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080B1 -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080B1
KR100792080B1 KR1020010074069A KR20010074069A KR100792080B1 KR 100792080 B1 KR100792080 B1 KR 100792080B1 KR 1020010074069 A KR1020010074069 A KR 1020010074069A KR 20010074069 A KR20010074069 A KR 20010074069A KR 100792080 B1 KR100792080 B1 KR 10079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tch
thickness
tub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447A (ko
Inventor
와이스브로드 밥티스트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ublication of KR2002004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8Mounting, assembl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3/00Gearwork
    • G04B13/02Wheels; Pinions; Spindles; Pivo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9/00Frameworks
    • G04B29/04Connecting or supporting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5/00Adjusting the gear train, e.g. the backlash of the arbors, depth of meshing of the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3)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32, 33, 36)을 가지고, 상기 모듈(32, 33, 36)들이 조립오리피스에 의해 복수개이 장착핀상에 장착되며, 제 1 및 제 2평면(23, 25)들사이에 압축작용에 의해 조립되고, 상당한 정밀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두께(e)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요소(34)가 상기 복수개의 모듈에 포함되는 적재상태의 조립체에 관련되고, 상기 조립체가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위에 각각 계단구조의 튜브(8)라고 명명된 튜브들을 가진 복수개의 중간요소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튜브가 상기 제 1 요소(34)의 조립체오리피스(34a)내에 삽입되고, 각각의 튜브(8)가
-조립체가 지지되고, 상기 제 1요소(34)의 두께(e)보다 크고 정해진 거리(d1)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기준면(81, 82),
-상기 제 1요소(34)가 상기 조립체내에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면(81, 82)들사이의 영역(85)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24)들을 향해 상기 영역(85)의 길이(d2)에 의해 상기 제 1요소의 두께(e)변화가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 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STACKED ASSEMBLY OF A PLURALITY OF MODULES FORMING AN ELECTRONIC OR ELECTROMECHANICAL DEVICE, IN PARTICULAR FOR AN ULTRA-THIN TIMEPIECE}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고 적재상태의 모듈조립체로 구성된 전자기계식 시계의 후방부를 부분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본 시계의 단면도.
도 3은 계단구조의 튜브에 관한 구조를 도시한 도 2에 구성된 조립체의 장착핀 중 B로 도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계의 휠 중 C로 도시된 부분을 확대도시하고,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하는 공차를 도시하며, 상기 공차가 본 발명을 따르는 조립체의 모드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 부호설명
1 ... 시계 3 ... 운동장치
8 ... 튜브 24 ... 장착핀
34 ... 인쇄회로판 32,33,36 ... 모듈
64,74 ... 코아 85 ... 영역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로 구성되고 적재된 조립체에 관련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를 포함한 초박형 시계에 관련된다.
복수개의 기계, 전자 및/또는 전자기계식 모듈로 구성되고 적재된 조립체들이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스택(stack)구조로 , 판과 같이 시계의 운동장치를 형성하는 서로 다른 모듈들을 연결하기 , 특히 시계분야에서 상기 조립체들이 이용되고, 전자모듈은 특히 시계의 여러 가지 전자 및 전기부품들을 가진 인쇄회로판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운동-작업기구를 위한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구동수단을 가진 지지체가 포함된다.
시계분야에서 , 상기 조립체가 구성될 수 있는 방법이 예를 들어, 장착핀들 위에 여러 가지 모듈들을 적재하고 다음에 리벳이음과 같이 즉, 장착핀들의 단부를 소성변형하여 모든 부품들을 서로 고정한다. 모듈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변화되고 특히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적재된 상태의 상기 모듈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에 의하면, 조립체의 수직정밀도가 조립된 여러 가지 모듈들의 정밀도 및 제조공차 특히 조립체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두께에 의존한다. 공차가 작게 정해진 두께를 가진 특정부품들을 제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할지라도, 각각의 조립된 모듈에 대해 상기 정밀도 및 낮은 공차가 보장될 수는 없다. 특히 당업자에 의하면 공차범위를 감소시켜 보장된 두께의 인쇄회로판을 제조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당업자에 의하면 상기 설명과 같이, 적재된 상태의 모듈조립체를 구성하는 시계를 제조하고, 적어도 한 개의 모듈이, 광범위한 두께의 요소를 포함하면, 정밀도가 필수적인 특정적용예에 대한 조립공차 및 충분한 정밀도가 보장되지 못한다.
