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64B1 -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64B1
KR100940364B1 KR1020090052910A KR20090052910A KR100940364B1 KR 100940364 B1 KR100940364 B1 KR 100940364B1 KR 1020090052910 A KR1020090052910 A KR 1020090052910A KR 20090052910 A KR20090052910 A KR 20090052910A KR 100940364 B1 KR100940364 B1 KR 10094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por
thermal conductivity
oil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화경
Original Assignee
서화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화경 filed Critical 서화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2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by discriminating the kind of liquid by analysis or by physical properties, e.g. vapou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유류탱크 내의 제1유류를 제2유류탱크에 주유할 때 제1,2유류탱크의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주유를 결정하며, 주유건을 캐비넷에서 탈거하여 펌프가 가동함과 아울러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도 제1,2유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유류가 주유건까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하여도 제1유류가 토출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6)와 유량계(8)를 통과한 제1유류가 주유건(5)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개폐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70)와; 제2유류탱크(2)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는 유증기 흡입수단과;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습도센서(50)와; 제1유류탱크에 저장되는 제1유류의 열전도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0)와; 그리고, 상기 온도/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에서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열전도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한 후 이 비교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혼유, 방지, 밸브, 유증기

Description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IXED OIL}
본 발명은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제1유류를 차량 등의 제2유류탱크에 주유할 때, 주유 준비를 위하여 주유건을 캐비넷에서 탈거하여 펌프에 의해 제1유류가 토출되어도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는 제1유류가 주유건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유류가 상이한 경우에는 주유건의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하여도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에 주유되지 않도록 한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휘발유, 경유 또는 엘피지(LPG)를 연료로 하여 운전된다. 엘피지 차량의 경우, 별도의 엘피지 충전소를 이용하여 가스 충전을 하고 가스 주입구가 다른 차량의 주유구와 전혀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휘발유 차량 또는 경유 차량과 혼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종래에는 경유 차량은 버스,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휘발유 차량은 승용차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차량별로 주유되는 연료의 종류가 확연하게 구별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디젤엔진을 채용한 승용차의 보급이 본격화되고, 레저용 차량에 가솔린엔진 적용이 확대되면서 차량의 외관만으로는 경유 차량인지 휘발유 차량인지 구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과정에서 휘발유 차량에 경유를 주유하거나,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주유하는 실수를 범하기 쉬워졌다. 이와 같은 혼유가 발생하면, 잘못 주유된 연료탱크를 해체한 후에 내부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작업과 차량 내부의 연료라인에 이송된 타연료를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심할 경우에는 엔진의 손상으로 인하여 엔진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경유차량의 연료주입구는 휘발유 차량의 연료주입구보다 크게 제작되기 때문에, 휘발유 차량에 경유를 잘못 주유하는 혼유 실수보다는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잘못 주유하는 경우가 혼유 실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혼유 방지 장치도 이런 점에 착안되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경유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보다는 작고, 휘발유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보다는 큰 크기의 링 형상의 작동자 또는 슬라이더를 휘발유용 주유건의 파우스트에 장착하고, 상기 작동자 또는 슬라이더가 연료 주입구에 걸리는지 여부에 따라 연료탱크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휘발유 차량이면서도 연료 주입구의 크기가 큰 일부 차종의 경우, 경유 차량으로 오인하여 휘발유의 주유가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동모드를 채택하여 임의로 주유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임시방책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연료 주입구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혼유를 방지하는 경우 작업자가 휘발유 대신 경유를 주입하는 실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주입구가 큰 경유 차량의 경우에도 스파우트의 삽입과정에서 작동자가 연료 주입구 주변의 턱에 걸려서 작동하면 휘발유 차량의 연료 탱크가 맞는 것으로 인식되어 오작동하게 될 여지가 있다.
이외에 주유기의 색깔을 유류별로 다르게 도색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런 방법도 주유 작업자의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결국에는 수동으로 혼유 방지가 이루어지므로 항상 혼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 개발된 혼유 방지 장치는 주유기에서 자동차로 주유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개발된 것으로, 유조차에서 주유소의 저장탱크로 또는 저장탱크에서 다른 저장탱크로 기름이 이동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유조차에서 기름을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경우와 같은 자동차 주유 이외의 혼유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름의 저장용기 및 연료주입구의 특성에 따른 혼유 방지 장치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기름의 유류별 특성을 이용한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혼유 사고가 생기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둘러싼 주유소와 자동차 소유자 사이에, 주유소 소유주와 주유원 사이에 책임여부를 두고 서로의 주장이 엇갈리게 된다.
