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801B1 -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 - Google Patents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801B1
KR100791801B1 KR1020057000616A KR20057000616A KR100791801B1 KR 100791801 B1 KR100791801 B1 KR 100791801B1 KR 1020057000616 A KR1020057000616 A KR 1020057000616A KR 20057000616 A KR20057000616 A KR 20057000616A KR 100791801 B1 KR100791801 B1 KR 10079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urface densified
moulding
delete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966A (ko
Inventor
랑우베
게둘디히롤란트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2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29C44/563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with the addi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밀화된 표면을 갖는 로하셀(ROHACELL)R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식 적층 공정에 있어서, 적층되는 동안 도포되어야 하는 접착제가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수지 흡수율이 감소되며, 로하셀R 발포체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로하셀R 발포체가 제거 가능한 코어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로하셀 발포체, 치밀화된 표면, 습식 적층 공정, 접착제, 제거 가능한 코어.

Description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A process for producing a surface-compacted foam, a surface-compacted foam moulding obtained by the process and applications obtained by using the moulding}
본 발명은 표면이 치밀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표면이 치밀한 발포체 및 본 발명의 발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 19 925 787은 로하셀(ROHACELLR)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를 외부층에 적층시킴으로써 라우드스피커용 멤브레인(loudspeaker membrane)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외부층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당해 적층 공정은 1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0.4MPa 미만의 압력에서 프레스에서 수행된다. 적층에 의해 도포되는 외부층을 제외한, 합성 중합체 발포체 성형물 단독의 기계적 특성은 자명하므로 언급할 필요가 없다.
DE 2 147 528은 기포상 단면과 일체식 응집성 표면을 갖는 성형물을 기술하며, 당해 성형물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비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제조된 유액 중합체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여 제조한다. 당해 응집성 표면은 장식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DE 2 229 465는 일체식 투명 윈도우를 갖는 기포상 성형물을 기술한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제조된 유액 중합체는 적합한 금형에 충전되어 2개의 가열된 성형판 사이에서 프레싱됨으로써 성형되어 투명한 중합체를 목적하는 위치에서 제공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광택이 높은 매끄러운 표면이 수득된다.
EP 272 359는, 제조될 성형체에 상응하는 밀폐 금형 속으로 PVC 또는 PU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코어가 적층 및 설치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당해 발포체의 팽창압은 발포체와 적층물간의 복합체를 생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발명의 목적
로하셀R로부터 제조된 합성 중합체 발포체가 공지되어 있으며,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Rohm GmbH & Co. KG)에 의해 시판 중이다. 이들은 로하셀R로부터 제조된 코어와 외부층으로부터 부품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된 외부층은 최종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가공 파라미터(예: 압력 및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안정한 임의의 공지된 유형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하거나 금속(예: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호일을 포함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또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매트 또는 웹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외부층은 또한 다층 구조물을 갖는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경화성 합성 중합체로 예비함침된 웹, 주로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매트 또는 유리 필라멘트 직물로서, 고온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공되어 성형물 또는 반가공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은 GMT 및 SMC로서 공지된 재료를 포함한다. VARI(진공 보조된 수지 주입), RTM(수지 이송 성형), VARTM(진공 보조된 수지 이송 성형), RLI(수지 액체 주입), SCRIMP(시맨(Seemann)의 복합 수지 주입 성형 공정), DPRTM(차압 수지 이송 성형) 또는 SLI(단일 라인 주입)와 같은 모든 습식 적층 공정 및 습식 주입 공정에 있어서, 액상 수지는 발포체의 표면을 습윤시키고 발포체의 공극 표면 속으로 침투하며, 그 결과 수지가 손실되고 중량이 추가된다.
탄소 섬유로 강화된 합성 중합체가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외부층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외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mm,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mm의 범위이다.
또한, 접착제가 사용되어 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포될 접착제의 양이 문제가 된다. 통상적인 도포시, 접착제의 양은 결합 표면 1m2당 약 500g이다. 이는, 중량이 중요한 용도에 있어서, 접착제의 일부가 발포체의 공극 속으로 침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없게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 이전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량 나이프로 도포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접착제 도포 전에 발포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추가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접착력에 대해 수지 흡수율이 감소되거나 발포체 코어가 제거 가능한 성형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수지 흡수율을 감소시키는 합성 중합체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된 발포체는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발포체로 구성된다.
