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066A - 다단 경통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단 경통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066A
KR19990015066A KR1019970036954A KR19970036954A KR19990015066A KR 19990015066 A KR19990015066 A KR 19990015066A KR 1019970036954 A KR1019970036954 A KR 1019970036954A KR 19970036954 A KR19970036954 A KR 19970036954A KR 19990015066 A KR19990015066 A KR 1999001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tage
guide
helicoid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부영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3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066A/ko
Publication of KR1999001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바렐 베이스와 바렐 베이스에 설치되고 줌기어군에 연결되는 줌아이들 기어로 이루어지는 고정단과, 바렐 베이스의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렐 베이스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헬리코이드 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바렐과 안쪽면에 하나 이상의 캠홈이 형성되고 헬리코이드 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1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중간1단과, 중간1단의 제1안내바렐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캠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바렐과 캠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중간2단과, 제2안내바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줌링과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프론트 렌즈군이 고정되는 프론트 렌즈 바렐과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리어 렌즈군이 고정되는 리어 렌즈 바렐로 이루어지는 렌즈단을 포함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에 의하면, 최대 확대 촬영의 확대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면서 클로즈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박형 카메라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단 경통 어셈블리
본 발명은 렌즈 경통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축소하는 것에 의하여 초박형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빛을 받아들여 필름에 상을 맺게 하는 장치로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 필름면에 도립상으로 초점을 맺게 하는 렌즈와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필름에 피사체의 상이 선명하게 맺혀지도록 렌즈와 필름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장치와 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필름 이송장치와 필름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셔터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렌즈는 다수의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구성하며, 각 렌즈 사이의 간격과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경통에 삽입 고정된다.
자동 카메라에 있어서는 상기한 경통이 다단으로 구성되고, 줌모터의 회전력을 줌기어군을 통하여 바렐 베이스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로 전달되고 줌아이들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헬리코이드 바렐 등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줌(zoom) 즉 확대와 축소 촬영이 실현된다.
종래의 자동 카메라는 주로 경통이 3단으로 구성되어 텔레(tele) 촬영 상태와 와이드(wide) 촬영 상태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3단 경통으로 이루어진 자동 카메라에 있어서는 최대 확대되는 비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경통 각 단의 길이를 길게 형성해야 하므로 카메라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경통의 길이가 차지하는 두께 때문에 줌길이를 유지하면서 카메라의 두께를 축소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초박형 카메라를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통을 다단 즉 4단 이상으로 구성하여 최대 확대 촬영의 비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초박형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단 경통 어셈블리는 카메라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바렐 베이스(barrel base)와 상기한 바렐 베이스에 설치되고 줌기어(zoom gear)에 연결되는 줌아이들 기어(zoom idle gear)로 이루어지는 고정단과, 상기한 바렐 베이스의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바렐 베이스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헬리코이드 나사(helicoid screw)가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바렐(helicoid barrel)과 안쪽면에 하나 이상의 캠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1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1단과, 상기한 중간1단의 제1안내바렐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캠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바렐(cam barrel)과 상기한 캠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2단과,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줌링(zoom ring)과 상기한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프론트 렌즈(front lenz)군이 고정되는 프론트 렌즈 바렐(front lenz barrel)과 상기한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리어 렌즈(rear lens)군이 고정되는 리어 렌즈 바렐(rear lens barrel)로 이루어지는 렌즈단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과 중간2단의 캠바렐은 텔레상태와 와이드상태로 변경될 때에 회전하면서 앞뒤로 이동하고, 중간1단의 제1안내바렐과 중간2단의 제2안내바렐 및 렌즈단의 줌링은 앞뒤로만 이동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단 경통 어셈블리는 줌모터의 회전력이 줌기어군을 통하여 감속되어 상기한 고정단의 바렐 베이스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에 전달되면 줌아이들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와 상기한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에 형성된 종동기어가 맞물리므로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이 회전하면서 앞쪽 또는 뒤쪽(필름면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이 회전하면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에 결합된 제1안내바렐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헬리코이드 바렐과 함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조립된 중간2단의 캠바렐은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캠홈에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캠바렐에 조립된 중간2단의 제2안내바렐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캠바렐과 