하지만, 주유기에는 주유 당시의 상황을 알려줄 만한 기록, 즉 자동차가 경유차량 또는 휘발유차량인지, 주유원이 연료탱크와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류차이를 인지하였는지 등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지 않게 되므로, 이에 대한 책임공방이 끊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6-115561호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주유건에 의하여 제1 유류탱크에서 제2 유류탱크로 주유되는 유류의 혼유 공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혼유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의 스파우트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유류탱크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유류탱크 내부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전도도 검출기;
유류별 유증기의 열전도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유건의 스파우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유류탱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에서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열전도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유류탱크 내부의 유류를 확인하며, 상기 제2 유류탱크의 유류와 상기 제1 유류탱크에 구비된 유류의 일치 여부에 따라 유로 개폐신호를 송출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서 송출되는 유로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유류탱크에서 제2 유류탱크로 주유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스파우트는 직접적으로 제1 유류탱크에서 제2 유류 탱크로 유류가 통과하는 유로이고 또한 유류가 이동할 때 휘발유의 유증기가 발생하는 아주 위험한 곳(제2 유류 탱크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온도 및 습도 센서를 동작하기 위해서도 전원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는 유류가 직접 토출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전기적 자극을 받는다면 대형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원 사용이나 공급 자체가 불가하므로 현실적으로 실용성이 없다.
다시 말하면, 제1유류 탱크 내의 유류를 제2유류 탱크 내에 주유할 경우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는 폭발과 화재의 위험이 상시 도사리고 있는 위험한 위치인 제2유류 탱크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가 상기 제2유류 탱크에 삽입되는 스파우트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온도 및 습도센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중에 전기적 스파크나 쇼트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대형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직접적인 전원 사용을 일체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사용하는 모든 주유기의 스파우트가 전기적 자극이 필요 없는 진공 압축식으로 기구적인 설계에 의한 수위센서만 부착된 것을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주유 중 시동을 끄라는 주유원의 안내 계도와 실재 주유를 진행하는 주유원들이 착용하고 있는 복장도 정 전기를 최소화하고 방지하도록 고안된 소재로 이루어져다는 점을 통해서도 스파우트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모든 기기류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상의 문제점이 있는 종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여 상용화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과 비용을 연구 개발비로 투자 해야만 한다는 단점을 들 수가 있다.
왜냐하면, 종래의 출원대로 직접 전원을 상기주유기의 스파우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사용해도 안전하다는 것을 국내 및 국제 인증기관을 통해 검증을 받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그런 검증을 받아 낸다고 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세계적으로 그런 인증 사래가 단 한건도 없고, 아울러 실제 현업에서 기구 설계와 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견해로는 종래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어림잡아도 수십억에서 수백억원에 달하는 많은 비용의 투자가 불가피하고 그 결과 또한 불투명하며 과도한 연구 개발비와 시설 설비 투자는 사업성패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사업성이 희박하다.
그리고, 상기 주유기를 통해 주유원이 실제 주유를 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동 유형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종래 기술은 현장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으로, 허점과 불합리한 점들이 수없이 많아서 상용이 불가능한 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유원이 실제 주유를 하기 위해서 취하는 행동 유형은, 고객이 주유를 하기위해 주유소 내에 들어오면 주유원은 먼저 고객으로부터 주유 금액을 확인한 후 상기 주유기에 금액을 선 세팅하거나 또는 상기 주유기의 주 유건을 주유기 본체의 거치대에서 들어 올려 제2유류탱크에 삽입하고 주유건에 있는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한 후 고객으로부터 주유금액을 확인하고 확인한 주유 금액을 세팅 한다. 상기 제1유류 탱크에서 제2유류 탱크로 유류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 개방 신호를 감지한 모터와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유로를 선 개방하고 주유원이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를 제2유류 탱크 내에 삽입하면서 동시에 초단위의 연계동작으로 주유건의 오토노즐 레버를 열기 때문에 바로 그 순간 순식간에 유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주유기의 주유건안에까지 도달해 있던 유류가 상기 제1유류 탱크에서 상기 제2유류 탱크로 공급되는 주유 방법이 있고.
