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363A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73363A KR20100073363A KR1020080132014A KR20080132014A KR20100073363A KR 20100073363 A KR20100073363 A KR 20100073363A KR 1020080132014 A KR1020080132014 A KR 1020080132014A KR 20080132014 A KR20080132014 A KR 20080132014A KR 20100073363 A KR20100073363 A KR 201000733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beam
- block
- segment concrete
- center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로서,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양단부 상연에는 블록 아웃된 한 쌍의 제1블록아웃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블록아웃부를 직선 형태로 연결하는 쉬스관 내부에 내설되어 중립축의 상측을 따라 배열된 압축용 강봉과, 상기 압축용 강봉의 끝단을 포물선 형태로 연결하는 쉬스관 내부에 내설되어 중앙부에서는 중립축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배열된 인장용 강선과, 상기 인장용 강선의 끝단부와 상기 압축용 강봉의 끝단부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인장용 강선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한 반력으로 상기 압축용 강봉의 끝단을 밀도록 작용하여 중앙부의 중립축의 하측에는 압축 응력이 도입되고 중앙부의 중립축의 상측에는 인장 응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정착구를 구비한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양측에 각각 연장되는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함께 관통하는 쉬스관 내부에 포물선 형태로 배열되어 긴장되는 연결용 인장재와;상기 제1블록아웃부와 상기 제2블록아웃부를 메우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와;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이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밀착되는 면의 일단부 상연에는 상기 제1블록아웃부와 연속하도록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2블록아웃부가 형성되고;상기 제1블록아웃부와 상기 제2블록아웃부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철근 조립체를;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은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단부 세그먼크 콘크리트 빔의 연결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필요 시 재긴장되는 유지관리용 긴장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복부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지관리용 긴장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구비된 유지관리용 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철근 조립체는 상기 정착구를 감싸도록 배근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정착구와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제작 방법으로서,양단부 상연에는 블록 아웃된 한 쌍의 제1블록아웃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블록아웃부를 직선 형태로 연결하는 쉬스관 내부에 내설되어 중립축의 상측을 따라 배열된 압축용 강봉과, 상기 한 쌍의 제1블록아웃부를 포물선 형태로 연결하는 쉬스관 내부에 내설되어 중앙부에서는 중립축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배열된 인장용 강선과, 상기 인장용 강선의 끝단부와 상기 압축용 강봉의 끝단부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인장용 강선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한 반력으로 상기 압축용 강봉의 끝단을 밀도록 작용하여 중앙부의 중립축의 하측에는 압축 응력이 도입되고 중앙부의 중립축의 상측에는 인장 응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정착구를 구비하고, 제1연결용 쉬스관이 미리 설치된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제작하는 단계와;상기 정착구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중립축 상측에는 상기 압축용 강봉의 압축에 의하여 인장 응력을 도입하고, 중앙부의 중립축 하측에는 상기 인장용 강선의 긴장에 의하여 압축 응력을 도입하는 단계와;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양단면에 밀착되는 면의 일단부 상연에는 블록 아웃된 제2블록아웃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용 쉬스관과 연통되는 제2연결용 쉬스관이 설치되는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제작하는 단계와;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양측에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위치시키는 단계와;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제1연결용 쉬스관과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의 제2연결용 쉬스관을 관통하는 연결용 인장재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용 인장재를 긴장하여,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밀착시키면서 일체화시키는 단계와;상기 압축용 강봉 및 상기 인장용 강선을 감싸는 쉬스관과, 상기 연결용 인장재를 감싸는 연결용 쉬스관의 내부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와;상기 정착구를 감싸는 연결철근 조립체를 상기 제1블록아웃부와 상기 제2블록아웃부에 걸치도록 설치하여, 상기 연결철근 조립체에 의해 상기 중앙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과 상기 단부 세그먼트 콘크리트 빔을 연결하는 단계와;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블록아웃부와 상기 제2블록아웃부를 메우는 단계를;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제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014A KR101043239B1 (ko) | 2008-12-23 | 2008-12-23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014A KR101043239B1 (ko) | 2008-12-23 | 2008-12-23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363A true KR20100073363A (ko) | 2010-07-01 |