함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 결합된 줌링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텔레상태와 와이드상태로 변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로즈상태와 텔레상태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렐 베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바렐 베이스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바렐 베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줌아이들 기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줌아이들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리코이드 바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헬리코이드 바렐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1단 안내바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중간1단 안내바렐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A-A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캠바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캠바렐의 측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캠바렐의 내부 전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2단 안내바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B-B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C-C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줌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줌링의 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렌즈 바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의 일실시예는 카메라 몸체(1)에 결합 고정되는 바렐 베이스(20)와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설치되고 줌기어군에 연결되는 줌아이들 기어(32)로 이루어지는 고정단(2)과,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의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32)와 맞물리는 종동기어(42)와 헬리코이드 나사(43)가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바렐(40)과 안쪽면에 하나 이상의 캠홈(62)이 형성되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1안내바렐(60)로 이루어지는 중간1단(4)과, 상기한 중간1단(4)의 제1안내바렐(60)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 형성된 캠홈(62)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82)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바렐(80)과 상기한 캠바렐(80)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안내바렐(100)로 이루어지는 중간2단(8)과,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줌링(120)과 상기한 줌링(120)의 안쪽에 결합되고 프론트 렌즈군(142)이 고정되는 프론트 렌즈 바렐(140)과 상기한 줌링(120)의 안쪽에 결합되고 리어 렌즈군(152)이 고정되는 리어 렌즈 바렐(150)로 이루어지는 렌즈단(12)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부호 18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다.
상기한 고정단(2)의 줌아이들 기어(32)는 줌아이들축(33)을 통하여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줌아이들축(33)이 삽입되는 축구멍(34)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아이들 기어(35)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네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단(2)의 바렐 베이스(20)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21)와, 상기한 몸체(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에 삽입되는 줌아이들축(33)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는 축지지돌기(22)와, 상기한 중간1단(4)의 헬리코이드 바렐(40)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43)가 결합되고 상기한 몸체(21)의 내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헬리코이드 나사(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렐 베이스(20) 몸체(21)의 내면에는 상기한 중간1단(4)의 헬리코이드 바렐(40)에 형성된 종동기어(4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기어 안내홈(27)이 상기한 헬리코이드 나사(26)와 같은 형상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한 바렐 베이스(20) 몸체(21)의 외주면에는 카메라 몸체(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 및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24)가 더 형성된다.
상기한 축지지돌기(22)에는 상기한 줌아이들축(33)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축구멍(23)이 형성된다.
또 상기한 몸체(21)에는 상기한 한쌍의 축지지돌기(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몸체(21) 일부를 소정의 폭으로 잘라내어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가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삽입된 헬리코이드 바렐(40)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42)와 결합하기 위한 기어 결합 구멍(28)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줌아이들 기어(32)는 아이들 기어(35)의 이부분이 상기한 바렐 베이스(20) 몸체(21)의 안쪽면보다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에 형성된 종동기어(42)와 결합되어 회전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는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180°간격을 두고 2개를 설치하는 것이 구동하기 위한 힘이 분산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줌아이들축(33) 한쪽 끝부분(36)의 지름을 크게 형성하고(도 7 참조), 상기한 줌아이들축(33)의 한쪽 끝부분(36)이 조립되는 상기한 축지지돌기(22)의 축구멍(23)을 이에 맞게 형성하여 조립할 때에 줌아이들축(33)이 반대쪽으로 밀려 나가지 않고 일정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32)에 형성하는 축구멍(34) 및 줌아이들축(33)은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조립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한 중간1단(4)의 헬리코이드 바렐(40)은 도 8∼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41)와, 상기한 몸체(41)의 외주면 한쪽 끝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종동기어(42) 및 헬리코이드 나사(43)와, 상기한 몸체(41)의 안쪽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중간2단(8)의 캠바렐(80)에 형성된 돌기(82)의 끝부분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돌기 안내홈(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 몸체(41)의 외주면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종동기어(42)는 상기한 고정단(2)의 바렐 베이스(20)에 설치되는 줌아이들 기어(32)가 각각 차례로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종동기어(42)의 이는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 몸체(4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접선과 평행하게 형성한다.
