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39B1 -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39B1
KR100793439B1 KR1020070053494A KR20070053494A KR100793439B1 KR 100793439 B1 KR100793439 B1 KR 100793439B1 KR 1020070053494 A KR1020070053494 A KR 1020070053494A KR 20070053494 A KR20070053494 A KR 20070053494A KR 100793439 B1 KR100793439 B1 KR 10079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nector
vapor
r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술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7005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67D7/40Suspending, reeling or 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21Filling nozzles comprising protective covers, e.g. anti-splash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유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이루어지는 이중관 호스; 상기 이중관 호스를 감기 위해 천장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권취용 릴; 상기 이중관 호스에 설치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하부 커넥터; 상기 이중관 호스에 설치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커넥터; 상기 권취용 릴에 고정 결합되고, 주유와 유증기 회수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넥터와 연통된 릴 커넥터; 및 상기 권취용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현수식 주유기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이중관 호스를 하나의 권취용 릴에 감아서 회전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유증기 파이프의 대부분이 이중관 호스 내에 설치되므로 주변구조물에 걸리는 경우를 피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증기, 회수, 주유건, 이중관 호스, 릴, 기어, 커넥터, 체인, 유증기회수펌프

Description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A CEILING TYPE LUBRICATOR HAVING FUNCTION RETRIE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도 1은, 종래의 주유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포함하는 종래 주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서 천장 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에서 천장 프레임의 내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a에서 권취용 릴의 앞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b에서 권취용 릴의 뒷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주유건과 이중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주유건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권취용 릴에 부착된 릴 커넥터와 유류 공급관의 종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과 도 9에서 하부 커넥터와 상부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서 커넥터 사이의 이중관 호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주유건
150... 하부 커넥터
151... 유증기용 관통공
200... 이중관 호스
210... 주유 파이프
220... 유증기 파이프
222... 걸림턱
250... 상부 커넥터
251... 유증기용 관통공
351... 중간 주유관
352... 중간 회수관
400... 권취용 릴
450... 릴 커넥터
700... 구동수단
710... 모터
720... 체인전동장치
730... 제어 스위치
740... 전기선
750... 제어장치
800... 유증기회수펌프
900... 천장 프레임
1000...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에 관한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자동차 주유시 주유건(도 1 참조)을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형성된 주유구로 투입하여 기름을 주입하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휘발유나 경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자동차의 주유구와 주유건의 기름배출관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유증기는 운전자나 주유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증발 기체가 주유소 주변에 머물러 있을 경우 담배불이나 작은 불씨에 의해 발화가 되면 대형 폭발사고나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적절히 회수할 필요가 있다.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주유기가 종래에도 개시되어 있으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도 3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02034호에 개시된 "주유기의 유증기 흡입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증기 흡입장치는, 주유기 본체(10)에 호스로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기름 배출관(21)을 자동차의 주유구(41)로 투입하여 자동차 연료탱크(40)에 기름을 주입하는 통상의 주유건(20)에 있어서, 기름배출관(21)의 둘레에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어 전면이 개방된 신축성 밀폐막(22)의 둘레에 수 개의 흡기공(22a)을 형성하고 이 신축성 밀폐막(22)의 후방에 흡기관(23)의 일측을 착탈할 수 있게 하며 흡기관(23)의 타측단은 수집탱크(30)에 설치된 송풍기(31)와 연결하여서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유증기 흡입장치는 단지 스탠드식 주유기에만 적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흡기관(23)과 기름 배출호스 사이를 결합하는 적당한 구조가 없어 행인이나 주변구조와 간섭이 이루어지는 등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간섭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 마모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높았다.
