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212B1 -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212B1
KR100792212B1 KR1020060065589A KR20060065589A KR100792212B1 KR 100792212 B1 KR100792212 B1 KR 100792212B1 KR 1020060065589 A KR1020060065589 A KR 1020060065589A KR 20060065589 A KR20060065589 A KR 20060065589A KR 100792212 B1 KR100792212 B1 KR 10079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headrest
binding
lever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6006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를 전·후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동부재와 정지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와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받침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등받이의 내부 중앙위치에 전·후 이동하게 설치되며 자동차사고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등이 등받이에 부딪히면 즉시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가변부재와, 일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 장착된 내피체의 후면판에 착설되고 타단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부재에 결속되며 상기 가변부재가 후방으로 밀리면 내피체를 전방으로 당겨서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충격방지장치

Description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A car headrest for cushioning impact of car accident}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부재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가변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b,c는 도 3의 가변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절취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8a,b는 도 5의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1,2 실시예에 의한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의 적용되는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10a-d는 동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동작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11a-d는 본 발명 제1,2 실시예에 의한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견인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제1, 2 견인부재의 결속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a-d의 제1,2 견인부재의 결속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13a,b는 도 11a-d의 견인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판
20 : 등받이
21 : 프레임 22 ; 지지관
23 : 슬리브관 21a, 21b : 지지로드
21c : 절곡부
30 : 헤드레스트
31 : 스테이로드 32 : 받침부재
33 : 내피체 34 : 조절부재
35 : 제동부재 36 : 해제부재
37 : 리턴스프링
40 : 가변부재
41 : 가변판재 42, 42' : 가변축
43, 43' : 가변레버 44, 44' : 가이더
45 : 코일스프링 46, 46' : 걸이편
47 : 강선 411 : 단편
412 : 장공 431, 432 : 레버판
42a : 핀축 42b : 힌지축
50 : 견인부재
51 : 일단 52 : 타단
53 : 튜브 54,54' : 결속팁
55 : 결속관 56 : 제어편
531 : 결착편 50a,b : 제1,2 케이블
본 발명은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된 헤드레스트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어 탑승자의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의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로는 필요에 따라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헤드레스트가 있었다.
그런데, 전자의 헤드레스트로는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특허등록 제510152호) 등이 있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스테이로드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전·후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전방으로 당기면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위치가 이동 조절됨과 동시에 내부에 장착된 기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어치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발톱이 걸어지게 축착된 멈춤부재의 걸림작용에 의해 이동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머리를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멈춤부재의 발톱이 기판부재에 형성된 기어치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진 다음에도 더 당겨주면 상기 발톱의 전측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돌기가 선단 기어치의 전단에 구비된 해제턱에 받쳐져서 멈춤부재가 반 시계방향으로 상향 회전하기 때문에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므로 걸림상태가 해제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발톱이 기어치에 걸어져 있도록 멈춤부재의 후단측을 하향시켜주는 힘으로 작용하던 전환스프링의 반발력은 반대로 선단측을 하향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그 방향이 전환되므로 해제상태가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부재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반발력이 받침부재를 항상 후진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받침부재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며, 이렇게 되면 이번에는 상기 멈춤부재의 전단에 하향 연장되어 있는 걸림부가 상기 해제턱에 받쳐지면서 상향되기 때문에 멈춤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발톱이 하강하여 기판부재의 후단 기어치에 걸어지고, 동시에 전환스프링의 반발력은 후단을 하향시켜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발톱이 후단 기어치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되어 받침부재는 원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하였다.