용어 (메트)아크릴계 물질은 메타크릴계 물질, 아크릴계 물질 및 이들 두 가지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멤브레인의 코어층에 대한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발포체는 다음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반복단위를 함유한다.
Figure 112005001813068-pct00001
위의 화학식 1에서,
R1 및 R2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또는 메틸 그룹이고,
R3은 수소이거나 탄소수 20 이하의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화학식 1의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발포체의 3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경질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영국 특허 제1 078 425호 및 제1 045 229호, 독일 특허 제1 817 156호(= 미국 특허 제3,627,711호) 또는 독일 특허 제27 26 259호(= 미국 특허 제4,139,685호)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1의 단위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의 인접 단위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인접 단위로부터 150 내지 250℃로의 가열시의 폐환화 이성체화 반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참조: DE-C 18 17 156, DE-C 27 26 259, EP-B 146 892]. 전구체는 통상 저온(예: 30 내지 60℃)에서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단량체를 중합시키고, 후속적으로 60 내지 120℃에서 가열시킨 다음, 존재하는 발포제에 의해 약 180 내지 250℃로 가열시킴으로써 형성된다[참조: EP-B 356 714].
이것이 달성되는 한 가지 방법은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을,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3:2의 몰 비로 함유하는 공중합체 를 우선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공중합체는 또한 기타 공단량체, 예를 들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특히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과의 에스테르, 스티렌, 말레산 또는 이의 무수물, 이타콘산 또는 이의 무수물, 비닐피롤리돈,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폐환화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공단량체의 비율은 30중량%, 특히 1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역시 공지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단량체는 소량의 가교결합제, 예를 들면,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다가 금속염, 예를 들면, 마그네슘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정량적인 비율은, 예를 들면, 0.005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당해 전구체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난연제, 윤활제, 염료, 유동성 개선제, 충전제, 경질 안정제 및 유기 인 화합물(예: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안료, 내후성 안정화제 및 가소제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는 데 있어서 통상적인 것이며, 예를 들면, 아조 화합물(예: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과산화물(예: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또는 기타 과산화물 화합물(예: 3급-부틸 퍼옥타노에이트 또는 퍼케탈) 등과, 필요한 경우, 산화환원 개시제이다[참조: H. Rauch-Puntigam, Th. Volker, Acryl- und Methacrylverbindungen [Acrylic and methacrylic compounds], Springer, Heidelberg, 1967; 또는 Kirk-Othmer, Encyclopaedia of Chemical Technology, Vol.1, pp.286 et seq., John Wiley & Sons, New York, 1978]. 중합 개시제의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양은, 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3중량%이다. 또한, 분해 시간과 분해 온도가 상이한 중합 개시제를 혼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매우 적합한 방법의 예는 3급-부틸 퍼피발레이트, 3급-부틸 퍼벤조에이트 및 3급-부틸 2-에틸퍼헥사노에이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드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로 전환되는 동안 공중합체를 발포시키기 위해, 분해 또는 증기화를 통해 150 내지 250℃에서 기체 상을 형성하는 발포제를 공지된 방법으로 사용한다. 아미드 구조를 갖는 발포제, 예를 들면, 우레아, 모노메틸우레아 또는 N,N'-디메틸우레아, 포름아미드 또는 모노메틸포름아미드가 분해하여 암모니아 또는 아민을 방출하며, 이는 이미드 그룹의 추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포름산, 물 또는 탄소수 3 내지 8의 1가 지방족 알콜(예: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과 같은 질소 비함유 발포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 혼합물에서 사용되는 발포제의 통상적인 양은, 사용된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8중량%이다.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는, 예를 들면, 다음 단계들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1. 하나 이상의 개시제와, 필요한 경우,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의 존재하에, 예를 들면,
메타크릴로니트릴 40 내지 60중량% 및 메타크릴산 60 내지 40중량%와, 필요한 경우, 메타크릴산과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 이하의, 비닐 불포화도를 갖는 기타 1관능성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단량체 혼합물(a),
포름아미드 또는 모노메틸포름아미드와 분자 중의 탄소수가 3 내지 8인 1가 지방족 알콜로부터 제조된 발포제 혼합물(b) 0.5 내지 8중량%, 및
비닐 불포화도를 갖고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지며 자유 라디칼 중합 가능한 화합물(c.1) 0.005 내지 5중량% 및 단량체 혼합물에 분산된 산화마그네슘(c.2) 1 내지 5중량%로 구성된 가교결합제 시스템(c)으로 구성된 것들을 자유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중합체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2. 수득된 중합체 시트를 200 내지 260℃의 온도에서 발포시켜 폴리메타크릴이미드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3. 100 내지 130℃에서 2 내지 6시간 동안 첫번째로 열처리하고, 180 내지 220℃에서 32 내지 64시간 동안 두번째로 열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2단계 열처리 단계.
