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76B1 -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76B1
KR100775276B1 KR1020070006395A KR20070006395A KR100775276B1 KR 100775276 B1 KR100775276 B1 KR 100775276B1 KR 1020070006395 A KR1020070006395 A KR 1020070006395A KR 20070006395 A KR20070006395 A KR 20070006395A KR 100775276 B1 KR100775276 B1 KR 10077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ine
aircraft
unit
circul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소
심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07000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8Liquid-handl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fuelling stationary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67D7/76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of wate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는, 제1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외부 연료공급원과 연결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와; 제2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연료저장부와 연결되어 연료저장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 및 필터링 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순환라인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필터링부와; 제3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필터링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항공기 연료탱크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에 의해 필터링부에 연결되어 항공기 연료탱크의 연료 또는 필터링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은 제3순환라인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주유부와; 제1배출라인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라인에 의해 주유부와 연결되어 있어 배출연료를 저장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드레인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항공기 연료탱크로 연료를 급유, 배유 시 및 배관의 플러싱 시, 연료 저장 시 연료가 필터링 되므로 연료의 품질이 향상된다.
항공기, 급유, 순환, 플러싱, 배유

Description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REFUELING APPARATUS FOR AIRCRAFT WITH CIRCUALATION LINE}
도 1은 종래의 항공기 급유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급유장치를 이용해 항공기 연료탱크의 잔류연료를 회수하여 연료저장부에 저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항공기의 엔진이 켜진 상태에서 본 발명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항공기의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본 발명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제3순환라인을 이용하여 연료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직접 급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외부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저장부로 연료가 저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연료저장부의 탱크 간 연료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연료저장부 청소를 위해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배유하는 상태를 나타 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급유장치가 수동 플러싱 모드일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 급유장치가 자동 플러싱 모드일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 급유장치의 드레인부에서 슬러지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 급유장치의 연료저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 급유장치의 필터링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 급유장치의 주유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 급유장치의 드레인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 급유장치 각 구성요소와 컨트롤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연료저장부 11 : 저장탱크
11a : 최고수위알람 11b : 레벨표시기
11c : 연료수위알람 11d : 트랜스미터
12 : 서비스탱크 12a : 최고수위알람
12b : 레벨표시기 12c : 연료수위알람
12d : 트랜스미터 20 : 필터링부
21 : 펌프 21a : 펌프유입차단밸브
21b : 스트레이너 21c : 진공계차단밸브
21d : 진공계 21e : 압력조절밸브
21f : 온도계 21g : 압력계
21h : 압력계차단밸브 21i : 글로브체크밸브
21j : 필터차단밸브 21k : 안전밸브
22 : 유수분리기 22a : 압력계스위치
22b : 집수장치 22c : 압력계
30 : 주유부 31 : 공급측라인
32 : 배출측라인 32a : 배출측보조라인
33 : 분배밸브 34 : 연료품질모니터
34a : 공급차단밸브 35 : 공급조절밸브
35a : 압력계 35b : 유량계
36 : 호스릴 37 : 반송라인
37a : 반송라인차단밸브 37b : 유량계
37c : 압력조절밸브 38 : 노즐
39 : 커플링 40 : 드레인부
41 : 드레인탱크 41a : 트랜스미터
41b : 레벨표시기 41c : 배출연료수위알람
42 : 드레인펌프 42a : 펌프차단밸브
43 : 배출차단밸브 44 : 압력계
44a : 압력계차단밸브 45 : 배출차단밸브
50 : 연료공급원 51 : 배출커플링
52 : 벤트캡 60 : 제1연료공급라인
61 : 공급차단밸브 62 : 화염방지기
63 : 압력밸브 70 : 제2연료공급라인
71 : 압력밸브 72 : 플렉시블관
73 : 글로브체크밸브 80 : 제3연료공급라인
81 : 솔레노이드밸브 82 : 배출차단밸브
90 : 제1순환라인 91 : 차단밸브
92 : 배압조절밸브 93 : 압력밸브
100 : 제2순환라인 101 : 압력밸브
110 : 제1배출라인 111 : 압력조절밸브
111a : 화염방지기 120 : 제2배출라인
130 : 제3순환라인 140 : 보조공급라인
150 : 컨트롤장치 151 : 파워서플라이
160 : 연료저장탱크 170 : 유수분리탱크
본 발명은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급유장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과 같은 항공기에 연료를 주입하는 장치를 말한다.
