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529B1 -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529B1
KR100790529B1 KR1020070061055A KR20070061055A KR100790529B1 KR 100790529 B1 KR100790529 B1 KR 100790529B1 KR 1020070061055 A KR1020070061055 A KR 1020070061055A KR 20070061055 A KR20070061055 A KR 20070061055A KR 100790529 B1 KR100790529 B1 KR 10079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inverter
tank
fl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최철현
Original Assignee
최재현
최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현, 최철현 filed Critical 최재현
Priority to KR102007006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튜브 반전속도가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상하수도관 내부에 튜브가 반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현재 얼마만큼 보강튜브의 반전이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반전탱크의 전면에 반전기를 결합하고,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를 설치하여 보강튜브가 반전시 반전거리를 나타나게 함으로서 보강튜브반전속도와 길이를 제어하여 품질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반전기의 내측면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윤활장치를 설치하여 보강튜브의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하여 반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전탱크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전기를 갖는 반전부재와,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튜브의 반전 길이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와, 상기 반전기의 외주연에 노즐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파이프의 내측면에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일단이 반전기를 관통하여 윤활유탱크에서 공급되는 윤활유가 분사노즐을 통해서 보강튜브에 분사되는 윤활장치와,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분사된 윤활유를 모아서 다시 윤활유탱크로 순환시키는 윤활유드레인라인을 갖는 윤활유회수수단으로 구성된다.
반전탱크, 반전기,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 윤활유장치, 윤활유회수수단

Description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부수장치의 확대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거리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윤활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반전탱크
3 : 플랜지 4 : 회전드럼
5 : 보강튜브 10 : 반전부재
11 : 반전기 12 : 전방플랜지
13 : 후방플랜지 14 : 투시창
15 : 경사면 16 : 보조플랜지
17 : 연장부 20 :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
21 : 롤러본체 22 : 롤러
23 : 슬라이드축 24 : 탄성스프링
25 : 누름판 26 : 덮개
27 : 거리측정센서 28 : 케이블
29 : 컨트롤박스 30 : 윤활장치
31 : 노즐파이프 32 : 분사노즐
33 : 윤활유탱크 34 : 윤활유공급라인
35 : 윤활유펌프 40 : 윤활유회수수단
41 : 배수밸브 42 ; 윤활유드레인라인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튜브 반전속도가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상하수도관 내부에 튜브가 반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현재 얼마만큼 보강튜브의 반전이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반전탱크의 전면에 반전기를 결합하고,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를 설치하여 보강튜브가 반전시 반전거리를 나타나게 함으로서 보강튜브반전속도와 길이를 제어하여 품질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반전기의 내측면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윤활장치를 설치하여 보강튜브의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하여 반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상하수도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상하수도관의 경우 부식이 발생하여 막대한 량의 물이 누수되고, 녹물의 유입으로 식수가 오염되고, 하수관로의 경우 크랙 등이 발생되어 하수가 관로 밖으로 흘러나와 토양은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 된다.