특히 두께가 주요 요소인 초박형 시계를 제조하기 위하여, 정밀도 및 조립공차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켜야만 하는 시계를 제조할 때, 현재 이용가능한 해결방법에서 충분히 만족스런 해결방법이 제공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의 운동장치와 같이, 전자 및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여러 가지 모듈들로 구성되고 적재된 상태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조립체가 감소된 공차범위내에서 정해진 두께를 가지도록 조립모듈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구성요소의 두께가 가지는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조립공정의 복잡함을 포함하지 않고, 조립장치의 제조비용을 증가시키지 않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가지고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로 구성된 적재상태의 조립체에 관련된다.
상기 조립체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 5 항에 기재된 특징들의 상기 조립체를 포함한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시계에 관련된다.
상기 시계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따라서 특히 상기 시계의 운동장치의 운동- 작업휠 및/또는 중간휠, 제 3 휠과 같이 여러 가지 휠 들에 대해 정해진 공차가 보장될 수 있는 고도의 정밀도가 전체 조립체의 두께에 제공되도록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자기계식 시계를 형성하는 여러 가지 모듈들이 상기 방법에 따라 조립되고, 상기 공차는 운동장치가 적합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필요하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특히 초박형 시계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실시의 단순함에 있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형상의 중간요소가 조립체의 장착핀들상에 장착되고, 상기 중간요소의 외경은 구분단계적으로 변화하고, 계단구조의 튜브라고 설명하며, 상기 중간요소가 조립체와 접촉하는 것이 보장되지 못하는 두께를 가진 조립요소의 조립오리피스내에 상기 튜브가 삽입된다. 계단구조의 상기 튜브는 정해진 거리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기준면들을 가지며 기준면들에 대해 조립체가 지지된다. 상기 요소의 소성변형을 형성하도록 , 두 개의 상기 기준면들 사이에서 중간요소는 관련요소를 통과하는 영역을 가지고, (조립체를 향한 )상기 영역의 길이에 의해 요소의 두께변화가 흡수 도리 수 있도록 상기 길이가 제공된다. 두께가 보장되지 못하는 요소가 가지는 두 개의 면들은 인접한 모듈들을 지지하지 못하며, 조립체의 두께는 상기 요소의 두께에 의존하지 않으며, 상기 튜브의 두 개의 기준면들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자기계식 시계의 모터코일들이 또한 튜브에 의해 고정되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 조립장치의 제조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상당한 정밀도의 수직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주어진 첨부도면들을 참고하여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히 이해된다.
전자기계식 시계(1)를 부분적으로 개략도시한 도1의 평면도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적재구조의 조립체를 구성하고, 매우 작은 두께를 가진다. 이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시계(1)의 후방덮개의 일부분이 생략되어, 시계에 구성된 운동장치의 일부분이 도시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도 1에 도시된 시계의 단면도가 제공되고 도 1의 단면선 A-A'를 따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시계(1)는 특히 플라스틱재료로 구성되고 중간부분(21) 및 단일체로 제조된 후방덮개(22)로 구성된 후방덮개 또는 후방덮개-중간부품(2),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조립체)적재상태이고 여러 가지 모듈들의 조립체로 구성된 운동장치(3), 상기 운동장치(3)위에 배열된 다이알(4), 및 수정(5)을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할 때, 도 2의 단면 중 B로 지정된 확대도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시계는 초박형 전자기계식 시계를 설계하기 위해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었고, 종래기술을 따르는 아날로그 시간표시수단이외에, 크로노미터 시간을 위한 아날로그표시수단을 포함한 시계 및 , 플라스틱재질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원리상 1997년 "Swatch SKIN"(등록상표)라는 상표명으로 최초 시판된 출원인의 제품으로부터 상기 시계가 유래한다. 간행물 1999년 9월 30부터 10월 1일 까지 개최 된 64회 Congres de chronometrie, Societe Suisse de Chronometrie, Le Sentier의 의사록에서 쎄숀 1-프로듀츠 1 커뮤니케이션 1의 11페이지 내지 14페이지에 공개된 M. O. Koch씨의 "Swatch SKIN-La montre plastique ultra-plate"를 참고한다. 보충자료로서 출원인의 유럽특허 제 0 691 596호를 참고할 때, 판으로서 이용되는 금속재 보강 아마츄어를 포함한 플라스틱재질의 손목시계가 공개되고, 상기 손목시계는 상기 제품에 적합하다.