항공기 급유장치에 관한 기술로, 필터를 거친 관로에 순환관을 연결하여 배유시 순환관을 통해 연료탱크로 항공기의 연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미국 등록특허 제3,591,050호 'TURBOJET AIRCRAFT FUELING AND DEFUELING DEVICE'가 안출되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장치는 연료 배출시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배출되는 연료를 필터링 할 수 없게 되어 있어 연료의 순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0240호'에는 배유시에도 연료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연료의 순도를 높인 기술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장치는 노즐에서부터 펌프까지 연결된 제1환유관과, 유수분리탱크(170)를 지난 후 다시 연료저장탱크(160)로 이동하도록 제2환유관을 형성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배출되는 연료를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장치들은 주요 청소 대상인 노즐 부위 배관과 필터 부근의 배관의 청소 즉, 플러싱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노즐을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를 작동시켜 연료를 빨아들이는 방 식으로 청소 시 노즐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거나 외기 중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청소 효율이 떨어지고 펌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청소 장치를 구비해야 하나 이 역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제한된 공간에서의 급유를 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선박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기에 급유하기 위해 급유장치를 설치할 경우 급유장치 외에 별도의 청소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선박과 같은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장치는 오로지 연료저장탱크→유수분리탱크→노즐, 노즐→유수분리탱크→연료저장탱크 순의 두 가지 모드 밖에 적용할 수 없어 청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연료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주유부와 필터링부를 연결하는 제2순환라인을 이용하여 주유부에서 배출되는 연료를 필터링 하여 품질을 개선한 후 후속 라인으로 이송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또, 필터링부와 제1연료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제2순환라인을 형성하여 주유부 에서 배출된 연료를 연료저장부로 이송시키거나, 주유부의 탱크 간 연료의 교체 및 플러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 별도의 장치 없이 자체 펌프를 이용해 급유장치 내부 배관의 청소(flushing)나 시운전을 할 수 있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제1연료공급라인과 제2순환라인을 연결하는 제3순환라인을 이용하여 외부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필터링 한 후 직접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할 때도 제1연료공급라인을 통해 바로 배출하지 않고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제2순환라인을 통해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순도를 향상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연료저장부를 이루는 서비스탱크, 저장탱크 상호 간에 연료를 이송할 때도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각기 다른 탱크로 저장되게 함으로써 연료의 순도를 높이고, 각 탱크 간을 연결하는 불필요한 연결라인을 생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는 주유부와 필터링부를 연결하는 제2순환라인과, 필터링부와 제1연료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제1순환라인을 설치하여 급유, 배유, 플러싱 시 연료가 필터링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비상시 외부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저장부로 연료를 저장하지 않고 제3순환라인을 이용해 필터링 시킨 후 바로 항공기 연료탱크에 급유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할 때도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제1순환라인을 통해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료저장부를 이루는 서비스탱크, 저장탱크 상호 간에 연료를 이송할 때도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각기 다른 탱크로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는, 제1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외부 연료공급원과 연결되어,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연료저장부와; 제2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연료저장부와 연결되어 연료저장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 및 필터링 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순환라인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필터링부와; 제3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필터링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항공기 연료탱크에 급유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에 의해 필터링부에 연결되어 항공기 연료탱크의 연료 또는 필터링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은 제3순환라인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는 주유부와; 제1배출라인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라인에 의해 주유부와 연결되어 있어 필터링부 또는 주유부에서 배출된 배출연료를 저장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드레인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의 연료저장부는 저장탱크와 서비스탱크로 구성되고, 제1연료공급라인 끝단이 분기되어 각 분기된 끝단이 저장탱 크, 서비스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 필터링부는, 제2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배출된 연료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수분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유부는, 일측이 제3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노즐이 연결되어 있는 공급측라인과; 일측은 제3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과 연결되는 커플링이 설치되어 있는 배출측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의 잔존 연료를 급유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은, 항공기 연료탱크 잔존 연료를 제2순환라인을 통해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이송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 제1연료공급라인을 통해 연료저장부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공급하는 방법은,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을 통해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급라인을 통해 주유부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로 유입된 연료를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하는 또다른 방법은, 외부 연료공급원에서 제1연료공급라인으로 유입된 연료를 제3순환라인을 통해 제2순환라인으로 이송하는 단계; 제2순환라인으로 유입된 연료를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 급라인을 통해 주유부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로 유입된 연료를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항공기 급유장치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은,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을 이용하여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 제1연료공급라인 순으로 연료공급원으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항공기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 방법은,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을 통해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급라인을 통해 주유부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로 유입된 연료를 제2배출라인을 통해 드레인부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항공기 급유장치의 또다른 배관 청소 방법은,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을 통해 필터링부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 제3순환라인을 통해 연료저장부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상 위에서 언급한 라인이라 함은 항공기 연료가 이동하는 배관, 통로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는 연료저장부(10), 필터링부(20), 주유부(30), 드레인부(40)와 제1연료공급라인(60), 제2연료공급라인(70), 제3연료공급라인(80) 및 제1배출라인(110), 제2배출라인(120), 제1순환라인(90), 제2순환라인(100), 제3순환라인(130)을 갖추고 있다.