이와 같이,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 된 노후 매설관로를 보수함에 있어서, 비굴착 관로 보수 공법은 땅을 파지 않고, 크랙 등이 발생 된 노후 매설관로 속에 보강튜브를 삽입시켜 하수관 속에 새로운 복합관을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도로 복구공사 등이 불필요함으로, 시공성, 신뢰성, 경제성면에서 장점이 많은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은 방수피복층 또는 필름층과 접착수지 함침 펠트층으로 형성된 보강튜브를 노후 된 매설관의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공법으로서, 접착수지 함침 펠트층을 내부로, 방수피복층을 표면으로 한 상태에서 보강튜브를 매설관 내부에 반전 진입시켜, 내면이었던 접착수지 함침 펠트층이 표면으로 반전되어 매설관의 내벽에 접착되도록 하여, 매설관 내벽에 보강튜브를 덧입히는 것이다.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수압을 이용하여 보강튜브를 반전시키는 수압반전과 공기압을 이용하는 공기압 반전과 수압 및 공압을 이용한 수압 및 공압반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보강튜브가 반전될 수 있도록 반전탱크의 전방에 형성된 플랜지에 보강 튜브의 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보강튜브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는데,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반전되는 보강튜브의 단부에는 밧줄이 연결되어 밧줄의 길이만큼 보강튜브반전거리를 측정하여 이용하여 보강튜브의 반전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보강튜브에 연결된 밧줄은 상하수도관으로 진입하면서 상하수도관의 절곡부위에 밧줄이 걸리게 되어 정확한 반전거리의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대략적으로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감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반전되는 보강튜브는 상하수도관의 길이에 대응하여 반전작업이 이루어 지지 못함으로 인해서 보강튜브의 반전작업 지나쳐서 지나친 만큼의 보강튜브를 절단하여 버리게 되어 재료의 손실과 시공비용이 초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보강튜브의 반전작업이 부족하게 반전이 이루어지면 다시 반전작업을 반복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해서 시공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보강튜브의 반전길이에 대한 문제점 이외에도 보강튜브의 표면에는 폴리에틸렌(PE)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반전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과, 반전 작업시 관로의 내부에서 보강튜브가 반원으로 말려서 반전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코팅층부분이 서로 마찰되어 반전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강튜브는 상하수도관의 최초 진입시 관로의 입구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에 보강튜브가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반전작업이 지연되거나 보강튜브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는 보강튜브의 반전길이를 조절하 지 못함으로 인해서 재료의 손실과 제품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보강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 코팅부분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서 반전작업이 지연되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수도관 내부에 튜브가 반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현재 얼마만큼 보강튜브의 반전이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를 반전탱크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전기 내부에 설치하여 보강튜브가 반전시 반전거리를 나타나게 함으로서 보강튜브반전속도와 길이를 제어하여 품질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컨트롤박스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강튜브가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부족하게 시공되거나 또는 상하수도관을 지나쳐서 시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공작업을 여러번 반복해야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재료의 손실을 예방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전탱크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전기의 내측면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윤활장치를 설치하여 보강튜브의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하여 보강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 코팅층의 마찰력을 줄여줘서 반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와 보강튜브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윤활유장치를 반전탱크 내부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서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와 윤활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보강튜브의 시공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의 제품의 성능 및 생산성을 개선하여 제조업체가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취급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누구나 쉽고 빠르게 보강튜브의 반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보강튜브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반전탱크를 갖는 보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외주면에 전방플랜지와 후방플랜지가 형성된 반전기를 형성하고, 상기 반전탱크의 플랜지에 후방플랜지가 결합되며, 상기 전방플랜지에 보강튜브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반전기의 상부 일측에 투시창을 형성한 반전부재;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 튜브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 상기 반전기의 전방플랜지 일측 외주면에 노즐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파이프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의 일단이 상기 반전기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파이프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탱크가 반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윤활유를 분출시켜 보강튜브의 표면에 뿌려주는 윤활장치; 및 상기 반전기의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를 회수할 수 있도록 반전기의 저면에 배수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배수밸브는 윤활유탱크와 연결되도록 윤활유드레인라인을 갖는 윤활유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윤활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반전탱크(2)의 전면에 설치되는 반전기(11)를 갖는 반전부재(10)와,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 길이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와, 상기 반전기(11)의 외주연에 노즐파이프(31)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 분사노즐(32)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32)의 일단이 반전기(11)를 관통하여 윤활유탱크(33)에서 공급되는 윤활유가 분사노즐(32)을 통해서 보강튜브(5)에 분사되는 윤활장치(30)와,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분사된 윤활유를 모아서 다시 윤활유탱크(33)로 순환시키는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갖는 윤활유회수수단(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반전탱크(2)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전부재(10)는,
