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715B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715B1
KR100928715B1 KR1020070126302A KR20070126302A KR100928715B1 KR 100928715 B1 KR100928715 B1 KR 100928715B1 KR 1020070126302 A KR1020070126302 A KR 1020070126302A KR 20070126302 A KR20070126302 A KR 20070126302A KR 100928715 B1 KR100928715 B1 KR 10092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movable
rear en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439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정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정해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7012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7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 정지시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거나 정지상태를 해제시키는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킨 목 부상의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튜브로 피복된 케이블의 전단은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하는 헤드레스트의 받침부재 내부에 수용된 이동부재를 구성하도록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고정하는 기판부재나 제2 링크 또는 한 쌍의 이동판 중 어느 하나에 결속하고, 후단은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통과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에 설치한 솔레노이드에 결속하거나 또는 케이블의 후단부를 등받이 프레임의 양 수직부 하측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탑승자가 받침부재의 높낮이나 전·후위치를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즉각 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서 정지되게 하므로 탑승자의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하고, 받침부재를 잡아서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주면 정지상태가 해제되어 후방으로 원위치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목 부상의 방지, 자동차용헤드레스트 구동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A car headrest driv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된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하는 목 부상의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의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로는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특허등록 제510152호) 등과 같이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한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장치(2002.1.28. 미국특허출원 10/184,675) 등이 있었다.
그런데, 전자의 선등록 발명인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 시트의 등받이는 앞으로 숙 여지지 않게 되므로 등받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반동이 받침부재를 항상 후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탄력보다 강하면 받침부재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기 때문에 멈춤부재의 발톱이 기판부재의 선단 멈춤치를 넘어가게 되어 멈춤부재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받침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이동시켜 줌에 따라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힐 때는 이미 완전히 후진되어 있으므로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받쳐주지 못하여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장치는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하여 뒤로 밀리게 하는 순간에는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지만 그 순간이 지나면 스프링의 장력이 작용하여 타격판을 즉시 전방으로 원위치시켜 주기 때문에 받침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한 후에 머리가 조금이라도 늦게 뒤로 젖혀지면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거나 또는 이미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는 효율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이나 충돌(추돌)사고시에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 등에 비례하여 받침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다르게 됨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적인 조건 등에 상관없이 머리를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은 물론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는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받침부재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탑승자의 편의에 따 라 헤드레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후자의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극히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 출원인은 종래 헤드레스트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일단은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받침부재 내부에 장착되는 내피체 후면판에 결속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하는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통해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가변부재에 결속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기는 정도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게 하고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주거나 또는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줌으로써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어 목 부상을 확실히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발명하여 선출원(특허출원 제2006-65589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발명은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혀 가해지는 정도의 힘만으로는 가변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설치함으로써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지 않는 반면에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질 정도의 충격이 발생하여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히면 상기 가변부재가 즉시 후방으로 완전히 밀리게 하여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즉각 당겨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도록 하는 가변부재의 구조 및 받침부재와 가변부재를 연결하는 견인부재의 연결구조는 물론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멈춤판에 의해 정지된 받침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해서는 해제부재로 멈춤 상태를 해제시켜 주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에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출원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됨은 물론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정지되게 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줌은 물론 별도의 해제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없이 정지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 받침부재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정지되게 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게 하거나 정지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는 목 부상의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헤드레스트는 튜브로 피복된 케이블의 전단은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 설치한 받침부재의 내부에서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고정한 