각 구성요소간의 연결상태를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10)는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의해 외부의 연료공급원(50)과 연결되어 있고, 연료저장부(10)와 필터링부(20)는 제2연료공급라인(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필터링부(20)와 주유부(30)는 제3연료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필터링된 연료를 연료저장부(10)로 환송시키기 위해 필터링부(20)와 연료저장부(10)를 연결하는 제1순환라인(9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주유부(30)에서 배유되는 연료의 순환을 위해 주유부(30)와 필터링부(20)를 연결하는 제2순환라인(100)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 연료 순환의 제어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컨트롤장치(150)를 설치하고, 컨트롤장치(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컨트롤장치(150)의 직접 조작에 의해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 내부 및 구성요소의 연결 간에는 각종 전기식 및 압력 식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특정 밸브들은 컨트롤장치(150)와 연결되어 컨트롤장치(15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료저장부(10)는 외부의 연료공급원(50)과 제1연료공급라인(60)으로 연결되어 연료공급원(5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저장부(10)의 기본 구성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연료공급라인(60) 끝단이 분기되어 각 분기된 끝단이 저장탱크(11), 서비스탱크(12)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를 꼭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탱크만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탱크를 준비하고, 제1연료공급라인(60)을 다수 개로 분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3을 보면 저장탱크(11), 서비스탱크(12)에는 각각 레벨표시기(11b, 12b), 트랜스미터(11d, 12d), 연료수위알람(11c, 12c), 최고수위알람(11a, 12a)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레벨표시기(11b, 12b), 트랜스미터(11d, 12d), 연료수위알람(11c, 12c), 최고수위알람(11a, 12a)은 컨트롤장치(150)에 연결되어 있어 현재 레벨 및 레벨 경고 신호를 컨트롤장치(150)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레벨표시기(11b, 12b), 트랜스미터(11d, 12d), 연료수위알람(11c, 12c)은 일반적으로 주유시설의 저장탱크(11)에 설치되는 것들로서, 꼭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 내부 연료의 수위 및 경고 신호를 컨트롤장치(150)에 보낼 수 있는 것이면 공지되어 있는 여러 레벨 표시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13을 보면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에 연결되는 제1연료공급라인(60), 제2연료공급라인(70)의 일측에는 압력밸브(63, 71)가 각각 설치되어 압력에 따라 개폐된다.
이 압력밸브(63, 71) 역시 무조건 압력밸브(Pnemetic valve)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이나 컨트롤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제1연료공급라인(60), 제2연료공급라인(70)을 개폐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의 분기점에 3방향으로 된 분배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에 표시된 화염방지기(62)는 배관 내 화염 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막는 것으로 KSPC(Korea steel power corporation)사의 화염방지기(Flame arrester) 등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선박에 본 발명의 급유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연료저장부(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료공급라인(60)은 데크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은 데크 바로 밑 또는 데크 바닥면에 위에 위치하여 외부 연료공급원(50)과 연결된다.
외부 연료공급원(50)으로는 연료공급차량, 연료기지 등 다양한 공급원이 해당된다.
외부 연료공급원(5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커플링(51)이나 벤트캡(52) 등이 설치되어 외부로 연료를 배출하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중간에 공급차단밸브(61)를 설치하여 연료가 직접 연료저장부(10)로 공급되지 않고 후술하게 될 제3순환라인(13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필터링부(20)는 제2연료공급라인(70)에 의해 연료저장부(10)와 연결되어 있고, 연료저장부(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하고, 필터링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필터링부(20)는 제1순환라인(90)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있어, 제1연료공급라인(60)을 이용해 필터링된 연료를 주유부(3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제1순환라인(9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밸브(91)와 배압조절밸브(92)를 설치하고, 우회관로를 형성하며, 우회관로에는 압력밸브(93)를 설치해 배관 내의 잔압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링부(20)의 핵심 구성 요소는 제2연료공급라인(7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하는 펌프(21)와, 펌프(21)로부터 배출된 연료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수분리기(22)이다.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필터링부(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는 제2연료공급라인(70)이 두 갈래로 분기되어 두 개의 펌프(21)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펌프(21)의 설치 개수는 꼭 도 14와 같이 해야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1 개 혹은 다수 개 분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과 같이 분기형일 경우 제2연료공급라인(70)의 분기되는 지점에 글로브체크밸브(73)를 설치하여 유체 방향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연료공급라인(70)의 일부를 플렉시블관(72)으로 형성하여 유동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2연료공급라인(70)에서 분기된 각각의 관로에는 펌프유입차단밸브(21a)를 각각 설치하여 각각의 펌프(21) 방향으로 향하는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펌프(21)로 유입되는 연료에 이물질 또는 물이 섞여 있는 경우 펌프(21)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므로 펌프(21) 설치 위치에 선행되어 스트레이너(21b)(Strainer)를 설치해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21)의 전후에는 각각 진공계(21d)와 압력계(21g)가 설치되어 펌프(21) 유입 전 후의 연료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각 