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785B1 - 메밀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밀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785B1
KR100792785B1 KR1020070101799A KR20070101799A KR100792785B1 KR 100792785 B1 KR100792785 B1 KR 100792785B1 KR 1020070101799 A KR1020070101799 A KR 1020070101799A KR 20070101799 A KR20070101799 A KR 20070101799A KR 100792785 B1 KR100792785 B1 KR 10079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chrysanthemum
tea
seed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순희
Original Assignee
엄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순희 filed Critical 엄순희
Priority to KR102007010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타타리메밀씨를 물에 불려서 세척한 후 거르는 공정; 거른 타타리 메밀씨를 스팀으로 찌는 공정; 찐 타타리메밀씨를 탈피기로 가져가 메밀의 껍질을 탈피하는 공정; 탈피된 메밀씨를 노릇노릇한 색이 나올 정도로 복은 후, 2 차로 껍질을 벗기는 박피 공정; 상기 박피 공정이 완료되면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준비하는 공정; 그리고 물에 침출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25-40 메쉬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공정; 국화를 삶아 건조기에 건조한 후, 25 - 40메쉬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메밀과 국화를 혼합하되, 메밀 94-98 중량%, 국화 2- 6 중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밀차, 국화, 제조 방법

Description

메밀차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uck wheat tea}
본 발명은 메밀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을 특히 메밀과 국화가 혼합된 메밀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메밀은 그 씨를 이용하여 메밀국수나 메밀묵 등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즐겨 식용하고 있다
종래 메밀차로 공지된 것으로는 특허공고 제 1995-4566 호 및 특허공고 제 144792 호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 메밀차의 제조 방법은 단순히 메밀을 가공하여 차로 제조한 기술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메밀차와는 달리 그 풍미가 우수하고 새로운 맛을 제공할 수 있는 메밀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건강에 유익한 건강차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맛의 기호품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본 발명은 메밀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타타리메밀씨를 물에 불려서 세척한 후 거르는 공정; 거른 타타리 메밀씨를 스팀으로 찌는 공정; 찐 타타리메밀씨를 탈피기로 가져가 메밀의 껍질을 탈피하는 공정; 탈피된 메밀씨를 노릇노릇한 색이 나올 정도로 복은 후, 2 차로 껍질을 벗기는 박피 공정; 상기 박피 공정이 완료되면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준비하는 공정; 그리고 물에 침출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25-40 메쉬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공정; 국화를 삶아 건조기에 건조한 후, 25 - 40메쉬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공정; 상기 준비된 메밀과 국화를 혼합하되, 메밀 94-98 중량%, 국화 2- 6 중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메밀차와는 달리, 특히 누룽지와 같은 매우 구수 한 깊은 맛과 뒷끝이 깔끔한 우수한 풍미를 갖는 새로운 맛을 제공할 수 있으며또한 건강에 유익한 건강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밀은 식물 분류학적으로 보통메밀(Fagopyrum esculentum)과 달단메밀 혹은 타타리메밀(Fagopyrum tataricum)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식용하는 것은 보통메밀이다. 메밀은 다른 곡류와 비교했을 때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 메밀에는 질이 우수한 단백질이 12%나 있어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 드레오닌, 라이신 등을 많이 들어 있고 알부민, 글로불린도 많다. 또한 메밀의 단백질은 소화율이 낮기 때문에 같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했을 때 살이 찌지 않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손색이 없다. 메밀의 성분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모세혈관 강화작용을 갖는 비타민 P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 유도체인 루틴(Rutin) 성분이 매우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다.