기판부재나 제2 링크 또는 이동판 중 어느 하나에 결속하고 후단은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를 통과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하여 내부에 설치하는 솔레노이드의 작동핀에 결속하거나 또는 내부에서 등받이 프레임의 양 수직편 하측부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케이블의 후단부로 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탑승자가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반면에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견인부재가 받침부재를 즉각 당겨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정지되게 하여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함은 물론 정지되어 있는 받침부재를 종래의 헤드레스트와 같이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주면 정지상태가 해제되어 후방으로 이동 원위치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 견인부재가 작동하여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정지되게 하는 구조는 물론 정지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구조가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구성됨에 따라 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목 부상의 방지를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구동장치가 시트 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구동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c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시트 좌판(1)의 후단부에 하단부를 축 결합하여 전·후로 회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등받이(2)의 내부에 부설한 프레임(3)의 상단 수평부(3a) 중간에 수직으로 격리설치하는 한 쌍의 지지관(4)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각 슬리브관(4a)에 수평부(11)의 양단에 하향연장된 양 수직부(12)를 각각 결합하는 관체로 된 스테이로드(10)와, 바닥판(211)을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211)의 양단에 상향 연장되는 양측 수직판(212)을 가지는 기판(21)과 전면판(22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한 양측판(222)(222')의 하단부를 상기 바닥판(211)의 양단에 직립된 수직판(212)(212')의 각 전단부에 제1주축(20a)으로 축 결합하여 설치하는 제1링크(22)와 후면판(231)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한 양측편(232)(232')의 하단부를 상기 양 수직판(212)의 각 후단부에 제2주축(20b)으로 축 결합하여 설치하는 제2 링크(23)와 상기 제1,2링크(22)(23)의 양측판(222)(222')과 양측편(232)(232')의 각 상단부를 힌지축(20c)과 상부축(20d)으로 각 힌지편(241)의 전·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고 상기 힌지편과 직교하게 연장된 결속편(242)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5)의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되는 내피체(6)의 내부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이동판(24)(24')으로 되는 이동부재(20)와, 상기 제2주축에 결합하고 일단(31)은 상기 기판에 타단(32)은 상기 제2링크에 각각 걸어주어 탄성이 제2링크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하는 리턴스프링(30)과, 일측판(222)의 상측부에 축핀(40a)으로 축 설치하며 후단에는 수직판(212)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치(21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부설되고 전단에는 상기 수직판의 상부 전단턱(214)에 받쳐지는 걸림부(42)가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 일단(51)은 상기 멈춤부재(40)의 후단부에 걸어주고 타단(52)은 일측판(222)의 상측 후단부에 걸어 설치하는 전환스프링(50)과, 전단(61a)은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하고 후단(61b)은 상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공(13)과 개방된 하단을 통해 일 수직부를 통과하여 시트 등받이의 내부로 도입하는 견인부재(60) 및 상기 등받이 내부에 설치되며 견인부재의 후단을 결속하여 충돌(추돌)사고시 견인부재를 당겨서 상기 이동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주는 견인부재 가동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견인부재(60)는 강선 케이블(61)로 되며, 전단(61a)은 수직판(212)의 외면 하부전단에 부설된 지지편(215)에 형성한 지지공(216)을 통해 하부로 노출시켜 단부에 이탈방지구(62)를 고정하여 상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하고, 후단(61b)은 이동판(24)의 후면에 부설된 안내편(243)의 안내홈(244)을 거쳐 관통공(13)을 통해 일 수직부(12)로 인입되게 한다.
케이블(61)은 견인동작시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튜브(63)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피복상태에서 이동에 필요한 길이만큼 전·후단부를 튜브의 외·내단(63a)(63b)으로부터 노출되게 한다.
즉, 튜브(63)의 외단(63a)은 안내홈(244)의 직 상면에 위치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홈에 결속하는 안내관(64)을 부착하여 상기 튜브의 외단이 안내홈의 상면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61)의 전단부는 상기 안내관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방지구(62)를 고정한 전단(61a)까지는 상기 튜브의 외단으로부터 노출되게 하며, 상기 케이블의 후단부는 등받이(2)의 내부에 고정하는 상기 튜브의 내 단(63b)으로부터 상기 등받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동수단(70)에 연결하는 후단(61b)까지의 길이만큼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케이블(61)은 사고의 발생시 가동수단(70)에 의해 당겨져 이동부재(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주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멈춤치(213)들 중에서 전단의 멈춤치에 맞물리게 되면 상기 케이블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아야 발톱이 전단의 멈춤치를 넘어가지 않게 되므로, 전방으로 이동된 받침부재(5)가 최적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려면 케이블(61)의 당겨지는 길이가 발톱(41)이 후단의 멈춤치(213)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단의 멈춤치에 맞물리게 되는 거리와 정확히 일치하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케이블을 지지공(216)으로부터 안내홈(244)과 일 수직부(12)를 거쳐 가동수단(70)까지 배선할 때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는 길이가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단의 멈춤치에 맞물리게 되는 거리와 정확히 일치하게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렵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튜브(63)의 외단(63a)에 안내관(64)을 고정연결하여 안내홈(244)에 결속하고 케이블(61)의 전단부가 상기 안내관을 통해 튜브로부터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이동부재(20)가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여 발톱(41)이 후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져 정지된 상태에서 후단(61b)이 결속된 가동수단(70)의 작동으로 당겨지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발톱이 전단의 멈춤치에 걸어졌을 때까지 당겨진 케이블에서 안내관의 하단에 위치하 게 되는 전단부에 제동구(60a)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고의 발생시 순간적으로 작동하는 가동수단(70)에 의해 케이블(61)이 이동부재(20)를 전방으로 즉시 이동시켜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지는 것과 동시에 제동구(60a)가 안내관(64)의 하단에 받쳐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상기 가동수단이 더 작동하게 되어도 케이블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어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까지의 거리만큼만 정확히 당겨지는 것이며, 이에 따라 견인부재(60)를 설치하는 작업도 매우 간단·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가동수단(70)은, 도 1에서와 같이 등받이(2)의 내부에 설치하는 솔레노이드나 프레임(3)의 수직부(3b)(3b')들 중 수직부(3b)의 하측 위치, 바람직하게는 탑승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에 고정하는 튜브(63)의 내단(63b)으로부터 케이블(61)의 후단부를 필요한 길이로 노출시켜 후단(61b)을 수직부(3b)의 하측에 고정한 상기 튜브의 내단과 대응하는 수직부(3b')의 하측 위치에 결속시켜 상기 양 수직부의 하측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케이블의 후단부로 된다.