상기 "Swatch SKIN"은 시침 및 분침을 포함한 종래기술의 시간표시수단만을 포함하고 4mm의 두께를 가진다. 비교해 볼 때, 출원인에 의해 최근에 개발된 초박형 전자기계식 시계는 , 종래기술의 아날로그 시간표시수단이외에, 측정된 시간을 위한 세 개의 다른 아날로그 표시수단 즉 , 십분의 일초에 대한 제 1 카운터, 일초에 대한 제 2카운터 및 분에 대한 제 3 카운터를 포함하며, 37. 6mm의 직경에 대해 "Swatch SKIN"의 5.9mm보다 경미하게 큰 두께를 가진다. 상기 시계가 도면들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상기 시계에 구성된 각각의 표시부재들이 종래기술에 따라 (여기서 4개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각각은 로터, 스테이터 및 스테이터상에 장착된 코일로 구성된 라벳(Lavet)_형의 바이폴라 모터(bipolar motor)를 포함한다. 모든 표시부재들 및 구동수단이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므로 도면들에 상세히 도시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상기 요소들중 일부분이 도면들에 분명히 도시된다.
본 발명은 특히 전자식 또는 전자기계식 시계의 운동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로 이루어진 적재상태의 조립체에 적용된다. 도시된 시계는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적용예만을 구성한다. 사실 복잡성 및 엄격한 두께조건들이 주어질 때,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상당한 정밀도의 수직조립체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일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유리하게 적재상태인 여러 가지 모듈들을 정밀하게 수직조립하는 것이 필요한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시계에 적용될 수 있다. 확장하여, 본 발명은 엄격한 두께공차기준을 만족해야하고 적재되며 복수개의 모듈들로 구성된 조립체를 포함한 시계와 상이한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 아날로그시간표시수단을 위한 구동수단의 일부분이 제공되고, 로터(61)(부분적으로 도시됨) 스테이터(62) 및 코아(64)상에 감겨진 코일(63)로 구성된 바이폴라 라벳형 제 1모터(6)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는 스테이터(62)와 접촉한다. 상기 제 1모터가 종래기술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어열에 의해 아날로그표시부재를 구동한다.
또한 세 개의 크로노미터카운터(이 경우, 비제한적으로 크로노미터 분 카운터)들 중 한 개의 아날로그표시부재의 일부분이 도시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 1에만 도시된) 로터(71)스테이터(72) 및 코아(74)위에 감겨진 코일(73)로 구성된 바이폴라 라벳형 제 2모터(7)를 포함하고, 상기 코아(74)는 스테이터(72)와 접촉한다. (도 2의 )카운터 휠의 축(76)을 가진 카운터휠(75) 및 (도 2의 )카운터바늘(77)이 상기 제 2모터(7)의 모터(71)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이 경우 상기 타운터바늘은 측정시간(예를 들어, 분)에관한 크로노미터정보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 다른 두 개의 크로노미터카운터들의 아날로그표시 부재들을 구동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구동수단과 유사한 다른 두 개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이 시계(1)내에 유사하게 배열된다.
h 2 및 도 3을 참고할 때, 상기 설명의 운동장치(3)가 후방덮개(22), 하부판(32), 특히 인쇄회로판(34)내에 포함된 전자모듈(33) 및 모터모듈(36)을 포함하여, 적재된 여러 가지 모듈들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부판은 금속재료로 제조되고, 특히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된 시계의 케이스(2)를 보강하기 위해 이용된다.