따라서, 전자의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 시트의 등받이는 앞으로 숙여지지 않게 되므로 등받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반동이 받침부재를 항상 후진방향으로 탄발시켜 주게 장착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탄력보다 강하면 받침부재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기 때문에 멈춤부재의 발톱이 기판부재의 선단 기어치를 넘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멈춤부재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받침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원위치시켜 주기 때문에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힐 때는 이미 완전히 후진되어 있으므로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받쳐주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헤드레스트로는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장치(2002.1.28. 미국특허출원 10/184,675)가 있는데, 이 가변이동 헤드레스트는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히면서 그 내부에 회동하게 장착된 타격판을 타격할 때 그 힘이 상기 타격판을 전방으로 당겨주고 있는 스프링의 장력보다 크면 타격판이 뒤로 밀리게 하므로 그 상부에 로드로 연결되어 있는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헤드레스트는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하여 뒤로 밀리게 하는 순간에는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지만 그 순간이 지나면 스프링의 장력이 작용하여 타격판을 즉시 전방으로 원위치시켜 주기 때문에 받침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한 이후에 머리가 조금이라도 늦게 뒤로 젖혀지면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거나 또는 이미 이동되어 있게 되므로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는 효율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이나 충돌(추돌)사고시의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 등에 비례하여 머리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다르게 됨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 등에 관계없이 항상 머리를 안전하게 받쳐주는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는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받침부재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후자의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극히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 출원인은 종래 헤드레스트들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 ·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정지되어 있게 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하며, 사고발생 후에는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평상시의 사용상태로 전환시켜 줄 수 있게 한 헤드레스트를 발명하여 특허출원(출원번호 제2006-27898호)을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선출원 발명은 충돌사고가 발생할 때에는 등받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반동으로 받침부재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정지되게 하는 반면에 추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탑승자의 등판이 전방으로 숙여지지 않고 그대로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등받이를 타격하고 난 다음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 반동으로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추돌시 즉각적인 반응을 하지 못하여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받쳐주기에는 약간 늦게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선출원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정지되어 있게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평상시 전·후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기는 정도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게 하고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 주거나 또는 충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물론이고 특히 추돌사고의 발생시에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일단은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탑승자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피체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하는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가변부재에 결속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변부재는 평상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혀 가해지는 정도의 힘만으로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지 않게 되는 반면에 특히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질 정도의 충격이 발생하여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히면 상기 가변부재가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밀리기 때문에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즉각 당겨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주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충격방지를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가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동 가변장치에서 가변부재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동 가변부재 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b,c는 동 가변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평면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좌판(10)의 후단에 하단이 축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등받이(20)의 상단에 수평부(311)와 그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되는 양 수직부(312)를 구비하게 파이프로 제작되는 스테이로드(31)로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착설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32)의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되는 내피체(33)를 전·후로 평형이동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부재(34) 및 상기 내피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하는 멈춤판(343)과 상기 멈춤판에 의한 정지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해제부재(36)와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내피체를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는 리턴스프링(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레스트(30)와, 상기 등받이의 내부 중앙부위에 전·후 이동하게 설치되며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질 정도의 힘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히면 즉시 밀려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가변부재(40) 및 일단(51)은 상기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되고 타단(52)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부재에 결속되며 가변부재가 후방으로 완전히 밀리면 받침부재(32)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즉시 당겨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견인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받이(20)의 내부에는 형태유지를 위한 프레임(21)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 임의 상부 횡부재(211)의 중간 양쪽에는 스테이로드(31)의 양 수직부(31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관(22)이 수직으로 착설되어 있다.