또 다른 행동 유형의 하나는 주유원이 상기 주유기의 주유건을 주유기 본체의 거치대에서 들어 올리고 트리거 스위치의 레버를 조작하는 순간 제1유류 탱크에서 제2유류 탱크로 유류가 송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유기에 설치된 모터와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그 신호를 감지한 후 유로를 개방하고 주유원이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를 상기 제2유류 탱크 내에 삽입하면서 동시에 초단위의 연계동작으로 주유건의 오토노즐 레버를 열기 때문에 바로 그 순간 순식간에 유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와 주유건안에까지 도달해 있던 유류가 상기 제2유류 탱크로 고압으로 송출되고, 주유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고객으로부터 주유금액을 확인한 주유원이 그 금액을 세팅 설정하면 설정된 금액만큼의 유류를 자동으로 주입되는 방법이 그것이다.
주유원이 주유금액을 세팅하고 상기 주유기의 총을 주유기 본체의 거치대에서 들어 올리고 트리거 스위치의 레버를 조작하는 순간 상기 주유기에 설치된 모터 와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그 신호를 감지한 후 유로를 개방하고 개방된 유로를 따라 제1유류 탱크의 유류가 이미 제2유류 탱크 내에 삽입된 상기 주유건과 스파우트의 안쪽 내부에까지 도달해 있고, 또한 주유원이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를 상기 제2저장탱크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초단위의 연계동작으로 주유건의 오토노즐 레버를 열기 때문에 바로 그 순간 순식간에 유로가 열리고 고압으로 유류가 송출되며,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현재 주유기의 작동 방식과 주유원의 행동 방식 상 이미 제1유류 탱크 내의 유류가 제2유류 탱크의 스파우트까지 송출되어 있고, 이때, 스파우트는 제2유류 탱크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유류 탱크 내의 유류가 제2유류 탱크의 유류와 다르더라도 스파우트까지 송출된 유류를 차단할 방법이 전혀 없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유류 탱크 내 유증기의 정보를 보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기로 송출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주유기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 차체를 차단 제어하기까지 걸리는 과정이나 타이밍이 길고 실제 주유시의 동선이나 주유기의 조작순서, 주유기의 동작원리 상 주유시 벌어지는 상황들과는 전혀 맞지 않고 실제 주유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종래 기술은 데이터의 보정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제1유류 탱크의 유류가 제2유류 탱크로 유입 토출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종래 출원은 혼유를 방지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은 상기 주유기의 스파우트 내에 설치된 열전도도 검출기와 상기 온도 및 습도 센서를 통해 상기 제2유류 탱크 내의 열전도도의 검출과 온도 및 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보정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유류 탱크에서 제2유류 탱크로 유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주유기 자체 내에 설치된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주유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 상황을 적용하면 상기 출원은 발명자의 의도대로 데이터의 보정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이미 제1유류 탱크의 유류가 제2유류 탱크로 유입 토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혼유 방지 기능과는 무관한 한낮 이론과 주장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제1유류를 차량 등의 제2유류탱크에 주유할 때, 주유 준비를 위하여 주유건을 제2유류탱크에 거치하여 제1유류탱크의 제1유류가 토출되어도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는 제1유류가 주유건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유원의 실수로 트리거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제1,2유류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에 주유되지 않도록 한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자인 열전도도, 온도, 습도를 제2유류탱크의 내부에서 검출하지 않고 외부에서 검출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는, 주유기의 차단기와 급유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를 통과한 제1유류가 상기 급유호스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개폐하는 밸브와; 제2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는 유증기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전도도 검출기와;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습도센서와; 제1유류탱크에 저장되는 제1유류의 열전도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그리고, 상기 온도/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에서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열전도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이 비교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주유 준비를 위하여 주유건을 제2유류탱크에 거치하면 펌프와 차단기를 통해 제1유류탱크의 제1유류가 펌프 - 차단기를 거쳐 토출되어도 밸브에 의해 토출이 정지되며, 이 상태에서 제2유류의 유증기를 회수하여 열전도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열전도도를 제1유류탱크에 