루틴은 모세혈관의 저항성을 높게 하고 고혈압 등으로 인한 뇌출혈 등의 혈관손상을 예방한다. 루틴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플라보노이드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메밀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함량도 높은 편이다. 비타민 B1, B2는 쌀에 비해 3배 정도 함유되어 있고 칼슘은 우유보다 50%, 철분은 15배, 나이신 12배가 들어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섬유질, 마그네슘, 비타민 D, 인산 등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타타리메밀(달단메밀)은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므로 여름 내내 지극히 많은 자외선을 이겨내기 위해서 자체 내에 아주 많은 양의 루틴을 생성하여 일반메밀보다 그 함유량이 100배나 된다. 루틴은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의 혈관관련질병의 치료에 효과가 인정되어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성분이며, 물에 끓일 때 상당량이 물에 녹아나오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보통 메밀보다 약간 맛이 쓰기는 하지만 건강에 유익한 루틴의 함량이 월등이 많은 타타리메밀(달단메밀)을 이용한다
타타리메밀은 일반메밀보다 영양이 풍부하고 특히 비타민P 및 루틴이 대량 함유되어 있다. 타타리메밀은 루틴 외에 인체에 아주 유익한 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아연을 비롯한 10여 종의 무기질, 토코페롤을 비롯한 미타민과 일반메밀에는 없는 시스운베르산(24mg%)도 함유되어있다.
타타리메밀의 준비 단계는 다음과 같다
타타리메밀을 먼저 선별한다
선별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으나 예를 들어, 소금물에 담가두면 내용물이 부실한 것은 위로 뜨는데 그 위로 부상하는 것은 제거한다
선별된 메밀을 물에 불려서 세척한 후 거른다
거른 메밀씨를 스팀으로 찌면 어느 정도 껍질이 파열되거나 파열되기 쉽게 된다. 그리고 탈피기로 가져가 메밀의 껍질을 탈피하고, 현미처럼 된 메밀씨를 지나치게 타지 않게 노릇노릇한 색이 나올 정도로 적당히 복은 후, 2 차로 껍질을 벗긴다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물에 침출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20-40메쉬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40 메쉬로 분쇄한다. 상기한 범위 이하로 분쇄하면 여과지에서 흘러나오는 단점이 발생하며, 너무 크게 분쇄하면 물에서의 침출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공정에서 찌는 이유는, 메밀 성분의 분해를 방지하고 장기 보관시 변질되지 않게 하고 구수한 풍미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볶는 이유는 구수한 풍미를 주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국화 원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국화는 특유의 향이 있어 옛 부터 차로 마시면 간장을 보호하고 눈을 밝게 하며, 머리를 좋게 한다고 하였다. 또 비타민이 풍부하여 겨울철 감기 예방에 특효가 있으며, 기관지 계통을 깨끗하게 해주어 기침, 천식, 가래해소, 후두염,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국화차가 이러한 약효를 지니는 것은 주성분으로 눈과 간 기능 회복에 좋은 정유, 아데닌, 아미노산, 비타민A, 비타민 B1, 스타키드린,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꽃에는 트리메칠싸이크로 헥산, 카보시릭산과 아카세틴, 잎과 줄기에는 아테닌, 쵸린스타치드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차로 널리 음용 되고 있으며, 혈압을 낮추고, 당뇨예방, 성인병 예방 에 도움을 주며 정신을 맑게 해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본초강목에는 '혈기에 좋고 몸을 가볍게 하며 위장을 평안케 한다. 감 기, 두통, 현기증에 유효하다' 라고 국화의 효능에 대해 언급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국화는, 바람직하기로는 활짝 핀 국화를 이용한다
활짝핀 국화는 국화향이 가장 강하게 나오기 때문이다. 반드시 활짝 핀 국화가 아닌 국화꽃을 사용하여도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국화는 2~3번의 무서리를 맞은 이후의 활짝 핀 꽃을 수확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에 수확하여 제조한 국화차가 가장 맛과 향, 효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확한 국화를 흐르는 물에 2 ~ 3회 깨끗이 세척하였다. 국화의 쓴맛과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삶는 과정이 필요한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끓는 물에 먼저 대추와 소금을 넣고 10-30분 정도 우려낸 물에 깨끗이 씻은 국화를 넣어 살짝 삶는다