가동수단(70)이 솔레노이드인 경우에는 그 작동핀의 상단부에 케이블(61)의 후단(61b)을 결속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에 충돌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를 즉시 작동시켜 주도록 하거나 또는 자동차의 전·후방 해당부위에 차간거리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자차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 및 상대속도 등을 연산하여 충돌이나 추돌사고의 가능성이 예측되면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이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핀이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케이블(61)을 당겨줌에 따라 전단(61a)이 즉시 이동부재(2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므로 받침부재(5)가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가동수단(70)이 케이블(61)의 후단부인 경우에는, 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2)에 부딪치기 전에 허리와 엉덩이가 상기 케이블의 후단부가 설치된 등받이의 하측부에 먼저 순간적으로 부딪치기 때문에 그 힘에 의해 프레임(3)의 수직부(3b)(3b')들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는 상기 케이블의 후단부가 뒤로 밀리게 되므로 전단(61a)이 당겨져 이동부재(20)를 즉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받침부재(5)가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받침부재(5)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슬리브관(4a)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승강시켜 주면 되는데, 조절된 위치는 상기 슬리브관들 중 하나의 슬리브관의 상단에 부설된 스토퍼(4b)가 일 수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기 때문에 높낮이가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평상시에 받침부재(5)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것은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멈춤치(213)의 개수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받침부재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을 때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이동판(24)(24')으로 연결된 제1,2 링크(22)(23)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발톱은 멈춤치를 차례로 넘어가게 되고, 필요한 위치에 도착하였을 때 더 당기지 않고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링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는 발톱(41)이 해당 위치의 멈춤치(213)에 걸어지고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멈춤치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시켜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리턴스프링의 탄력이 작용하고 있어도 받침부재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부재(5)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멈춤치(213)의 개수 내에서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받침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발톱(41)이 상기 멈춤치의 어느 위치에 걸어져 있던지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주면 도 4b의 상태를 지나서 도 4c에서와 같이 상부축(20d)의 양측부가 양측판(222)(222')의 상단부 후면에 받쳐지게 되어 제1,2 링크(22)(23)가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는 반면에 발톱(41)이 전단턱(214)의 상단에 걸쳐지므로 멈춤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발톱이 상향하여 선단의 멈춤치(213)로부터 벗어난다.
이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멈춤부재(40)의 전단면이 제1 링크(22)의 전면판 내면에 접촉되면 더 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는 반면에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이 상기 발톱을 상승시켜 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승한 발톱은 하강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당겨준 받침부재(5)를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2 링크(22)(2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이동판(24)(24')으로 연결된 상기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톱(41)이 후단의 멈춤치(213)에 근접하면 걸림부(42)가 전단턱(214)에 걸어져 넘어가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발톱이 하강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후단의 멈춤치에 걸어지게 되어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원 위치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받침부재(5)의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탑승자가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가동수 단(70)이 작동하여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자동이동시켜 준다.
즉, 가동수단(70)이 작동하여 견인부재(60)의 케이블(61)을 당겨주게 되면, 지지공(216)을 관통한 케이블(61)의 전단(61a)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방지구(62)는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를 넘어서 전방으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후단에서 선단까지의 상기 멈춤치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어도 지지공의 하면에 걸어진 상태로 있게 되므로 케이블의 전단은 당겨지지 않게 되는 반면에 튜브(63)의 외단(63a)에 고정된 안내관(64)을 결속하는 안내홈(244)이 상기 지지공보다 상부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은 도 4a에서와 같이 전단에서 안내관을 향해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이 당겨지면 지지공에 걸어진 전단을 기점으로 하여 이동판(24)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작동을 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이동판(24)이 전방으로 밀리면 제1,2 링크(22)(23)가 각각 제1,2 주축(20a)(20b)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므로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멈춤치(213)를 차례로 넘어가서 도 4b에서와 같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에는 케이블의 전단부에 고정된 제동구(60a)가 안내관(64)의 하단에 받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61)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부재(20)는 상기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까지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가 받침부재(5)에 강하게 부딪쳐도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으므로 뒤로 밀리지 않게 되어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전방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게 된다.
이후, 가동수단(70)인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정지하면 작동핀의 하강시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핀이 상승하므로 당겨졌던 케이블(61)이 밀려나가게 되어 도 4c에서와 같이 전단(61a)이 하강하게 된다.
또한, 가동수단(70)이 프레임(3)의 양 수직부(3b)(3b')의 하측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설치한 상기 케이블의 후단부인 경우에는, 충돌(추돌)시 탑승자의 허리와 엉덩이가 등받이(2)의 하측부에 부딪칠 때 상기 케이블의 후단부를 후방으로 밀어주던 힘이 소멸하면 상기 등받이 전면부 하측이 뒤로 밀릴 때 후방으로 휘어졌던 후단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휘어질 때 당겨진 케이블이 밀려나가므로 도 4c에서와 같이 전단(61a)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져 있는 상태를 해제시켜 받침부재(5)의 위치를 후측으로 조절하기 위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도 4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잡아서 전방으로 더 당겨주면, 견인부재(60)의 간섭없이 발톱(41)의 전면부가 전단턱(214)에 받쳐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멈춤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멈춤치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된다.