전자모듈(33)은 인쇄회로판(34)위에서 시계의 여러 가지 전기 및 전자부품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 수정, 특히 시계의 시간관련기능을 제어하고, 모터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지에 대한 연결을 위한 접촉부재 및 시계의 표시부재들을 위한 구동장치의 코일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코일들 및 코일(63, 73)들을 구동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집적회로를 지지한다.
모터모듈(36)은 모터들의 모터들 및 스테이터들 (예를 들어, 모터(6, 7)의 스테이터(62,72) 및 로터(61,71)와, 운동 및 크로노미터카운터의 여러 가지 휠들 및 피니온들(예를 들어, 카운터휠의 축(76) 및 카운터휠(75)을 지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모터모듈(36)은 상부판(3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위에 아날로그표시부재의 구동수단에 구성된 스테이터들이 도 2에서와 같이 리벳이음된다.
하부판(32), 인쇄회로판(34)을 포함한 전자모듈(33) 및 모터모듈(36)이 복수개이 장착핀(24)들위에 상기 순서로 적재되고, 상기 핀들은 후방덮개(22) 및 케이스(2)와 일체로 구성되고 여러 가지 모듈들내에 배열된 조립체 개구부를 통과한다. 상기 조립체의 개구부들은 각각 a를 부기한 해당 요소의 부호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부호 (34a )는 인쇄회로판(34)의 조립체개구부를 도시한다.
단지 세 개의 장착핀(24)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만, 적합한 개수의 핀들이 시계내에 조립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가지 모듈(32,33, 36)들 및 코아들의 단부들에 배열된 오리피스들을 통과하는 장착핀(24)들이 배열되고, 상기 코아위에 (예를 들어, 코일(63,73)의 코아(64,74)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됨)코일들이 감겨진다. 도면들에 있어서, 코일코아들의 조립체오리피스들이 또한 a를 부기한 해당요소의 부호로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비제한적으로 시계에 구성된 4개의 아날로그표시부재들을 구동하는 4개의 모터코일들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8개의 장착핀들이 제공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여러 가지 요소들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후방덮개(22)로부터 , 하부판(32), 전자모듈(33)의 인쇄회로판(34),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64, 74의 )코일의 코아, 해당 스테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62, 72) 및 모터모듈(36)의 상부판(37), 특히 상기 요소들이 상기 방법으로 조립되어 , 코일코아들이 구동수단의 해당 스테이터들과 접촉한다.
적재된 모듈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리벳연결기술에 의해 장착핀(24)들의 단부(26)들이 소성변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모듈(32, 33, 36)들의 조립체로부터 형성된 운동장치(3)가 후방덮개(22)의 면(23)에 의해 형성되고 단(26)들이 소성변형된 후에 형성된 장착핀(24)들의 돌출측부(25)에 의해 형성 되는 제 1 및 제 2판들 사이의 압축작용에 의해 조립된다.
다른 기구없이도 본 발명의 서두에서와 같이 , 시계(1)의 운동장치(3)를 형성하는 조립체의 수직정밀도가 적재된 여러 가지의 요소들의 제조공차 및 정밀도에 의존한다. 특히 ,조립체의 수직정밀도가 인쇄회로판(34)의 제조공차 및 정밀도에 의존하고, 다른 요소들의 두께는 감소된 공차범위내에서 더욱 용이하게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시계의 운동장치(3)를 형성하는 조립체의 적합한 두께공차를 보장하기 위하여, 계단구조의 튜브라고 공지된 튜브형상의 중간요소(8)들이 두께가 보장되지 않는 요소 즉, 인쇄회로판(34)과 바로 근접한 위치에서 장착핀(24)위에 배열된다. 도 3에 계단구조의 튜브(8)의 구성이 도시된다.
상기 튜브(8)는 특히 제 1 및 제 2기준면(81, 82)들을 가진다. 상기 기준면(81, 82)들은 장착핀(24)들의 방향과 수직이고, 인쇄회로판(34)이 두께보다 크고 정해진 거리(d1)만큼 떨어진다. 하부판(32)위에 놓여지고 코일코아(예를 들어, 코일(63, 73)들의 코아 (64,74)들)위에 놓여지면, 상기 제 1 및 제 2기준면(81, 82)이 조립체를 지지한다.