지지관(22)들은 상부 횡부재(211)에 용접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횡부재의 하부에 축 결합 설치되는 힌지축(도시하지 않음)에 용접하여 소정의 범위내에서 전·후로 회동하게 착설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관들에는 슬리브관(23)이 각각 결합되며, 스테이로드(31)의 양 수직부(312)를 상기 슬리브관에 각각 결합하면 일 슬리브관의 상단에 부설된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일 수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노치(3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기 때문에 받침부재(32)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가변부재(40)는 프레임(21)의 양측 종부재(212)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가로질러 양단부가 상기 종부재들의 해당위치에 각각 착설되는 상·하 지지로드(21a)(21b)들의 중간부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하 단편(411)이 후방으로 수평연장된 장방형의 가변판재(41)와, 상·하단에 힌지편(4311)(4321)들이 서로 마주하게 각각 수평연장된 내·외측의 레버판(431)(432)들 중 각 레버판(432)의 상·하 힌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상·하 단편의 양쪽 외측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412)에 각각의 가변축(42)(42')으로 함께 축 결합하고 레버판(431)의 상·하 힌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상·하 단편의 양쪽에 형성된 장공의 내단과 격리되게 그 내측부에 형성된 축공(422)들에 각각의 핀축(42a)으로 축 결합하며 상기 레버편들의 각 후단부들은 힌지축(42b)으로 축 결합하여 상기 전단부가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가변판재의 후면 양쪽에 축 설치된 각각 한 쌍의 내·외 레버판(431)(432)으로 되는 좌·우 가변레버(43)(43')와, 상기 상·하 지지로드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구(441)를 구비하며 각 내단에는 레버판(432)들의 후단부를 축 결합하는 힌지축의 상·하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축편(442)이 연장된 가이더(44)(44') 및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에 양단을 걸어서 설치되며 수축력이 상기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부재(40)의 가변레버(43)(43')들은,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에 의해 각 후단부가 마주 이동하게 당겨지면 가변축(42)(42')들이 각각의 장공(412)에서 마주 이동하여 각 내단에 걸어지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내·외 레버판(431)(432)의 전단부들은 힌지축(42b)으로 함께 축 결합되어 있는 후단부들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을 향해 벌어져 있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전방에서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이 가변판재(41)에 가해지면 가변레버(43)(43')의 각 외측 레버판(432)들의 각 전단부가 축 결합되어 있는 가변축(42)(42')이 각각 장공(412)내에서 즉시 외단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내·외 레버판(431)(432)들의 간격이 즉시 벌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에 비례하여 상기 가변판재가 신속히 후방으로 밀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변레버(43)(43')의 각 내·외 레버판(431)(432)들의 전단부의 간격이 좁거나 또는 후단부와 전·후 동일선상에 있는 경우에는 충돌 또는 추돌 사고의 발생으로 전방에서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이 가변판재(41)에 가해져도 각 외측 레버판(432)들의 전단부가 즉시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가변판재가 신속하게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며, 이렇게 되면 견인부재(50)가 받침부재(32)를 즉각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지 못하므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외 레버판의 전단부들의 간격이 벌어져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로드(21a)(21b)는 가변판재(41)가 후방으로 밀릴 때 함께 밀리지 않는 강도를 갖는 굵기로 되며, 가변판재(41)의 상·하 단편(411)의 중간 또는 양측의 소정 위치에는 결속공(413)을 형성하여 프레임(21)의 상·하 횡부재(211)에 상·하단을 각각 착설하는 강선(47)이 수직으로 관통하게 하여 상기 가변판재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가변판재(41)가 지지로드(21a)(21b)가 각각 관통하게 결합되어 각기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더(44)(44')들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들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전·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가이더들은 가변판재가 전·후 이동할 때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가변레버(43)(43')들의 각 외측 레버판(432)의 전단부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더들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변판재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는 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되면 외측 레버판들의 각 전단부가 동시에 동일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가변판재의 전체가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견인부재를 즉각적으로 완전히 당겨줄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강선(47)은 가변판재(41)가 후방으로 밀릴 때 함께 밀리게 되는 강도를 갖는 굵기로 되며, 중간에 하나만 설치하는 것보다는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한 쌍을 설치하는 것이 가변판재(41)의 평형을 유지하는데 더욱 바람직한 것임은 물론 그 하단은 하부 횡부재(211)에 착설하는 반면에 상단은 상부 횡부재의 하방에 위치하게 양 종부재의 상측부에 양단을 착설하여 설치하는 브래킷(213)에 착설하여도 된다.
견인부재(50)는 강선케이블로 되는 것으로서, 일단(51)은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52)은 슬리브관(23)에 결합하는 스테이로드(31)의 양 수직부(312)들 중에서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20)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축(42)에 축 결합되는 축수부(461)를 구비하는 걸이편(46)에 형성된 관통구(462)를 거쳐 가변축(42')에 축 결합되는 축수부(461)를 구비하는 걸이편(46')의 관통구(462)에 결속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견인부재(50)는,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가변레버(43)(43')의 각 외측 레버판(432)을 당겨서 서로 마주하게 이동시켜서 가변축(42)(42')들이 각각의 장공(412)들 내단에 걸어져 정지되고 받침부재(32)는 완전히 후진되어 있을 때 걸이편(46')에 결속된 타단(52)과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된 일단(51)의 사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길이로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받침부재(32)가 완전히 후진하여 있는 상태에서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여도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20)에 부딪히는 힘이 코일스프 링(45)의 수축력보다 크면, 가변판재(41)가 즉시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가변레버(43)(43')의 각 외측 레버판(432)의 전단부들이 즉시 외측으로 이동할 때 견인부재(50)의 타단(52)이 걸이편(46)을 거쳐 걸이편(46')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견인부재의 타단은 걸이편(46')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일단(51)이 결속된 내피체(33)를 즉각 전방으로 당겨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견인부재(50)는 등받이(20)의 내부에 수용된 지지관(22)의 하단으로부터 걸이편(46)에 이르는 부분이 튜브(53)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견인부재가 등받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타 부재들과 접촉하여 동작에 간섭을 받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걸이편이 튜브의 내단을 걸어주게 하므로 걸이편(46')이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튜브는 당겨주지 않고 견인부재(50)만 당겨주게 한다.
