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443B1 -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 Google Patents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443B1
KR100794443B1 KR1020060102179A KR20060102179A KR100794443B1 KR 100794443 B1 KR100794443 B1 KR 100794443B1 KR 1020060102179 A KR1020060102179 A KR 1020060102179A KR 20060102179 A KR20060102179 A KR 20060102179A KR 100794443 B1 KR100794443 B1 KR 10079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composite truss
concrete
plat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698A (ko
Inventor
원대연
Original Assignee
원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529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944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연 filed Critical 원대연
Priority to KR10200601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44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스트레스 합성트러스 보의 구조성능을 개선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트러스 보의 상현재를 압축력을 받는 위치에서는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합성구조로, 인장력을 받는 위치에서는 강재만으로 각각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의 강재량을 절감시키고, 부재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합성트러스 보의 격점구조가 갖고 있는 시공성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머리부착 스터드 대신에 구멍강판구조를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격점구조를 개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로써 하현재 콘크리트와 접합부 방수처리 문제, 격점구간에서의 철근간섭문제 그리고 콘크리트 치기시의 다짐문제 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트러스 보, 복합트러스 거더, 상현재, 격점구조, 머리부착 스터드, 고장력 볼트

Description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omit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트러스 보의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트러스 보의 상현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력을 받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장력을 받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부재와 하현재 연결을 위한 격점구조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부재와 하현재 연결을 위한 격점구조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착 스터드를 갖는 격점구조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의 현장연결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인장력을 받는 상현재를 고장력 볼트를 통해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와 인장력을 받는 상현재가 서로 결합되는 곳의 접합구조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압축력을 받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리스트레스 합성트러스보 11 : 합성트러스보 상현재
12 : 합성트러스보 복부재 13 : PS강선
14 : 합성트러스보 하현재 16 : 수평연결강판
17 : 머리부착 스터드 30 : 복합트러스 거더 상현재
32 : 상현 콘크리트 33 : 바닥판 콘크리트
34 : 전단철근 50,60 : 격점구조
62 : 거세트판 82 : 고장력볼트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고 있는 프리스트레스 합성트러스보의 구조성능을 개선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트러스보의 상현재를 압축력을 받는 위치에서는 강재와 콘크리트와의 합성구조로 하고, 인장력을 받는 위치에서는 강재만으로 각각 구성하도록 함 으로서 압축력을 받는 상현재의 강재량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부재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합성트러스보를 구성하는 각 부재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격점구조를 개량시켜 부재연결에 따른 작업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합성트러스 보(10)는 구조용 강판으로 만들어진 소정형상의 상현재(11), 그리고 압연형강 또는 강관을 이용해 제작된 복부재(12), 그리고 소정형상의 콘크리트 단면에 PS강선(13)을 이용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하현재(14)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강재로 제작된 복합트러스 보의 상현재(11)는 합성트러스 보(10)의 자중과 콘크리트 바닥판(15) 하중으로 인해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강재로 된 부재는 인장력에는 강하지만 압축력에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구조거동상의 특성으로 인해 작용하는 압축력이 크거나 압축력을 받는 영역이 넓어질수록 상현재의 강재량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 트러스보의 복부재(12)와 하현재(14)는 하현재의 상부면에 강판으로 된 수평연결강판(16)을 매입한 후, 용접 또는 고장력볼트를 이용해 상기 수평연결강판을 복부재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평연결강판 하면에는 하현재(14)와의 일체작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의 머리부착 스터드(17)를 용착시키는데, 용접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수평연결강판에는 휨변형이 발생하여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휨변 형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하현재(14)에 매입되는 깊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수평연결강판과 하현재 접촉면(18)의 방수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합성트러스 보는 경간장 40미터이상의 비교적 장경간의 교량건설에 주로 사용되므로 공장에서 15미터 이내의 길이로 부재를 분할제작 후에 현장에서 연결하는 제작공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가설현장에서 상현재를 연결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상현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용접이음과 고장력 볼트이음이 있고, 용접이음의 경우에는 부재형상에 대한 제약은 받지 않지만 현장용접에 따른 작업성의 저하 및 품질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을, 고장력 볼트이음의 경우에는 시공성은 뛰어나지만 부재형상에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을 각각 갖고 있다.
