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737B1 -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737B1
KR100788737B1 KR20060053089A KR20060053089A KR100788737B1 KR 100788737 B1 KR100788737 B1 KR 100788737B1 KR 20060053089 A KR20060053089 A KR 20060053089A KR 20060053089 A KR20060053089 A KR 20060053089A KR 100788737 B1 KR100788737 B1 KR 10078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amed plastic
compression
port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5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856A (ko
Inventor
황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화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화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화기공
Priority to KR2006005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73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플라스틱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이는 감용 작업을 함으로써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발포플라스틱 압축식 감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포플라스틱이 압축되는 압출구의 통로상에 공기배출공을 형성하고, 공기배출공이 있는 압출구의 표면상에 공기유통수단을 형성하여 발포플라스틱내에 함유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압축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포플라스틱을 수용 가능한 압축실(21)과 상기 압축실(21) 내에 수용된 발포플라스틱이 압출되는 압출구(24)와 상기 압축실 내부의 발포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압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24) 와 압출구의 연장선상에 있는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 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을 다수개의 공기유통수단(40)이 덮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통수단과 공기유통수단의 사이에 공기유통통로(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발포플라스틱, 압축기, 감용기

Description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AN APPARATUS FOR REDUCING VOLUME OF EXPANDED PLASTIC WITH A MEANS OF VENTILATION }
도 1은 종래의 간이식 압축식 감용기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42)의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플레이트(42)가 부착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플레이트(42)가 부착된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환봉(43)이 부착된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환봉(43)이 부착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호퍼 : 10 본체 : 20
압축실 : 21 배출구 : 22
압출구 : 24 적층부 : 25
공기배출공 : 26 압축수단 : 30
공기유통수단 : 40 공기유통로 : 41
플레이트 : 42 환봉 : 43
쐐기형 고랑 : 44
본 발명은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플라스틱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이는 감용 작업을 함으로써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발포플라스틱 압축식 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플라스틱이 압축되는 압출구의 통로상에 공기배출공을 형성하고, 공기배출공이 있는 압출구의 표면상에 공기유통수단을 형성하여 발포플라스틱내에 함유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압축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플라스틱(expanded plastic)은 플라스틱 내부에 기포를 형성시켜 팽창시킨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비닐·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페놀수지·아세트산셀룰로오스·우레탄 등 대부분의 열경화성수지나 열가소성수지는 발포시킬 수 있으며, 특히 폴리스티렌을 발포시킨 것을 스티로폼이라 부르며,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 절약형 소재이다.
이러한 발포플라스틱 중에서 사용 완료된 폐발포플라스틱은 폐기 또는 재활 용하기 위하여 수집 및 운반을 하여야 하는데, 폐발포플라스틱은 단위 무게당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수집 및 운반에 많은 물류비가 소요되므로 이를 기계적으로 눌러 부피를 축소시키는 압출기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발포플라스틱 압출기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안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210호의 “간이식 압축식 감용기”가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210호에 나타난 기술은, 호퍼(1)를 통하여 폐스티로폼을 투입하여, 상기 호퍼(1)의 내부에 설치된 파쇄용 롤(2)로 폐스티로폼을 잘게 부수고, 부서진 폐스티로폼 입자가 압축실(3)의 바닥에 쌓이게 되며,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5)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실(3)의 바닥에 쌓인 폐스티로폼 입자를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6) 쪽으로 밀어붙임으로써 폐스티로폼을 압축 감용한 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폐스티로폼의 수집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폐스티로폼을 손쉽게 압축 감용 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발포스티로폼의 경우 통상 체적의 98%가 공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압축을 할 경우 공기가 새어나오게 된다. 