또한, 내열성이 높은 폴리메타크릴이미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공중합체를, 역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1급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 유사 이미드화에 대한 매우 다양한 예에 대해서는 US 4 246 374, EP 216 505 A2 및 EP 860 821이 언급될 수 있다. 고내열성은 아릴아민을 사용(JP 05222119 A2)하거나 특정한 공단량체를 사용(EP 561 230 A2, EP 577 002 A1)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반응 생성물 전부가 발포하는 것이 아니라, 발포체가 수득되어야 하는 경우, 별도의 제2 단계에서 고체 중합체가 발포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기술은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경질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발포체가 또한 시판 중이며, 예를 들면, 룀 게엠베하로부터의 로하셀R이 다양한 밀도와 치수로 공급될 수 있다.
치밀화되기 전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발포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kg/m3,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kg/m3의 범위이다.
치밀화되기 전, 발포체의 두께는 1 내지 1,000mm, 특히 5 내지 500mm,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m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대상에서, 발포체의 표면은 프레스에서 압력과 열을 인가함으로써 치밀화될 수 있다.
고온 프레스 성형 공정으로서 공지된 방법은 당해 목적에 맞게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공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또한 트윈벨트 프레스 성형, SMC 프레스 성형 및 GMT 프레스 성형과 같은 특정 양태를 포함한다. 프레스 성형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스톱(stop)으로서 공지된 스페이서를 사용한다. 이는 코어 층을 목적하는 정도로 치밀화시키도록 설정하기 용이하게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을 받으려는 의도는 없다.
프레스 내부에서 발휘되는 압력은 발포체의 정적 압축 강도의 약 30%이다. 이들 데이타는 적절한 로하셀R 용도에 따른 데이타 시트에 접근 가능하다.
프레스의 온도는 180 내지 240℃이다. 표면 치밀도는 가열 과정의 기간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합성 중합체 발포체의 가장자리 영역이 가열되는 경우, 얇은 치밀화 영역이 수득된다.
- 전체 합성 중합체 발포체가 가열되는 경우, 전체 치밀화가 수득된다.
각각의 경우, 매끄러운 표면이 수득된다.
도포되어야 하는 접착제 수지의 양은 약 500g/m2 내지 50g/m2 미만의 범위이다.
수지 흡수율은, 합성 중합체 발포체의 표면을 치밀화시키는 데 있어서 프레스 내부에서 발휘되는 압력과 이로 인해 생성되는 편차를 변경시킴으로써 광범위하게, 예를 들면, 300 내지 100g/m2의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치밀화되지 않은 발포체에 비해, 본 발명의 발포체는 중량은 낮으면서 경도는 보다 높다. 또한, 내충격성도 개선되는데, 이는 DIN 5342에 따라 측정된 표면 압축 강도가 치밀화되지 않은 발포체에 비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발포체가 섬유 복합체 부재에서 제거 가능한 코어로서 최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이전에는, 발포체 표면의 공극 구조가 코어를 제거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하여, 원위치에 그대로 남겨졌다. 본 발명에 이르러, 본 발명의 발포체 는 가공된 적층 부재의 내부로부터 코어가 제거되도록 한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프레스 내의 로하셀R의 표면 치밀화
1. 가열 프레스(발포 온도에 근접한 온도)
2. 저온 발포체 삽입
3. 접촉 압력이 생성되도록 프레스 밀폐(압력 0으로부터 로하셀R의 경우 이상적으로 약 30%의 압축 강도를 위해 저온 치밀화를 생성시키는 압력으로 승압)
4. 가열된 표면은, 압력을 추가로 조절하고 힘이 제어되는 프레스의 추가 밀폐에 의해 치밀화된다. 저온 내부 영역은 치수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치밀화되지는 않는다.
5. 바람직한 최종 두께(성형도)는 삽입된 스톱에 의해 설정된다.