합성트러스 보의 상현재가 단면에 작용하는 축력과 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기 위해서는 도 2(a)내지 도 2(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평판(21)과 수직판(22)을 각각 구비하는 단면형상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수평판에 설치되는 스터드(23)로 인해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연결이 쉽지 않고, 부재 연결부가 인장력을 받는 곳에 위치할 때에는 고장력 볼트설치용 구멍으로 인한 단면적 감소로 연결부 부근에서 수평판 및 수직판의 너비를 키워야만 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연결부가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트러스 보의 상현재가 압축력에 받는 경우에는 구조거동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 복부재와 하현재를 결합하는 연결부재 제작시의 휨변형으로 인한 접합면 방수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 그리고 현장 에서 상현재와 상현재를 고장력 볼트로 연결하기 어렵고, 연결부가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hybrid truss girder)는 시공 및 사용 중에 압축력을 받는 영역에서 강재로 된 상현재를 콘크리트와 합성시킴으로써 압축과 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켰고, 복부재와 하현재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를 수직강판이 서로 교차하는 형상이 되도록 제작한 다음에 콘크리트 하현재속으로 매입시켜 연결부에서의 시공성을 개선시켰고, 또한 상현재의 현장연결이 용이하도록 상현재의 형상을 압축을 받는 영역에서는 하나의 수평강판으로 그리고 인장을 받는 영역에서는 하나의 수평강판과 수직강판을 갖도록 단면을 구성한 다음, 상기의 수직강판을 콘크리트 바닥판 안으로 매입시켜 연결부의 노출이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현재가 압축력을 받는 경우의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는 종래의 합성트러스 보와는 달리,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30)를 수평강판(31)과 콘크리트(32)로 된 합성구조로 한 다음, 바닥판 콘크리트(33)와의 합성시키기 위해 전단철근(34)을 배치하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압축을 받는 영역에서의 강재상현재(31)를 압축에 강하고 재료비가 저렴한 콘크리트(32)로 보강시킴 으로써 상현강재에 요구되는 강재량이 크게 절감되고, 반대로 부재단면의 단면2차반경(radius of gyration)은 오히려 커지게 되어 좌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현재(30)를 구성하는 수평강판(31)과 콘크리트(32) 사이의 일체작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강판의 상면에 용착된 다수의 머리부착 스터드(35)를 구비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현재가 인장력을 받는 경우의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합성트러스 보와는 달리,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40)를 콘크리트 바닥판(41)에 매입시켜 상현재의 외부노출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부식방지를 위한 강재의 도장면적을 크게 감소시켰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판(41)과의 결합을 위해 머리부착 스터드 대신에, 바닥판 콘크리트에 매입된 복부재(42)에 다수의 구멍(43)을 설치하고, 이들 구멍사이로 철근(44)을 관통시키는 구조가 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부재로서 압연형강을 사용하였을 때 복부재와 하현재와의 연결을 위한 격점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격점구조(50)는 압축력 받는 복부재(51)와 인장력을 받는 복부재(52)의 단부를 각각 콘크리트 하현재(53)속에 일정깊이로 매입시키고, 이들 매입된 부분의 복부재는 수직연결판(54)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하현재와 강결시키기 위하여 매입된 부분의 복부재와 수직연결판에 소정크기의 다수의 구멍(55)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부재로서 강관을 사용할 때 복부재와 하현재와의 연결을 위한 격점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격점구조(60)는 복부재(61)의 단부에 소정크기의 거세트판(62)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세트판을 수직연결판(63)을 이용해 서로 연결한 다음, 일정깊이로 콘크리트 하현재(64)에 매입시키고, 하현재와 강결시키기 위하여 매입된 부분의 거세트판 및 수직연결판에 소정크기의 다수의 구멍(65)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격점구조(50,60)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되었던 하현재 상면에 놓이는 수평연결판과 스터드를 제거함으로써, 스터드 용착으로 인해 생기는 수평연결판의 변형으로 인한 시공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a)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하현재와의 일체작용확보를 위해 상기 격점구조(50,60)에 설치된 다수의 구멍 대신에 머리부착 스터드(71)를 용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격점구조의 경우, 머리부착 스터드의 용착으로 하현재에 매입되는 부분의 거세트판 및 연결판의 변형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시의 작업성과 콘크리트와의 접합면 방수처리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압축을 받는 상현재의 현장 연결을 위한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현장연결이 이루어지는 일정구간에 대해서는 공장에서 상현재 제작시에 콘크리트를 치지 않는 상태로 한다. 