진공계(21d)와 압력계(21g)는 교체가 편리하도록 각각 진공계차단밸브(21c)와 압력계차단밸브(21h)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21)를 통과한 연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21f)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연료공급라인(70)으로부터 펌프(21)와 압력계까지 통과한 연료는 유수분 리기(22)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도면과 같이 분기된 경우 분기된 관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분기되어 있는 관로의 끝부분에 각각 글로브체크밸브(21i)를 설치해 유체 흐름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전 후로 우회 관로를 형성하고, 우회 관로에 안전밸브(21k)를 설치하여 과도한 압력이 관로 상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우회 관로를 이용하여 펌프(21)의 수리, 교체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21) 토출구 측에 압력조절밸브(21e)를 설치해 펌프(21) 배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보면 압력계(21g)까지 지나 분기된 두 관로는 다시 합쳐지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쳐진 라인에는 필터차단밸브(21j)가 설치되어 유수분리기(22)로 유입되는 연료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유수분리기(2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수분리기(22)는 펌프(21)로부터 공급된 연료에서 물을 분리하여 연료는 다음 단계로 이송시키고, 분리된 물을 집수장치(22b)에 저장하거나 후술하는 드레인부(40)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수분리기(22)는 보편적으로 원심 분리를 이용하게 되므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압력계(22c)와 압력계스위치(22a)가 설치되어 압력을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 분리된 물이 저장되는 집수장치(22b)에는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워터 레벨 인디케이터(Water level indicator)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유수분리기(22)는 미국의 FACET INTERNATIONAL 사의 유수분리기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수분리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주유부(30)는 일측이 필터링부(20)와 제3연료공급라인(80)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하거나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연료를 배유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주유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순환라인(100)은 제3순환라인(130)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제3순환라인(130)은 플러싱 및 항공기 연료탱크로의 연료 급유시 사용된다.
주유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연료공급라인(80)으로부터 공급측라인(31)과 배출측라인(32)으로 분기되어 공급측라인(31)에는 노즐(38)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측라인(32)에는 커플링(39)이 설치된 채 제2순환라인(100)과 연결되어 있다.
즉,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급유할 때 연료는 제3연료공급라인(80)과 연결된 공급측라인(31)을 통해 노즐(38)로 공급되어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되고, 항공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배유할 때는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배유된 연료는 노즐(38), 배출측라인(32), 제2순환라인(100) 순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순환라인(100)에는 압력밸브(101)가 설치되어 필터링부(20)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나 시운전 시에는 노즐(38)을 커플링(39)에 연결하게 되는데, 제3연료공급라인(80)을 통해 공급된 연료가 노즐(38), 커플링(39)을 통과한 후 배출측라인(32), 제2순환라인(100) 순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제3연료공급라인(80)의 일측에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81), 배출차단밸브(82)를 설치하여 주유부(30)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꼭 솔레노이드밸브(81)와 배출차단밸브(82)를 모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주유부(30)의 구성 예를 도 15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서는 노즐(38)로 공급되는 연료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연료품질모니터(34)를 설치하되, 분배밸브(33)를 통해 두 개의 연료품질모니터(34)를 설치하였다.
이처럼 두 개의 연료품질모니터(34)를 설치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하나의 연료품질모니터(34)만 사용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각 연료품질모니터(34)의 후속 라인에 공급차단밸브(3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료품질모니터(34)를 꼭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개수 역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료품질모니터(34) 없이 제3연료공급라인(80)으로부터 직접 노즐(38)까지 연결할 수도 있다.
연료품질모니터(34)는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 되는 연료의 품질을 확인하는 장치로, 연료의 품질을 확인한 결과 양질의 연료가 아닌 경우 이를 반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품질모니터(34)에서 모니터링한 결과 양질의 연료는 공급측라인(31)을 따라 이송되고, 테스트에서 떨어진 연료는 순차적으로 배출측라인(32), 제2순환라인(10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이송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품질모니터(34)를 기준으로 하여 아래 배출측라인(32)과 연결되는 배출측보조라인(3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료품질모니터(34)를 통과한 연료를 노즐(38)에 공급하기 전에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조절밸브(35), 압력계(35a), 유량계(35b) 등을 설치하여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되는 연료의 유량,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되는 연료의 양, 압력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이 연료는 다시 환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송라인(37)을 설치하여 배출측보조라인(32a)과 함께 배출측라인(32)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때, 반송라인(37)에도 반송라인차단밸브(37a), 유량계(37b), 압력조절밸브(37)를 설치하여 반송라인(37) 통과 연료의 양 및 압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 다.