또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몸체(41)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상기한 종동기어(42)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한 헬리코이드 나사(43)와 같은 나선형상으로 복수의 부분 예를 들면 4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의 몸체(21) 내면에 형성되는 기어 안내홈(27)을 4부분으로 분할된 종동기어(42)가 각각 삽입되도록 4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이 상기한 바렐 베이스(2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전진 및 후진할 때에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 몸체(41)의 다른쪽 끝부분 즉 상기한 종동기어(42)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내주면과 제1안내바렐(6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돌기(45)가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차광돌기(45)는 상기한 몸체(4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중간1단(4)의 제1안내바렐(60)은 도 10∼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61)와, 상기한 몸체(61)의 한쪽 끝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63)와, 상기한 중간2단(8)의 캠바렐(80)에 형성된 돌기(82)가 관통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한 몸체(61)의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홈(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의 몸체(61) 외주면에는 상기한 플랜지(63)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돌기(64)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몸체(41) 한쪽 끝부분 즉 외주면에 종동기어(42)가 형성된 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 형성된 고정돌기(64)가 삽입되는 삽입홈(47)이 형성되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몸체(41) 내면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 형성된 고정돌기(64)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고정돌기(64)의 높이보다 깊게 원둘레를 따라 고정홈(46)이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홈(47)과 고정홈(46)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는 삽입되는 상기한 중간2단(8)의 캠바렐(80)과 제2안내바렐(100) 및 상기한 렌즈단(12)의 리어 렌즈 바렐(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70)이 결합된다.
상기한 이탈 방지판(70)은 도 12∼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몸체(71)와,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한 몸체(71)의 중앙에 형성되는 광통과구멍(72)과, 상기한 몸체(71)의 한쪽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막대(74)와, 상기한 고정막대(74)의 끝부분이 바깥쪽으로 굽혀져서 형성되는 고정돌기(7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의 몸체(61)에는 상기한 이탈 방지판(70)의 고정돌기(75)가 각각 삽입되는 고정홈(67)이 형성된다. 또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의 몸체(61) 한쪽 끝면 즉 플랜지(63)가 형성된 끝면에는 상기한 이탈 방지판(70)의 몸체(71)가 삽입되는 삽입홈(68)이 형성된다.
상기한 중간2단(8)의 캠바렐(80)은 도 14∼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81)와, 상기한 몸체(81)의 한쪽 끝부분에 인접하여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 형성되는 돌기(82)와,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의 내주면과 캠바렐(80)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81)의 다른쪽 끝부분에 원주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차광돌기(8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중간2단(8)의 제2안내바렐(100)은 도 17∼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101)와, 상기한 몸체(101)의 한쪽 끝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103)와,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이 상기한 캠바렐(8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101)의 외주면에 상기한 플랜지(103)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돌기(1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중간2단(8)의 캠바렐(80) 몸체(81) 한쪽 끝부분 즉 외주면에 돌기(82)가 형성된 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에 형성된 고정돌기(104)가 삽입되는 삽입홈(87)이 형성되고, 상기한 캠바렐(80)의 몸체(41) 내면에는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에 형성된 고정돌기(104)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고정돌기(104)의 높이보다 깊게 원둘레를 따라 고정홈(86)이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홈(87)과 고정홈(86)은 서로 연통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에는 삽입되는 상기한 렌즈단(12)의 줌링(120)과 리어 렌즈 바렐(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110)이 결합된다.
상기한 이탈 방지판(70)은 도 19∼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몸체(111)와, 상기한 몸체(111)의 중앙에 형성되는 광통과구멍(112)과, 상기한 몸체(111)의 한쪽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막대(114)와, 상기한 고정막대(114)의 끝부분이 바깥쪽으로 굽혀져서 형성되는 고정돌기(11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의 몸체(101)에는 상기한 이탈 방지판(110)의 고정돌기(115)가 각각 삽입되는 고정홈(107)이 형성된다. 또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의 몸체(101) 한쪽 끝면 즉 플랜지(103)가 형성된 끝면에는 상기한 이탈 방지판(110)의 몸체(111)가 삽입되는 삽입홈(108)이 형성된다.