이후, 당겨주던 받침부재를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즉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가 함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에 다시 걸어져 정지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다시 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a-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케이블(61)의 제동구(60a)가 고정된 전단부의 설치위치를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게 한 것으로서, 안내홈(244)이 형성된 안내편(243)은 제2 링크(23)의 후면판(231)의 상단에 후방으로 부설하고 지지공(216)은 바닥판(211)의 전단부 중간에 형성하여 케이블(61)의 전단(61a)을 상기 지지공을 통해 하부로 노출시켜 단부에 이탈방지구(62)를 고정하여 상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하고, 후단(61b)은 제1 주축(20a)의 전면을 거쳐 상기 후면판의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한 장공(233)을 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후면판의 상단에 부설한 안내홈에 결속한 안내관(64)을 통해 튜브(63)로 피복되어 상기 튜브와 함께 일 수직부(12)를 통과하여 등받이(2)의 내부로 인입시켜 가동수단(7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케이블(61)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견인부재(60)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여 가동수단(70)이 작동하여 견인부재(60)의 케이블(61)을 당겨주면, 지지공(216)을 관통한 케이블(61)의 전단(61a)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방지구(62)는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를 넘어서 전방으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후단에서 선단까지의 상기 멈춤치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어도 지지공의 하면에 걸어진 상태로 있게 되어 케이블의 전단은 당겨지지 않는 반면에 튜브(63)의 외단(63a)에 고정된 안내관(64)을 결속하는 안내홈(244)이 상기 지지공보다 상부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은 도 6a에서와 같이 전단에서 안내관을 향해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이 당겨지면 지지공에 걸어진 전단을 기점으로 하여 제2링크(23)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작동을 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제1,2 링크(22)(23)가 각각 제1,2 주축(20a)(20b)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동판(24)(24')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멈춤치(213)를 차례로 넘어가서 도 6b에서와 같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에는 케이블(61)의 전단부에 고정된 제동구(60a)가 안내관(64)의 하단에 받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61)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부재(20)는 상기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까지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가 받침부재(5)에 강하게 부딪쳐도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으므로 뒤로 밀리지 않게 되어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전방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게 된다.
한편,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져 있는 상태를 해제시켜 받침부재(5)의 위치를 후측으로 조절하기 위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도 6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잡아서 전방으로 더 당겨주면, 발톱(41)의 전면부가 전단턱(214)에 받쳐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멈춤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멈춤치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며, 이때 전환스프링(50)의 탄성이 상기 발톱을 상승시켜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승한 발톱은 임의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당겨주던 받침부재를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즉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가 함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에 다시 걸어져 정지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다시 전방 으로 당겨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8a-c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케이블(61)의 제동구(60a)가 고정된 전단부의 설치방향을 상기 제1,2 실시예와 반대로 되게 한 것이다.
즉, 안내홈(244)은 수직판(212)의 전단 하부 외면에 부설한 지지편(215)에 형성하고 지지공(216)은 이동판(24)의 힌지편(241)의 후단부 상단에 부설한 안내편(243)에 형성하여 케이블(61)의 전단(61a)을 상기 지지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시켜 단부에 이탈방지구(62)를 고정하여 하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하고, 후단(61b)은 상기 지지편에 형성한 안내홈에 결속한 안내관(64)을 통해 튜브(63)로 피복되어 상기 튜브와 함께 일 수직부(12)를 통과하여 등받이(2)의 내부로 인입시켜 가동수단(70)에 결속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케이블(61)은 제1,2 실시예에서의 견인부재(60)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여 가동수단(70)이 작동하여 견인부재(60)의 케이블(61)을 당겨주면, 지지공(216)을 관통한 케이블(61)의 전단(61a)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방지구(62)는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를 넘어서 전방으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후단에서 선단까지의 상기 멈춤치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어도 지지공의 상면에 걸어진 상태로 있게 되어 케이블의 전단은 당겨지지 않는 반면에 튜브(63)의 외단(63a)에 고정된 안내관(64)을 결속하는 안내홈(244)이 상기 지지공보다 하부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은 도 8a에서와 같이 전단에서 안내관을 향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이 당겨지면 안내홈에 걸어진 안내관을 기점으로 하여 이동판(24)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작동을 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이동판(24)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2 링크(22)(23)가 각각 제1,2 주축(20a)(20b)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멈춤치(213)를 차례로 넘어가서 8b에서와 같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에는 케이블(61)의 전단부에 고정된 제동구(60a)가 안내관(64)의 상단에 받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부재(20)는 상기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까지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가 받침부재(5)에 강하게 부딪쳐도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으므로 뒤로 밀리지 않게 되어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전방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게 된다.