이때, 공기가 새어 나올 틈이 없는 경우 압축이 용이하지도 않고, 압축된 스티로폼의 내부에 공기가 강한 압력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감용기의 배출구로 배출될 때 압축 스티로폼이 폭발하듯이 급격히 팽창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폐스티로폼을 압축하려는 경우 공기가 빠져나오기 쉽게 감용기를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도 1의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1210호등을 살펴보면 압출구(6)의 통로상에 공기배출공을 형성해 놓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발포플라스틱이 압축되며 압출구를 지나가면 마찰열이 발생하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의 마찰열이 열전달에 의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면, 발포플라스틱이 용융되어 눌러붙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눌러붙은 발포플라스틱에 의해 공기배출공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플라스틱의 조각에 의해 구멍이 막히게 되어 공기 배출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감용기의 운용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수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많은 수의 공기배출공을 형성하는 경우 발포플라스틱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압출구의 통로면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면적에 공기배출공을 많게 할 수 없었고, 공기배출공이 막히는 경우 충분히 공기를 제거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공기유통수단을 사용하여 발포플라스틱과 공기배출공이 직접접촉을 하지 않게 공간을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공기가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는 압축식 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둘째, 공기유통수단을 장착하여 일차적으로 작은 발포플라스틱 조각이 눌러붙어 공기배출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압축식 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셋째, 공기유통 수단을 통해 열전달이 잘되게 하여 발포플라스틱의 눌러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압축식 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발포플라스틱을 수용 가능한 압축실(21)과
상기 압축실(21) 내에 수용된 발포플라스틱이 압출되는 압출구(24)와
상기 압축실 내부의 발포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압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24)와 압출구의 연장선상에 있는 배출구(22)사이의 통로의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 와 배출구(22) 사이의 통 로의 표면을 다수개의 공기유통수단(40)이 덮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통수단과 공기유통수단의 사이에 공기유통통로(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을 다수개의 공기유통수단(40)인 플레이트(42)가 겹쳐져서 덮고 있는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발포플라스틱의 압출기가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와 연결되어 그 하부에 설치되는 본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호퍼(10)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 발포플라스틱을 수용하도록 된 압축실(21)과, 상기 압축실(21)의 일측에 장착되어 발포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압축수단(30)이 기본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을 다수개의 공기유통수단이 덮고 있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호퍼(10)는 상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부 개방부에서 하부 개방구로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개방부는 본체(20)의 압축실(21)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10)의 내부에는 분쇄기(11) 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쇄기(11)는 미도시된 공지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호퍼(10)의 상부 개방부로 발포플라스틱을 투입하면, 도 2와 같이 상기 분쇄기(11)에 의해 분쇄되어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 진 후 압축실(21) 쪽으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호퍼(10)와 압축실(21)과의 연통상태를 차단해주는 차단판(12)이 장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차단판(12)은 직각으로 구부러진 투명한 재질의 직각판 형상이며, 또한 차단판(12)이 설치되는 상기 호퍼(10)의 일벽면도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준 후, 차단판(12)의 구부러진 부분에 설치된 회동축(13)을 호퍼(10)의 투명한 벽면 하단 부분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10)의 투명한 외벽면에 회전형 잠금쇠(14)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절곡된 회동형 차단판 중 바깥쪽 차단판의 전면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잠금쇠(14)가 끼워지는 잠금뭉치(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안쪽의 차단판의 테두리단(16)이 걸리게 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10)와 압축실(21)의 경계부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잠금뭉치(15)를 잡고 바깥쪽의 차단판을 들어 올리게 되면, 도 3과 같이 안쪽 차단판이 회동하여 상기 호퍼(10)와 압축실(21) 간의 연통상태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잠금뭉치(15)를 회전형 잠금쇠(14)로 잠근다.
이러한 차단판 구성은 종래 공지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며, 이외에도 편평한 차단판이 슬라이드식으로 왕복 운동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종래기술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축실(21)은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기능상 차례로 피스톤 수장부(23), 적층부(25), 압출구(24) 및 배출구(22)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압축실(21) 일측에는 유압실린더(31)와 피스톤(32)으로 이루어진 압축수단(30)이 장착되며, 피스톤(32)은 압축실 내부의 피스톤 수장부(23)에 수장되며, 압축실(21) 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주기적으로 왕복운동하면서 도 4와 같이 적층부(25)에 쌓인 발포플라스틱을 압출구(24) 쪽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다만, 상기의 압축수단으로 피스톤이 아닌 회전하는 스크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류의 날에 의해 이송되는 발포플라스틱의 이송압력에 의해 발포플라스틱은 압출구쪽으로 밀려가게 된다.
