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53Y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53Y1
KR200375153Y1 KR20-2004-0033148U KR20040033148U KR200375153Y1 KR 200375153 Y1 KR200375153 Y1 KR 200375153Y1 KR 20040033148 U KR20040033148 U KR 20040033148U KR 200375153 Y1 KR200375153 Y1 KR 200375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tressed concrete
concrete beam
reinforcement
flange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근
노옥근
노실근
Original Assignee
노윤근
노실근
노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근, 노실근, 노옥근 filed Critical 노윤근
Priority to KR20-2004-0033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와 측면 및 상ㆍ하부플랜지 등의 다양한 위치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PC강재를 설치하도록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내에 철골보강재를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내력을 강화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며, 상기 정착구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간을 장지간화 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형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은 상ㆍ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부플랜지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Prestressed concrete beam}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와 측면 및 상ㆍ하부플랜지 등의 다양한 위치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정착구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에 강연선을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은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할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부에 인장력에 의한 균열로 인하여 강연선을 도입할 수 있는 긴장력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간이 짧아지면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높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작용하는 정모멘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력을 견디지 못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하부에 균열이 발생되어 교량으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교량은 균열로 인하여 철근의 부식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부착력이 떨어짐으로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교량의 내구연한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와 측면 및 상ㆍ하부플랜지 등의 다양한 위치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PC강재를 설치하도록 정착구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를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내력을 강화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며, 상기 정착구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간을 장지간화 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형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은 상ㆍ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부플랜지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진 단순교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은 상ㆍ하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20)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4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5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에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단부 보강재(60)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면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조립된 철근 빔의 양측단부의 복부(16)에 1차 인장용 정착구(32)를 설치하면서 PC강재(20)를 연결하고, 상기 빔의 상부플랜지(12) 하측에 2차 인장용 정착구(36)를 설치하고, 상기 빔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유지관리용 정착구(39)를 설치한 후,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체길이에 걸쳐 보강재(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교각(82) 및 교대(84)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각(82) 위에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각각의 상부플랜지(12) 하측에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에 연결된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고정 정착한 후에 슬래브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에 거치된 PC강재(20)를 긴장하면서 고정 정착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 단순교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으로 이루어진 연속교를 도시한 예시도1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은 상ㆍ하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20)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4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5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에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단부 보강재(60)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하여 설치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조립된 철근 빔의 양측단부의 복부(16)에 1차 인장용 정착구(32)를 설치하면서 PC강재(20)를 연결하고, 상기 빔의 일측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를 설치하고,