저장된 제1유류의 열전도도와 비교하여, 비교치가 동일한 경우에만 밸브를 개방하여 주 유가 이루어지도록 하지만, 비교치가 상이한 경우에는 트리거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제1유류가 밸브를 통과하지 못하여 혼유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제1유류가 주유건까지 공급되지 않고 밸브에 의해 차단되어 급유호스와 주유건에는 제1유류가 없으므로 주유건 등으로 토출된 제1유류에 의한 오동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류의 유증기로부터 열전도도,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센서 등이 제2유류탱크에 삽입되는 주유건에 설치되지 않고, 제2유류와 무관한 곳에 설치되어 센서 등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파크 등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는, 제1유류탱크(1) 내부에 저장된 제1유류를 예컨대 차량에 탑재된 제2유류탱크(2)에 주유할 때 제1유류와 제2유류탱크(2)에 저장된 제2유류가 일치할 때에만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2)에 주유되도록 하는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유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주유기는, 지상에 설치되는 캐비넷(3), 캐비넷(3) 내부에 탑재되며 제1유류탱크(1)에 저장된 유류를 펌핑하는 펌프(4), 펌프(4)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평상시 폐쇄하다가 캐비넷(3)에 거치된 주유건(5)이 탈거되면 개방하여 제1유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6), 제1솔레노이드밸브(6)의 개방에 의 해 제1유류를 주유건(5)에 공급하는 급유호스(7), 제1솔레노이드밸브(6)와 급유호스(7)의 사이에 설치되어 급유호스(7)에 공급되는 제1유류의 양을 검출하는 유량계(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는, 제2유류탱크(2)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는 유증기 흡입관(10)과, 유증기 흡입관(10)과 급유호스(7)를 연결하는 어댑터(20)와, 어댑터(20)를 통과한 유증기를 포집하는 유증기 포집관(30)과, 유증기 포집관(30)을 통해 포집된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제2유류탱크(2) 내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습도센서(50)와, 유류별 유증기의 열전도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0)와, 제1솔레노이드밸브(6)와 어댑터(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6)를 통과한 제1유류를 어댑터(2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70)와, 열전도도 검출기(40), 온도/습도센서(50)를 통해 검출된 열전도도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이 비교값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밸브(70)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 어댑터(20)를 통과한 유증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흡입하는 유증기 회수관(26)으로 구성된다.
유증기 흡입관(10), 어댑터(20) 및 유증기 포집관(30)은 유증기 흡입수단의 일 예이다.
유증기 흡입관(10)은 제2유류탱크(2)에 삽입되는 주유건(5)의 스파우트(5a)에서부터 급유호스(7)(어댑터(20)까지)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유증기 흡입관(10)과 급유호스(7)는 2중 구조로서, 외관상으로 볼 때 유증기 흡입관(10)이 외부로 노 출되지 않으므로 주유원이나 소비자의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는 주유건(5)의 스파우트(5a)를 3중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유증기 흡입관(10)은 내부를 통해서는 제2유류탱크(2)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며, 급유호스(7)와 유증기 흡입관(10)의 사이를 통해서는 제1유류탱크(1) 내의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2)에 급유되도록 한다.
어댑터(20)는 유증기 흡입관(10)을 통해 흡입된 유증기를 유증기 포집관(30)에 공급되도록 하고, 아울러, 급유호스(7)를 통해 제1유류탱크(1) 내의 제1유류가 주유건(5)에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유증기 흡입관(10)을 통해 유입된 유증기가 유증기 회수관(26)을 통해 회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2개의 유로(제1유류 토출부(21), 유증기 흡입부(25))를 갖는다.
도 2와 도 3에서처럼, 어댑터(20)는, 양측이 연통되는 제1유류 토출부(21)가 구비되며 급유호스(7)에 분리 가능하게 관이음되는 제1원통부(22), 제1원통부(22)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원통부(22)를 구획하며 하나 이상의 제1유류 토출공(23)이 구비된 칸막이(24), 칸막이(24)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유증기 흡입관(10)과 유증기 포집관(30) 및 유증기 회수관(26)이 각각 관이음되는 원통형의 유증기 흡입부(25)로 구성될 수 있다.
어댑터(20)의 유증기 흡입부(25)에는 유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증기 흡입레버(31)가 갖추어진다. 유증기 흡입레버(31)는 유증기 흡입부(25)에 나사 체결되어 유증기 흡입부(25)의 압력 조절을 통해 유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어댑터(20)는 유량계(8)와 미도시된 스위블 호스 안전벨트 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캐비넷(3)에 장착된 엘보우(9)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유증기 포집관(30)은 어댑터(20)의 유증기 흡입부(25)에 관이음되어 어댑터(20)를 거쳐 유증기를 포집하며, 미도시된 유증기 회수펌프를 통해 유증기를 포집한다.
유증기는 주유의 개시 전에만 확인하면 될 것이므로 상기 유증기 회수펌프는 컨트롤러(80)의 제어를 통해 유증기의 확인이 완료되면 유증기의 흡입을 정지한다.