한편, 도 4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20313호에 개시된 "주유시 유증기 흡입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증기 흡입장치는, 주유소에 고정 설치되는 주유기 본체(1)와 주유기 본체(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선단에 주유 노즐(4)을 구비한 주유 노즐 헤드(3)가 장착된 주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유 노즐(4)에 끼워지며 몸통부(11)가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120)으로 형성된 덮개(100)와, 상기 덮개(100)에 선단부가 관통 고정되고 상기 주유 노즐 헤드(3)와 주유 호스(2)를 따라 하단부가 주유기 본체(1)내에 내장되는 냄새 흡입관(130)과, 상기 냄새 흡입관(130)의 하단에 설치되는 냄새 흡입팬(140)과, 상기 냄새 흡입팬(140)으로부터 흡입된 냄새를 정화시키는 정화기(15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유증기 흡입장치도 스탠드식 주유기에만 적용될 뿐 현수식 주유기에 적용되기 위한 어떠한 구조적 특징도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냄새 흡입관(130)이 이중관 호스(2)를 따라 시종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구조와의 마찰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높았고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유증기 회수기능을 현수식 주유기에 적용할 수 있는 주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 부피가 작아서 케이스 하나에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는 현수식 주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는,
주유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이루어지는 이중관 호스;
상기 이중관 호스를 감기 위해 천장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권취용 릴;
이중관 호스에 연결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하부 커넥터;
상기 이중관 호스에 연결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커넥터;
상기 권취용 릴에 고정 결합되고, 주유와 유증기 회수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넥터와 연통된 릴 커넥터; 및
상기 권취용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릴 커넥터는 상기 권취용 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유류 공급관이 상기 권취용 릴의 반대면측으로부터 상기 릴 커넥터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용 릴의 풀리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이중관 호스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넥터는, 각각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유증기용 관통공의 둘레에 주유용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증기용 관통공은 하부 커넥터의 측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관 호스는 주유 파이프 내부에 유증기 파이프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주유 파이프와 유증기 파이프는 상기 하부 커넥터의 주유용 관통공과 유증기용 관통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넥터는, 각각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유증기용 관통공의 둘레에 주유용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증기용 관통공은 상부 커넥터의 측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관 호스는 주유 파이프 내부에 유증기 파이프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주유 파이프와 유증기 파이프는 상기 상부 커넥터의 주유용 관통공과 유증기용 관통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관 호스에서, 유증기 파이프의 단부 측면에는 상기 주유 파이프의 단부 직경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 커넥터와 상부 커넥터 사이에는 중간 주유관과 중간 회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유류탱크와 연통되는 유증기 회수구가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 커넥터의 유증기 회수구에는 유증기회수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관 호스의 하부 커넥터에는 주유건이 연결되며, 주유건의 유출구 근방에는 밀폐용 캡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증기 흡입호스가 상기 하부 커넥터로부터 밀폐용 캡에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및 체인구동장치이며, 상기 모터는 주유건 근방에 설치된 제어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선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권취용 릴의 반대면에 설치된 유류 공급관과 권취용 릴을 통해 릴 커넥터에 들어가고, 상기 릴 커넥터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중관 호스의 내부를 거쳐 제어 스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선은 상기 하부 커넥터과 상부 커넥터를 통해 제어 스위치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증기 흡입호스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내부를 관통한 후 밀폐용 캡에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식 주유기(1000)는, 주유건(100), 상기 주유건(1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이루어지는 이중관 호스(200), 상기 이중관 호스(200)를 감기 위해 천장 프레임(9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권취용 릴(400), 상기 이중관 호스(20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하부 커넥터(150), 상기 이중관 호스(20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커넥터(250), 상기 권취용 릴(400)에 고정 결합되고, 주유와 유증기 회수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넥터와 연결된 릴 커넥터(450), 및 상기 권취용 릴(40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700)을 포함한다.
먼저, 유류가 배출되는 동시에 유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주유건(100)의 밀폐용 캡(190)에는 유증기 호스(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증기 호스(130)는 상기 이중관 호스(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 커넥터(150)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증기 호스(130)는 하부 커넥터(150)로부터 나와 제어 스 위치(730) 내부를 통과한 후 밀폐용 캡(190)에 관통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증기 호스(130)가 꼬이거나 주변구조에 걸리는 경우가 없게 된다.
즉, 밀폐용 캡(190)은 상기 주유건(100)의 유출구(140) 근방에 설치되어 있되, 유증기 호스(130)의 개구는 밀폐용 캡(190)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 캡(190)은 자동차 주유구(C)의 둘레에 밀착되게 결합한다.