상기 빔의 양측단부 내측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를 설치하고, 상기 빔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유지관리용 정착구(39)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빔의 상부플랜지(12) 일측단부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강재(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교각(82) 및 교대(84)에 설치하고, 중앙의 교각(82)에서는 인접하여 설치된 빔과 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플랜지(12)내에 설치된 보강재(50)를 연속화 강재(40)와 고장력볼트(42)로 연결하여 연속화 연결부(86)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속화 연결부(86)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서 상기 빔과 빔이 측면에서 서로 접하는 부분은 에폭시로 충전하여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중앙 교각(82)위에 인접하여 설치된 빔의 각각의 일측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설치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에 연결된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고정 장착한 후에 슬래브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상기 빔의 양측단부 내측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설치된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에 연결된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고정 장착하여 전구간에 걸쳐서 정모멘트부 긴장을 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 연속교를 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에 거치된 PC강재(20)를 긴장하면서 고정 정착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 연속교를 시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이와 같은 상기 유지관리용 정착구(39)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쪽 하부플랜지(14) 부분에 공용중 교량의 노후로 인한 유지관리의 편리를 위해 소규모 정착구를 1조(2개) 이상 설치하여, 유지관리시 PC강재(20)를 삽입한 후 인장하여 그라우팅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으로 이루어진 연속교를 도시한 예시도2로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은 상ㆍ하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20)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4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5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에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단부 보강재(60)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하여 설치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면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상기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각각 설치된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8)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조립된 철근 빔의 양측단부의 복부(16)에 1차 인장용 정착구(32)를 설치하면서 PC강재(20)를 연결하고, 상기 빔(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하여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를 설치하고, 상기 빔의 상부플랜지(12) 하부측에 2차 인장용 정착구(36)를 설치하며, 상기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연속화를 위해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8)를 설치하고, 상기 빔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유지관리용 정착구(39)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체길이에 걸쳐 보강재(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을 교각(82) 및 교대(84)에 설치하고 중앙 교각(82)에서는 인접하여 설치된 빔과 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플랜지(12) 상부에 설치된 보강재(50)의 일측부를 연속화 강재(40)와 고장력볼트(42)로 연결한 연속화 연결부(86)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속화 연결부(86)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이 측면에서 서로 접하는 부분은 에폭시로 충전하여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에 연결된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고정 정착한 후에 슬래브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각각의 일측단부에 설치된 상기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에 연결된 PC강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정모멘트부 2차 인장을 하는 단계;
상기 하부플랜지(14) 상부에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에 거치된 PC강재(20)를 긴장한 후에 고정 정착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 연속교를 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빔의 지점부 즉 빔의 양측단부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에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를 보여주는 것이며, 상기 빔과 빔을 연속화 하기 위하여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가 일정 길이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빔의 복부(16) 즉 빔의 복부(16)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에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 및 유지관리용 정착구(39)에 연결된 PC강재(20)를 보여주는 것이며, 상기 빔과 빔을 연속화 하기 위하여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가 일정 길이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C-C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 2 및 도 3의 빔의 지점부 즉 빔의 양측단부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에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를 보여주는 것이며, 상기 빔과 빔의 연속화 하기 위하여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가 일정한 길이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빔과 빔을 연속화 하기 위하여 상부플랜지(12)의 일측단에 돌출된 보강재(50)에 연속화 강재(40)를 이용하여 고장력볼트(42)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의 D-D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 2 및 도 3의 빔의 지점부 즉 빔의 복부(16)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에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 및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8) 및 유지관리용 정착구(39)에 연결된 PC강재(20)를 보여주는 것이며, 상기 빔과 빔의 연속화를 위하여 빔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를 일정한 길이로 배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8a는 압축부나 인장부에 폭이 넓은 철골 보강재(50)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b는 압축부나 인장부, 양단부에 폭이 넓은 철골 보강재(50)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c는 압축부나 인장부 구분 없이 전구간에 걸쳐 폭이 동일한 철골 보강재(50)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d는 압축부나 인장부는 두껍게 하고, 전구간에 걸쳐 폭이 동일한 철골 보강재(50)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50)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의 폭을 넓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압축부나 양단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의 폭을 넓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부나 인장부를 두껍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를 두껍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과 두께를 동일한 상태로 하여 설치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보강재(50)를 상기한 바와 같은 평면형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 준 도면이다.
