바늘에는, 연결바늘을 사용하고 있고, 낚싯줄의 선단 40m에 걸쳐 부착되어져 있다.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는 도 9에 나타낸 대로이다. 낚싯줄의 조출 길이가 0m ~ 15m인 사이는 속도증가영역(X)에 해당하고, 추의 속도는 최고속도가 되는 3.3m/s에 도달한다. 그리고, 낚싯줄의 조출 길이가 15m ~ 40m인 사이는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Y)에 해당하고, 추의 속도는 3.3m/s에서 2.4m/s로 감소한다. 그리고 40m ~ 100m인 사이는 추의 속도가 대략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Z)에 해당하고, 추의 속도는 2.4m/s로 거의 안정된다.
상기 결과에 따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의 제어를 행하였다. 해수 투입 후의 초기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3.1m/s(=140rpm)로 했다. 그리고, 수심 L1으로부터 L2에 있어서의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3.1m/s에서 2.4m/s(=110rpm)가 되도록 감속했다. 그리고 수심 L2에서 수심 L3의 사이는 2.4m/s로 설정했다. 또한, 수심 L1은 속도감소영역에 도달한 후의 25m로 하고, 수심 L2에 관하여는 낚싯바늘이 부착되어 있는 길이인 40m로 설정했다.
전술한 제어방법에 근거하여 추의 침강을 제어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한, 도 10의 구동모터에 대한 지령속도는 대응하는 추의 침강속도로 변환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도 10에서 명백하듯이 설정치 대로 제어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추의 해수투입으로부터 목표한 수심 100m까지 침강시간은 43초였다. 또한, 줄 늘어짐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2)
다음으로, 실시예2로써, 증속처리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에 근거하여 추의 제어를 행하였다. 또한, 추는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해수투입 후의 초기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는 증속처리를 행하고, 수심 L0에 있어서 3.1m/s(=140rpm)가 되도록 직선적으로 증속시켰다. 그리고, 수심 L0에서 수심 L1 사이에서는 3.1m/s로 유지했다. 나아가, 수심 L1부터 L2에 있어서의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3.1m/s에서 2.4m/s(=110rpm)가 되도록 감속했다. 그리고 수심 L2에서 수심 L3의 사이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2.4m/s로 설정했다. 또한 수심 L0은 속도증가영역 내의 12m로 설정하고, 수심 L1은 속도감소영역에 도달한 후의 25m로 하고, 수심 L2에 관하여는 낚싯바늘이 부착되어져 있는 길이인 40m로 설정했다.
전술한 제어방법에 근거하여 추의 침강을 제어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1중의 구동모터에 대한 지령 속도는 대응하는 추의 침강속도로 변환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도 11에서 명백하듯이 설정치 대로 제어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추의 해수 투입으로부터 목표한 수심 100m까지의 침강시간은 44초였다. 또한, 줄 늘어짐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1)
이어서, 비교예1로써 종래의 제어방법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추는 실시예1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해수 투입 후 초기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2.1m/s(97rpm)(도 12의 v3)로 하고, 40m에서 속도를 절환하고, 낚싯줄의 조출 길이가 40 ~ 100m인 사이에서는 2.0m/s(90rpm)(도 12의 v4)로 설정했다.
전술한 제어방법에 근거하여 추의 침강을 제어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서 명백하듯이 설정치 대로 제어되고 있으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의 곡선과는 최대 1.1m/s의 차이가 생기고 있었다. 이 때문에, 추의 침강속도가 과도하게 제한되어 있어, 추의 해수 투입으로부터 목표한 수심까지의 침강시간은 51초로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도 12 중의 구동모터에 대한 지령속도는, 대응하는 추의 침강속도에 절환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빠르게 추의 해수투입으로부터 목표한 수심까지 침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빠르게 침강시킬 뿐만 아니라, 줄 늘어짐 등의 문제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상기 결과에 근거하여, 실제로 오징어잡이 배에 본 발명의 추의 제어장치를 사용한 경우, 감아올림, 감아내림의 사이클 수가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를 검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의 제어장치 13대를 설치한 배에서 10시간 조업한 경우의 감아올림, 감아내림의 사이클 수를,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비교예1로 비교했다. 감아올림 시간은 80초로 가정했다. 이 때문에, 1사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은 실시예1 및 2에 있어서는 각각 123초, 124초, 비교예1에 있어서는 131초가 된다. 따라서, 1대 당 사이클 수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는 각각 292회/대, 294회/대, 비교예1에서는 274회/대이며,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오징어잡이기 1대의 단위 시간당 조업 효율이 현격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배 1척 당으로 치환하여 실시예1과 비교예1을 비교하면, 사이클 수가 오징어잡이기 1대분의 조업량에 필적하는 234회나 많아, 현격한 조업효율의 향상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추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는, 오징어잡이기의 감아올림, 감아내림의 사이클 수를 크게 증가시켜 조업 효율을 현격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오징어잡이의 조업에 알맞게 사용된다.