또한 인쇄회로판(34)를 조립체와 접촉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기준면(81, 82)들사이에 배열된 영역(85)이 상기 튜브(8)에 포함된다. 상기 영역(85)은 인쇄회로판(34)을 소성상태로 침투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착핀(24)위에 조립될 때, 기준면(81, 82)들이 근접한 요소들 , 이 경우 하부판(32) 및 코일코아들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튜브(8)들의 영역(85)이 인쇄회로판(34)을 침투한다. 최종적으로 인쇄회로판(34)의 두께(e)는 운동장치(3)를 형 성하는 조립체의 총 두께에 영향을 주지않는다.
상기 목적을 위해, (장착핀(24)을 향해 )인쇄회로판(34)의 두께변화가 흡수될 수 있고, 인쇄회로판(34)의 최대 확인두께보다 크도록 영역(85)의 길이 (d2)가 필요하다. 도 3의 설명시 상기 튜브(8)의 돌출측부(83) 및 제 2 기준면(82)사이의 거리(d2)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측부(83)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두 개의 기준면(81, 82)들을 분리하는 거리(d1)에 의해 상기 거리(d2)가 형성된다.
전자모듈(33)의 인쇄회로판(34)내에서 두께변화를 흡수하는 영역(85)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진다. 상기 설명과 같이 상기 영역(85)은 부분(86)이 삽입되는 조립체오리피스(34a)의 직경보다 경미하게 큰 부분(86)을 가진다. 유리하게 상기 부분(86)은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인쇄회로판(34)의 조립체오리피스(34a)의 벽들을 침투하기 위한 (별형상의 )반경방향의 돌출부가 상기 부분(86)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인쇄회로판(34)의 표면을 향하는 축방향 돌출부들이 상기 튜브(8)들에 제공된다. 도 3을 참고할 때, 예를 들어, 상기 튜브(8)의 돌출측부(83)위에 상기 축방향 돌출부들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계단구조의 상기 튜브(8)들은 필수적으로 두 가지 기능 즉 (ⅰ) 두께 정밀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요소(여기서 인쇄회로판(34))에서 두께변화를 흡수하는 기능 및 (ⅱ) 그럼에도 조립체내에서 상기 요소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상기 특수경우에서, 구동수단의 코일코아들에 대해 인쇄회로판(34)이 접촉상태를 유지 )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두 가지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는 튜브형상이 이용된다. 상기 튜브는 간단히 해당 요소의 조립체오리피스내에 삽입되어야 하고(ⅰ) 해당요소의 두께보다 크고 정해진 거리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기준면(81, 82)을 가지며 기준면에 대해 조립체가 지지되고, (ⅱ) 상기 기준면들사이에 조립체와 요소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영역(85)을 가지며, 상기 영역(85)의 길이는 요소의 두께변화를 흡수할 정도로 충분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할 때, 코일코아들의 조립체오리피스(도면들에서 오리피스(64a, 74a))등과 함께 작동하는 튜브부분(87)에 의해 상기 튜브들이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자모듈(33)의 인쇄회로판(34)의 코일들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튜브부분(87)이 코일들의 조립체오리피스(예를 들어, 오리피스(74a)들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 및 도 3 의 설명을 따르는 튜브(8)들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이 인쇄회로판(34)위에 장착되고, 시계내부에 조립될 수 있는 반가공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회로판(34)위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튜브(8)들에 의해 모터코일들이 전자모듈(33)의 인쇄회로판(34)내에 장착되고, 다음에 전형적으로 전자모듈(33)의 인쇄회로판(34)상에 구성되는 연결패드에 결합되며 다음에 시계내부에 장착준비된다.