코일스프링(45)은 가변레버(43)(43')의 각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서 걸이편(46)(46')들이 각 장공(412)의 내단에 걸어지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수축력은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20)에 부딪친 후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정도의 충격이 가변판재(41)에 가해질 때에는 상기 걸이편들이 각 가변축(42)(42')과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변축들이 각 장공의 외단에 걸어질 때까지 늘어나므로 견인부재(50)가 받침부재(32)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게 하며 평상시에는 물론이고 목 부상이 유발되지 않는 경미한 사고의 발생시에는 늘어나는 정도가 한정되어 상 기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로 된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동 자동차용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동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8a,b는 동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동작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받이(20)의 내부 중앙부위에 전·후 이동하게 설치되며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질 정도의 힘으로 등판이 상기 등받이에 부딪히면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밀려 이동되는 가변부재(40)와, 일단(51)은 헤드레스트(30)의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되고 타단(52)은 스테이로드(31)의 일 수직부(312)를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부재에 결속되며 가변부재가 후방으로 완전히 밀리면 받침부재(32)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즉시 당겨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는 견인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변부재(40)는, 프레임(21)의 양측 종부재(212)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가로질러 양단부가 상기 종부재들에 각각 착설되는 지지로드(21a)의 중간부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가변판재(41)와, 전단부는 상기 가변판재의 양측 중간부에 각각 가변축(42)으로 축 결합하고 후단부는 후방을 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변레버(43)(43')와,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관통구(441)를 구비하며 내단에는 상기 가변레버들의 중간부에 각각 핀축(42a)으로 축 결합하는 축편(442)이 연장된 가이더(44)(44') 및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에 양단을 걸어 설치되며 수축력이 상기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여 된다.
지지로드(21a)는 강봉으로 되는 것으로서, 중간의 양쪽에는 가변판재(41)의 양측에 축 결합하는 가변레버(43)(43')의 전단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절곡부(21c)들이 형성된다.
절곡부(21c)는,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가변레버(43)(43')의 각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줄 때 후단부들의 간격이 전단부들의 간격보다 넓은 위치에서 정지하게 가이더(44)(44')를 걸어줌으로써 상기 후단부들이 마주 이동하는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가변레버(43)(43')가 후방을 향해 벌어진 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되므로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전방에서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이 가변판재(41)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가 즉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므로 가변판재가 순조롭게 후방으로 밀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변레버(43)(43')의 후단부의 간격이 전단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전단부보다 좁은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전방에서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이 가변판재(41)에 가해져도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가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아 가변판재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며, 이렇게 되면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견인부재(50)가 받침부재(32)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작동을 하지 못하므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견인부재(50)는 강선케이블로 되는 것으로서, 일단(51)은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52)은 스테이로드(31)의 일 수직부(312)를 관통하여 등받이(20)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레버(43)의 후단부를 거쳐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결속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견인부재(50)는,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가변레버(43)(43')의 후단부가 서로 마주하게 이동시켜 가이더(44)(44')가 지지로드(21a)의 각 절곡부(21c)에 걸어져 정지되어 있고 받침부재(32)는 완전히 후진되어 있을 때 가변레버(43')의 후단에 결속된 타단(52)과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된 일단(51)의 사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길이로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받침부재(32)가 완전히 후진하여 있는 상태에서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20)에 부딪히는 힘이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크면, 가변판재(41)가 즉시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가변레버(43)(43')의 후단부들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게 회전될 때 견인부재(50)의 타단(52)이 가변레버(43)의 후단부를 거쳐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견인부재는 가변레버(43')의 후단부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일단(51)이 결속된 내피체(33)를 전방으로 당겨서 이동시켜 줌으로써 상기 받침부재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지 않 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견인부재(50)의 등받이(20)이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관(22)의 하단으로부터 가변레버(43)의 후단부 사이에 이르는 부분은 튜브(53)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견인부재가 등받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타 부재들과 접촉하여 동작에 간섭을 받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는 걸이편(46)을 힌지축(42b)으로 축 결합하여 튜브(53)의 내단이 상기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지나가지 않게 걸어 줌으로써 가변레버(43')는 상기 튜브는 당겨주지 않고 견인부재(50)만 당겨주게 하며, 아울러 가변레버(43')의 후단에도 걸이편(46')을 힌지축(42b)으로 축 결합하여 상기 견인부재의 타단(52)을 결속토록 한다.