상기 밀폐용 캡(19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유증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유연한 재료인 고무재나 연질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관 호스(200)는 소정길이의 주유 파이프(210) 내부에 유증기 파이프(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주유 파이프(210)의 양단부에서 상기 유증기 파이프(220)의 단부가 각각 걸려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증기 파이프(220)의 단부는 주유 파이프(210)의 단부 직경보다 큰 바깥쪽 걸림턱(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조립시 상기 걸림턱(222)이 주유 파이프(210)의 단부에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주유 파이프(210)의 양단부에 상기 유증기 파이프(220)의 양단부가 각각 걸림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한 것과 다른 구성요소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이중관 호스(200)를 구성하는 유증기 파이프(220)와 주유 파이프(210)는 유연한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유성과 내화학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유증기 파이프(22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22)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와 결합시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는,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유증기용 관통공(151)(251)의 둘레에 주유용 관통공(152)(25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주유용 관통공(152)(252)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수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될 이유는 없다. 그리고,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는 스텐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합금 등 내유성 및 내화학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합성수지 등의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는,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중앙 근방에 형성되었던 유증기용 관통공(151)(251)의 타단이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의 측부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의 측부에 연통된 유증기용 관통공(151)(251)에는 유증기 흡입호스(130) 또는 중간 회수관(352)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각각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의 외곽 형상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모양이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는 양단부에 나사 부(157)(257)가 형성되어 있어, 주유건(100)과 이중관 호스(200) 사이 및 이중관 호스(200)의 상단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주유건(100)쪽 연결호스, 그리고 상부 커넥터(250)와 후술하는 중간 주유관(351)이 나사결합을 통해 밀봉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를 회전시켜서 이중관 호스(200)와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상부 커넥터(250)의 유증기용 관통공(151)(251)이 이중관 호스(200)의 유증기 파이프(220)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밀봉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유증기 파이프(220)의 단부에는 오링(228)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결합 대신 통상적인 원터치식 커플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취용 릴(400)은 이중관 호스(200)를 감기 위해 천장 프레임(9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용 릴(400)은 천장 프레임(900)에 설치된 모터(710) 및 체인구동장치(720)로 구성된 구동수단(700)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710)는 주유건(100) 근방에 설치된 제어 스위치(7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710) 및 체인구동장치(720)는 권취용 릴(400)의 뒷면쪽 천장 프레임(90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730)의 조작에 의해 제어장치(750)를 통해 상기 모터(710)가 정역회전 및 정지 등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750)는 권취용 릴(400)의 릴 커넥터(450)가 있는 앞면에 설치되어 권취용 릴(4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그 배치되는 위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 커넥터(450)는 상기 권취용 릴(40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권취용 릴(400)의 풀리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이중관 호스(200)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4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 커넥터(450)와 상부 커넥터(250) 사이에는 중간 주유관(351)과 중간 회수관(352)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릴 커넥터(450)에는 유류탱크(미도시)와 연통되는 유증기 회수구(453)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증기 회수구(453)에는 유증기 회수관(미도시)가 연결되어 유류탱크로 향한다.
유증기 회수구(453)에는 유증기회수펌프(8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 유증기회수펌프(800)는 천장 프레임(90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천장 프레임(900)의 적당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회수펌프(800)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구동모터(810)도 천장 프레임(90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류탱크(미도시)에 연결된 유류 공급관(460)이 상기 권취용 릴(400)의 반대면측으로부터 상기 릴 커넥터(450)에 연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류가 유류탱크로부터 유류 공급관(460)을 통해 공급되어, 권취용 릴(400)의 중앙을 관통하여 릴 커넥터(450)에 유입된다. 상기 유류 공급관(460)은 권취용 릴(40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천장 프레임(900)에 지지되어 권취용 릴(400)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모터(710)와 제어 스위치(730)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선(740)이 적절히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선(740)은 상기 모터(710)로부터 상기 권취용 릴(400)의 반대면에 설치된 유류 공급관(460)과 권취용 릴(400)의 중앙을 통해 릴 커넥터(450)에 들어가고, 상기 릴 커넥터(450)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중관 호스(200)의 내부를 거쳐 제어 스위치(7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릴 커넥터(450)의 내부에는 동관(457)이 내장되어 있고, 이 동관(457)의 내부에 전기선(740)이 내장된다.