6. 일단 최종 두께가 달성되면, 프레스 및 로하셀R이 냉각된다. 본원에서, 로하셀R은 회수된 후 치수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 2
프레스에서의 추가 팽창을 통한 로하셀R의 표면 치밀도
1. 로하셀R 및 스톱을 저온 또는 고온(발포 온도보다 높은 온도) 프레스에서 삽입하며, 이들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다. 압력은, 로하셀R이 추가로 발포됨에 따라 로하셀R의 대압력이 프레스를 개방시키지 않거나 스톱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2. 공정이 초기에 저온인 프레스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프레스는 상기 가열 온도로 가열되어야 한다.
3. 일단 목적하는 표면 치밀화가 추가의 팽창을 통해 달성되면, 당해 프레스는 밀폐되면서 냉각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로하셀R 은 회수된 후에도 치수적으로 안정하다는 점이 중요하다.
실시예 3
성형물에서 추가의 팽창을 통한 로하셀R의 표면 치밀화
1. 로하셀R을 저온 또는 고온(발포 온도보다 높은 온도) 금형 속으로 삽입하며, 이때 두께는 금형 공동과 거의 동일하다.
2. 금형을 밀폐하고, 저온 금형이 사용되는 경우, 금형을 발포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다.
3. 일단 목적하는 표면 치밀화가 추가의 팽창을 통해 달성되면, 당해 금형은 밀폐되면서 냉각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로하셀R 은 회수된 후에도 치수적으로 안정하다는 점이 중요하다.
실시예 4
로하셀R의 연속식 표면 치밀화
1. 적합한 가열수단(가열판, 방사선 공급원, 전자파, 열풍, 고온 롤러 등)을 사용하여 로하셀R을 연속식으로 가열(발포 온도에 근접한 온도)한다.
2. 다운스트림에서, 로하셀R은 표면 가압(저온 롤 및 롤러 등)을 통해 표면 치밀화된다. 동시에 또는 다운스트림에서, 로하셀R을 치수 안정성이 달성되기에 충분하게 냉각시켜야 한다.

Claims (16)

  1.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발포체로 구성된 시판 중인 균질 합성 중합체 발포체 성형물을 180 내지 240℃의 온도로 가열하고 발포체의 정적 압축강도의 30%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를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200 내지 240℃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180 내지 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압 동안의 압력이 0.1 내지 16MPa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가압 동안의 압력이 0.1 내지 1MPa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가압 동안의 압력이 1 내지 7MPa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8. 수지 흡수율이 500g/m2 미만이고, DIN 5342에 따라 측정한 표면 압축 강도가 0.4MPa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샌드위치 구조물에서 제거 가능한 코어로서 사용되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10. 삭제
  11. 제8항에 따르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지상, 공기 중 또는 우주에서 사용하기 위한 운송 수단.
  12. 삭제
  13. 제8항에 따르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지상, 공기 중 또는 우주에서 사용하기 위한 운송 수단의 부품.
  14. 제8항에 따르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공학에서의 샌드위치형 구조물.
  15. 제8항에 따르는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장비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의 샌드위치형 구조물.
  16. 삭제
KR1020057000616A 2002-07-12 2003-06-12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 KR100791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1830A DE10231830A1 (de) 2002-07-12 2002-07-12 Schaumstoff mit verdichteter Oberfläche
DE10231830.1 2002-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66A KR20050025966A (ko) 2005-03-14
KR100791801B1 true KR100791801B1 (ko) 2008-01-04

Family

ID=2976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616A KR100791801B1 (ko) 2002-07-12 2003-06-12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52075B2 (ko)
EP (1) EP1478687B1 (ko)
KR (1) KR100791801B1 (ko)
CN (1) CN1286891C (ko)
AT (1) ATE464347T1 (ko)
AU (1) AU2003242689A1 (ko)
DE (2) DE10231830A1 (ko)
DK (1) DK1478687T3 (ko)
ES (1) ES2343457T3 (ko)
HK (1) HK1080099A1 (ko)
MX (1) MXPA04012533A (ko)
TW (1) TWI325433B (ko)
WO (1) WO2004007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4408A1 (de) * 2005-05-27 2006-11-30 Airbus Deutschland Gmbh Verstärkung von Schaumwerkstoffen
GB0715303D0 (en) * 2007-08-08 2007-09-19 Airbus Uk Ltd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DE102007055684A1 (de) * 2007-11-21 2009-06-10 Airbu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erstärkten Schaumwerkstoffes
DE102010040775A1 (de) 2010-09-15 2012-03-15 Evonik Degussa Gmbh Fassadenplatte