코일스프링(45)은 가변레버(43)(43')의 각 후단부를 서로 마주하게 당겨서 중간부분에 축 결합된 가이더(44)(44')가 지지로드(21a)의 절곡부(21c)에 각각 걸어지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수축력은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20)에 부딪친 후에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정도의 충격이 가변판재(41)에 가해질 때에는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 사이가 최대로 벌어지게 늘어나므로 견인부재(50)가 받침부재(32)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게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물론이고 목 부상이 유발되지 않는 경미한 사고의 발생시에도 상기 받침부재가 불필요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가변판재(41)의 후면 중간부분만 가변레 버(43)(43')와 가이더(44)(44')로 지지로드(21a)에 지지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변판재가 더욱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면의 중간부분 이외에 상측 또는 하측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의 양측에도 가변레버(43)(43')의 전단부를 축 결합하여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변레버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로드(21b)를 프레임(21)의 양측 종부재(212)들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상기 양측 종부재에 각각 착설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관통구(441)를 구비하며 내단에는 상기 가변레버들의 중간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축편(442)이 연장된 가이더(44)(44')로 지지되게 설치하여도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가변레버(43)(43')의 각 후단부에는 코일스프링(45)의 양단을 각각 걸어주어 수축력이 작용하면 상기 후단부들을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주도록 함과 동시에 제2 지지로드(21a)의 중간부 양쪽에는 절곡부(21c)를 형성하여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들 간격이 전단부들의 간격보다 넓은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가이더(44)(44')를 걸어주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탑승자의 등판이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으로 등받이(20)에 부딪치면 가변판재(41)가 후방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가변레버(43)(43')들의 후단부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견인부재(50)를 당겨주기 때문에 일단(51)이 후면판에 결속된 내피체(33)와 함께 받침부재(32)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물론 경미한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도 그 충격이 크지 않아 탑승자의 등판이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작은 힘으로 가변판재(41)에 부딪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판재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받침부재(32)가 임의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아울러 평상시에는 받침부재(32)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종래의 헤드레스트(30)와 동일하게 조절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 제1, 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10a-d는 동 헤드레스트의 동작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1, 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견인부재(50)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코일스프링(45)의 수축력보다 큰 힘으로 등받이(20)에 부딪혀서 가변판재(41)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내피체(33)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즉각 당겨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조절부재(34)의 1, 2 회동로드(341)(342)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도 10b에서와 같이 제1 회동로드(341)의 전면판 하단이 제동부재(35)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며, 이후에는 리턴스프링(37)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2 회동로드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는 멈춤판(343)의 발톱이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31)의 수평부(311)에 착설된 기판(344)의 일측편 상단에 형성된 기어치들 중 선단의 기어치에 즉시 걸어지게 되므로 내피체(33)와 받침부재(32)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 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32)가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다음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최적의 위치에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주기 때문에 목이 뒤로 꺾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사고발생 후 정지되어 있는 받침부재(32)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주고져 할 때에는, 해제부재(36)를 조작하여 멈춤판(343)을 역 회동시켜서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된다.
즉, 멈춤판(343)의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는 상태에서 받침부재(32)의 일측 외면에 부설되어 있는 핸들(361)을 잡고 가동장축(362)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가동장축에 착설되어 있는 가압레버(363)의 하단이 하향되면서 상기 멈춤판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하강시켜 주므로 후단부의 발톱이 도 10d에서와 같이 상향되어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되어 제1 회동로드(341)는 상기 멈춤판에 의한 제동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전환스프링(345)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힘이 상기 멈춤판의 전단부를 하강시켜 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제1 회동로드는 해제상태가 유지되며, 이렇게 되면 리턴스프링(37)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회동로드를 즉시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제2 회동로드(342)도 함께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발톱이 기어치중에서 후단의 기어치 직 상부에 근접하게 될 때에는 하강하여 있는 멈춤판(343)의 전 단부가 기판(344)의 일측판 전단턱에 걸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1,2 회동로드(341)(342)는 후방으로 더 회동하므로 상기 하강되어 있는 전단부가 전단턱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상향 젖혀지게 되어 멈춤판이 정 회전되기 때문에 발톱이 하강하여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됨으로써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제1,2 회동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회동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렇게 되면, 내피체(33)와 받침부재(32)도 함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다시 필요한 만큼 전방으로 당겨서 이동시켜 주면 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제1,2 실시예에서는 견인부재(50)의 일단(51)은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52)은 스테이로드(31)의 일 수직부(312)를 통해 등받이 내부로 도입시켜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결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렇게 결속하려면 상기 견인부재의 일단은 먼저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은 일 수직부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게 헤드레스트(30)를 조립한 다음에 프레임(21)의 후면에 뒷 커버를 착설하여 등받이(20)를 완성하기 전에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 수직부를 각 지지관(22)에 결합된 슬리브관(23)에 삽입하면서 상기 견인부재의 타단을 등받이 내부로 도입시켜 가변부재(43')의 후단부에 결속한 후에 뒷 커버를 착설하여 등받이를 완성하면 된다.