상기 압출구(24)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통로의 단면적이 좁게 되도록 형성되며, 그 끝 부분에는 배출구(22)와 연결된다. 압출구(24)는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되어 발포플라스틱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발포플라스틱을 압축하는 장소이다. 이러한 구조의 압출구(24)는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압출구(24)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에서는 공기배출공(26)을 형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22)는 전 길이에 거쳐 통로의 단면적이 일정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형성하며, 그 끝 부분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26)을 갖는 소정길이의 판체로 만들어지며 발포프라스틱이 정체되어 나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또한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임을 밝혀둔다.
배출구(22)의 전 구간에 모두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공기배출공(26)은 상기의 압출구(24)에서의 공기배출공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도 6은, 상기의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을 덮고 있는 공기유통수단(40)의 일 실시예인 플레이트(42)를 도시한 것이다.
플레이트(42)는 작은 금속판으로 일면에 다수개의 연속적인 파형의 요철이 형성되고 파형의 요철들 사이로 공기유통로(41)가 형성된 특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플레이트(42)들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넓지 않은 거리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발포플라스틱의 진행방향을 향해 도 6과 같이 눕혀지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42)들은 공기배출공(26)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기배출 공(26)를 직접적으로 막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눕혀지면 플레이트들은 서로 일부분만 겹쳐져서 경사지게 나열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되면, 도 8과 같은 배출구의 내면을 형성할 것이다.
이렇게 나열된 플레이트(42)와 플레이트(42)가 겹쳐진 부분을 보면 하측 플레이트의 상면은 평면이고, 상측 플레이트의 하면은 파형의 요철면이기 때문에 겹쳐진 플레이트들 사이에 공기 유통로(4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유통로는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시작되어 공기배출공(26)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들이 공기배출공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기배출공(26)을 직접적으로 막지 않도록 하고, 플레이트(42)들이 경사지게 누워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배출공의 위에는 소정의 공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간은 상기의 공기 유통로(41)와 연결되어 진다.
이렇게 발생한 공기 유통로(41)를 통해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시 발생하는 기체가 스며들게 되고, 상기의 소정의 공간을 거쳐 공기배출공(26)을 통해 감용기를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들을 겹쳐서 배열하였다. 배열의 방법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파형 요철이 형성된 면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기울여져서 겹쳐지게 배열하는 방법이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파형 요철이 형성된 면이 하면에 위치하도록 기울여져서 겹쳐지게 배열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하거나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시키는 효과는 차이가 없다. 그렇지만, 파형의 요철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면, 발포플라스틱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열전달이 잘되어 압축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방출하기가 쉬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와 같이 다수개의 환봉(43)이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상기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 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환봉들 사이의 공간에 공기 유통로(41)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다수개의 환봉들은 환봉과 환봉 사이가 대략 0.5㎜정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공기 유통로(4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공기유통로(41)의 밑에는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다.
환봉의 접합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도 10과 같이 환봉이 접합될 통로상에 쐐기형의 홈을 파서 고랑(44)을 만들어 놓는 것이 좋다. 고랑(44)을 만들어 놓아 고랑에 환봉의 하부가 일부 수용되고, 환봉(43)은 고랑(44)과 2개의 선접촉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플레이트를 사용한 압출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에 발포플라스틱을 투입하게 되면,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설치된 분쇄기(11)에 의해서 발포플라스틱이 잘게 부수어지게 되고, 상기 부수어진 발포플라스틱 조각은 압축실(21)의 적층부(25) 바닥에 쌓이기 시작한다.