US20120114897A1 (en) 2010-11-05 2012-05-10 Ramesh Thiagarajan Foam Stiffened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432971A (zh) * 2011-09-14 2012-05-02 刘天义 甲基丙烯亚胺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DE102012102689A1 (de) 2012-03-26 2013-09-26 Airex Ag Strukturelemen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279513B2 (en) * 2012-07-24 2019-05-07 Evonik Roehm Gmbh Shaping process for PMI foam materials and/or composite components produced therefrom
CN104691972A (zh) * 2015-02-25 2015-06-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隔板及其制造方法
DE102015203375A1 (de) * 2015-02-25 2016-08-25 Hochschule Für Angewandte Wissenschaften - Fachhochschule Kempten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Schaumwerkstüc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856A (en) 1988-07-21 1992-10-06 Northrop Corporation Cure/bonding method for sandwiched plastic structure
JPH05124096A (ja) * 1991-11-05 1993-05-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真空成形用シート
KR19980081636A (ko) * 1997-04-25 1998-11-25 람펜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 물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0397A (en) 1970-09-23 1974-07-17 Ici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 integral skin
JPS585792B2 (ja) * 1980-01-10 1983-02-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インクロ−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3826469A1 (de) 1988-08-04 1990-02-08 Roehm Gmbh Hartschaum als kernmaterial fuer schichtwerkstoffe
FR2721000B1 (fr) * 1994-06-10 1996-08-23 Eurocopter France Aube de redresseur en composite, redresseur la comportant, pour dispositif anti-couple à rotor et stator redresseur carénés, et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JP3325492B2 (ja) 1997-05-16 2002-09-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ロナ放電処理された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DE10059436A1 (de) * 2000-11-30 2002-06-20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werkstoffen mit hoher Abschälfestigkeit
DE10135414C1 (de) * 2001-07-25 2003-03-13 Roehm Gmbh Herstellung nicht-flacher Membranen für elektroakustische Wand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856A (en) 1988-07-21 1992-10-06 Northrop Corporation Cure/bonding method for sandwiched plastic structure
JPH05124096A (ja) * 1991-11-05 1993-05-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真空成形用シート
KR19980081636A (ko) * 1997-04-25 1998-11-25 람펜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 물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3457T3 (es) 2010-08-02
MXPA04012533A (es) 2005-04-19
CN1286891C (zh) 2006-11-29
DE50312614D1 (de) 2010-05-27
TWI325433B (en) 2010-06-01
US7652075B2 (en) 2010-01-26
ATE464347T1 (de) 2010-04-15
TW200403291A (en) 2004-03-01
DE10231830A1 (de) 2004-01-22
KR20050025966A (ko) 2005-03-14
WO2004007600A1 (de) 2004-01-22
HK1080099A1 (en) 2006-04-21
EP1478687B1 (de) 2010-04-14
CN1653120A (zh) 2005-08-10
EP1478687A1 (de) 2004-11-24
US20050182239A1 (en) 2005-08-18
AU2003242689A1 (en) 2004-02-02
DK1478687T3 (da)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8065B (zh) 使用具有外層之可發泡介質的模內發泡方法,及可由其獲得之塑膠模塑物
KR100791801B1 (ko)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의 제조방법, 당해 방법으로 제조된 표면 치밀화된 발포체 성형물 및 당해 성형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품
TWI525144B (zh) 具有改良的機械性質特別是增加的斷裂拉伸應變之聚甲基丙烯醯亞胺(pmi)發泡體
CN102917852A (zh) 制造成形泡沫制品的方法
JP7419232B2 (ja) 発泡性アクリル組成物
JP3999198B2 (ja) 電気音響変換器のための非平面振動板の製造
KR100440368B1 (ko) 전기음향 변환기용 막의 제조방법 및 당해 방법으로제조한 막
TWI436881B (zh) 芯材料用的改良對接頭
KR101928235B1 (ko) 공압출 방법을 이용한 다층 경량 샌드위치 구조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다층 경량 샌드위치 구조물
JPH04241931A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JP7422587B2 (ja) 樹脂発泡体および樹脂複合体
JP2001058329A (ja) 繊維強化成形品の製造方法
JP3243399B2 (ja) 積層物の製造方法
JPH0542609A (ja) 軽量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S6050134B2 (ja) 厚物板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