한편,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져 있는 상태를 해제시켜 받침부재(5)의 위치를 후측으로 조절하기 위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도 8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잡아서 전방으로 더 당겨주면, 발톱(41)의 전면부가 전단턱(214)에 받쳐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멈춤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멈춤치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며, 이때 전환스프링(50)의 탄성이 상기 발톱을 상승시켜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승한 발톱은 임의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당겨주던 받침부재를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즉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가 함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발톱(41)이 후단의 멈춤치(213)에 다시 걸어져 정지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다시 전방으로 당겨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a-c는 도 9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케이블(61)의 제동구(60a)가 고정된 전단부의 설치위치를 상기 제3 실시예와 다르게 한 것으로서, 안내홈(244)은 바닥판(211)의 전단에 부설한 안내편(243)에 형성하고 케이블(61)의 전단(61a)은 상부축(20d)에 고정하거나 또는 상부측의 후방을 거쳐 제2 링크(23)의 후면판 상단에 후방으로 부설한 지지편(215)의 지지공(216)을 상부로 관통시켜 이탈방지구(62)를 고정하여 하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하고, 후단(61b)은 전면판(221)에 하단이 개방된 장홈(223)을 거쳐 상기 안내홈에 결속한 안내관(64)을 통해 튜브(63)로 피복되어 상기 튜브와 함께 일 수직부(12)를 통과하여 등받이(2)의 내부로 인입시켜 가동수단(7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케이블(61)은 제1-3 실시예에서의 견인부재(60)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가동수단(70)이 작동하여 견인부재(60)의 케이블(61)을 당겨주면, 후면판(231)의 지지공을 관통한 케이블(61)의 전단(61a)에 고정되어 있는 이탈방지구는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를 넘어서 전방으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후단에서 선단까지의 상기 멈춤치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어도 지지공의 상면에 걸어진 상태로 있게 되어 케이블의 전단은 당겨지지 않는 반면에 튜브(63)의 외단(63a)에 고정된 안내관(64)을 결속하는 안내홈(244)이 상기 상부축 또는 지지공보다 하부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은 도 10a에서와 같이 전단에서 안내관을 향해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부축 또는 제2 링크의 상단을 안내홈에 결속된 안내관(64)을 기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당겨주는 작동을 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제2링크(23)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2 링크(22)(23)가 각각 제1,2 주축(20a)(20b)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멈춤치(213)를 차례로 넘어가서 10b에서와 같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에는 케이블(61)의 전단부에 고정된 제동구(60a)가 안내관(64)의 상단에 받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61)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부재(20)는 상기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질 때까지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머리가 받침부재(5)에 강하게 부딪쳐도 발톱이 선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있으므로 뒤로 밀리지 않게 되어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전방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게 된다.
한편,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져 있는 상태를 해제시켜 받침부재(5)의 위치를 후측으로 조절하기 위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도 10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잡아서 전방으로 더 당겨주면, 발톱(41)의 전면부가 전단턱(214)에 받쳐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멈춤부재(4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10c에서와 같이 상기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멈춤치 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며, 이때 전환스프링(50)의 탄성이 상기 발톱을 상승시켜주는 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승한 발톱은 임의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당겨주던 받침부재를 놓아주면 리턴스프링(30)의 탄력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즉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가 함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에 다시 걸어져 정지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다시 전방으로 당겨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서의 가동수단과 다른 가동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2a,b는 도 11에 의한 가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가동수단(70)은, 탑승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에 위치하게 프레임(3)의 수직부(3b)(3b')의 하측에 서로 대응하게 부착한 고정판(71)의 내면에 핀축(72)으로 각각 축 설치하는 가동레버(73)와, 상기 가동레버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가동레버의 전단부 상측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로드(74)와, 하단부를 상기 고정로드에 고정한 가동판(75)과, 상기 각 가동레버의 후측부와 각 고정판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안내편(76)의 전측부에 상·하단을 각각 걸어주어 상기 가동편의 후단부를 상부로 당겨주게 설치하는 코일스프링(77)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가동기구(70a)이다.
이러한 가동기구(70a)의 일 고정판(71)의 상단에 형성한 안내홈에는 튜브(63)의 내단(63b)에 고정한 안내관(64')을 결속하고, 노출된 케이블(61)의 후단(61b)은 가동레버(73)의 후단부에 결속한다.
그리고, 각 고정판(71)의 전단에는 스토퍼(78)를 각각 내측으로 부설하여 코일스프링(77)의 탄성에 의해 각 후단부가 상부로 당겨져서 가동레버(73)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동판(75)의 전면 하부를 받쳐주어 필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하여 상기 가동판이 눕혀지지 않게 함으로써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이 탑승자의 등판이 코일스프링의 탄성보다 큰 힘으로 등받이에 부딪치면 가동판이 즉시 뒤로 밀리게 한다.
이렇게 하면 가동판(75)의 하부가 고정된 고정로드(74)의 양단이 가동레버(73)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레버들은 핀축(72)을 축으로 하여 가동판과 함께 반 시계방향으로 즉시 회전하므로 후단부가 하강하면서 케이블(61)을 당겨줌으로써 전단(61a)이 결속된 이동부재(20)는 발톱(41)이 선단의 멈춤치(213)에 걸어질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받침부재(5)가 최적의 전방위치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게 한다.
