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035B1 -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035B1
KR100795035B1 KR1020060109834A KR20060109834A KR100795035B1 KR 100795035 B1 KR100795035 B1 KR 100795035B1 KR 1020060109834 A KR1020060109834 A KR 1020060109834A KR 20060109834 A KR20060109834 A KR 20060109834A KR 100795035 B1 KR100795035 B1 KR 10079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right
door frame
bright mo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브라이트몰딩을 양면테이프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설치하므로서 장기간에 걸쳐 빗물이나 이물질이 브라이트몰딩과 도어프레임 사이로 침투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차량의 주행중 진동에 의해 브라이트몰딩이 쉽게 떨어져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몰딩부착면(210)이 평평하도록 " ┣ " 형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프레임(200)에 브라이트몰딩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 ㄷ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도록 상향의 걸고리(110)를 절곡 형성하고,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고무재질로서 탄성걸림편(121)이 형성된 몰딩부(120)를 일체로 구비하여 걸고리(110)와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브라이트몰딩(100)의 부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걸고리(110)가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도록 하고, 몰딩부(120)에 형성된 탄성걸림편(121)이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브라이트몰딩(100)의 부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도어프레임(200)과 브라이트몰딩(100)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더라도 브라이트몰딩(100)의 고정력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 브라이트몰딩(100)이 쉽게 떨어지지 않아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어프레임, 상단부, 하단부, 브라이트몰딩, 걸고리, 몰딩부, 탄성걸림편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Fixing structure of door and bright molding for automobile}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트몰딩을 예시한 사시도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라 브라이트몰딩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4a는 브라이트몰딩의 하단만이 고정된 상태이고, 도4b는 상단과 하단이 모두 고정된 상태에서 웨더스트립과 도어글라스런이 설치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이트몰딩 110 : 걸고리
120 : 몰딩부 121 : 탄성걸림편
130 : 걸고리몰딩부 200 : 도어프레임
210 : 몰딩부착면 211 : 상단부
212 : 하단부 300 : 도어글라스런
400 : 웨더스트립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프레임 표면에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브라이트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브라이트몰딩을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빗물이나 이물질이 도어프레임과 브라이트몰딩 사이로 침투되더라도 브라이트몰딩의 고정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 브라이트몰딩이 쉽게 떨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에는 차량실내의 탑승을 위해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고, 이러한 도어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잠그거나 열수있도록 구성되고, 측면의 시야를 확보 및 실내환기를 위하여 도어에 상,하로 이동되면서 실내를 개폐하는 윈도우글라스를 설치한다.
상기의 윈도우글라스가 장착되는 도어는 윈도우글라스가 완전하게 상승하였을때 그 윈도우글라스의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는 도어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타입의 도어와 도어프레임이 없는 프레임레스 타입의 도어가 있다.
상기의 프레임타입의 도어는 아우터패널과 인너패널이 결합된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윈도우글라스가 상측에서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데 이때 아우터패널과 인너패널이 윈도우글라스와 접하는 부분에는 웨더스트립이 끼워지고, 도어프레임의 하부에는 상승된 윈도우글라스가 압접되는 웨더스트립이 끼워지는데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자동차 내부로 먼지나 흙, 빗물의 침투를 막을뿐만 아니라 소음을 방지하는 역활도 한다.
또한 웨더스트립 상부로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한 브라이트 몰딩이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브라이트몰딩을 설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도어프레임 표면으로 설치되는 브라이트몰딩은 주로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이는 장기간에 걸쳐 빗물이나 이물질이 도어프레임과 브라이트몰딩 사이로 침투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브라이트몰딩이 도어프레임에서 쉽게 떨어져 소비자들로 부터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미관상 보기가 흉하므로 새로운 브라이트몰딩을 구매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매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이트몰딩이 도어프레임에 설치된후 장기간에 걸친 빗물이나 이물질에 의해서도 쉽게 떨어질 우려가 없어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딩부착면이 평평하도록 " ┣ " 형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프레임에 브라이트몰딩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 여 " ㄷ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브라이트몰딩의 하부에는 도어프레임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상향의 걸고리를 절곡 형성하고, 브라이트몰딩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고무재질로서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몰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걸고리와 탄성걸림편에 의해 브라이트몰딩의 부착상태가 유지되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자동차의 도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이트몰딩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라 브라이트몰딩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4a는 브라이트몰딩의 하단만이 고정된 상태이고, 도4b는 상단과 하단이 모두 고정된 상태에서 웨더스트립과 도어글라스런이 설치된 상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몰딩부착면(210)이 평평하도록 " ┣ " 형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프레임(200)에 브라이트몰딩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 ㄷ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도록 상향의 걸고리(110)를 절곡 형성한다.