상기한 렌즈단(12)의 줌링(120)은 도 21∼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121)와, 상기한 몸체(121)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122)와, 상기한 프론트 렌즈군(142)과 리어 렌즈군(152)의 조립 위치를 구분하여 유지하고 상기한 몸체(121)의 내면에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칸막이(12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렌즈단(12)의 리어 렌즈 바렐(150) 외주면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154)를 설치하고, 상기한 리어 렌즈 바렐(150)의 내면에는 복수의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리어 렌즈군(152)이 조립되는 렌즈 삽입면(1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줌링(120)에는 프론트 패널(160)과 상기한 프론트 렌즈 바렐(140)을 고정하기 위한 프론트링(170)이 더 조립된다.
도 24에는 상기한 프론트 패널(16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5에는 상기한 프론트링(17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한 중간2단(8)의 제2안내바렐(100)에는 상기한 줌링(120)의 안내돌기(122)가 삽입되는 안내홈(10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리어 렌즈 바렐(150)에 설치된 안내돌기(154)가 삽입되는 안내홈(10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단(2)과 중간1단(4) 및 중간2단(8)과 렌즈단(12)의 4단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간1단(4)과 중간2단(8)을 복수로 사용하여 4단 이상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자가 텔레모드를 선택하면 텔레신호를 받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줌모터가 회전하고 줌모터의 회전력이 줌감속 기어군을 통하여 상기한 고정단(2)의 줌아이들 기어(32)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줌아이들 기어(32)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줌아이들 기어(32)가 카메라 앞쪽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줌아이들 기어(32)와 맞물리는 종동기어(42)가 형성된 상기한 중간1단(4)의 헬리코이드 바렐(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쪽(필름면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1단(4)의 헬리코이드 바렐(40)이 시계반대향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에 결합된 제1안내바렐(60)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헬리코이드 바렐(40)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 조립된 중간2단(8)의 캠바렐(80)은 상기한 제1안내바렐(60)에 형성된 캠홈(62)을 관통하여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안내홈(44)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82)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캠바렐(80)에 조립된 중간2단(8)의 제2안내바렐(100)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캠바렐(80)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제2안내바렐(100)에 결합된 줌링(120)의 안내돌기(122)가 제2안내바렐(100)에 형성된 안내홈(105)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앞쪽으로 이동하여 텔레상태로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촬영자가 와이드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하여 와이드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경통 어셈블리에 의하면, 최대 확대 촬영의 확대 비율을 크게 증가시키면서 클로즈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박형 카메라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17)

  1. 카메라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바렐 베이스와 상기한 바렐 베이스에 설치되고 줌기어군에 연결되는 줌아이들 기어로 이루어지는 고정단과, 상기한 바렐 베이스의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바렐 베이스에 설치된 줌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헬리코이드 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바렐과 안쪽면에 하나 이상의 캠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1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중간1단과, 상기한 중간1단의 제1안내바렐 안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캠홈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바렐과 상기한 캠바렐의 안쪽에 결합되는 제2안내바렐로 이루어지는 중간2단과,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줌링과 상기한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프론트 렌즈군이 고정되는 프론트 렌즈 바렐과 상기한 줌링의 안쪽에 결합되고 리어 렌즈군이 고정되는 리어 렌즈 바렐로 이루어지는 렌즈단을 포함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단의 바렐 베이스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는 축지지돌기와, 상기한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가 결합되고 상기한 몸체의 내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헬리코이드 나사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렐 베이스 몸체의 내면에는 상기한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에 형성된 종동기어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기어 안내홈이 상기한 헬리코이드 나사와 같은 형상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줌아이들 기어는 상기한 바렐 베이스에 180°간격을 두고 2개를 설치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1단의 헬리코이드 바렐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외주면 한쪽 끝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종동기어 및 헬리코이드 나사와, 상기한 몸체의 안쪽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중간2단의 캠바렐에 형성된 돌기의 끝부분이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돌기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 몸체의 상기한 종동기어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의 내주면과 제1안내바렐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돌기가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1단의 제1안내바렐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한 