따라서 전자모듈(33)은 인쇄회로판(34) 및 수정 , 집적회로, 전지연결부재들과 같은 여러 가지 부품들 뿐만 아니라 구동수단부품들의 일부분 즉 여러 가지 시계모터의 코일(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코일(63,73))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전자모듈(33)은 청구된 바와 같이 , 적재상태의 조립체를 형성한 다.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의 범위내에서 특정사항들이 설명된다. 도 2 및 도 3의 설명을 참고할 때, 상기 튜브(8)들은 하부판(32)과 접촉하고, 시계의 여러 가지 아날로그표시부재들의 구동수단을 형성하는 모터의 코일들과 접촉한다. 상기 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주의 해야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하부판(32)은 금속재료로 제조된다. 철이 풍부한 금속합금과 같이 자기투과성이 높은 금속재료가 이용될 때, 모터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플럭스에 변화되지 않거나 단지 경미하게 변화도며 모터코일을 통과하는 재료 즉 예를 들어, 황동과 같이 자기투과성이 작은 재료로 상기 튜브들이 제조되고, 상기 재료는 또한 인쇄회로판(34)을 소성상태로 투과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장점을 가진다. 허용할 만한 자기투과성을 가진 다른 재료가 황동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자기투과성이 높은 재료가 이용되면, 모터코일들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플럭스는 하부판(32)내부로 확장형성되기 쉽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투과성이 작은 재료의 하부판(32)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적용예를 형성하는 도면의 시계에 대하여, 인쇄회로판(34)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상기 튜브(8)들을 추가하여 구해지는 정밀한 수직조립체에 의하여, 시계의 운동장치(3)에 대해 정확한 두께가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립체에 의하여, 운동장치(3)의 휠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적합한 공차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확대도(C)를 참고할 때, 카운터휠(75)의 기저부 및 카운터휠의 축(76)이 제공된다. 상기 도면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 카운터휠의 축(76)이 튜브요소(78)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튜브요소가 모터모듈(36)내에 배열된 오리피스(36b)내에 지지되고, 좀더 정확히 상부판(37) 및 스테이터내부에 각각 배열된 오리피스(예를 들어, 스테이터(72)의 오리피스(72b))내에서 지지된다. 카운터휠과 같은 휠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 카운터휠(75) 및 튜브요소(78)사이에 충분한 공차가 존재한다. 상기 공차가 없고 , 상기 모듈들이 조립되어, 하부판(32)에 대해 튜브요소(78)가 카운터휠(75)을 고정하면, 카운터휠(75)이 회전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8)의 기준면들사이의 거리(d1)가 선택되어 (ⅰ)적재된 여러 가지 모듈들의 정밀한 수직조립체가 허용되고, (ⅱ)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카운터휠(75)에 대해 운동장치의 휠들에 대한 공차가 허용된다.
당업자들에게 분명한 여러 가지 수정예 및/또는 개선이 청구범위에서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장착핀들의 단부들을 소성변형 즉 리벳이음기술에 의해 상기 조립체가 조립되더라도 , 두 개의 평면들사이의 압축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나사고정시스템에 의해 여러 가지 적재된 모듈들이 서로 고정되는 다른 동등한 기술을 이용하여 조립체가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조립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리벳이음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Claims (14)

  1.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3)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32, 33, 36)을 가지고, 상기 모듈(32, 33, 36)들이 조립오리피스(32a, 34a, 37a, 72a)에 의해 복수개이 장착핀(24)상에 장착되며, 제 1 및 제 2평면(23, 25)들사이에 압축작용에 의해 조립되고, 상당한 정밀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두께(e)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요소(34)가 상기 복수개의 모듈(32, 33, 36)에 포함되는 적재상태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가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24)위에 각각 계단구조의 튜브(8)라고 명명된 튜브(8)들을 가진 복수개의 중간요소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튜브(8)가 상기 제 1 요소(34)의 조립체오리피스(34a)내에 삽입되고, 각각의 튜브(8)가
    -조립체가 지지되고, 상기 제 1요소(34)의 두께(e)보다 크고 정해진 거리(d)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기준면(81, 82),