양측면에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를 갖는 반전기(11)의 내부가 중공되어 양측면이 관통되어있고, 상기 반전기(11)는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쪽으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15)의 일측에는 투시창(14)을 형성하여 내부의 보강튜브(5)가 반전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플랜지(12)에 위치한 경사면(15)의 일단을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후술할 윤활장치(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반전기(11)의 중앙 상부에는 보조플랜지(16)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롤러본체(21)의 슬라이드축(23)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반전기(11)의 후방플랜지(13)를 상기 반전탱크(2)의 플랜지(3)에 밀착시킨 후 볼트로 고정시키며, 상기 전방플랜지(12)의 단부에는 보강튜브(5)의 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플랜지에 볼트를 고정시켜 보강튜브(5)를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튜브(5)의 외주연에는 밴드를 설치하여 보강튜브(5)의 외주연을 고정시켜 사용한다.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튜브의 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는,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롤러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21)의 내부에는 보강튜브(5)와 밀착되도록 롤러(22)를 설치하되, 상기 롤러(22)는 양단부 가 롤러본체(21)에 힌지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튜브(5)의 반전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보강튜브(5)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저면에는 보강튜브(5)가 밀착되어 롤러(22)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롤러본체(21)의 중앙에 슬라이드축(23)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반전기(11)의 보조플랜지(16)에 삽입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상부로 돌출된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외주면에 탄성스프링(24)이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누름판(25)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하고, 상기 누름판(25)의 저면은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판체가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외주면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판(25)의 내측면에 슬아이드축(23)이 나사체결되면서 누름판(25)이 상부와 하부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25)의 상부에는 덮개(26)가 설치되는데, 이때 덮개(26)는 상기 누름판(25)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덮개(26)의 내측 중간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거리측정센서(27)의 케이블(28)이 덮개(26)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차량(1)의 컨트롤박스(29)에 연결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외부에서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27)는 보강튜브(5)가 반전시 보강튜브(5)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롤러(22)가 회전하는 회전량을 감지하여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컨트롤박스(29)에 나타나게 함으로서 보강튜브반전속도와 길이를 제어하여 품질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을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본체(21)는 롤러(22)가 보강튜브(5)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23)이 롤러본체(21)를 압입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부와 하부로 일정 높이만큼의 탄력적인 거리를 갖도록 한다.
상기 반전기(11)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보강튜브(5)에 윤활유를 분사하는 윤활장치(30)는,
상기 반전기(11)의 전방플랜지(12)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노즐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는 분사노즐(32)이 형성되는데, 상기 분사노즐(32)의 일단은 노즐파이프(31)와 연결되어 있고, 반대편은 상기 반전기(11)의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노즐파이프(31)로 공급되는 윤활유가 분사노즐(32)을 통해서 반전기(11)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튜브(5)에 윤활유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탱크(33)는 상기 반전기(1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윤활유탱크(33)와 노즐파이프(31)의 사이에는 윤활유공급라인(34)을 형성하여 윤활유탱크(33)에 설치된 윤활유펌프(35)가 작동하면서 윤활유가 노즐파이프(31)를 거쳐서 분사노즐(32)로 공급되어 보강튜브(5)의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시켜 보강튜브(5)의 반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분사되는 윤활유를 회수하는 윤활유회수수단(40)은,
상기 반전기(11)의 바닥면에 배수밸브(41)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밸브(41)는 윤활유탱크(33)와 연결되도록 윤활유드레인라인(42)이 중간에 설치되어 배수밸브(41)로 유입된 윤활유를 윤활유탱크(33)로 보내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32)에서 분사된 윤활유는 보강튜브(5)의 표면에 뿌려지면서 일부는 반전기(11)의 바닥면쪽으로 흐르면서 배수밸브(41)로 유입되어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거쳐서 윤활유탱크(33)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윤활유공급라인(34)을 통해서 분사노즐(32)로 윤활유가 공급된다.