삶은 국화는 열풍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7-13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중량% 정도가 되게 완전히 건조시킨다. 건조된 국화는 절단기로 가져가 절단하되, 물에 잘 우러나도록 20 ~ 40 메쉬의 크기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40메쉬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위와 같이 준비된 원료들을 타타리메밀 94-98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96 중량%, 국화 2-6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 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음용이 간편한 티백차로 제조하거나 봉지차로 제조한다
타타리메밀에 국화를 혼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메밀 맛과 국화향이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만약 타타리메밀만 사용하면 루틴의 성분이 지나치게 많아 고소하 거나 구수한 맛이 떨어지고 쓴맛이 더 강하게 나와 음용하기 거북하다. 그러나 국화를 혼합하면 국화의 향과 특히 잘 어울어진다. 이와 같이하면 메밀 차 고유의 구수한 맛과 국화의 향이 잘 어우러진 건강 차가 제조된다
이하, 차의 관능 검사에 대한 실험을 살펴 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혼합물 중, 국화의 함량에 따라 맛의 기호성이 달라지므로 국화의 함량을 조절하여 실험하여 보았다
물의 온도 80 ~ 95℃에서 3 ~ 5 분간 우려낸 후 선호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화와의 혼합비율을 알려주지 않고 가장 맛과 향이 좋은 차를 1가지만 골라 1점씩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1) 국화 함량에 따른 선호도 1차 테스트
국화 함량 2중량% 4중량% 6중량% 8중량% 10중량%
점 수 8 42 0 0 0
실험결과, 국화 함량 4%에서 42점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2%, 나머지 6중량% 이상 부터의 실험은 선호도가 없다.
추가로 향과 맛을 평가한 결과는 향은 누룽지와 같은 구수한 냄새가 나며, 미세하게 녹차와 같은 쌉싸하면서 깔끔한 뒷맛이 남는다
(2) 국화 함량에 따른 선호도 2 차 테스트
국화 함량 0중량% 2중량% 4중량% 6중량%
점 수 5 5 40 0
2차 테스트에서는 실험 대상 인물군 들을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선별하여 1차와 조금 달리 하여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도 앞선 1 차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메밀씨를 볶으면 구수한 맛이 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구수한 맛은 사라지고 특별한 향기가 없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차로 음용 가능한 여러 인체에 유익한 차 자료를 사용하여 본 결과, 특히 국화꽃(감국)을 혼합하였더니 맛과 향이 우수한 결과를 가져왔다
메밀 100중량%와, 메밀 98중량%와 국화 2 중량% 혼합은 약간 싱거운 맛이 났으며, 메밀 94중량%와 국화 6 중량%는 국화 향이 너무 강하게 나서 화장품 냄새에 가까운 냄새가 난다고 하여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타타리메멜 분 96%와, 국화 분의 함량 4%의 배합비율로 혼합한 것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혼합물은 음용이 간편한 티백이나, 봉지 차로 제조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를 티백으로 제조한 예를 실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2 는 티백의 내용물을 꺼내 보여주는 도면이다
좌측 것은 티백을 차로 음용한 후 건조한 것이고, 우측 것은 사용 전의 티백 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꺼내어 도시한 것이다. 사용 전에는 국화와 메밀의 고유 자체 색상인 황색이 나오나 사용 후에는 갈색으로 변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유익한 새로운 맛의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차의 티백을 예시하는 도면
도 2 는 티백의 내용물을 꺼내어 본 것으로, 티백의 사용 전,후의 상태에 대한 비교 도면

Claims (3)

  1. 타타리메밀씨를 물에 불려서 세척한 후 거르는 공정;
    거른 타타리 메밀씨를 스팀으로 찌는 공정;
    찐 타타리메밀씨를 탈피기로 가져가 메밀의 껍질을 탈피하는 공정;
    탈피된 메밀씨를 노릇노릇한 색이 나올 정도로 복은 후, 2 차로 껍질을 벗기는 박피 공정;
    상기 박피 공정이 완료되면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준비하는 공정;
    그리고 물에 침출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25-40 메쉬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공정;
    국화를 삶아 건조기에 건조한 후, 25 - 40메쉬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공정;