도 9a 내지 9g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a는 -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b는 T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c는 ㅠ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d는 H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e는 ㄱ형 연결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f는 ㄱ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 도 9g는 파형 철골 보강재(5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50)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소정의 재질 및 단면형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보강재(50)는 그 재질이 철골, 강봉, 복합섬유, 강판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형상이 -형, T형, ㅠ형, H형, ㄱ형 연결, ㄱ형 및 파형상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보강재(50)는 그 단면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 준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l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철골 보강재(50)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0a는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b는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c는 상부플랜지(12)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d는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e는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f는 하부플랜지(14)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g는 하부플랜지(14)의 인장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h는 하부플랜지(14)의 인장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i는 상부플랜지(12)와 하부플랜지(14)의 인장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j는 하부플랜지(14)의 인장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k는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양단부와 하부플랜지(14)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l은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와 하부플랜지(14)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구간에 걸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보강재(50)는 그 설치를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구간이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적절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상부플랜지(12) 전구간이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당부에 적절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하부 플랜지 전구간이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당부에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o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철골 보강재(50)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11a는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한조의 철골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b는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한 조 이상의 철골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c는 상부플랜지(12)내에 철골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d는 상부플랜지(12) 상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e는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f는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g는 하부플랜지(14)내에 철골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h는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i는 상부플랜지(12)내에 철골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j는 상부플랜지(12) 상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내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k는 상부플랜지(12) 상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l은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 내에 철골 보강재(50)가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m은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n은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내에 철골 보강재(50)가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o는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철골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각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보강재(50)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부플랜지(12)내에 매립하거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설치하거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 설치하거나, 슬래브에 설치하거나, 또는 하부플랜지(14) 내에 매립설치하거나 하부플랜지(14) 하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부플랜지(12)와 하부플랜지(14)의 설치방법을 서로 조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철근다발체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구간에 철근다발체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압축부나 인장부에 철근다발체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철근다발체 보강재(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설치되되, 상기 보강재(50)는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에 일정한 직경의 천공부(52a)가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유지재(52)와; 상기 다수개의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삽입되며, 철근 또는 강봉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환형부재(54)로 구성되는 철근 다발체이다.
특히,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전구간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동일한 길이 및 개수로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상이한 길이 및 개수로 삽입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상이한 길이 및 개수로 삽입 설치된 구조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3a는 원형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b는 삼각형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c는 사각형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d는 팔각형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e는 육각형 간격유지재(52)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재(52)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철근이나 봉강 같은 환형부재(54)를 삽입토록 하기 위해 간격유지재(52)의 내측면에 천공부(52a)가 형성된 구조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 및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도 14a는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1이며, 도 14b는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2이며, 도 14c는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3이며, 도 14d는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4이며, 도 14e는 철골 보강재(50)에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4f는 철골 보강재(50)에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되고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50)에는 그 상면에 뒤벨(dubel), 스터드볼트, 합성철근, ㄷ형강, 반원형 철근, 나선형 철근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되거나, 그 상면에 일정한 깊이 및 직경의 천공부(72)가 형성되거나, 그 상면에 상기 전단연결재(70)와 원형 천공부(72)가 동시에 형성된 구조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연속화 연결부(86)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연속화 강재(40)는 두 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와 타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를 서로 맞대어 놓고, 상기 양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의 상하면에 연속화 강재(40)를 겹친 상태로 하여, 상기 연속화 강재(40) 사이를 고장력볼트(42)로 조여서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보강재(6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단부 보강재(6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 수평강판(62)과 상기 수평강판(62)에 수직으로 한 쌍이 용접 설치되며, 다수개의 천공부(64a)이 형성된 수직강판(64)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를 보강토록 한 구조이다.