그런 다음, 연결판(81) 및 고장력 볼트(82)를 이용하여 상현강판(83)을 현장에서 서로 연결시킨다(도 8(b)). 이때 너트(84)가 설치되는 부분의 고장력볼트(82)를 소정길이로 도출시켜 전단연결재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연결구간을 콘크리트(85)로 채운다(도 8(c)).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인장을 받는 상현재를 현장에서 고장력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 부근에서 복부판(91)과 수평판(92)의 크기를 각각 소정크기로 확대시킨 다음 이음판(93)과 고장력볼트(94)를 이용하여 맞대기 이음을 실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라 제작되는 압축을 받는 상현재와 인장을 받는 상현재가 서로 접합되는 곳의 구조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복합트러스 거더는 구조특성상 복부재(101)와 상현재(102)가 서로 결합되는 격점을 경계로 축력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특성을 이용하여 상현재의 하부수평판(103)은 양쪽 영역에 걸쳐 배치하고, 인장력을 받는 상현재에서 필요한 복부판(104)은 압축측의 격점영역까지 연장 배치하도록 하여 격점구간에서의 축력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복부재와 결합되는 격점구간은 다수의 연직보강판(105)을 설치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력을 받는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는 상현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로 변형될 수도 있다. 작용하는 압축력이 클 때에는 상현재(110)를 구성하는 강재를 두개의 수평강판(111)과 하나의 연직강판(112)을 갖도록 제작한 다음, 수평강판 사이를 콘크리트(113)로 채우는 구조를 적용하도록 한다. 이때 강재와 콘크리트사이의 합성작용을 위해 연직강판의 복부에 소정크기의 다수의 구멍(114)을 설치한다. 또 한 상기상현재(110)와 콘크리트 바닥판(115)과의 합성작용을 위해서 하부수평강판에 전단연결철근(116)을 용착시키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강재와 콘크리트로 된 합성구조를 도입함으로서 상현재 제작시에 소요되는 강재량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고, 압축력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인장을 받는 강재 상현재를 콘크리트 바닥판 속에 매입시킴으로서 강재가 외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감소하여 도장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고, 현장에서의 상현재연결에 고장력 볼트를 사용할 수 있어 상현재 연결에 따른 시공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셋째, 하현재의 연결에 위한 격점구조를 복부재의 형상에 맞게 각기 달리 적용함으로서 격점구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부재형상의 개선을 통해 하현재 제작시에 발생하는 격점구간에서의 철근과의 간섭문제와 콘크리트 치기시의 다짐문제 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합성 트러스 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바닥판 콘크리트와 합성되기 전 상태에서 합성 트러스 보의 상현재를 하나의 수평강판과 상기 수평강판 위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일체화시킨 합성부재로 형성시켜 합성 트러스 보의 자중과 바닥판 콘크리트의 자중으로 인해 생기는 압축력에 대해 저항하도록 하고,
    상기의 합성부재로 된 합성 트러스 보의 상현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을 합성 트러스 보의 상현재를 구성하고 있는 수평강판에 용착된 전단연결재를 통해 서로 합성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합성 복합트러스 거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 및 2항에 있어서,
    복부재와 하현재의 연결을 위하여 복부재 단부에 거세트 판을 용착한 다음, 거세트 판의 일부를 콘크리트 하현재속에 일정깊이로 매입시키고, 매입된 부분의 거세트판을 수직연결판을 통해 서로 결합시키고, 콘크리트 하현재와 결합을 위하여 매입된 부분의 거세트판과 수직연결판에 소정크기의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
KR1020060102179A 2006-10-20 2006-10-20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KR10079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79A KR100794443B1 (ko) 2006-10-20 2006-10-20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79A KR100794443B1 (ko) 2006-10-20 2006-10-20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698A KR20060115698A (ko) 2006-11-09
KR100794443B1 true KR100794443B1 (ko) 2008-01-16

Family