이후, 가동판(75)을 뒤로 밀어주던 힘이 소멸하면 후단부가 하강할 때 늘어난 코일스프링(77)의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후단부를 상승시켜 주므로 케이블(61)을 당겨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서의 견인부재의 연결구조와 다른 견인부재의 연결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a-c는 도 13의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과정 및 작동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1-4 실시예에서 견인부재(60)의 전단(61a)은 이동부재(20)에 결속하고 내단(61b)은 가동수단(70)에 직접결속한 것과는 다르게 상기 견 인부재를 제1,2 견인부분(60b)(60b')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견인부분의 케이블(611)의 후단부(61a')와 제2 견인부분의 케이블(611')의 전단부(61b')를 일 슬리브관(4a)에 삽입하는 수직부(12)의 내부에서 별도의 연결관(66)으로 결속하여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즉, 견인부재(60)를 이동부재(20)에 결속하는 전단(61a)으로부터 스테이로드(10)의 일 수직부(12)의 상단측에 형성된 관통공(13)을 통해 내부로 도입되어 그 내부에 위치토록 한 후단부(61a')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1 견인부분(60b)과, 가동수단(70)에 결속하는 후단(61b)으로부터 일 지지관(4)에 결합되는 슬리브관(4a)의 하부에 결합하는 전단부(61b')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2 견인부분(60b')으로 분할구성하고, 상기 제1,2 견인부분의 각 케이블(611)(611')의 후단부와 전단부는 튜브(631)(631')로 부터 노출시켜 각 단부에 결속턱(651)이 형성된 결속팁(65)(65')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 수직부를 각 슬리브관에 결합하면 결속턱을 걸어주는 결속편(661)이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연결관(66)의 상·하단부내로 삽입된 상기 결속팁들이 연결관과 결속됨으로써 상기 제1,2 견인부분이 연결관에 의해 직결되기 때문에 상기 견인부재를 제1,2 견인부분으로 분할 구성하여 헤드레스트와 시트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결합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결속팁(65)(65')과 연결관(66)을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해서는 제1 견인부분(60b)은 일 수직부(12)의 내부에 결합하기 전에 후단부(61a')에 고정한 결속팁(65)을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삽입시켜 결속턱(651)이 상부 결속편(661)에 걸어져 결속되게 한 다음, 케이블(611)의 전단(61a)을 스토퍼(67)의 중앙에 형성된 유통공을 거쳐 하단을 통해 일 수직부(12)에 삽입하여 그 상단측에 형성된 관통공(13)을 거쳐 상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도 일 수직부에 삽입하고 상기 전단은 이동부재(20)에 결속한다.
이렇게 결속한 다음, 이동부재(20)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주면 스토퍼(67)는 그 직경이 일 수직부(12)의 내경과 같고 일 수직부에는 걸이돌기(14)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의 외주연 상면이 걸이돌기에 걸어지므로 제1 견인부분(60b)은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어 제1 견인부분이 일 수직부내에서 하향이동하게 하여도 스토퍼는 그 직경이 수직부의 내경과 같기 때문에 함께 하향하지 않고 그 위치에 결속되어 있게 된다.
또한, 튜브(631')의 전단부에는 지지관(4)의 하단부에 고정하는 결합편(63a')을 형성하여 케이블(611')의 전단부(61b')에 고정된 결속팁(65')을 상기 지지관에 결합한 슬리브관(4a)의 내부에 위치하게 삽입하면, 상기 결합편은 지지관의 하단에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결합편(63a')과 일 지지관(4)은 강제 끼워 맞춤하거나 또는 상기 결합편의 외주면에는 결착홈을 빙둘러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관의 하단에는 결착턱을 빙둘러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결속하면 강한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지 않는 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어 결합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611)(611')을 헤드레스트와 등받이(2)의 내부에 각각 분할하여 설치한 헤드레스트와 등받이를 결합할 때에는, 도 14a에서와 같이 상측에서 스테이로드(10)의 수직부(12)를 지지관(4)에 결합한 슬리브관(4a)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하강시켜 주면 도 14b에서와 같이 결속팁(65)이 상부에 결속되어 있는 연결관(66)의 하부에 결속팁(65')이 삽입되어 결속되기 때문에 견인부재(60)의 제1,2 견인부분(60b)(60b')은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결합시켜 주는 것만으로 서로 직결되어 하나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가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견인부재가 작동하여 받침부재를 전방의 최적의 위치로 즉시 이동시켜 정지되어 있게 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어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므로 모든 자동차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가 시트 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동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c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a-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8a-c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a-c는 도 9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서의 가동수단과 다른 가동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a,b는 도 11에 의한 가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서의 견인부재의 연결구조와 다른 견인부재의 연결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4a-c는 도 13의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과정 및 작동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로드 13 : 관통공
14 : 걸이돌기 20 : 이동부재
21 : 기판 22 : 제1 링크
23 : 제2 링크 24,24' : 이동판
30 : 리턴스프링 40 : 멈춤부재
41 : 발톱 42 : 걸림부
50 : 전환스프링 60 : 견인부재
61 : 케이블 62 : 이탈방지구
60a : 제동구 61a : 전단
61b : 후단 63 : 튜브
64 : 안내관 60b,60b' : 제1,2 견인부분
65 : 결속팁 66 : 연결관
661 : 결속편 67 : 스토퍼
70 : 가동수단 70a : 가동기구
71 : 고정판 73 : 가동레버
74 : 고정로드 75 : 가동판
77 : 코일스프링 213 : 멈춤치
216 : 지지공 223 : 장홈
233 : 장공 244 : 안내홈

Claims (17)

  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하향 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수직부를 가지는 관체로 된 스테이로드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상향 연장되고 일측 상단에 걸림부와 멈춤치가 형성된 양측 수직판을 가지는 기판과;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양측판의 각 하단부가 상기 기판의 양측 수직판의 하단부에 축 결합 설치되는 제1 링크와;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단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양측편의 하단부가 상기 기판의 양측 수직판에 상기 제1 링크와 마주보게 축 결합 설치되는 제2 링크와;