도 4는 반전탱크(2)의 내부에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를 직접 설치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면서 보강튜브의 반전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전탱크(2)와 플랜지(3)의 사이에 연장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7)의 상부에 보조플랜지(16)를 돌출형성시키며, 상기 보조플랜지(16)의 내부에는 슬라이드축(23)이 삽입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저면에는 롤러본체(21)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롤러(22)가 설치되어 보강튜브(5)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4), 누름판(25), 덮개(26), 거리측정센서(27)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도 5는 반전탱크(2)와 플랜지(3)의 사이에 연장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연 장부(17)는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반전탱크(2)의 내부에 분사되는 윤활유가 일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17)의 일측 외주면에는 노즐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이프(31)의 내측면에 분사노즐(32)이 형성되어 일단이 연장부(17)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윤활유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공급라인(34)과 윤활유탱크(33) 그리고 윤활유펌프(35)의 구성은 위에서 언급한 윤활유장치(30)와 동일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장부(17)의 일측 바닥면에는 배수밸브(41)가 설치되어 윤활유드레인라인(42)에 의해서 윤활유가 윤활유탱크(33)로 순환되는 윤활유회수수단(40)의 경우도 동일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을 살펴보면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된 반전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반전탱크의 전방으로 보강튜브를 반전시키는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외주면에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가 형성된 반전기(11)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탱크(2)의 플랜지에 반전기(11)의 후방플랜지(13)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전방플랜지(12)에 보강튜브(5)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반전기 조립공정과;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롤러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21)의 내측면에 롤러(22)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튜브(5)의 상부면과 밀착되며, 상기 롤러 본체(21)의 중앙에 슬라이드축(23)이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반전기(11)의 중간 상부면에 형성된 보조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측면에는 탄성스프링(24)이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누름판(25)이 나사체결되면서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하며, 상기 누름판(25)의 상부에 덮개(26)를 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부에는 거리측정센서(27)가 삽입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27)의 케이블(28)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차량의 컨트롤박스(29)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5)와 밀착된 롤러의 회전량을 길이로 환산하여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 설치공정과;
상기 반전기(11)의 전방플랜지(12) 일측 외주면에 노즐파이프(31)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32)의 일단이 상기 반전기(11)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반전기(11)의 일측에 윤활유탱크(33)와 윤활유공급라인(34)이 형성되어 상기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상기 분사노즐(32)로 윤활유가 분출되어 보강튜브(5)의 표면에 분사되는 윤활장치(30) 설치공정과;
상기 보수장치를 차량에 탑재시켜 시공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반전탱크(2)의 회전드럼(4)을 회전시켜 보강튜브(5)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진입 및 반전시키는 보강튜브 반전공정과;
상기 윤활유탱크(33)에서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윤활유는 분사노즐(32)을 통해서 보강튜브(5)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되어 보강튜브(5)가 관로를 따라서 이동시 관로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반전이 원활하지 않던 것을 방지하여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윤활유 분사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가 반전되면서 거리측정장치(20)의 롤러(2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22)의 회전량을 거리측정센서(27)가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가 컨트롤박스(29)로 전송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길이 측정값이 관로의 길이와 동일하면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을 중지하는 보강튜브 반전길이 제어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이 중단되면 분사노즐(32)로 분사되는 윤활유의 공급 또한 중단시키고, 상기 반전기(11)의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는 반전기(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밸브(41)로 유입되며, 상기 배수밸브(41)로 유입된 윤활유는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거쳐서 윤활유탱크(33)로 저장되는 윤활유 회수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 반전작업이 종료되면 보강튜브(5)의 단부를 절단시킨 다음 작업을 마무리하는 마감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도면을 첨부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반전탱크(2)와 반전부재(10)는 차량(1)에 설치하여 작업으로 이동시킨 다음 보강튜브(5)를 반전기(110의 전방플랜지(12)에 고정시켜 놓고 보강튜브(5)를 반전시키면 보강튜브(5)는 상하수도관을 따라서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보강튜브(5)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보강튜브(5)의 상부면에 밀착된 롤러(22)가 회전하면서 보강튜브(5)의 반전하는 거리 만큼 롤러(2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거리측정센서(27)가 롤러(22)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컨트롤박스(29)로 전 송하면 롤러(22)의 회전량이 거리로 표시되어 작업자가 현재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하수도관의 길이와 보강튜브(5)의 반전 길이가 동일하게 되면 작업을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을 멈추고 보강튜브(5) 경화작업을 수행하면된다.