발포플라스틱 조각이 적층부(25)에 모두 쌓이고 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판(12)을 회전시켜 호퍼(10)와 압축실(21)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압축수단(30)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압축수단(30)의 피스톤(32)이 전진하게 되고, 상기 압축수단(30)의 피스톤(32)이 적층부(25)에 쌓여있는 발포플라스틱을 가압하여 압축하며 전진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수단(30)의 피스톤(32)이 계속 압축 행정을 함에 따라, 상기 적층부(25)에 쌓인 발포플라스틱은 점차로 압출구(24)로 밀어붙여지고, 상기 압출구(24)를 통과하면서 압축되어진다.
압출구(24)에서 발포플라스틱이 압축되는 원리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유사하다.
즉 도 1의 종래기술에 도시된 압출구(6)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피스톤(5)의 밀어붙임에 의해 발포플라스틱이 압출구(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피스톤(5)에 의한 압축력과 압출구(6)의 좁아지는 내경에 의해 발포플라스틱이 눌려지는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발포플라스틱이 압축 감용된다.
이렇게 압출구(24)에서 압축된 발포플라스틱은 상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32)에 의해 계속 압축되어 밀려오는 후방의 발포플라스틱에 밀려서 도 5와 같이 압출구(24)에서 연장 형성된 배출구(22) 쪽으로 이송된다.
이 때 압출구(24)를 갓 빠져나와 배출구(22)로 진입한 압축된 발포플라스틱은 내부에 압축되어 있는 공기의 압력때문에 여전히 원상복구, 즉 팽창하려는 성질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출구(22)의 직경을 전 길이에 거쳐 일정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된 발포플라스틱이 배출구(22)를 통과할 때 배출구(22)의 벽면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계속 눌려지면서,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배출구 벽면에 형성된 공기유통로(41)를 통하여 공기배출공(26)으로 서서히 빠져나가 공기압이 떨어지므로, 배출구(22) 밖으로 완전히 배출될 때쯤에는 팽창하려는 성질을 거의 잃게 된다.
그러므로 배출구의 길이는 압축된 발포플라스틱이 팽창력을 잃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일예로 폐스티로폼을 압축한 경우에는 그 길이를 약 2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배출구(22)의 직경을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된 발포플라스틱이 배출구(22)를 통과할 때 배출구(22)의 벽면에 의하여 점점 가압되므로 한번 더 압축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장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공기가 빠지는 현상을 설명하면, 기체는 공기배출공의 표면을 덮고 있는 플레이트(42)와 플레이트(42) 사이의 공기 유통로(41)를 통해 스며들게 되고, 공기유통로를 지난 후 공기배출공(26)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들(42)이 겹쳐져서 누워 있는 방향이 발포플라스틱의 진행방향과 동일하여, 플레이트(42)에 의해 생성된 공기유통로(41)의 입구는 발포플라스틱의 진행방향과 마주치지 않으므로 공기유통로로 발포플라스틱이 침입하거나, 눌러붙어 막히는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의 플레이트는 한면이 파형의 요철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단면이 구조적으로 한쪽이 연속된 아치형을 이루고 있어서, 똑같은 두께의 평평한 판과 비교 했을때 하중의 분산이 잘 이루어져 더 많은 힘을 견딜수 있다. 이는 단면의 2차 모멘트를 계산해 보면 알 수 있다.
단면의 2차모멘트는 단면의 형상에 따른 값으로 쉽게 말하면 사각형, 삼각형, H형, 원형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사각형 단면의 경우 단면2차 모멘트는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Figure 112006041371703-pat00001
상기의 식에서 B 는 단면의 폭을 말하고, H 는 단면의 높이를 말한다.
단면의 2차모멘트는 단면의 형상에 힘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있다. 단면2차모멘트는 탄성계수와 곱하여 휨강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휨강성은 휨에 저항하는 성질로서 크면 클수록 강성이 크고, 구조적으로 안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단면2차모멘트가 높이가 폭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판의 형상이 파형의 돌출부가 있는 형상으로 바뀌게 되면 B는 변하지 않으나 H는 세제곱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평평한 판보다 더 많은 증가가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두께가 두꺼워 지면 단면의 H가 증가하기 때문에 슬레이트의 강도도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파형의 돌출부가 있는 플레이트(42)를 사용하였다고 하더라고 판의 높이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서 2차모멘트의 증가가 있게 되어 단순한 평판을 사용하는 것보다 강성이 크고 안정적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들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는 공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발포플라스틱의 압축감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공기는 환봉(43)과 환봉(43)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통로(41)를 통해 스며들어 공기배출공(26)을 통해 배출된다.