    -상기 제 1요소(34)가 상기 조립체내에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면(81, 82)들사이의 영역(85)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24)들을 향해 상기 영역(85)의 길이(d2)에 의해 상기 제 1요소의 두께(e)변화가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요소를 소성변형하도록, 상기 영역(85)이 상기 제 1요소(34)를 침투하고, 삽입되는 조립체오리피스(34a)의 직경보다 경미하게 더 큰 직경의 부분(8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86)이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핀(24)들의 단부(26)들을 소성변형하여 상기 조립체(32, 33, 36)들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시계(1)의 운동장치(3)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32, 33, 36)들로 구성된 적재상태의 조립체 및 케이스(2, 21, 22)를 포함하고, 조립체오리피스(32a, 34a, 37a, 72a)들에 의해 상기 케이스(2, 2,22)내에서 상기 모듈(32, 33, 36)들이 복수개의 장착핀(24)들위에 장착되고, 제 1 및 제 2 평면(23, 25)들사이에서 압축작요에 의해 조립되며, 상당한 정밀도로 두께(e)가 보장되지 못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 1 요소(34)가 포함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가 튜브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24)위에 각각 계단구조의 튜브(8)라고 명명된 튜브(8)들을 가진 복수개의 중간요소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튜브(8)가 상기 제 1 요소(34)의 조립체오리피스(34a)내에 삽입되고, 각각의 튜브(8)가
    -조립체가 지지되고, 상기 제 1요소(34)의 두께(e)보다 크고 정해진 거리(d)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기준면(81, 82),
    -상기 제 1요소(34)가 상기 조립체내에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면(81, 82)들사이의 영역(85)을 가지고, 상기 장착핀(24)들을 향해 상기 영역(85)의 길이(d2)에 의해 상기 제 1요소의 두께(e)변화가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요소를 소성변형하도록, 상기 영역(85)이 상기 제 1요소(34)를 침투하고, 삽입되는 조립체오리피스(34a)의 직경보다 경미하게 더 큰 직경의 부분(8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86)이 원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핀(24)들의 단부(26)들을 소성변형하여 상기 조립체(32, 33, 36)들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9.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1)가 전자기계식 시계이고 , 시계의 운동장치(3)의 휠(75,76)들이 회전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차를 확보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면들사이의 거리(d1)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0.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핀(24)들이 상기 케이스(2)의 후방덮개 (22)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1)가 전자기계식 시계이고, 상기 조립체가 상기 후방덮개(22위에서 하부판(32)의 연속적재구조를 가지며, 전자모듈(33)이 특히 인쇄회로판(34)을 포함하고, 보장되지 않는 두께(e)의 상기 제 1요소를 가지고, 모터모듈(36)이 특히 아날로그표시부재를 구동하는 적어도 한 개의 모터(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판(34) 및 상기 모터(6,7)의 해당 스테이터(62,72)사이에서 상기 모터 (6, 7)의 코일(63,73)이 추가로 상기 장착핀(24)들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튜브(8)에 의해 상기 코일(63, 73)이 상기 전자모듈(33)의 상기 인쇄회로판(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3.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핀(24)이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4.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황동과 같이 자기투과성이 작은 재료에 의해 튜브(8)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20010074069A 2000-11-29 2001-11-27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KR10079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3252000 2000-11-29
CH2325/00 200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47A KR20020042447A (ko) 2002-06-05
KR100792080B1 true KR100792080B1 (ko) 2008-01-04

Family

ID=456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069A KR100792080B1 (ko) 2000-11-29 2001-11-27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6126B2 (ko)
JP (1) JP2002207087A (ko)
KR (1) KR100792080B1 (ko)
CN (1) CN1253763C (ko)
HK (1) HK1047321B (ko)
SG (1) SG102014A1 (ko)
TW (1) TW494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6259B2 (en) * 2003-03-13 2006-07-11 Meshnetworks, Inc. Real-tim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computed location of mobile subscribers in a wireless ad-hoc network using a low speed central processing unit
US7541648B2 (en) * 2005-01-21 2009-06-02 Micron Technology, Inc.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circuit
EP2605087B1 (fr) * 2011-12-13 2017-07-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Ensemble modulaire d'horlogerie à modules fonctionnels
CH707005B1 (fr) * 2012-09-25 2023-02-15 Richemont Int Sa Mouvement de montre-chronographe avec barillet et régulateur à quartz.