종래에는 보강튜브의 반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현재 얼마만큼 보강튜브의 반전이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보수작업을 여러번 반복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재료의 소실이 많았지만, 본 발명의 거리측정장치(20)를 이용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탱크(2)와 반전기(11)의 내부는 보강튜브(5)의 경화작업으로 인해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반전기(11)의 내부에 일반적인 센서를 설치할 경우 쉽게 파손되거나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본체(21)와 롤러(22)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27)를 슬라이드축(23)의 내부에 설치하여 거리측정센서(27)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거리측정장치(20)의 부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유지 보수가 간편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하수도관으로 반전하는 보강튜브(5)의 반전 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32)에서 윤활유가 분사되어 보강튜브(5)의 표면에 뿌려지게 되는데, 이때 윤활유펌프(35)가 작동하면서 윤활유탱크(33)의 윤활유를 윤활유공급라인(34)을 통해서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노즐파이프(31)에 설치된 분사노즐(32)에서 윤활유가 분출되면서 보강튜브(5)의 표면에 고 르게 뿌려지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32)은 노즐파이프(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보강튜브(5)에 전체적으로 윤활유를 분사시켜 보강튜브(5)의 표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PE)의 마찰력을 최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반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강튜브(5)는 최초 상하수도관로로 진입시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관로의 단부에 보강튜브(5)가 접촉된 상태에서 반전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강튜브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반전이 지연되거나 또는 보강튜브(5)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반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전기(11) 내부에서 분사되는 윤활유는 반전기(11)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밸브(41)로 유입되어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따라서 윤활유탱크(33)로 회수되어 다시 분사노즐(32)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작업자는 보수작업이 원활하게 수행이 되고 있는지의 투시창(14)을 통해서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작업시 보강튜브가 반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현재 얼마만큼 보강튜브의 반전이 진행되었는지를 거리측정장치를 통해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하면서 반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시간과 인건비와 보강튜브의 손실을 최소로 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는 반전탱크와 반전기의 내부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도 거리측정센서가 작동할 수 있도록 롤러본체와 슬라이드축의 사이에 거리측정센서를 설치하고 롤러의 회전량을 거리측정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컨트롤박스로 전송하면 작업자가 간편하게 컨트롤박스에 표시된 보강튜브의 반전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보강튜브의 반전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보강튜브의 표면에 윤활유를 분사시켜 보강튜브 표면에 코팅된 폴리에틸렌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와, 상하수도관으로 최초 진입시 관로의 단부에 보강튜브가 밀착되어 반전작업이 지연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는 것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반전탱크에 거리측정장치와 윤활유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반전탱크의 전면에 반전기를 설치하고, 상기 반전기의 내부에 거리측정장치와 윤활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개선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보강튜브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반전탱크를 갖는 보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외주면에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가 형성된 반전기(11)를 형성하고, 상기 반전탱크(2)의 플랜지(3)에 후방플랜지(13)가 결합되며, 상기 전방플랜지(12)에 보강튜브(5)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반전기(11)의 상부 일측에 투시창(14)을 형성한 반전부재(10);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
    상기 반전기(11)의 전방플랜지(12) 일측 외주면에 노즐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32)의 일단이 상기 반전기(11)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탱크(33)가 반전기(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32)로 윤활유를 분출시켜 보강튜브(5)의 표면에 뿌려주는 윤활장치(30); 및
    상기 반전기(11)의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를 회수할 수 있도록 반전기(11)의 저면에 배수밸브(41)를 설치하며, 상기 배수밸브(41)는 윤활유탱크(33)와 연결되도록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갖는 윤활유회수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11)는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 쪽으로 외경이 넓어지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면(15)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플랜지(12)가 위치한 경사면(15)의 일단을 수평방향으로 절곡시키며, 상기 반전기(11)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보조플랜지(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는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롤러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21)의 내측면에 롤러(22)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튜브(5)와 상부면과 밀착되며, 상기 롤러본체(21)의 중앙에 슬라이드축(23)이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반전기(11)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측면에 탄성스프링(24)이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누름판(25)이 나사체결되면서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하며, 상기 누름판(25)의 상부에 덮개(26)를 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부에는 거리측정센서(27)가 삽입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27)의 케이블(28)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차량의 컨트롤박스(2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파이프(31)와 윤활유탱크(33) 사이에 윤활유공급라인(34)을 형성하고, 상기 윤활유탱크(33)에 설치된 윤활유펌프(35)를 구동시켜 상기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5.