한편, 유량계(35b)까지 통과하여 적정한 압력과 우수한 품질의 연료는 공급측라인(31)을 통해 노즐(38)로 급유하면 된다.
이때,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38)이 설치되는 배관이 감기는 호스릴(36)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 마지막 설치되는 노즐(38)이 연료 급유, 배유, 플러싱의 모든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하나의 노즐(38)만 설치하면 되나, 일반적으로 공급 노즐(38)과 배출 노즐(38)이 서로 다르며, 공급 노즐(38) 역시 압력 공급 노즐(38)과 중력 공급 노즐(38)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수요에 맞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노즐(38)이 준비되어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플링(39)이 연결된 채 제2순환라인(100)과 연결된 배출측라인(32) 역시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연료를 배유할 때 과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기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링(39)을 사용하지 않을 때 커플링(39) 측으로 연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밸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주유부(30)의 구성은 한 가지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드레인부(40)는 제1배출라인(110)에 의해 필터링 부(20)와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라인(120)에 의해 주유부(30)와 연결되어 있어 필터링부(20)와 주유부(30)에서 배출된 배출연료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연료의 저장은 도 15에서 도시된 드레인탱크(41)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2에 드레인부(40)에 제1배출라인(110)과 제2배출라인(120)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2배출라인(12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110)에 합쳐지면서 드레인부(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2배출라인(120)과 연결되지 않은 채 드레인부(4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전자의 경우가 훨씬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성이다.
참고로, 도 16을 보면 제1배출라인(110)에 압력조절밸브(111)와 화염방지기(111a)가 설치되어 제1배출라인(110)을 따라 이동하는 배출연료의 압력을 조절하고 화염의 전파를 막도록 하였다.
도 16을 통해 드레인부(40)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레인부(40)에 연결된 제1배출라인(110)에는 연료저장부(10)에서와 마찬가지로 압력조절밸브와 화염방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 드레인탱크(41) 내부 배출연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레벨표시기(41b), 트랜스미터(41), 배출연료수위알람(41c)이 설치되어 있다.
또, 드레인탱크(41)에서 저장되어 있던 배출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드레인펌프(42)가 드레인탱크(41)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드레인탱크(41)로 배출 되는 배출연료를 조절하도록 배출차단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드레인펌프(42)의 전, 후에 압력계(44)가 설치되어 있어 전 후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압력계(44)에 이어서, 배출차단밸브(4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드레인부(40)의 구성은 비단 도 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드레인탱크와 부속 밸브, 드레인펌프 등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항공기 급유장치는 하나의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급유, 배유, 플러싱, 시운전 등 다양한 모드가 가능하며, 각각의 모드 운행 시 연료는 필터링부(20)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다.
본 발명 급유장치의 작동 예로 항공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배유하는 방법을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항공기가 공항이나, 선박 등에 착륙하여 연료를 공급받고자 하면 항공기 연료탱크 내부의 잔류 연료를 회수하여 연료저장부에 저장한 다음 연료를 새롭게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항공기가 공항이나 선박에 착륙하게 되면 가장 먼저 하는 작동이 바로 항공기 연료탱크 내부에 남아 있는 연료를 배유시키는 것이다.
배유시의 연료의 흐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노즐(38), 배출측라인(32), 제2순환라인(100), 필터링부(20), 제1순환라인(90), 제1연료공급라인(60), 연료저장부(10) 순이다.
위와 같은 연료의 이동은 필터링부(20)의 펌프(21) 작동에 의해 가능하며, 연료 흐름의 제어는 컨트롤장치(150)에 의한 각 라인의 밸브 개폐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료 배유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항공기의 연료탱크와 주유부(30)의 노즐(38)을 연결한다.
이때, 노즐(38)은 일반적으로 연료 배출시 사용하는 배출 노즐(38)을 사용하게 된다.
즉, 항공기 연료탱크의 주유구 마개를 열고 배출 노즐(38)을 주유구에 연결하여 항공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를 빼내게 된다.
항공기 연료탱크에서 배출 노즐(38)로 유입된 연료는 배출측라인(32), 제2순환라인(100) 순으로 이동한 후 필터링부(20)로 유입된다.
필터링부(20)로의 이송은 필터링부(20)의 펌프(21)를 작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항공기 연료탱크의 연료가 제2순환라인(10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유입되게 되면 펌프(21)의 작동에 의해 연료는 유수분리기(22)에 유입되어 물이 분리된다.