그러나, 등받이(20)와 헤드레스트(3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완성한 다음에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의 상단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구조상 견인부재(50)의 타단(52)을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먼저 결속하고 일단(51) 은 슬리브관(23)의 상단을 통해 인출시킨 상태로 상기 등받이를 제작한 후에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결합할 때 일단을 스테이로드(21)의 일 수직부(312)를 통과시켜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하는 것은 물론 상기 일단은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은 일 수직부를 거쳐 하부로 인출시킨 상태로 헤드레스트를 제작한 후에 등받이에 결합할 때 타단을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시켜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결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도 11a-d는 본 발명 제1, 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서 견인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제1, 2 견인부재의 결속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은 동 견인부재의 결속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a,b는 동 견인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견인부재(50)를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하는 일단(51)으로부터 스테이로드(31)의 일 수직부(312)의 상단측에 형성된 유통공를 통해 내부로 도입되어 그 중간부에 위치토록 한 후단(511)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1 케이블(50a)과 가변레버(43')의 후단부에 결속된 타단(52)으로부터 지지관(22)에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관(23)의 하부로 도입되어 그 중간부에 위치하게 한 전단(521)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2 케이블(50b)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제1,2 케이블의 후단과 전단에는 각 단부에 결속턱(541)이 형성된 결속팁(54)(54')을 각각 착설하여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 수직부를 각 슬리브관에 결합하면 결속팁들이 결속턱을 걸어주는 결속편(551)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결속관(55)의 상·하단부내로 삽입되어 결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2 케이블이 결속관에 의해 직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 다.
이렇게 견인부재(50)를 제1,2 케이블(50a)(50b)로 분리 구성하면, 등받이(20)와 헤드레스트(3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완성한 다음에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의 상단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결속팁(54)(54')과 결속관(55)을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해서는 제1 케이블(50a)은 일 수직부(312)의 내부에 결합하기 전에 후단(511)에 착설된 결속팁(54)을 상기 결속관의 상단부내로 삽입시켜 결속턱(541)이 결속편(551)에 걸어져 결속되게 한 다음, 상기 제1 케이블의 일단(51)을 제어편(5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561)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하단을 통해 일 수직부(312)에 삽입하여 그 상단측에 형성된 유통공를 거쳐 상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편도 일 수직부에 삽입하고 상기 일단을 내피체(33)의 후면판에 결속한다.
이렇게 결속한 다음, 내피체(33)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면 제어편(56)은 그 직경이 일 수직부(312)의 내경과 같고 상기 일 수직부의 중간부에는 제어턱(314)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편이 제어턱에 걸어지므로 제1 케이블(50a)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내피체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어 제1 케이블(50a)이 상기 일 수직부내에서 하향이동하게 되어도 제어편은 그 직경이 일 수직부의 내경과 같기 때문에 함께 하향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튜브(53)의 전단에는 지지관(22)의 하단부내에 결착되는 결착편(531)을 형성하여 제2 케이블(50b)의 전단(521)에 착설된 결속팁(54')을 상기 지 지관에 결합한 슬리브관(23)의 내부에 위치하게 삽입하면, 상기 결착편은 지지관의 하단부내로 삽입되어 결착된다.
이때, 결착편(531)과 지지관(22)은 강제 끼워 맞춤하거나 또는 상기 결착편의 외주면에는 결착홈을 빙둘러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지관의 하단부에는 결착턱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착되게 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소정의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지 않는 한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2 케이블(50a)(50b)을 헤드레스트(30)와 등받이(20)에 각각 분할하여 설치되게 제작한 다음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의 상단에 결합할 때에는, 도 11a에서와 같이 상측에서 스테이로드(31)의 양 수직부(312)를 지지관(22)에 장착된 슬리브관(23)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하강시켜 주면 결속팁(54')이 일 수직부(312)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도 11b에서와 같이 상단부내에 결속팁(54)이 결속되어 있는 결속관(55)의 하단부내로 삽입·결속되므로 상기 제1,2 케이블은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결합시켜 주는 작업만으로도 서로 직결된다.