    상기 준비된 메밀과 국화를 혼합하되, 메밀 94-98 중량%, 국화 2- 6 중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차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밀은 타타리메밀이며, 상기한 국화는 꽃이 활짝핀 국화를 사용하며, 메밀 96 중량%, 국화 4 중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차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국화의 건조 후 수분은 7-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차의 제조 방법
KR1020070101799A 2007-10-10 2007-10-10 메밀차의 제조 방법 KR10079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799A KR100792785B1 (ko) 2007-10-10 2007-10-10 메밀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799A KR100792785B1 (ko) 2007-10-10 2007-10-10 메밀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785B1 true KR100792785B1 (ko) 2008-01-11

Family

ID=3921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799A KR100792785B1 (ko) 2007-10-10 2007-10-10 메밀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82B1 (ko) * 2010-04-01 2012-10-25 한국식품연구원 폴리페놀 함유 나노-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타타리 메밀 탈피분말 차의 제조 방법
KR20210006802A (ko) 2019-07-09 2021-01-19 강학근 타타리 메밀차 음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308A (ko) * 1990-11-12 1992-06-25 이승훈 메밀을 건강차로 사용하는 방법
KR930022960A (ko) * 1992-05-26 1993-12-18 최종익 메밀차 제조방법
KR960028815A (ko) * 1995-01-10 1996-08-17 이오현 메밀차 제조방법
KR970000089A (ko) * 1995-06-10 1997-01-21 권태봉 발아메밀차및 발아곡류차 제조방법과 발아메밀차및 발아곡류차 추출액 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308A (ko) * 1990-11-12 1992-06-25 이승훈 메밀을 건강차로 사용하는 방법
KR930022960A (ko) * 1992-05-26 1993-12-18 최종익 메밀차 제조방법
KR960028815A (ko) * 1995-01-10 1996-08-17 이오현 메밀차 제조방법
KR970000089A (ko) * 1995-06-10 1997-01-21 권태봉 발아메밀차및 발아곡류차 제조방법과 발아메밀차및 발아곡류차 추출액 음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882B1 (ko) * 2010-04-01 2012-10-25 한국식품연구원 폴리페놀 함유 나노-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타타리 메밀 탈피분말 차의 제조 방법
KR20210006802A (ko) 2019-07-09 2021-01-19 강학근 타타리 메밀차 음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71949A (ja) 明日葉茶
KR20170006707A (ko) 모링가 차와 이의 제조방법
KR20090039525A (ko) 산야초 혼합 녹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4615B1 (ko) 한방치킨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치킨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101788463B1 (ko) 모링가 커피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079120B1 (ko) 무궁화꽃 차의 제조방법
KR20200018531A (ko) 커피제조용 메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0792785B1 (ko) 메밀차의 제조 방법
KR101280873B1 (ko) 대추 된장의 제조방법
CN112205588A (zh) 酱卤鸭制品的制备工艺及酱卤鸭制品
KR102421438B1 (ko) 달인 간장 제조방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101886851B1 (ko) 방풍 피고막 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풍 피고막 죽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721B1 (ko) 침출식 구아바 과실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0107A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54511B1 (ko) 솔잎과 산야초 추출물을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KR101745180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장류 제조방법
KR100637962B1 (ko) 송화순두부해장국 및 그 제조방법
KR101724901B1 (ko) 모링가 잎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
KR101540265B1 (ko) 사자발약쑥이 함유된 건강쑥밥의 제조방법
KR102456194B1 (ko) 한방 누룽지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037B1 (ko)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