유수분리기(22)에서 물이 분리된 연료는 제1순환라인(90)을 통해 제1연료공 급관을 따라 연료저장부(10)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관로 상의 각각의 밸브는 컨트롤장치(150)의 전기적 신호나 압력에 의해 개폐 및 방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항공기 연료탱크 내에 있는 연료를 연료저장부(10)에 저장할 때 필터링 과정을 거침으로 인해 연료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 급유장치의 작동 예로 연료저장부의 연료를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하는 방법을 도 4,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유시의 연료의 흐름은 도 4,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10), 제2연료공급라인(70), 필터링부(20), 제3연료공급라인(80), 주유부(30), 항공기 연료탱크 순이다.
위와 같은 연료의 이동은 필터링부(20)의 펌프(21) 작동에 의해 가능하며, 연료 흐름의 제어는 컨트롤장치(150)에 의한 각 라인의 밸브 개폐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4에서는 항공기의 엔진이 켜진 상태에서의 급유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 공급 노즐(38) 사용시 노즐과 연료탱크 사이의 틈으로 연료가 기화하면서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때의 노즐은 압력 공급 노즐(Pressure refueling nozz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항공기의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의 급유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일반 중력 공급 노즐 (Gravity refueling nozzle)을 사용하면 된다.
급유시의 밸브 개폐 상태는 컨트롤장치 및 밸브의 종류를 선택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므로 상세한 각 밸브의 개폐 여부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유시 연료가 필터링 되므로 항공기에 보다 양질의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급유장치의 작동 예로 연료저장부(10)를 거치지 않고 연료공급원(50)의 연료를 항공기 연료탱크로 바로 급유하는 방법을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료공급원(50)에서 연료저장부(1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항공기 연료탱크로 급유되는 경우는 연료저장부(10)의 고장, 교체 등의 비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비상 급유시의 연료의 흐름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공급원(50), 제1연료공급라인(60), 제3순환라인(130), 제2순환라인(100), 필터링부(20), 제3연료공급라인(80), 주유부(30), 항공기 연료탱크 순이다.
위와 같은 연료의 이동 역시 필터링부(20)의 펌프(21) 작동에 의해 가능하며, 연료 흐름의 제어는 컨트롤장치(150)에 의한 각 라인의 밸브 개폐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료 급유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항공기 연료탱크에 압력 공급 노즐(38)이나 중력 공급 노즐(38)을 연결한다.
노즐(38)이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연결되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필터링부(20)의 펌프(21)가 작동하며, 이때 각 밸브의 개폐가 조절되어 위에서 기재한 순 서대로 연료가 이동하여 항공기의 연료탱크로 급유 되게 된다.
도 6과 같이 외부 연료공급원(50)으로부터 연료가 유입될 때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설치된 밸브를 차단하게 되면 연료는 제3순환라인(130)으로 유입되게 된다.
제3순환라인(130)으로 유입된 연료는 펌프(21)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링부(20)로 유입된 후 제3연료공급라인(80), 주유부(30), 항공기 연료탱크 순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외부 연료공급원(50)의 연료를 직접 항공기 연료탱크에 급유할 수 있으며, 특히 급유 되는 연료가 필터링 됨으로써 비상시에도 우수한 품질의 연료를 급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외부 연료공급원(50)에서 제1연료공급라인(60)을 통해 연료저장부(10)에 저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연료의 흐름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밸브의 제어는 연료저장부(10)에 설치된 최고수위알람(11a), 연료수위알람(11c), 트랜스미터(11d) 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압력밸브(63, 71) 또는 공급차단밸브(61)를 컨트롤장치가 강제 개폐시키도록 하거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들이 자동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연료저장부(10)의 구성이 저장탱크(11), 서비스탱크(12)와 같이 다수 개로 이루어진 구성에서 탱크 간 연료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연료가 저장탱크(11)에서 서비스탱크(12), 또는 서비스탱크(12)에서 저장탱크(11)로 이동할 때의 연료 이동 순서는 저장탱크(11), 제2연료공급라인(70), 필터링부(20), 제1순환라인(90), 제1연료공급라인(60) 순으로, 도 8에서는 두 가지 이동 방식을 모두 나타내었다.
이때, 저장탱크(11)에서 출발한 연료가 다시 저장탱크(11)로 이동하지 않도록 밸브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연료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 연료공급원(50) 측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연료저장부(10)에서 필터링부(20)로 연결되는 제2연료공급라인(70)을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21)를 작동시키게 되면 연료저장부(10)의 연료가 필터링부(20)로 유입되어 유수분리기(22)를 지나치면서 필터링 된다.
그런 다음 연료는 제1순환라인(90)을 거친 후 제1연료공급라인(60)을 통해 외부 연료공급원(50)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 과정 역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의 이동 라인을 제외한 부분은 밸브에 의해 차단된 채 진행되게 되며, 외부로 배출하는 연료가 한번 필터링 된 후 배출되게 되므로 연료의 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항공기 급유장치가 플러싱 모드일 때의 상태를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러싱 모드는 비정기적인 배관의 청소시 운용하는 모드이다.