US8995238B2 (en) * 2013-03-28 2015-03-31 Rolex S.A. Device for displaying time information
EP2989509B1 (fr) * 2013-04-24 2023-04-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rocede et dispositif d'assemblage d'un mouvement a un boitier de montre
CN103792837B (zh) * 2014-03-10 2016-06-22 福州小神龙表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钟表组件的组合结构
EP4018269B1 (en) 2020-05-28 2022-12-07 Soprod SA Analogue display module for watch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066A (ko) * 1997-08-01 1999-03-05 이해규 다단 경통 어셈블리
KR20040084865A (ko) * 2003-03-25 2004-10-0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초박형 전기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575A (en) * 1977-05-28 1978-12-22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on structure of analog crystal wristwatches
JPS55152487A (en) * 1979-05-16 1980-11-27 Seiko Epson Corp Crystal wrist watch
DE3024702A1 (de) * 1980-06-30 1982-01-28 Kapsch Ag, Wien Elektrische quarzuhr
CH672389B5 (ko) * 1988-05-26 1990-05-31 Ebauchesfabrik Eta Ag
CH680252B5 (ko) 1990-08-21 1993-01-29 Ebauchesfabrik Eta Ag
CH682034B5 (fr) * 1991-10-14 1994-01-14 Eta S.A. Fabriques D'ebauches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module de chronographe adapté sur un module moteur.
US5801124A (en) * 1996-08-30 1998-09-01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Laminated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site conductors
US5987342A (en) * 1996-08-30 1999-11-16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Laminated superconducting ceramic tape
DE69718788D1 (de) * 1997-10-01 2003-03-06 Eta S A Fabriques D Ebauches 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Teils auf einem Gehäuseboden
EP1046967B1 (fr) * 1999-04-22 2007-03-28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rocédé d'assemblage d'un cercle d'encageage dans une boîte de montre et cercle d'encageage satisfaisant à ce procédé
US6765151B2 (en) * 1999-07-23 2004-07-20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Enhanced high temperature coated supercondu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066A (ko) * 1997-08-01 1999-03-05 이해규 다단 경통 어셈블리
KR20040084865A (ko) * 2003-03-25 2004-10-0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초박형 전기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4097A1 (en) 2002-05-30
KR20020042447A (ko) 2002-06-05
HK1047321B (zh) 2006-12-15
US6826126B2 (en) 2004-11-30
CN1356604A (zh) 2002-07-03
CN1253763C (zh) 2006-04-26
TW494284B (en) 2002-07-11
JP2002207087A (ja) 2002-07-26
HK1047321A1 (en) 2003-02-14
SG102014A1 (en)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8619B (zh) 包括独立于表壳中间部件的机芯的镂空表
KR100792080B1 (ko)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KR101373870B1 (ko) 시계 휠을 가진 mems 마이크로모터의 기계적인인터페이싱을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JPS641752B2 (ko)
GB1572513A (en) Quartz crystal controlled analogue timepiece
JP2958651B2 (ja) 時計装置
US4177631A (en) Small-sized quartz crystal wristwatch
JPS59210391A (ja) 電子時計の機械装置
JP3127297B2 (ja) 電子時計装置
EP0298189A2 (en) Quartz analog watch movement with lavet-stepping motor and large energy cell
US5909070A (en) Two-phas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electromechanic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such transducer
EP0238934A2 (en) Stepping motor and frame plate assembly for a wristwatch movement
GB2231979A (en) Timepiece stepping motor
KR20010021364A (ko) 시계 운동장치
JPS6153669B2 (ko)
JPH10170665A (ja) 特に時計式の単相電気機械変換器およびこのような変換器を少なくとも一つ備えた電気機械的装置
JP3685127B2 (ja) 時計
JP7050634B2 (ja) 時計
JPS5825026B2 (ja) 電子時計用モ−タ
US3481137A (en) Electronic timepiece
JPS641673Y2 (ko)
RU2078366C1 (ru) Механизм электронных часов
JPH0114950Y2 (ko)
JP2002148363A (ja) 時 計
JPH03356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