특히, 상기 전기선(740)은 제어 스위치(730)로부터 상기 하부 커넥터(150)와 이중관 호스(200)의 내부를 거쳐 상부 커넥터(250)를 통해 나오도록 하는 것이 구성상 유리하다.
물론, 상기 전기선(740)의 연결은 다소 수정된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지상에 위치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모터(710) 및 제어장치(750)에 전원이 연결되고 신호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권취용 릴(400)이 회전하면서 주유건(100)이 소정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다음, 주유건(100)의 손잡이를 조작하면 유류탱크(미도시)에 연결된 유류펌프(미도시)와 유증기회수펌프(800)에 전원이 연결되어 주유 및 유증기 회수가 시작된다.
유류는 유류탱크로부터 유류 공급관(460)과 권취용 릴(400)의 중앙을 지나 릴 커넥터(450)로 들어간다.
상기 릴 커넥터(450)에는 유류와 유증기가 분리되어 지나가게 되어 있으므로 유류는 유류 통로를 통해서만 지나가며, 릴 커넥터(450)를 나온 유류는 중간 주유관(351)과 상부 커넥터(250)로 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커넥터(250)에서도 역시 유류와 유증기가 분리되어 지나가게 되어 있다.
다음, 유류는 이중관 호스(200) 내의 주유 파이프(210)를 지나 하단의 하부 커넥터(150)를 통과하여 주유건(100)의 유출구(140)를 통해 최종 주유가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넥터(150)도 역시 유류와 유증기가 분리되어 통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유하는 중에 주유건(100)의 유출구(140)에서는 연속적으로 유증기가 발생된다.
이와같이 발생하는 유증기는 유증기 흡입호스(130)를 지나 하부 커넥터(150)와 이중관 호스(200)의 유증기 파이프(2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부 커넥터(250)로 들어간 후 중간 회수관(352)을 지나 릴 커넥터(450)를 지나게 된다.
다음, 릴 커넥터(450)에 들어간 유증기는 유증기 회수구(453)를 통해 배출되어 유류탱크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유와 동시에 유증기 회수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현수식 주유기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관 호스를 하나의 권취용 릴에 감아서 회전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권치용 릴만이 사용되므로 자체 부피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하나의 천장 프레임에 대하여 설치할 수 있는 주유건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증기 파이프의 대부분이 이중관 호스 내에 설치되므로 주변구조물에 걸리는 경우를 피할 수 있고 비접촉으로 인해 내구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중관 호스의 양단부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유건의 유출구 근방에 밀폐용 캡이 설치되어 있고 유증기 흡입호스가 상기 밀폐용 캡에 관통 설치되어 있어 발생하는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증기 호스에 유증기회수펌프가 연결되어 있어 발생하는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선도 이중관 호스 내에 내장되므로 구조가 더 욱 간단해진다.