플러싱 모드에서는 가장 먼저, 주유부(30)의 노즐(38)을 커플링(39)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필터링부(20)의 펌프(21)를 작동시키게 되면 연료가 제2연료공급라인(70)을 따라 필터링부(20)로 유입되고, 필터링부(20)의 유수분리기(22)에 의해 필터링 된 후 제3연료공급라인(80)을 따라 주유부(30)로 이동하게 된다.
주유부(30)로 이동한 연료는 주유부(30)의 노즐(38), 커플링(39)을 통과한 후 제2순환라인(100)을 따라 이동하나 제2배출라인(120)으로 유입되고, 제2배출라인(120)을 따라 드레인부(40)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역시 컨트롤장치(150)의 제어에 의해 해당 라인을 제외한 라인은 연료가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료가 연료저장부(10), 필터링부(20), 주유부(30), 드레인부(40) 순으로 이동하면서 각 배관 내에 끼여 있는 이물질들이 연료와 함께 드레인부(40)로 이송, 배출되게 된다.
이때의 연료는 계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소량의 연료만 순환시켜 배관을 청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는 자동 플러싱 모드일 때의 연료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수동 플러싱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유부(30)의 노즐(38)이 커플링(39)에 연결된 채 연료가 순환하되 주유부(30)에서 배출된 연료가 드레인부(40)로 이동하지 않고 제3 순환라인(130)을 통해 다시 연료저장부(10)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즉, 자동 플러싱 모드에서는 연료의 낭비가 없는 상태로 컨트롤장치에 프로그램된 채 급유 전, 급유 후, 배유 후 등 정기적으로 본 발명의 급유장치 배관을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2는 드레인부(40)에서 배출연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레인펌프(42)를 이용해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살펴본 작동 방법들은 모두 컨트롤장치(15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면, 각 장치 및 배관의 압력, 유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컨트롤장치(150)가 받아들여 각각의 밸브의 개폐량, 방향 조정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장치(150)에 대한 도면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워서플라이(151)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한다.
도 17은 컨트롤장치(150)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컨트롤장치(15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당업자가 충분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이상의 구체적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항공기 연료탱크의 급유, 배유 및 배관의 플러싱 시 연료가 필터링 되어 연료의 순도가 높아진다.
또한, 연료저장부를 거치지 않고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필터링 한 후 직접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연료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 연료공급원으로 배출할 때도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순도가 높아진다.
또한, 연료저장부를 이루는 서비스탱크, 저장탱크 상호 간에 연료를 이송할 때도 필터링부를 통과한 후 각기 다른 탱크로 저장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연결 라인이 생략되고 연료의 순도가 높아진다.

Claims (10)

  1. 항공기 급유장치에 있어서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의해 외부 연료공급원(50)과 연결되어, 연료공급원(5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연료저장부(10)와;
    제2연료공급라인(70)에 의해 상기 연료저장부(10)와 연결되어 연료저장부(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 및 필터링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순환라인(90)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있는 필터링부(20)와;
    제3연료공급라인(80)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20)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필터링부(2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항공기 연료탱크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100)에 의해 필터링부(20)에 연결되어 항공기 연료탱크의 연료 또는 필터링부(2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순환라인은 제3순환라인(130)에 의해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결되어 있는 주유부(30)와;
    제1배출라인(110)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20)와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라인(120)에 의해 주유부(30)와 연결되어 있어 필터링부(20) 또는 주유부(30)에서 배출된 배출연료를 저장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드레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부(10)는 저장탱크(11)와 서비스탱크(12)로 구성되어 있고,
    제1연료공급라인(60) 끝단이 분기되어 각 분기된 끝단이 저장탱크(11), 서비스탱크(1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필터링부(20)는, 제2연료공급라인(7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펌핑하는 펌프(21)와;
    펌프(21)로부터 배출된 연료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수분리기(2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부(30)는, 일측이 제3연료공급라인(8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노즐(38)이 연결되어 있는 공급측라인(31)과;
    일측은 제3연료공급라인(8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2순환라인(100)과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38)과 연결되는 커플링(39)이 설치되어 있는 배출측라인(3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5. 항공기 연료탱크의 잔존 연료를 급유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항공기 연료탱크 잔존 연료를 제2순환라인(10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이송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90), 제1연료공급라인(60)을 통해 연료저장부(10)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항공기 연료탱크의 연료를 급유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6.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저장부(10)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7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급라인(80)을 통해 주유부(30)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30)로 유입된 연료를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
  7.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연료공급원(50)에서 제1연료공급라인(60)으로 유입된 연료를 제3순환라인(130)을 통해 제2순환라인(100)으로 이송하는 단계;
    제2순환라인(100)으로 유입된 연료를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급라인(80)을 통해 주유부(30)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30)로 유입된 연료를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항공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
  8. 급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70)을 이용하여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90), 제1연료공급라인(60) 순으로 연료공급원(50)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급유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
  9. 항공기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 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저장부(10)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7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제3연료공급라인(80)을 통해 주유부(30)로 이송하는 단계;
    주유부(30)로 유입된 연료를 제2배출라인(120)을 통해 드레인부(40)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항공기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 방법.