유증기 포집관(30)을 통해 회수된 유증기는 별도의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온도/습도센서(50)는 각각 유증기의 흡입 경로에 설치되어 각각 제1유류의 유증기의 열전도도와 온도와 습도를 검출한다.
도면에서 유증기 포집관(30)과 유증기 회수관(26)을 캐비넷(3)의 외부로 인출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며 유증기 포집관(30)과 유증기 회수관(26)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전도도 검출기(40), 온도/습도센서(50)는 각각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스파크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파크 등이 제2유류에 전달되지 않도록 제2유류와 먼 곳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도 3에서처럼,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온도/습도센서(50)는 센서모듈(41)을 통해 어댑터(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모듈(41)은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온도/습도센서(50)가 각각 장착되는 박스형태이며, 선단부에 경사부(41a)가 형성된다.
센서모듈(41)은 어댑터(20) 내부에 삽입되어 경사부(41a)가 유증기 포집관(30)과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증기 흡입부(25)에 흡입된 유증기 중 일부는 경사부(41a)를 피하여 유증기 회수관(26)으로 흐르지만, 일부는 경사부(41a)에 부딪쳐 유증기 포집관(30)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유증기 포집관(30)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경사부(41a)는 유증기가 유증기 포집관(30)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기능뿐 만 아니라 유증기가 유증기 회수관(26)으로부터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센서모듈(41)은 어댑터(20)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구(41b)에 전후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정구(41b)를 어댑터(20)에 나사 체결하면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온도/습도센서(50)는 센서모듈(41)을 통해 설치되지 않고 유증기 흡입부(25)나 유증기 흡입관(3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0)는 제1유류의 열전도도를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는 제1유류의 열전도도는 사용자가 확인 후 설정에 의해 저장된다.
제2솔레노이드밸브(70)는 어댑터(20)와 유량계(8)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6)가 열리더라도 유증기의 확인 전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즉, 주유건(5)을 캐비넷(3)에서 탈거하여 펌프(4)와 제1솔레노이드밸브(6)에 의해 제1유류탱크(1) 내의 제1유류가 토출되어도 제2솔레노이드밸브(70)에 의해 주유건(5)까지는 공급되지 않는다.
제2솔레노이드밸브(70)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적용 가능하며, 솔레노이드밸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80)는 온도/습도센서(50)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열전도도 검출기(40)에서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열전도도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이 비교치를 근거로 하여 급유를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80)는 현재 입력되어 보정된 열전도도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이 비교치가 동일하면 제1유류와 제2유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솔레노이드밸브(70)를 개방하고, 이 비교치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유류와 제2유류가 다른 것으로 판단하여 제2솔레노이드밸브(70)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1,2유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7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여 급유를 차단함과 아울러 주유원에게 제1,2유류가 상이함을 알려주기 위하여 경고등, 경고음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증기 회수관(26)은 어댑터(20)의 유증기 흡입부(25)에 관이음되어 유증기 흡입관(10)을 통해 제1유류탱크(1)내의 유증기를 흡입하여 지하에 구축된 별도의 탱크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유증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증기 회수관(26)에는 별도의 펌프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급유호스(7), 유증기 흡입관(10), 어댑터(20), 유증기 포집관(30), 제2솔레노이드밸브(70)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을 뿐이며, 각 구성요소들의 관이음부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혼유 방지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 주유기의 주유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주유건(5)을 주유기 캐비넷(3)에서 탈거하면, 펌프(4)가 가동함과 아울러 제1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되어 제1유류탱크(1) 내의 제1유류가 토출되는 것은 동일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6)의 개방에 의해 토출된 제1유류가 주유건(5)에 공급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제2유류탱크의 유증기를 확보하여 제1유류의 유증기와 비교한 후 이 비교값을 근거로 하여 제1유류를 주유건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이다.
(S10) 제1유류의 열전도도 데이터 베이스 구축.
관리자는 제1유류탱크(1)에 저장된 제1유류의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확인하여 이 값을 입력하며, 제1유류의 열전도도는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 구축된다.
(S20) 주유건 탈거.
주유자는 주유를 위하여 주유기의 캐비넷(3)에 거치된 주유건(5)을 탈거한 후 제2유류탱크(2)에 거치하여 주유를 준비한다. 이때, 주유금액을 미리 셋팅하거나 주유건(5)의 거치 후 주유금액을 셋팅한다.