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한 조의 철골 보강재(50)가 연결재(90)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내외측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5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상기 일측의 보강재(50)와 타측의 보강재(50) 사이에 보강재(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연결재(9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5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다양한 위치에 정착구를 설치하여 PC강재를 연결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을 연속화 한 다음 상기 PC강재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인 단순교 및 연속교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에 설치된 철골 보강재에 의하여 상부에 인장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철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자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PC강재에 보다 많은 양의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지간을 장지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진 단순교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진 연속교를 도시한 예시도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으로 이루어진 연속교를 도시한 예시도2,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2 및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8a 내지 8d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8a는 압축부나 인장부에 폭이 넓은 철골 보강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b는 압축부나 인장부, 양단부에 폭이 넓은 철골 보강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c는 압축부나 인장부 구분 없이 전구간에 걸쳐 폭이 동일한 철골 보강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d는 압축부나 인장부는 두껍게 하고, 전구간에 걸쳐 폭이 동일한 철골 보강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a 내지 9g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9a는 -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b는 T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c는 ㅠ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d는 H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e는 ㄱ형 연결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f는 ㄱ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g는 파형 철골 보강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a 내지 10l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철골 보강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0a는 상ㆍ하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b는 상ㆍ하부플랜지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c는 상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d는 상부플랜지의 압축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e는 상부플랜지의 압축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f는 하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g는 하부플랜지의 인장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h는 하부플랜지의 인장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i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인장부나 양단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j는 하부플랜지의 인장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k는 상부플랜지의 압축부나 양단부와 하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l은 상부플랜지의 압축부와 하부플랜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a 내지 도 11o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철골 보강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11a는 상ㆍ하부플랜지내에 한 조의 철골 보강재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b는 상ㆍ하부플랜지내에 한 조 이상의 철골 보강재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c는 상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d는 상부플랜지 상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e는 상부플랜지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f는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g는 하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가 매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h는 하부플랜지 하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i는 상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가 매립 설치되고, 하부플랜지 하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j는 상부플랜지 상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k는 상부플랜지 상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 하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l은 상부플랜지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 내에 철골 보강재가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m은 상부플랜지 상부와 슬래브에 걸쳐서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 하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n은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내에 철골 보강재가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o는 슬래브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되고, 하부플랜지 하부에 철골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에 철근다발체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2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 전구간에 철근다발체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 압축부나 인장부에 철근다발체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철근다발체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3a는 원형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b는 삼각형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c는 사각형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d는 팔각형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e는 육각형 간격유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 및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도 14a는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1,
도 14b는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2,
도 14c는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3,
도 14d는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4,
도 14e는 철골 보강재에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f는 철골 보강재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되고 원형 천공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연속화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단부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상ㆍ하부플랜지에 한 조의 철골 보강재가 연결재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2 : 상부플랜지
14 : 하부플랜지 16 : 복부
20 : PC강재 32 : 1차 인장용 정착구
34 :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 36 : 2차 인장용 정착구
38 :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 39 : 유지관리용 정착구
40 : 연속화 강재 42 : 고장력볼트
50 : 보강재 52 : 간격유지재
52a : 천공부 54 : 환형부재
60 : 단부 보강재 62 : 수평강판
64 : 수직강판 64a : 천공부
70 : 전단연결재 72 : 천공부
82 : 교각 84 : 교대
86 : 연속화 연결부 90 : 연결재

Claims (17)

  1. 상ㆍ하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과;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측면,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PC강재(20)를 긴장시키기 위한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정착구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에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연속화를 위해 고정 설치된 연속화 강재(4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된 보강재(50)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에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단부 보강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면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 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하여 설치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및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6, 38)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의 복부(16)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된 1차 인장용 정착구(32)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지간의 1/3되는 상부플랜지(12) 아래의 복부(16)에 연속화를 위하여 설치된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면에 각각 설치된 2차 인장용 정착구(36)와;