KR101043239B1 KR101043239B1 (ko) | 2011-06-22 |
Family
ID=4263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2014A KR101043239B1 (ko) | 2008-12-23 | 2008-12-23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323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012B1 (ko) * | 2013-11-06 | 2015-05-26 | (주)비티엠이엔씨 | 가압장치를 이용한 분절형 psc 거더 제작방법 |
CN107810296A (zh) * | 2015-06-08 | 2018-03-16 | 土雄工程技术建设株式会社 | 预应力混凝土梁 |
KR102068070B1 (ko) * | 2019-01-15 | 2020-01-20 | (주)태영이씨엠 |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을 적용한 분절거더 제작방법 및 그 분절거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7660B1 (ko) * | 2011-11-09 | 2012-07-20 | (주)삼현피에프 | 모멘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
KR101558150B1 (ko) * | 2013-10-08 | 2015-10-08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유식 함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585745B1 (ko) * | 2013-12-26 | 2016-01-14 | 주식회사 포스코 |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KR102241988B1 (ko) * | 2018-12-18 | 2021-04-19 | 김주빈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
KR102241987B1 (ko) * | 2018-12-18 | 2021-04-19 | 김주빈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6486A (ko) | 1999-10-08 | 2001-05-07 | 박상일 | 다단계 긴장식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설계 방법 및 거더의 제조방법 |
CN1220076C (zh) * | 2001-01-31 | 2005-09-21 | 日本瑞翁株式会社 | 导光板及照明单元 |
KR100540374B1 (ko) * | 2003-05-01 | 2006-01-10 | 이형훈 |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KR100589797B1 (ko) * | 2004-01-05 | 2006-06-14 | 송우찬 | 단순한 긴장으로 휨만을 가하는 대편심 프리스트레싱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psc보 |
KR200375153Y1 (ko) | 2004-11-23 | 2005-03-11 | 노윤근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
-
2008
- 2008-12-23 KR KR1020080132014A patent/KR10104323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012B1 (ko) * | 2013-11-06 | 2015-05-26 | (주)비티엠이엔씨 | 가압장치를 이용한 분절형 psc 거더 제작방법 |
CN107810296A (zh) * | 2015-06-08 | 2018-03-16 | 土雄工程技术建设株式会社 | 预应力混凝土梁 |
CN107810296B (zh) * | 2015-06-08 | 2020-09-22 | 土雄工程技术建设株式会社 | 预应力混凝土梁 |
KR102068070B1 (ko) * | 2019-01-15 | 2020-01-20 | (주)태영이씨엠 |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을 적용한 분절거더 제작방법 및 그 분절거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3239B1 (ko) | 2011-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3239B1 (ko) |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 |
KR100427405B1 (ko) |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 |
KR100952207B1 (ko) | 프리캐스트 교각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 |
US20180291570A1 (en) | Method for launching/constructing bridge using assembly of precast bottom plate and concrete-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 |
KR100986207B1 (ko) | 티형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70922B1 (ko) | 텐던과 연결지지대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318773B1 (ko) |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
KR101043240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 |
KR100991869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88074B1 (ko) |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82599B1 (ko) |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 |
KR101012759B1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 |
KR101200563B1 (ko) |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 |
KR100398021B1 (ko) | 형강이 매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슬래브 및 이를이용한 단. 다경간 교량가설공법 | |
KR100885663B1 (ko) | 가로보를 정착부로 이용한 psc 합성거더의 연속화시공방법 및 그 구조 | |
KR20140125754A (ko) |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 |
KR20080111686A (ko) | Phc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슬래브 일체형phc합성거더 | |
KR101045929B1 (ko) | 친환경 프리스트레스 장경간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0767145B1 (ko) |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0734172B1 (ko) | 피시 빔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1167660B1 (ko) | 모멘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 |
KR200291793Y1 (ko) |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