Claims (15)

  1.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서 감소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추의 제어방법.
  2.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유지하는 고속도유지수단, 및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도달한 후에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서 감속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는 추의 제어방법.
  3.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 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한 추의 침강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유지하는 고속도유지수단, 상기 추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도달한 후에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서 감속시키는 감속수단, 상기 추가 상기 속도일정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일정치 또는 그 근방에 유지하도록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유지하는 저속도유지수단, 및 상기 추가 소정 심도에 도달한 경우에 추의 침강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추의 제어방법.
  4. 낚싯줄에 달린 추를 해면에서 소정 심도까지 침강시킬 때에 상기 추의 침강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 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일정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추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있어서 추의 속도 변화가 그리는 증가 곡선을 따라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기까지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증속하는 증속수단을 포함하는 추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추의 침강속도를 일정치 또는 그 근방으로 유지할 때, 그 근방은 상기 일정치의 90 ~ 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6. 제2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의 침강속도를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으로 계속해서 유지할 때, 상기 그 근방은 상기 최고 속도의 90 ~ 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추의 침강속도를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으로 계속해서 유지할 때, 상기 그 근방은 상기 최고 속도의 90 ~ 100%에 상당하는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속 수단은 추의 침강속도를 직선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감속 수단은 추의 침강속도를 직선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의 위치가 낚싯줄의 조출 길이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추의 위치가 낚싯줄의 조출 길이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추의 위치가 낚싯줄의 조출 길이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추의 위치가 낚싯줄의 조출 길이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의 제어방법.
  14. 추가 달린 낚싯줄을 풀어내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드럼에 대해서 한 쪽 방향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낚싯줄의 조출 길이를 검지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지되어 얻어진 상기 조출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시켰을 때의 속도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출 길이가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속도를 상기 감소 경향에 따라 감소시키는 감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추의 제어장치.
  15. 추가 달린 낚싯줄을 풀어내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상기 회전드럼에 대하여 한 쪽 방향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낚싯줄의 조출 길이를 검지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지되어 얻어진 상기 조출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를 자중에 맡겨서 침강 시켰을 때의 속도 변화를, 추가 해면에 투입되고 나서 가속되어 최고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속도증가영역,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감소 경향으로 바뀌는 속도감소영역, 및 상기 속도감소영역에 이어서 추의 속도가 일정치로 수렴되는 속도일정영역으로 구분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출 길이가 상기 속도증가영역에 대응하는 심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속도증가영역에서 추의 속도 변화가 그리는 증가 곡선을 따라 추의 침강속도를 상기 최고 속도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기까지 증속하도록 낚싯줄의 조출 속도를 증속하는 증속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추의 제어장치.
KR1020067021637A 2006-10-18 2004-09-17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79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637A KR100795467B1 (ko) 2006-10-18 2004-09-17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637A KR100795467B1 (ko) 2006-10-18 2004-09-17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83A KR20070022683A (ko) 2007-02-27
KR100795467B1 true KR100795467B1 (ko) 2008-01-16

Family

ID=4134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637A KR100795467B1 (ko) 2006-10-18 2004-09-17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4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0U (ko) 1973-05-14 1975-01-09
JPH08275698A (ja) * 1995-04-06 1996-10-22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JP2000116283A (ja) * 1998-10-12 2000-04-25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90U (ko) 1973-05-14 1975-01-09
JPH08275698A (ja) * 1995-04-06 1996-10-22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JP2000116283A (ja) * 1998-10-12 2000-04-25 Asari Kenkyusho:Kk イカ釣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83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084B1 (ko) 고기잡이용 감아올리기 장치
KR101114523B1 (ko) 정박 윈치 및 정박 윈치의 케이블을 제어하는 방법
RU2527101C2 (ru) Система драгирующего судна
CN111498112A (zh) 无人飞行器
TWI446870B (zh) Motor reducer motor control device
JP2007000143A (ja) 釣上機及び漁獲装置
US201001215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ail surface exposed to the wind
KR100795467B1 (ko) 추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291133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JP3921232B2 (ja) 錘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2574097B1 (ko) 자동 물고기 낚시 시스템 및 자동 물고기 낚시 방법
JP3628686B1 (ja) 釣り糸巻取装置における巻上げ・巻下げ速度制御装置
KR101018888B1 (ko) 고기잡이 조상기
JPH09193885A (ja) 浮施設の係留装置
JP2011162150A (ja) 船舶の減揺装置
KR20240037403A (ko) 선박의 정박을 위한 양방향 텐션제어 윈치 제어방법
JP4448960B2 (ja) スパンカの制御装置
JP3111968U (ja) キール付き小型船における加速・安定装置
RU2370406C1 (ru) Подводное спуск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247791B2 (ko)
AU2023202105A1 (en) Control system and bait capsule for long line fishing apparatus
RU21723U1 (ru) Ваерный заглубитель
KR0126332Y1 (ko) 크레인의 진동방지시스템
JPH0516077Y2 (ko)
CN111657236A (zh) 新颖单卷线筒鱿鱼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