(S30) 펌프 가동 및 제1솔레노이드밸브 개방.
주유건(5)이 캐비넷(3)에서 탈거되는 순간 캐비넷(3)에 설치된 트리거 스위치를 통해 펌프(4)가 가동함과 아울러 하여 제2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되어 제1유류탱크(1)에 저장된 제1유류가 강제 펌핑된다.
(S40) 제2솔레노이드밸브 폐쇄.
주유건(5)이 캐비넷(3)에서 탈거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6)가 개방되어 제1유류가 펌프(4) - 제1솔레노이드밸브(6) - 유량계(8)를 경유하여 급유호스(7)에 토출된다.
그러나, 제2솔레노이드밸브(70)는 폐쇄되기 때문에 제1솔레노이드밸브(6)를 통과한 제1유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70)에 의해 압송이 차단되어 제2솔레노이드밸브(70)의 상류(제1유류탱크(1)측)측에만 차게 된다.
(S50) 유증기 흡입.
주유건(5)이 제2유류탱크(2)에 삽입되면 유증기 흡입펌프가 가동하며, 따라서, 제2유류탱크(2) 내의 유증기가 유증기 흡입관(10) - 어댑터(20)의 유증기 흡입부(25) - 유증기 포집관(30)을 통과한다.
(S60) 열전도도, 온도, 습도 검출.
유증기가 어댑터(20)를 거쳐 유증기 포집관(30)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유증기는 센서모듈(41)의 경사부(41a)에 부딪치게 되어 유증기 포집관(30)으로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유증기 포집관(30)에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때, 열전도도 검출기(40)는 유증기 포집관(30)을 흐르는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여 컨트롤러(80)에 송출하며, 동시에, 온도/습도센서(50)는 유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컨트롤러(80)에 송출한다.
또한, 일부 유증기는 유증기 회수관(26)을 통해 회수되어 재활용 가능하도록 저장된다.
(S70) 열전도도 보정.
컨트롤러(80)는 검출된 온도와 습도를 통해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며, 이 보정은 기존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S80) 열전도도 비교.
컨트롤러는 보정된 열전도도와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열전도도를 비교하며, 이 비교치가 일치하면 제1,2유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 비교치가 상이하면 제1,2유류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한다.
(S81) 제2솔레노이드밸브 개방.
제1,2유류의 열전도도가 일치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70)의 개방신호가 송출되어 제2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되며, 따라서, 제2솔레노이드밸브(70)에 의해 압송이 정지된 제1유류는 주유건(5)까지 공급된다. 이때는, 주유건(5)에 있는 오토노즐 레버(5b)가 조작되지 않았으므로 실질적으로 제2유류탱크(2)에 제1유류가 주유되지는 않는다.
(S82) 주유.
주유원이 주유건(5)에 있는 오토노즐 레버(5b)를 조작하면, 상기 (S81) 제2솔레노이드밸브 개방 단계를 통해 제2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되기 때문에 펌프(3)에 의해 제1유류가 제2솔레노이드밸브(70) - 어댑터(20)의 제1유류 토출 부(21) - 급유호스(7) - 주유건(5)을 경유하여 제2유류탱크(2)에 주유된다.
(S83) 제2솔레노이드밸브 폐쇄.
상기 (S80) 열전도도 비교 단계에서 제1,2유류의 열전도도가 상이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7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제2솔레노이드밸브(70)에 의해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2)에 주유되지 못한다. 즉, 제2솔레노이드밸브(70)는 오토노즐 레버(5b)보다 우선순위에 있는 것으로, 제2솔레노이드밸브(70)가 폐쇄 상태이면 오토노즐 레버(5b)를 조작하여도 주유가 일어나지 않는다.
(S84) 경고.
(S83) 제2솔레노이드밸브 폐쇄 단계를 통해 제2솔레노이드밸브(70)가 폐쇄된 전제하에서 주유원이 주유건(5)에 있는 오토노즐 레버(5b)를 조작하여도 주유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주유원은 주유기의 고장을 의심할 것이며, 주유기의 고장은 제1,2유류가 상이한 것 이외에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1,2유류가 상이한 경우를 알려주기 위하여 컨트롤러(80)는 경보기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은 별도의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유증기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에 급유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본 실시예는 별도의 제2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펌프와 솔레노이드밸브(실시예 1의 제1솔레노이드밸브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숫자를 부여하지 않고 솔레노이드밸브라 칭한다)의 제어를 통해 유 증기를 확인한 후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방법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다.