Claims (13)

  1. 주유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서 주유와 유증기 회수가 이루어지는 이중관 호스;
    상기 이중관 호스를 감기 위해 천장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권취용 릴;
    상기 이중관 호스에 설치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하부 커넥터;
    상기 이중관 호스에 설치되며 유류와 유증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커넥터;
    상기 권취용 릴에 고정 결합되고, 주유와 유증기 회수를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넥터와 연통된 릴 커넥터; 및
    상기 권취용 릴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릴 커넥터와 상부 커넥터 사이에는 중간 주유관과 중간 회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릴 커넥터에는 유류탱크와 연통되는 유증기 회수구가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커넥터는 상기 권취용 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유류 공급관이 상기 권취용 릴의 반대면측으로부터 상기 릴 커넥터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릴의 풀리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이중관 호스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는, 각각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유증기용 관통공의 둘레에 주유용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증기용 관통공은 하부 커넥터의 측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관 호스는 주유 파이프 내부에 유증기 파이프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주유 파이프와 유증기 파이프는 상기 하부 커넥터의 주유용 관통공과 유증기용 관통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는, 각각 그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유증기용 관통공의 둘레에 주유용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증기용 관통공은 상부 커넥터의 측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관 호스는 주유 파이프 내부에 유증기 파이프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주유 파이프와 유증기 파이프는 상기 상부 커넥터의 주유용 관통공과 유증기용 관통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 호스에서, 유증기 파이프의 단부 측면에는 상기 주유 파이프의 단부 직경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커넥터의 유증기 회수구에는 유증기회수펌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 호스의 하부 커넥터에는 주유건이 연결되며,
    상기 주유건의 유출구 근방에는 밀폐용 캡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증기 흡입호스가 상기 하부 커넥터로부터 밀폐용 캡에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및 체인구동장치이며, 상기 모터는 주유건 근방에 설치된 제어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선은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권취용 릴의 반대면에 설치된 유류 공급관과 권취용 릴을 통해 릴 커넥터에 들어가고, 상기 릴 커넥터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이중관 호스의 내부를 거쳐 제어 스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은 상기 하부 커넥터과 상부 커넥터를 통해 제어 스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흡입호스는 상기 제어 스위치의 내부를 관통한 후 밀폐용 캡에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KR1020070053494A 2007-05-31 2007-05-31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KR10079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94A KR100793439B1 (ko) 2007-05-31 2007-05-31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94A KR100793439B1 (ko) 2007-05-31 2007-05-31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439B1 true KR100793439B1 (ko) 2008-01-14

Family

ID=3921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494A KR100793439B1 (ko) 2007-05-31 2007-05-31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64B1 (ko) * 2009-06-04 2010-02-04 서화경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76112B1 (ko) * 2019-11-29 2020-11-11 주식회사 무등기업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4700U (ko) 1979-01-17 1980-07-22
JPH06144500A (ja) * 1992-11-02 1994-05-24 Tatsuno Co Ltd 給油ノズ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4700U (ko) 1979-01-17 1980-07-22
JPH06144500A (ja) * 1992-11-02 1994-05-24 Tatsuno Co Ltd 給油ノズ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64B1 (ko) * 2009-06-04 2010-02-04 서화경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76112B1 (ko) * 2019-11-29 2020-11-11 주식회사 무등기업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06105A (ja) パワー・カッター
KR100793439B1 (ko)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US20060219219A1 (en) Throttle body
DE602005004199T2 (de) Fahrzeugbrennstoffversorgungsvorrichtung
US20120168028A1 (en) Oil vapor recovery type fuel dispensing gun
KR100786623B1 (ko)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천정식 주유기
US20080041348A1 (en) Fuel tank with integrated evaporative emissions system
DE112010006005B4 (de) Kraftstofftank
KR20110083401A (ko) 혼유방지 및 유증기 포집 기능을 갖는 주유기
US20160076417A1 (en) Oil Nozzle
US725207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ir-fuel mixture injection
US8550050B2 (en) Carburetor and general purpose engine
CN109311387A (zh) 用于利用气态燃料为机动车加燃料的加燃料配件
WO2020229512A1 (fr) Dispositif de contrôle d'émissions de vapeurs de carburant à neutralisation de fuite
US6810759B2 (en) Engine starter
KR100482858B1 (ko) 필러 넥에 장착되는 캐니스터용 에어 필터
CN210485227U (zh) 压铸机锤头用润滑猪油的加注机
US1498709A (en) Fuel-tank pressure appliance
KR950005116Y1 (ko) 자동차 에어콤푸레셔를 이용한 기름급유장치
KR20120022236A (ko) 유증기를 포집하는 주유기 및 그 주유기의 조립방법
KR100201458B1 (ko) 상용차용 연료탱크의 보조주입구
US1872411A (en) Device for reducing carbon monoxide in hydrocarbon engines
CN105736188A (zh) 蒸发燃料处理装置
KR19990002517U (ko)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
KR0113981Y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크리닝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