ID=3765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79A KR100794443B1 (ko) 2006-10-20 2006-10-20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4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88A2 (ko) * 2009-04-03 2010-10-07 (주)세종알앤디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트러스형 전단보강재
KR101087984B1 (ko) 2011-03-16 2011-12-01 (주)유림이엔디 에너지 흡수를 위한 탄성패드를 이용한 격점부용 사재 연결장치
KR101141885B1 (ko) 2010-03-30 2012-05-03 권오근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
KR101211691B1 (ko) 2011-03-07 2012-12-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거셋연결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용 빔
KR101228587B1 (ko) 2012-05-15 2013-01-31 (유)하남종합건설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KR101581380B1 (ko) 2015-03-30 2015-12-30 우경기술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트러스 거더
KR102468194B1 (ko) 2021-12-07 2022-11-16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50B1 (ko) * 2011-06-10 2012-01-05 고재욱 콘크리트 합성강관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06938B1 (ko) * 2012-04-15 2014-06-12 원대연 복부재가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갖는 복합거더
CN107524081A (zh) * 2017-09-30 2017-12-29 东南大学 一种钢桁腹‑混凝土组合节点
CN110106786B (zh) * 2018-02-01 2024-06-14 重庆标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拱架合拢装置
CN108560391A (zh) * 2018-06-11 2018-09-21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钢混组合桥梁结构
CN110042740B (zh) * 2019-05-06 2020-01-07 胡锋 基于波形钢腹板的混凝土箱梁抗剪连接键布置方法
CN114673073A (zh) * 2022-03-29 2022-06-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架-混凝土组合结构的弦杆构造及系统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766A (ja) * 1992-02-12 1993-08-31 Hiroshi Ishikawa 建築工法
KR20000014906U (ko) * 1998-12-31 2000-07-25 김형벽 강관 철탑의 연결부 구조
JP2000204671A (ja) 1999-01-11 2000-07-25 Kajima Corp 骨組とトラス構造材またはブレ―ス材との接合構造
KR20010078870A (ko) * 2001-05-04 2001-08-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복합 트러스 보의 개발 및 제작공법
JP2001342612A (ja) 2000-06-02 2001-12-14 Akimitsu Kurita 床版とウェブ鋼板等との接合装置
US6499266B1 (en) 2001-07-16 2002-12-31 Lemar Industries Corp. Truss construction
JP2003193430A (ja) 2001-12-28 2003-07-09 Kajima Corp 複合トラス橋の施工方法
JP2004169447A (ja) 2002-11-21 2004-06-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橋の波形鋼板ウェブ合成桁の接合部構造
JP2004308121A (ja) 2003-04-02 2004-11-04 Kajima Corp 鋼とコンクリートの接合構造
KR200372777Y1 (ko) 2004-10-28 2005-01-14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트러스 거더교의 콘크리트 합성 보강 구조
KR20060022365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복부파형강판 피에스씨 합성구조에서 파형강판과콘크리트를 기역형강과 스터드로 결합시킨 합성구조
KR20060024558A (ko) * 2004-09-14 2006-03-17 학교법인 호서학원 콘크리트 스터드를 이용한 냉간성형 합성보 및 그시공방법
KR200432484Y1 (ko) 2006-09-21 2006-12-04 현대건설주식회사 절곡 스터드 볼트를 이용한 복부 트러스 복합 거더의격점부 연결구조 및 이러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복부 트러스복합 거더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766A (ja) * 1992-02-12 1993-08-31 Hiroshi Ishikawa 建築工法
KR20000014906U (ko) * 1998-12-31 2000-07-25 김형벽 강관 철탑의 연결부 구조
JP2000204671A (ja) 1999-01-11 2000-07-25 Kajima Corp 骨組とトラス構造材またはブレ―ス材との接合構造
JP2001342612A (ja) 2000-06-02 2001-12-14 Akimitsu Kurita 床版とウェブ鋼板等との接合装置
KR20010078870A (ko) * 2001-05-04 2001-08-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복합 트러스 보의 개발 및 제작공법
US6499266B1 (en) 2001-07-16 2002-12-31 Lemar Industries Corp. Truss construction
JP2003193430A (ja) 2001-12-28 2003-07-09 Kajima Corp 複合トラス橋の施工方法
JP2004169447A (ja) 2002-11-21 2004-06-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橋の波形鋼板ウェブ合成桁の接合部構造
JP2004308121A (ja) 2003-04-02 2004-11-04 Kajima Corp 鋼とコンクリートの接合構造