    힌지축과 상부축을 통해 상기 제1링크의 양측 수직판 상단부와 상기 제2링크의 양측편 상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는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의 후단에 절곡 연장되는 결속편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이동판과;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직선 이동된 상기 이동판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과;
    발톱과 걸림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의 걸림부와 멈춤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측 수직판에 축 결합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제1링크와 멈춤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제1링크의 걸림부와 상기 멈춤부재의 발톱이 서로 치합되고 이탈되게 상기 멈춤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전환스프링과;
    전단은 상기 일측 이동판에 고정되고, 후단이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재 가동수단 작동시 상기 이동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판 견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강선 케이블로 되며, 그 전단은 기판의 일 수직판 외면 하부전단에 부설된 결속편에 형성한 지지공을 통해 하부로 노출시켜 상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단부에 이탈방지구를 고정하고, 후단은 일측 이동판의 후면에 부설된 안내편의 안내홈을 거쳐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일 수직부를 거쳐 등받이 내부로 인입시켜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결속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강선 케이블로 되며, 그 전단은 기판의 바닥판 전단부 중간에 형성한 지지공을 통해 하부로 노출시켜 상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단부에 이탈방지구를 고정하고, 후단은 제1 주축의 전면을 거쳐 후면판의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한 장공을 후방으로 관통하여 후면판의 상단에 부설한 안내홈을 거쳐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일 수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등받이 내부로 인입시켜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결속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강선 케이블로 되며, 그 전단은 일측 이동판의 힌지편 후단부 상단에 부설된 안내편의 지지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시켜 하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단부에 이탈방지구를 고정하고, 후단은 기판의 일 수직판 전단 하부 외면에 부설된 결속편에 형성한 안내홈을 거쳐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일 수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등받이 내부로 인입시켜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결속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강선 케이블로 되며, 그 전단은 상부축에 고정하고, 후단은 제1 링크의 전면판에 형성된 장홈과 기판의 바닥판 전단에 형성한 안내홈을 거쳐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일 수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인입시켜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결속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강선 케이블로 되며, 그 전단은 제2 링크의 후면판 상단에 부설된 안내편에 형성한 지지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시켜 이탈방지구를 고정하여 하부로는 이탈하지 않게 하고, 후단은 제1 링크의 전면판에 형성된 장홈과 기판의 바닥판 전단에 형성한 안내홈을 거쳐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일 수직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등받이의 내부로 인입시켜 견인부재 가동수단에 결속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의 케이블은 튜브로 피복되며, 상기 케이블은 피복상태에서 이동에 필요한 길이만큼 전·후단부를 튜브의 외·내단으로부터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부상의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8.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의 케이블은 튜브로 피복되며, 상기 튜브의 외단에는 안내홈에 결속하는 안내관을 고정연결하고, 상기 케이블의 전단부는 상기 안내관을 통해 튜브로부터 노출되게 하며, 상기 이동판이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여 발톱이 후단의 멈춤치에 걸어져 정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후단이 결속된 가동수단의 작동으로 당겨지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이동판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발톱이 전단의 멈춤치에 걸어졌을 때까지 당겨진 케이블에서 안내관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전단부에는 제동구를 고정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 가동수단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충돌감지센서 또는 자동차의 전·후방 해당부위에 설치하는 차간거리 감지센서에 의해 자차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차간거리 및 상대속도 등을 연산하여 충돌이나 추돌사고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 가동수단은, 시트 등받이 프레임의 일 수직부의 하측 위치에 걸쳐주는 케이블의 후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수직부의 하측 위치 고정하는 케이블의 후단에 의해 상기 양 수직부의 하측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케이블의 후단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수직부를 가로지게 설치되는 케이블의 후단부 위치는, 등받이에서 탑승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의 부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 가동수단은, 탑승자의 허리와 엉덩이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에 위치하게 프레임의 양 수직부 하측에 서로 대응하게 각각 부착한 고정판들의 각 내면에 축 설치하는 가동레버들과, 상기 가동레버들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가동레버들의 전단부 상측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로드와, 하단부를 상기 고정로드에 고정한 가동판 및 상기 각 가동레버의 후측부와 각 고정판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안내편의 전측부에 상·하단을 각각 걸어주어 상기 가동레버의 후단부를 상부로 당겨주게 설치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편에 형성한 안내홈에는 튜브의 내단에 고정한 안내관을 결속하고 노출된 케이블의 후단은 안내홈의 직 하방에 위치하는 가동레버의 후단부에 결속하는 가동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판들의 각 전단에는, 각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동레버의 후단부가 상부로 당겨져서 가동판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게 제동하는 스토퍼를 각각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5.