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보강튜브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반전탱크를 갖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탱크(2)와 플랜지(3)의 사이를 연장시켜 연장부(17)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7)의 상부에 보조플랜지(1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3)의 단부에 보강튜브(5)의 단부가 고정되는 반전탱크(2); 및
    상기 반전탱크(2)의 보조플랜지(16)의 내부에 설치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튜브(5) 거리측정장치(20)는 상기 반전탱크(2)의 연장부(17)의 내부에 롤러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21)의 내측면에 롤러(22)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튜브(5)와 상부면과 밀착되며, 상기 롤러본체(21)의 중앙에 슬라이드축(23)이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7)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측면에 탄성스프링(24)이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누름판(25)이 나사체결되면서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하며, 상기 누름판(25)의 상부에 덮개(26)를 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부에는 거리측정센서(27)가 삽입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27)의 케이블(28)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차량의 컨트롤박스(2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7.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보강튜브가 외부로 이동하도록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반전탱크를 갖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탱크(2)와 플랜지(3)의 사이를 연장시켜 연장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3)의 단부에 보강튜브(5)의 단부가 고정되는 반전탱크(2); 및
    상기 연장부(17)의 일측 외주면에 노즐파이프(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32)의 일단이 상기 연장부(17)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탱크(33)가 반전기(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32)로 윤활유를 분출시켜 보강튜브(5)의 표면에 뿌려주는 윤활장치(30); 및
    상기 연장부(17)의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를 회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17)의 저면에 배수밸브(41)를 설치하며, 상기 배수밸브(41)는 윤활유탱크(33)와 연결되도록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갖는 윤활유회수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탱크(2)의 연장부(17)는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하여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가 배수밸브(41)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노즐파이프(31)와 윤활유탱크(33) 사이에 윤활유공급라인(34)을 형성하며, 상기 윤활유탱크(33)에 설치된 윤활유펌프(35)를 구동하여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9. 접착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가 회전드럼에 권회된 반전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반전탱크의 전방으로 보강튜브를 반전시키는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에 있어서,
    양측면이 개구되어 외주면에 전방플랜지(12)와 후방플랜지(13)가 형성된 반전기(11)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탱크(2)의 플랜지에 반전기(11)의 후방플랜지(13)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전방플랜지(12)에 보강튜브(5)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반전기 조립공정과;
    상기 반전기(11)의 내부에 롤러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본체(21)의 내측면에 롤러(22)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튜브(5)의 상부면과 밀착되며, 상기 롤러본체(21)의 중앙에 슬라이드축(23)이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반전기(11)의 중간 상부면에 형성된 보조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측면에는 탄성스프링(24)이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축(23)의 상부에 누름판(25)이 나사체결되면서 탄성스프링(24)을 압입하며, 상기 누름판(25)의 상부에 덮개(26)를 결합하되, 상기 슬라이드축(23)의 내부에는 거리측정센서(27)가 삽입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27)의 케이블(28)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차량의 컨트롤박스(29)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튜브(5)와 밀착된 롤러의 회전량을 길이로 환산하여 보강튜브(5)의 반전거리를 측정하는 보강튜브 거리측정장치(20) 설치공정과;
    상기 반전기(11)의 전방플랜지(12) 일측 외주면에 노즐파이프(31)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파이프(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분사노즐(32)의 일단이 상기 반전기(11)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반전기(11)의 일측에 윤활유탱크(33)와 윤활유공급라인(34)이 형성되어 상기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상기 분사노즐(32)로 윤활유가 분출되어 보강튜브(5)의 표면에 분사되는 윤활장치(30) 설치공정과;
    상기 보수장치를 차량에 탑재시켜 시공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반전탱크(2)의 회전드럼(4)을 회전시켜 보강튜브(5)를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진입 및 반전시키는 보강튜브 반전공정과;