중간2단의 캠바렐에 형성된 돌기가 관통하여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한 몸체의 원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캠홈으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안내바렐의 몸체 외주면에는 상기한 플랜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한 제1안내바렐이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의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헬리코이드 바렐의 내면에는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고정돌기의 높이보다 깊게 원둘레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안내바렐에는 삽입되는 상기한 중간2단의 캠바렐과 제2안내바렐 및 상기한 렌즈단의 리어 렌즈 바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이 결합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2단의 캠바렐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인접하여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한 제1안내바렐의 내주면과 캠바렐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의 다른쪽 끝부분에 원주를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차광돌기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2단의 제2안내바렐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원주를 따라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한 제2안내바렐이 상기한 캠바렐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한 플랜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2단의 캠바렐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캠바렐의 내면에는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고정돌기의 높이보다 깊게 원둘레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안내바렐에는 삽입되는 상기한 렌즈단의 줌링과 리어 렌즈 바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이 결합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렌즈단의 줌링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와, 상기한 프론트 렌즈군과 리어 렌즈군의 조립 위치를 구분하여 유지하고 상기한 몸체의 내면에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2단의 제2안내바렐에는 상기한 줌링의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리어 렌즈 바렐에 설치된 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줌링에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한 프론트 렌즈 바렐을 고정하기 위한 프론트링이 더 조립되는 다단 경통 어셈블리.
KR1019970036954A 1997-08-01 1997-08-01 다단 경통 어셈블리 KR19990015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954A KR19990015066A (ko) 1997-08-01 1997-08-01 다단 경통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954A KR19990015066A (ko) 1997-08-01 1997-08-01 다단 경통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66A true KR19990015066A (ko) 1999-03-05

Family

ID=6600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954A KR19990015066A (ko) 1997-08-01 1997-08-01 다단 경통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0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615B1 (ko) * 1999-10-02 2001-10-29 이중구 두개의 헬리코이드부가 형성된 링과 캠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가지는 줌 카메라에 사용되는 줌 렌즈 베럴구조
KR100714551B1 (ko) * 2005-10-26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바렐 이송장치
KR100792080B1 (ko) * 2000-11-29 2008-01-04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615B1 (ko) * 1999-10-02 2001-10-29 이중구 두개의 헬리코이드부가 형성된 링과 캠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가지는 줌 카메라에 사용되는 줌 렌즈 베럴구조
KR100792080B1 (ko) * 2000-11-29 2008-01-04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전자 또는 전자기계식 장치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모듈들특히 초박형 시계를 위한 적재상태의 조립체
KR100714551B1 (ko) * 2005-10-26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바렐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190A (en) Zoom lens barrel
US6522482B2 (en) Zoom lens barrel assembly
JP3435580B2 (ja) ズームレンズ鏡胴及びカメラ
US8004774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EP0704736B1 (en) A camera having a zoom lens barrel
US7229223B2 (en) Rotation transfer mechanism and a zoom camera incorporating the rotation transfer mechanism
US5687029A (en) Lens barrel having collapsing and extending use grooves
KR100378482B1 (ko) 줌 카메라의 경통 조립체
US5815744A (en) Driv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c lens
US6747809B2 (en) Lens barrel
JP3586315B2 (ja) レンズ鏡筒
US6989944B2 (en) Camera
US6115189A (en) Multi-stage extension type zoom lens barrel
KR19990015066A (ko) 다단 경통 어셈블리
US5510936A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position
US20020135889A1 (en) Lens barrel
JP4267129B2 (ja) カメラ
US4389098A (en) Zoom lens barrel
US6753911B1 (en) Zooming lens barrel and a camera in use therewith
US5764937A (en) Drive mechanism for collapsing a lens barrel into the body of a camera
JP2004184599A (ja) レンズ鏡胴
US6335834B1 (en) Barrel having cam groove and helicoid
US5727237A (en) Driv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c lens in a variable-focus photographic camera
US5768636A (en) Variable-focus photographic camera
KR200343238Y1 (ko) 렌즈배럴의내면반사광을차단하기위한장치를갖춘줌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