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결속하는 전단으로부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도입하여 그 내부에 위치토록 한 후단부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1 견인부분과 가동수단에 결속된 후단으로부터 일 슬리브관에 결합하는 전단부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2 견인부분으로 분할하며, 상기 제1 견인부분의 케이블 후단부와 제2 견인부분의 케이블 전단부는 일 슬리브관에 삽입하는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내부에서 연결관으로 직결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견인부분의 각 케이블의 후단부와 전단부의 각 단부에는 결속턱이 형성된 결속팁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하 내부에는 결속팁들을 삽입하면 각 결속턱을 걸어주는 결속편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1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견인부재는, 상기 이동판에 결속하는 외단으로부터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도입하여 그 내부에 위치토록 한 후단부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1 견인부분과 가동수단에 결속된 후단으로부터 일 슬리브관에 결합하는 전단부까지의 길이로 되는 제2 견인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견인부분의 케이블 후단부와 제2 견인부분의 케이블 전단부는 일 슬리브관에 삽입하는 스테이로드의 일 수직부 내부에서 연결관으로 직결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견인부분의 제1 케이블 후단부와 제2 견인부분의 제2 케이블 전단부의 각 단부에는 결속턱이 형성된 결속팁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하 내부에는 결속팁을 삽입하면 각 결속턱을 걸어주는 결속편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견인부분의 결속팁은 연결관의 상부에 삽입하여 결속턱이 결속편에 걸어져 결속되게 하며, 상기 제1 견인부분의 외단은 스토퍼의 중앙에 형성된 유통공을 거쳐 하단을 통해 일 수직부의 내부로 스토퍼와 함께 삽입하여 스토퍼는 일 수직부에 형성된 걸이돌기에 의해 걸어지게 하고, 외단은 일 수직부 상측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켜 이동판에 결속하여 연결관이 일 수직부의 내부에 위치토록 하며, 상기 제2 견인부분의 전단부는 지지관의 하단에 결합고정하고, 제2 케이블의 전단에 착설된 결속팁은 슬리브관의 내부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20070126302A 2007-12-06 2007-12-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92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02A KR100928715B1 (ko) 2007-12-06 2007-12-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02A KR100928715B1 (ko) 2007-12-06 2007-12-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439A KR20090059439A (ko) 2009-06-11
KR100928715B1 true KR100928715B1 (ko) 2009-11-27

Family

ID=4098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302A KR100928715B1 (ko) 2007-12-06 2007-12-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341A2 (ko) * 2011-03-02 2012-09-07 Nam Hae-Hyun 다기능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825A (ja) 1998-08-07 2000-02-22 Mitsubishi Motors Corp 起倒式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US6217118B1 (en) 1997-06-16 2001-04-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Car seat with displaceable head rest
KR100685143B1 (ko) 2006-09-12 2007-02-22 정병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KR20070061335A (ko) * 2005-12-09 2007-06-13 김태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7118B1 (en) 1997-06-16 2001-04-1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Car seat with displaceable head rest
JP2000052825A (ja) 1998-08-07 2000-02-22 Mitsubishi Motors Corp 起倒式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KR20070061335A (ko) * 2005-12-09 2007-06-13 김태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685143B1 (ko) 2006-09-12 2007-02-22 정병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341A2 (ko) * 2011-03-02 2012-09-07 Nam Hae-Hyun 다기능 헤드레스트
WO2012118341A3 (ko) * 2011-03-02 2012-11-22 Nam Hae-Hyun 다기능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439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790B1 (ko) 길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차량 시트
EP1404544B1 (en) A head-rest arrangement
EP0411842A2 (en)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JP2004518575A (ja) 車両座席用の頭部拘束具
EP2644446B1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JP2006511398A5 (ko)
US20060163919A1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JP2006526535A5 (ko)
KR101071580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H10181394A (ja) 自動車座席のためのスライドウェイと、それを含んだ座席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03118898A (zh) 用于汽车座椅的座椅纵向锁紧装置的去锁装置
JP2004526626A (ja) 原動機付き車両シート
KR10092871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1325765B1 (ko) 충돌에 반응하는 헤드 지지부
KR100792212B1 (ko)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02502336A (ja) シートおよ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車両
JP5184861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用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144870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JP6642275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5095237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EP2106963A1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JP2894833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
KR101010898B1 (ko) 충격반응형 시트장치
EP1800944A2 (en) Active head restraint apparatus for vehicle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