KR20060022365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복부파형강판 피에스씨 합성구조에서 파형강판과콘크리트를 기역형강과 스터드로 결합시킨 합성구조
KR20060024558A (ko) * 2004-09-14 2006-03-17 학교법인 호서학원 콘크리트 스터드를 이용한 냉간성형 합성보 및 그시공방법
KR200372777Y1 (ko) 2004-10-28 2005-01-14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트러스 거더교의 콘크리트 합성 보강 구조
KR200432484Y1 (ko) 2006-09-21 2006-12-04 현대건설주식회사 절곡 스터드 볼트를 이용한 복부 트러스 복합 거더의격점부 연결구조 및 이러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복부 트러스복합 거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88A2 (ko) * 2009-04-03 2010-10-07 (주)세종알앤디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트러스형 전단보강재
WO2010114288A3 (ko) * 2009-04-03 2011-01-06 (주)세종알앤디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트러스형 전단보강재
GB2481162A (en) * 2009-04-03 2011-12-14 Sejong R & D Co Ltd Truss-type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having double anchorage functions at both top and bottom thereof
CN102388191A (zh) * 2009-04-03 2012-03-21 株式会社世宗研究开发 上下分别具有双重锚固功能的桁架形抗剪加固构件
KR101141885B1 (ko) 2010-03-30 2012-05-03 권오근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
KR101211691B1 (ko) 2011-03-07 2012-12-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거셋연결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구조용 빔
KR101087984B1 (ko) 2011-03-16 2011-12-01 (주)유림이엔디 에너지 흡수를 위한 탄성패드를 이용한 격점부용 사재 연결장치
KR101228587B1 (ko) 2012-05-15 2013-01-31 (유)하남종합건설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WO2013172598A1 (ko) * 2012-05-15 2013-11-21 (유)하남종합건설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KR101581380B1 (ko) 2015-03-30 2015-12-30 우경기술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트러스 거더
KR102468194B1 (ko) 2021-12-07 2022-11-16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698A (ko)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443B1 (ko) 압축을 받는 상현재에 다중합성개념을 도입하고 격점부의구조성능을 향상시킨 복합트러스 거더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349649B1 (ko)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JP2000144905A (ja) 混合構造梁
CN110258789A (zh) 一种耗能钢棒可更换的梁柱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91306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세그먼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901803B1 (ko) 강합성거더 제작방법 및 강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00073363A (ko)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CN201133085Y (zh) 一种提高体外预应力效应的结构
KR20070004279A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CN1987013A (zh) 钢管约束钢筋高强混凝土柱
JP4045374B2 (ja) 鋼とコンクリートの複合桁構造からなる橋桁を架設する橋梁構造及び橋梁の施工方法
CN111962951A (zh) 一种钢管混凝土柱-H型钢梁-钢支撑-π形连接件组合式角柱底部节点及作法
CN110258788A (zh) 一种框架梁与柱的半干式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36614A (ko) 긴장재와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이중 강박스거더의 종방향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박스거더교 시공방법
KR100696646B1 (ko) 조립식 가로보에 정착 및 지지된 긴장재에 의한 ps 콘크리트 합성거더 교량의 외부긴장 공법
CN108517759A (zh) 波形钢腹板组合梁形式的索塔横梁连接系统及施工方法
KR102271672B1 (ko)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KR20090003807A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구비한 연속 지점부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0555246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JP2006028807A (ja) 道路拡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414

Effective date: 201305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611

Effective date: 201311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