    상기 윤활유탱크(33)에서 노즐파이프(31)로 윤활유를 공급하면 윤활유는 분사노즐(32)을 통해서 보강튜브(5)의 표면에 골고루 분사되어 보강튜브(5)가 관로를 따라서 이동시 관로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반전이 원활하지 않던 것을 방지하여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윤활유 분사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가 반전되면서 거리측정장치(20)의 롤러(2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22)의 회전량을 거리측정센서(27)가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가 컨트롤박스(29)로 전송되어 보강튜브(5)의 반전길이 측정값이 관로의 길이와 동일하면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을 중지하는 보강튜브 반전길이 제어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의 반전작업이 중단되면 분사노즐(32)로 분사되는 윤활유의 공급 또한 중단시키고, 상기 반전기(11)의 바닥면에 흐르는 윤활유는 반전기(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밸브(41)로 유입되며, 상기 배수밸브(41)로 유입된 윤활유는 윤활유드레인라인(42)을 거쳐서 윤활유탱크(33)로 저장되는 윤활유 회수공정과;
    상기 보강튜브(5) 반전작업이 종료되면 보강튜브(5)의 단부를 절단시킨 다음 작업을 마무리하는 마감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KR1020070061055A 2007-06-21 2007-06-21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79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55A KR100790529B1 (ko) 2007-06-21 2007-06-21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55A KR100790529B1 (ko) 2007-06-21 2007-06-21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529B1 true KR100790529B1 (ko) 2008-01-02

Family

ID=3921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055A KR100790529B1 (ko) 2007-06-21 2007-06-21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5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14B1 (ko) * 2010-11-04 2011-06-16 반도건설주식회사 대구경 관로보수용 튜브재 반전장치
KR101148135B1 (ko) 2012-02-28 2012-05-24 최장환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용 보강튜브 확장 연결장치
KR101164586B1 (ko) 2011-07-29 2012-07-11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관로 보수용 튜브반전 장치
KR101632286B1 (ko) * 2016-02-03 2016-06-21 홍석인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638062B1 (ko) * 2015-12-30 2016-07-08 최재현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679583B1 (ko) 2016-07-19 2016-11-28 (주)명보이엔지 공기의 흐름과 공기압을 이용한 연속 튜브 공급장치
KR101884590B1 (ko) * 2018-02-06 2018-08-01 고광돈 비굴착식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27A (ko) * 2001-08-09 2003-02-15 에스이텍주식회사 압력형 하강튜브 성형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KR20050099432A (ko) * 2004-04-10 2005-10-13 정송옥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27A (ko) * 2001-08-09 2003-02-15 에스이텍주식회사 압력형 하강튜브 성형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KR20050099432A (ko) * 2004-04-10 2005-10-13 정송옥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14B1 (ko) * 2010-11-04 2011-06-16 반도건설주식회사 대구경 관로보수용 튜브재 반전장치
KR101164586B1 (ko) 2011-07-29 2012-07-11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관로 보수용 튜브반전 장치
KR101148135B1 (ko) 2012-02-28 2012-05-24 최장환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용 보강튜브 확장 연결장치
KR101638062B1 (ko) * 2015-12-30 2016-07-08 최재현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632286B1 (ko) * 2016-02-03 2016-06-21 홍석인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679583B1 (ko) 2016-07-19 2016-11-28 (주)명보이엔지 공기의 흐름과 공기압을 이용한 연속 튜브 공급장치
KR101884590B1 (ko) * 2018-02-06 2018-08-01 고광돈 비굴착식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529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EP3003574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pipe liner
KR101430693B1 (ko) 관로 녹과 스케일 제거장치
KR101359448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KR101963176B1 (ko)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몰탈 라이닝을 활용한 비굴착 상하수도관 갱생 라이닝 형성장치 및 그 방법
CA2354226A1 (en) Robotic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maintenance of intersecting conduits
KR101632286B1 (ko)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555026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991326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107672155A (zh) 一种用于管道修复的气压翻转设备及修复工艺
KR101129163B1 (ko) 노후관로의 도장장치
KR100841756B1 (ko) 비굴착 관로 경화용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KR200321707Y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JP3681351B2 (ja) 既設管路の補修装置および方法
KR100706581B1 (ko) 몰탈 타설장치
KR100776418B1 (ko) 워터체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및 공법
KR101638062B1 (ko)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1007862B1 (ko) 매설관로 관리 방법
KR200428156Y1 (ko) 워터체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KR20110023720A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세정 및 보수장치
KR101172845B1 (ko) 상하수도 관로 갱생공법
KR102634437B1 (ko)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FI122593B (fi) Laite ja menetelmä saneerattavan putkilinjan haarakohdan avaamiseksi
KR101388707B1 (ko) 상수도 비굴착 관로 반전 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