여기서, (S100) 제1유류의 열전도도 데이터 베이스 구축, (S200) 주유건 탈거, (S400) 유증기 흡입, (S500) 열전도도와 온도 및 습도 검출, (S600) 열전도도 보정, (S700) 열전도도 비교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 의해 신규한 기술 내용만을 설명한다.
기존에는 주유건을 탈거하면 캐비넷에 설치된 트리거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펌프가 가동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제1유류가 주유건의 스파우트까지 도달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유건을 캐비넷에서 탈거하여도 펌프를 정지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시켜 제1유류가 급유되지 않도록 한다(S300).
(S700) 열전도도 비교 공정에서 현재 입력된 유증기의 열전도도와 기 저장된 열전도도가 일치하면 제1,2유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펌프를 가동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S710)하여 제1유류가 주유건에 주유되도록 한다. 이때는 제1유류가 주유건의 스파우트까지만 급유된 것이며,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하기 전까지는 스파우트에서 급유되지 않는다. 주유원이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하면 제1유류가 제2유류탱크에 주유(S720)된다.
한편, (S700) 열전도도 비교 공정에서 현재 입력된 유증기의 열전도도와 기 저장된 열전도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펌프의 정지와 솔레노이드밸브의 폐쇄를 유지(S730)하여 주유원이 오토노즐 레버를 조작하여도 주유되지 않도록 하고, 주유원에게 경고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장치에 적용된 센서모듈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혼유 방지 방법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제1유류탱크, 2 : 제2유류탱크
4 : 펌프, 5 : 주유건
6 : 제1솔레노이드밸브, 10 : 유증기 흡입관
20 : 어댑터, 30 : 유증기 포집관
40 : 열전도도 검출기, 50 : 온도/습도센서
60 : 데이터베이스, 70 : 제2솔레노이드밸브
80 : 컨트롤러,

Claims (7)

  1. 삭제
  2. 제1유류가 저장되는 제1유류탱크(1)와; 상기 제1유류탱크 내의 제1유류를 펌핑하는 펌프(4)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측에 설치되어 주유건(5)이 캐비넷(3)에서 탈거되면 개방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6)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제1유류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계(8)와; 상기 유량계와 급유호스(7)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유량계를 통과하는 상기 제1유류를 공급받아 제2유류탱크(2)에 급유하는 주유건(5)을 포함하는 혼유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와 상기 주유건을 연결하는 스위블 호스 안전벨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한 제1유류가 상기 급유호스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개폐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70)와;
    상기 제2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는 유증기 흡입수단과;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전도도 검출기(40)와;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을 따라 흐르는 유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습도센서(50)와;
    상기 제1유류탱크에 저장되는 제1유류의 열전도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0)와; 그리고,
    상기 온도/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에서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열전도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이 비교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2유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고,
    상기 유증기 흡입수단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주유건을 연결하는 안전벨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유증기 흡입부(25)와 제1유류 토출부(21)가 구비된 어댑터(20), 상기 급유호스의 내부에 상기 어댑터에서부터 상기 주유건에 걸쳐 삽입되어 2중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이 상기 어댑터의 유증기 흡입부에 관이음되어 상기 제2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상기 어댑터에 흡입되도록 하는 유증기 흡입관(10), 상기 어댑터의 유증기 흡입부에 관이음되어 상기 어댑터에 흡입된 유증기를 포집하는 유증기 포집관(30), 상기 어댑터의 유증기 흡입부에 관이음되며 상기 유증기를 재활용하도록 저장하는 유증기 회수관(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와 온도/습도센서는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어댑터의 유증기 흡입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선단부에 경사부(41a)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가 상기 어댑터의 유증기 흡입부 내부에 상기 유증기 흡입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전도도 검출기와 온도/습도센서는 상기 센서모듈의 경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는, 양측이 연통되는 제1유류 토출부(21)가 구비며 상기 급유호스에 분리 가능하게 관이음되는 제1원통부(22), 상기 제1원통부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원통부를 구획하며 하나 이상의 제1유류 토출공(23)이 구비된 칸막이(24),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증기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 포집관이 각각 관이음되는 유증기 흡입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장치.