    상기 연속화 1차 인장용 정착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하부에 각각 설치된 연속화 2차 인장용 정착구(38)와;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양측단부 내측의 하부플랜지(1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유지관리용 정착구(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의 폭을 넓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압축부나 양단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의 폭을 넓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부나 인장부를 두껍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를 두껍게 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전구간에 보강재(50)의 폭과 두께를 동일한 상태로 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소정의 재질 및 단면형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보강재(50)는 그 재질이 철골, 강봉, 복합섬유, 강판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형상이 -형, T형, ㅠ형, H형, ㄱ형 연결, ㄱ형 및 파형상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 전구간에 걸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압축부나 인장부에만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전구간에 보강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내에 보강재(5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하부플랜지(14)의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의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부플랜지(12) 상부와 슬래브간에 걸쳐서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내에 보강재(50)가 매립 설치되거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상의 슬래브에 보강재(50)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14) 하부에 보강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에 설치되되,
    상기 보강재(50)는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에 일정한 직경의 천공부(52a)가 형성된 다수개의 간격유지재(52)와;
    상기 다수개의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삽입되며, 철근 또는 강봉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환형부재(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전구간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동일한 길이 및 갯수로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상이한 길이 및 개수로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압축부나 인장부 및 양단부에 간격유지재(52)의 천공부(52a)에 환형부재(54)가 상이한 길이 및 개수로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재(52)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에는 그 상면에 뒤벨(dubel), 스터드볼트, 합성철근, ㄷ형강, 반원형 철근, 나선형 철근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단연결재(70)가 부착되거나, 그 상면에 일정한 깊이 및 직경의 원형 천공부(72)가 형성되거나,
    그 상면에 상기 전단연결재(70)와 원형 천공부(72)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화 강재(40)는 두 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일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와 타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를 서로 맞대어 놓고, 상기 양측의 상부플랜지(12)의 보강재(50)의 상하면에 연속화 강재(40)를 겹친 상태로 하여, 상기 연속화 강재(40) 사이를 고장력볼트(42)로 조여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보강재(6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 수평강판(62)과 상기 수평강판(62)에 수직으로 한 쌍이 용접 설치되며, 다수개의 천공부(64a)이 형성된 수직강판(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10)의 상ㆍ하부플랜지(12, 14)의 내외측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5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상기 일측의 보강재(50)와 타측의 보강재(50) 사이에 보강재(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연결재(90)에 의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KR20-2004-0033148U 2004-11-23 2004-11-2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KR200375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48U KR200375153Y1 (ko) 2004-11-23 2004-11-2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48U KR200375153Y1 (ko) 2004-11-23 2004-11-2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388 Division 2004-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53Y1 true KR200375153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48U KR200375153Y1 (ko) 2004-11-23 2004-11-2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5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24B1 (ko) 2008-03-24 2008-07-23 (주)삼우아이엠씨 도로의 횡방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0892617B1 (ko) 2008-07-31 2009-04-08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바닥판 콘크리트층을 정착부로 이용한 psc 합성거더의연속화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043239B1 (ko) 2008-12-23 2011-06-22 (주)삼현피에프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1169012B1 (ko) 2011-09-20 2012-07-26 우경기술주식회사 Psc 박스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691B1 (ko) * 2017-05-12 2018-10-04 신영기술개발(주) 복합 피에스씨 빔
KR102082725B1 (ko) * 2019-06-18 2020-02-28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장수명 psc 교량 및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724B1 (ko) 2008-03-24 2008-07-23 (주)삼우아이엠씨 도로의 횡방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0892617B1 (ko) 2008-07-31 2009-04-08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바닥판 콘크리트층을 정착부로 이용한 psc 합성거더의연속화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043239B1 (ko) 2008-12-23 2011-06-22 (주)삼현피에프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1169012B1 (ko) 2011-09-20 2012-07-26 우경기술주식회사 Psc 박스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691B1 (ko) * 2017-05-12 2018-10-04 신영기술개발(주) 복합 피에스씨 빔
KR102082725B1 (ko) * 2019-06-18 2020-02-28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장수명 psc 교량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730B2 (en) PSSC complex girder
AU2020100507A4 (en) Prefabricated Concrete Frame Beam-Column Connection Joint With Steel Strands Anchored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200375153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KR100986207B1 (ko) 티형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GB2481162A (en) Truss-type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having double anchorage functions at both top and bottom thereof
KR101924092B1 (ko)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19715A (ko)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398021B1 (ko) 형강이 매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슬래브 및 이를이용한 단. 다경간 교량가설공법
JP3635004B2 (ja) 橋梁の片持式架設工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580223B1 (ko) 상하부 플랜지에 다양한 형태의 강판을 사용한프리스트레스트 스틸 철근 콘크리트빔 및 이를 이용한교량 설치방법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100547485B1 (ko) 교량의 연속화를 통하여 잉여 휨모멘트 크기를 절감할 수있는 구조로 제작된 단위 교량거더를 이용한 다경간연속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483173B1 (ko)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KR100555251B1 (ko) 다목적 인장이 가능한 측면돌출 정착블록이 정착된 주형과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314712B2 (ja) 橋脚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00002502A (ko) 프리스트레스트 웨브 골형강판 합성보
KR100565359B1 (ko) 교량연속화공법
KR200184684Y1 (ko)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