  10. 항공기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저장부(10)의 연료를 제2연료공급라인(70)을 통해 필터링부(20)로 이송하는 단계;
    필터링부(20)로 유입된 연료를 펌핑 및 필터링 한 후 순차적으로 제1순환라인(90), 제3순환라인(130)을 통해 연료저장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항공기 급유장치의 배관 청소 방법.
KR1020070006395A 2007-01-22 2007-01-22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KR10077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95A KR100775276B1 (ko) 2007-01-22 2007-01-22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95A KR100775276B1 (ko) 2007-01-22 2007-01-22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276B1 true KR100775276B1 (ko) 2007-11-09

Family

ID=3906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395A KR100775276B1 (ko) 2007-01-22 2007-01-22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44B1 (ko) * 2011-01-04 2013-06-03 선보공업주식회사 헬리콥터 급유 시스템
KR20220039218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나브텍 배유 기능을 구비한 헬리콥터 연료공급 시스템
KR20220063588A (ko)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나브텍 유수분리 및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헬리콥터 급유시스템용 다단 필터링장치
KR20230033061A (ko) * 2021-08-26 2023-03-08 주식회사 나브텍 이젝터를 이용한 배유 기능을 갖춘 헬리콥터 연료공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860A (en) * 1977-07-05 1981-06-30 Brabazon Jack A Full span shipboard fueling system for aircraft
KR960037267U (ko) * 1995-05-17 1996-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급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860A (en) * 1977-07-05 1981-06-30 Brabazon Jack A Full span shipboard fueling system for aircraft
KR960037267U (ko) * 1995-05-17 1996-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급유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44B1 (ko) * 2011-01-04 2013-06-03 선보공업주식회사 헬리콥터 급유 시스템
KR20220039218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나브텍 배유 기능을 구비한 헬리콥터 연료공급 시스템
KR102396265B1 (ko) * 2020-09-22 2022-05-10 주식회사 나브텍 배유 기능을 구비한 헬리콥터 연료공급 시스템
KR20220063588A (ko)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나브텍 유수분리 및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헬리콥터 급유시스템용 다단 필터링장치
KR20230033061A (ko) * 2021-08-26 2023-03-08 주식회사 나브텍 이젝터를 이용한 배유 기능을 갖춘 헬리콥터 연료공급 장치
KR102520489B1 (ko) * 2021-08-26 2023-04-12 주식회사 나브텍 이젝터를 이용한 배유 기능을 갖춘 헬리콥터 연료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0777B2 (en) Fu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270544B1 (ko) 헬리콥터 급유 시스템
CN101208257A (zh) 特别用于加油站环境的真空作动剪切阀装置、系统和方法
CN109322752B (zh) 一种船舶燃油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0775276B1 (ko) 순환라인을 갖는 항공기 급유장치
CN103057714A (zh) 一种辅助燃油系统
EP2783938B1 (en) On board fuel storage and supply in a rail vehicle
CA3052168C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pneumatic valves
CN208399164U (zh) 一种空中加油地面试验设备
JP2011020683A (ja) 給油ユニット
CN103836028A (zh) 用于清洁液压回路的清洁装置和清洁方法
US93539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elling
US10717639B2 (en) Mobile auxiliary distribution station
CN116788522A (zh) 一种飞机试飞测试用着色水喷射系统
CN207809808U (zh) 一种直升机加油放泄系统及其海洋平台、船舶
CN110857677A (zh) 具有车载流体存储罐的移动分配站
CN105366070A (zh) 一种飞机地面滑油压力加油装置
CN106742032B (zh) 一种消气器及含消气器的航空发动机试车台燃油供应系统
CN210176444U (zh) 一种阻隔防爆橇装式燃油加油装置
CA213412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emptying of tank vehicles
CN110642215A (zh) 一种飞机加油车泵油管路控制系统
CN211255235U (zh) 一种飞机加油车泵油管路控制系统
CN211920862U (zh) 便于倒罐排空的航空供油设备
JP5950372B1 (ja) 給油装置
KR102316185B1 (ko) 이동식 항공유 급유카트의 필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