  6. 캐비넷(3)에 거치되는 주유건(5)에 의하여 제1 유류탱크에서 제2 유류탱크로 주유되는 유류의 혼유 공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혼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유류별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제1단계;
    주유를 위하여 상기 주유건을 상기 캐비넷에서 탈거하면 펌프(4)에 의해 상기 제1유류탱크의 제1유류를 펌핑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6)와 유량계(8)를 거쳐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주유건의 사이에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밸브(70)를 통해 상기 유량계를 통과한 제1유류가 상기 주유건에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유류탱크에 삽입된 주유건을 통해 상기 제2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여 열전도도와 온도 및 습도를 각각 검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보정된 유증기의 열전도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유류탱크 내부의 유류를 확인하는 제5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5단계를 거쳐 제2유류탱크 내부의 유류와 상기 제1유류탱크에 구비된 유류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개방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제1유류탱크 내의 제1유류가 상기 제2유류탱크에 주유되도록 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방법.
  7. 캐비넷에 거치되는 주유건에 의하여 제1유류탱크에서 제2유류탱크로 주유되는 유류의 혼유 공급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혼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유류별 유증기의 열전도도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제1단계;
    주유를 위하여 상기 주유건을 상기 캐비넷에서 탈거하여도 제1유류를 펌핑하는 펌프가 정지되고 상기 펌프와 유량계 사이의 솔레노이드밸브가 폐쇄되어 제1유류가 상기 주유건에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유류탱크에 삽입된 주유건을 통해 상기 제2유류탱크 내의 유증기를 흡입하여 열전도도와 온도 및 습도를 각각 검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상기 검출된 열전도도를 보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보정된 유증기의 열전도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2유류탱크 내부의 유류를 확인하는 제5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5단계를 거쳐 제2유류탱크 내부의 유류와 상기 제1유류탱크에 구비된 유류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2유류가 동일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1유류가 상기 제2유류탱크에 주유되도록 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방법.
KR1020090052910A 2009-06-04 2009-06-15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940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89 2009-06-04
KR20090049489 2009-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364B1 true KR100940364B1 (ko) 2010-02-04

Family

ID=4208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10A KR100940364B1 (ko) 2009-06-04 2009-06-15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12B1 (ko) 2015-08-27 2016-05-23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유증기 회수관 압력 측정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2729483A (zh) * 2020-12-21 2021-04-30 赣州久创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机自动检定装置用的储油箱体
CN112729482A (zh) * 2020-12-21 2021-04-30 赣州久创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机用自动检定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39B1 (ko) * 2007-05-31 2008-01-14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KR100811000B1 (ko) * 2006-11-22 2008-03-11 장병국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00B1 (ko) * 2006-11-22 2008-03-11 장병국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793439B1 (ko) * 2007-05-31 2008-01-14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현수식 주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12B1 (ko) 2015-08-27 2016-05-23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유증기 회수관 압력 측정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2729483A (zh) * 2020-12-21 2021-04-30 赣州久创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机自动检定装置用的储油箱体
CN112729482A (zh) * 2020-12-21 2021-04-30 赣州久创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机用自动检定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8257A (zh) 特别用于加油站环境的真空作动剪切阀装置、系统和方法
KR20200022536A (ko) 압축 천연 가스 차량 안전 시스템 및 방법
US20100307614A1 (en) Apparatus for feeding a fuel, in particular lpg,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640358B2 (en) Capless refill adapter for a fluid refilling system
KR100940364B1 (ko)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3803472A (zh) 放液阀
CN104048159A (zh) Lng配送器
KR20090073198A (ko) 차량 연료 탱크의 캡 탈거 상황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783938B1 (en) On board fuel storage and supply in a rail vehicle
US6250347B1 (en) Automatic fueling system
CN106882037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JP2018502760A (ja) 燃料貯蔵システム
CN110857753A (zh) 具有气动阀的移动分配站
KR101787688B1 (ko)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KR100811000B1 (ko)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0857678A (zh) 具有辅助输送系统的移动分配站
KR100775276B1 (ko)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CN210176444U (zh) 一种阻隔防爆橇装式燃油加油装置
CN214403796U (zh) 碳罐脱附系统及其管接头通堵诊断装置和车辆
KR100951059B1 (ko) 야전용 주유장치
CN206749528U (zh) 一种燃油加注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CN220947549U (zh) 用于汽车误加油的保护装置、系统及汽车
CN218665399U (zh) 一种综合能源站加油管理系统
CN213473551U (zh) 一种管线加油车
WO2012138623A1 (en) Fueling nozzle having boot relief valve for orv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