이 후에도 계속하여 스테이로드(31)를 하강시켜 주면 도 11c에서와 같이 일 수직부(312)의 하단이 지지관(23)의 하단에 결착되어 있는 결착편(531)의 상면에 접지되며, 이 상태에서 더 하강시키면 도 11d에서와 같이 상기 결착편은 일 수직부에 의해 하강하여 지지관에서 분리된다.
이렇게 결착편(531)을 지지관(22)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것은, 스테이로드(31)를 상·하로 원활하게 승강시켜 받침부재(3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2 케이블(50a)(50b)을 결속하면, 등받이(20)와 별도로 제작한 헤드레스트(30)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사고의 발생시에는 상기 제1, 2 케이블이 한 몸체로 동작하므로 견인부재(50)가 단일체로 되어 있을 때와 동일하게 받침부재(32)를 신속히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충돌, 특히 추돌사고시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의 등판이 먼저 시트의 등받이에 부딪힌 다음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게 되는 정도의 힘으로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히는 즉시 가변부재가 밀려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에 따라 견인부재가 동시에 작동하여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전에 받침부재를 신속하게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줌으로써 사고발생시 받침부재는 항상 최적의 위치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기 때문에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져서 유발되던 심각한 목 부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착설되어 평상시에는 전·후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내피체가 내부에 장착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시켜 주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조절부재와 정지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와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받침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측 종부재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상·하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게 가로질러 각 양단이 종부재들의 해당 부위에 각각 착설되는 지지로드와;
    각 후단부들이 상기 지지로드의 중간부 양측 위치에 각기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되는 가변레버들과, 양단을 상기 후단부들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수축력이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코일스프링과, 각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들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양측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가변레버들에 의해 지지부재의 중간부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축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가 각기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벌어지는 간격에 비례하여 후방으로 밀려 이동하고 충격이 해소되면 간격이 벌어질 때 늘어난 코일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 각 후단부가 내측으로 마주 이동하는 가변레버들 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가변부재와;
    일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 장착된 내피체의 후면판에 착설하고, 타단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가변부재에 결속하며, 상기 가변부재가 후방으로 밀리면 내피체를 전방으로 당겨서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상기 지지로드들의 중간부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하 단편이 후방으로 수평연장된 장방형의 가변판재와;
    상·하단에 힌지편들이 서로 마주하게 각각 수평연장된 내·외측의 레버판들 중 각 외측 레버판의 상·하 힌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상·하 단편의 각 양쪽 외측부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각각의 가변축으로 함께 축 결합하고, 내측 레버판의 상·하 힌지편의 전단부는 상기 상·하 단편의 양쪽에 형성된 장공의 내단과 격리되게 내측부에 각각 형성된 축공에 각각의 핀축으로 축 결합하며, 상기 레버편들의 각 후단부들은 힌지축으로 축 결합하여 상기 전단부가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가변판재의 후면 양쪽에 축 설치된 각각 한 쌍의 내·외 레버판으로 되는 좌·우 가변레버와;
    상기 상·하 지지로드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각 내단에는 상 기 외측 레버판들의 후단부를 축 결합하는 힌지축의 상·하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축편이 연장된 복수의 가이더; 및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에 양단을 걸어서 설치되며, 수축력이 상기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판재는,
    상기 상·하 단편의 중간 또는 양측의 소정 위치에는 결속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공에는 프레임의 상·하 횡부재에 상·하단을 각각 착설하는 강선이 수직으로 관통하게 결합하여 등받이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상기 각 외측 레버판의 전단부를 각각의 장공에 축 결합하는 가변축에 축 결합 설치되며, 각각 관통구를 구비하는 걸이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상기 지지로드의 중간 위치 전방에 소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설치되는 가변판재와;
    상기 가변판재의 양측 중간부에 전단부를 각각 축 결합하여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레버와;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내단에는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중간부에 축 결합하는 축편이 연장된 한 쌍의 가이더; 및
    상기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에 양단을 걸어 설치되며, 수축력이 상기 가변부재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는,