그리고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고무재질로서 탄성걸림편(121)이 형성된 몰딩부(120)를 일체로 구비하여 걸고리(110)와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브라이트몰딩(100)의 부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0)은 도어글라스런이고, (400)은 웨더스트립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어프레임(200)표면에 설치되는 브라이트몰딩(100)이 장기간에 걸쳐 빗물이나 이물질에 노출되더라도 브라이트몰딩(100)이 도어프레임(200)에서 떨어질 우려가 없어 종래 브라이트몰딩이 빗물이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떨어져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브라이트몰딩(100)은 상부와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ㄷ"자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부에는 고무재질로서 탄성걸림편(121)이 형성된 몰딩부(12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향의 걸고리(110)를 절곡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이트몰딩(100)을 도어프레임(200)의 표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브라이트몰딩(100)를 도어프레임(200)의 몰딩부착면(210)에 밀착시켜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에 형성된 걸고리(110)는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도록 하고,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에 형성된 몰딩부(120)는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걸리도록 하는데 상기 몰딩부(120)에는 탄성걸림편(121)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즉,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몰딩부(120)가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걸릴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걸고리(110)와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브라이트몰딩(100)을 도어프레임(200)에 가조립시킨후 도어글라스런(300)과 웨더스트립(400)을 설치하면 상기 웨더스트립(400)이 브라이트몰딩(100)의 몰딩부(120)를 밀어주면서 결합되어 즉,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 몰딩부(120)는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걸리면서도 다시 웨더스트립(400)이 눌러주어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몰딩부(120)를 고무재질로 하는 것은 브라이트몰딩(100)이 금속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이므로 날카로워 그대로 방치하면 웨더스트립(400)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로 도어글라스런(300)을 설치하면 도어글라스런(300)이 브라이트몰딩(100)의 걸고리(110)를 눌러주므로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는 걸고리(110)가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면서도 도어글라스런(300)이 걸고리(110)를 지지하여 주므로 견고한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110)에는 고무재질의 걸고리몰딩부(130)를 일체로 형성하는데 이역시 날카로운 브라이트몰딩(100)에 의해 도어글라스런(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걸고리몰딩부(130)는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릴때 마찰력이 발생하여 보다 견고하게 걸릴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는 탄성걸림편(121)이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걸린상태에서 다시 웨더스트립(400)이 몰딩부(120)를 눌러주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고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는 걸고리(110)가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린상태에서 다시 도어글라스런(300)이 눌러주는 것이므로 상기 브라이트몰딩(100)을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어프레임(200)과 웨더스트립(400)사이로 끼워진 몰딩부(120)는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 이외에 웨더스트립(400)을 상향에서 눌러 웨더스트립(400)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이트몰딩을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빗물이나 이물질이 브라이트몰딩과 도어프레임 사이에 지속적으로 침투되더라도 브라이트몰딩의 고정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종전처럼 브라이트몰딩을 양면테이프로 설치하므로서 빗물이나 이물질에 의해 브라이트몰딩이 쉽게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몰딩부착면(210)이 평평하도록 " ┣ " 형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프레임(200)에 브라이트몰딩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 ㄷ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하단부(212)에 걸리도록 상향의 걸고리(110)를 절곡 형성하고,
    브라이트몰딩(100)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200)의 상단부(211)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고무재질로서 탄성걸림편(121)이 형성된 몰딩부(120)를 일체로 구비하여
    걸고리(110)와 탄성걸림편(121)에 의해 브라이트몰딩(100)의 부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몰딩(100)의 하부 걸고리(110)에는
    고무 재질로서 신축성있는 걸고리몰딩부(130)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KR1020060109834A 2006-11-08 2006-11-08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KR10079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34A KR100795035B1 (ko) 2006-11-08 2006-11-08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834A KR100795035B1 (ko) 2006-11-08 2006-11-08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035B1 true KR100795035B1 (ko) 2008-01-16

Family

ID=3921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834A KR100795035B1 (ko) 2006-11-08 2006-11-08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0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06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518912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518908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855749B1 (ko) * 2012-11-01 2018-05-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566A (ko) * 1995-10-11 1997-05-28 전성원 자동차 도어 상단부의 실링구조
KR0118478Y1 (ko) * 1995-12-21 1998-06-15 김태구 자동차용 몰딩구조
KR19980036907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도어 웨더 스트립 구조
KR20050087161A (ko) * 2004-02-25 2005-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프레임과 글라스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566A (ko) * 1995-10-11 1997-05-28 전성원 자동차 도어 상단부의 실링구조
KR0118478Y1 (ko) * 1995-12-21 1998-06-15 김태구 자동차용 몰딩구조
KR19980036907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도어 웨더 스트립 구조
KR20050087161A (ko) * 2004-02-25 2005-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프레임과 글라스런의 결합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49B1 (ko) * 2012-11-01 2018-05-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518906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518912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518908B1 (ko) * 2013-11-0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CN104626939A (zh) * 2013-11-08 2015-05-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车门框架
US9186964B2 (en) 2013-11-08 2015-11-17 Hyundai Motor Company Door frame for vehicle
US9242534B2 (en) 2013-11-08 2016-01-26 Hyundai Motor Company Door frame for vehicle
US9254730B2 (en) 2013-11-08 2016-02-09 Hyundai Motor Company Door fram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29324A (ja) スライド・チルトルーフ
KR100795035B1 (ko) 자동차 도어용 브라이트몰딩 결합구조
US9784029B2 (en) Door jamb and sill assemblies
JP5914908B2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
US20080282616A1 (en) Door weather strip
JP6062746B2 (ja) 車両ドアのベルトラインモール
KR101404706B1 (ko) 창호용 필링피스
KR101294903B1 (ko) 고기능 창유리 적용 창호
KR100795701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결합 구조
KR101351053B1 (ko) 창호용 고무가스켓 가이드구조
KR101583837B1 (ko) 자동차 도어의 벨트 웨더스트립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CN117052250B (zh) 一种推拉窗的滑轨结构、推拉窗以及推拉窗安装方法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0392003B1 (ko) 자동차용 도어 벨트 웨더스트립의 고정구조
JP7361851B2 (ja)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および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の支持構造
CN219007562U (zh) 车窗顶段密封条
JP4829324B2 (ja) サッシ
EP3837412B1 (en) Hidden window hinge for caravans and/or motorhomes
KR101369847B1 (ko) 오버헤드 도어용 패널
US20230241952A1 (en) Interior Swing Door with Sealing Profile and Vehicle with the Interior Swing Door
KR200424199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썬바이져
KR100394956B1 (ko)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장착 구조
KR20030000622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그립
GB2385868A (en) Ring b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