    중간의 양쪽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가변레버들의 각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하게 당겨줄 때 후단부들의 간격이 전단부들의 간격보다 넓은 위치에서 정지하게 상기 가이더들을 각각 걸어주어 그 후단부들이 마주 이동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절곡부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강선케이블로 되며, 일단은 상기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은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관통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한 쌍의 가변레버 중에서 일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거쳐서 타 가변레버의 후단부에 결속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수축력이 작용하여 한 쌍의 가변레버의 후단부를 서로 마주 이동시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을 때 타 가변레버의 후단에 결속된 타단과 상기 받침부재가 완전히 후진되어 있을 때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된 일단의 사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길이로 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9. 제7항 또는 제8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내피체의 후면판에 결속하는 일단으로부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의 내부로 도입되어 그 중간부에 위치토록 하는 후단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한 쌍의 가변레버 중에서 타 가변레버의 후단부에 결속되는 타단으로부 터 지지관에 결합되는 슬리브관의 내부로 도입되는 전단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2 케이블; 및
    상기 제1,2 케이블의 후단과 전단을 양단부에 삽입·결속시켜 연결하는 결속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케이블의 각 후단과 전단에는 단부에 결속턱이 형성된 결속팁을 각각 착설하고, 상기 결속관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속팁들이 삽입하면 결속턱은 걸어주는 결속편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의 후단에 착설된 결속팁은 결속관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결속하고, 상기 결속관은 중앙에 상기 제1 케이블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제어편에 상단이 의해 받쳐지게 상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에 함께 삽입하며, 상기 일 수직부의 중간부에는 제어편을 걸어주는 제어턱을 형성하고, 상기 튜브의 전단에는 제2 케이블의 전단에는 지지관의 하단부내에 결착되는 결착편을 형성하며, 상기 튜브의 전단을 관통하는 제2 케이블의 전단에 착설된 결속팁은 슬리브관의 내부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친 후에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정도의 충격이 가변판재에 가해질 때에는 늘어나서 상기 가변레버들의 후단부 사이가 최대로 벌어지게 하고, 그러하지 않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나지 않게 되는 수축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20060065589A 2006-07-12 2006-07-12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79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89A KR100792212B1 (ko) 2006-07-12 2006-07-12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89A KR100792212B1 (ko) 2006-07-12 2006-07-12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212B1 true KR100792212B1 (ko) 2008-01-07

Family

ID=3921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89A KR100792212B1 (ko) 2006-07-12 2006-07-12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30B1 (ko) * 2008-07-22 2011-01-10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 장치
KR101322666B1 (ko) 2011-12-21 2013-10-30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머리 받침대가 분리 되도록 한 능동형 헤드 레스트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CN114577428A (zh) * 2022-03-15 2022-06-03 西安航空学院 一种受力面积可变式汽车防撞梁抗冲击测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00A (ja) * 2005-10-07 2007-04-19 Cleanup Corp 厨房家具のビルトイン機器およびこれを有する厨房家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000A (ja) * 2005-10-07 2007-04-19 Cleanup Corp 厨房家具のビルトイン機器およびこれを有する厨房家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07370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30B1 (ko) * 2008-07-22 2011-01-10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 장치
KR101322666B1 (ko) 2011-12-21 2013-10-30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코리아 주식회사 머리 받침대가 분리 되도록 한 능동형 헤드 레스트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CN114577428A (zh) * 2022-03-15 2022-06-03 西安航空学院 一种受力面积可变式汽车防撞梁抗冲击测试装置
CN114577428B (zh) * 2022-03-15 2023-08-18 西安航空学院 一种受力面积可变式汽车防撞梁抗冲击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6624B2 (ja) 可動安全棒を有する車両座席
DE60218849T2 (de) Kopfstützenanordnung
DE102004037832B4 (de) Sperr- und Entsperrmechanismus für eine aktive Kopfstütze an einem Fahrzeugsitz
KR10086878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EP0556884A2 (en) Vehicle seat assembly
EP0552160A1 (de) Sicherheits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DE102009035687A1 (de) Aktiv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6870472B2 (ja) スライド装置
KR100792212B1 (ko)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E102015110705A1 (de) Flugzeugsitzvorrichtung
DE102009026078B4 (de) Fahrzeugsitz mit aktiver Kopfstütze und Verfahren zum Bewegen eines Stützabschnitts der Kopfstütze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080079950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325765B1 (ko) 충돌에 반응하는 헤드 지지부
JP20170477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DE10020658B4 (de)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mit einer crashaktiven Fahrzeugfrontstruktur
DE102007062361A1 (de) Fahrzeugsitz
KR101144870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010898B1 (ko) 충격반응형 시트장치
KR20070105210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92871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JP4045527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2005254962A (ja) 乗員保護装置
KR100841807B1 (ko)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100592791B1 (ko)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