환봉은 옆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환봉이 나란히 병렬로 배열될 경우 환봉들 사이의 공간은 공기유통로(41) 전체에서 중간 높이 부분에서 가장 좁아지게 되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유통로(41)의 구조에 의하면, 공기유통로(41)가 중간 부분에서 폭이 좁아져서 환봉의 상부를 지나는 발포플라스틱은 상기 공기유통로의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고, 공기등의 기체만이 공기 유통로(41)를 지나갈 수 있게 된다.
공기 유통로(41)의 하부에 있는 공기배출공(26)은 상기의 공기 유통로(41)의 구조에 의해 공기배출공(26)의 위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여 막힘이 없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환봉(43)에 의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발포 플라스틱에 발생하는 현상은 상 기의 플레이트(42)에 의한 것과 비슷하다. 즉, 열전달이 잘 되게 하고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하는 것도 다르지 않다.
상기에서 보았듯이 환봉의 접합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도 10과 같이 환봉이 접합될 통로상에 쐐기형의 홈을 파서 고랑(44)을 만들어 놓아 고랑에 환봉의 하부가 일부 수용되고, 환봉(43)은 고랑(44)과 2개의 선접촉을 하게 하였다.
환봉의 수용에 의해 환봉은 통로상에 위치를 잡기 쉽게 된다. 따라서, 제작시에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선접촉을 한 부분을 포함하여 용접하게 되면 환봉은 견고하게 통로상에 고정된다.
상기의 고랑이 없는 경우에는 환봉의 접합시 1개의 선접촉한 부분을 용접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환봉이 제자리를 잡기 어려워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용접 후에도 용접부위가 작아 고정이 어렵고, 압축시에도 발포플라스틱의 압력에 의해 밀리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2개의 선접촉 부위를 포함하여 용접하게 되면, 환봉이 제자리를 잡기 쉬워 용접이 용이하고, 접합이 견고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발포플라스틱의 압력에도 밀리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공기유통수단을 사용하여 발포플라스틱과 공기배출공이 직접접촉을 하지 않게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어 압축식 감용기의 효율이 높아지게 되었다.
둘째, 공기유통수단을 장착하여 눌러붙은 발포플라스틱 조각이 공기유통수단에 차단되어 공기배출공이 막히는 현상이 감소하게 되었다.
셋째, 공기유통 수단을 통해 열전달이 잘되게 되어 마찰열이 쉽게 방출되어 발포플라스틱의 눌러붙는 현상이 감소되고, 장치의 열변형 및 파손이 감소하게 되었다.

Claims (4)

  1. 발포플라스틱을 수용 가능한 압축실(21)과
    상기 압축실(21) 내에 수용된 발포플라스틱이 압출되는 압출구(24)와
    상기 압축실 내부의 발포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압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에 있어서,
    상기 압출구(24) 와 압출구의 연장선상에 있는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 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을 다수개의 공기유통수단(40)이 덮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통수단과 공기유통수단의 사이에 공기유통로(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통수단을 갖춘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수단(40)은 일면에 다수개의 연속적인 파형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40)로 구성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하로 겹쳐짐으로써 파형의 요철에 의하여 공기 유통로(4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통수단을 갖춘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수단(40)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환봉(43)으로 구성되되,
    상기 병렬로 배치된 환봉과 환봉사이는 미세한 틈새가 존재하며,
    상기 틈새에 의하여 공기 유통로(4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통수단을 갖춘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26)이 형성되어 있는 압출구(24) 와 배출구(22) 사이의 통로의 표면에 다수개의 쐐기형 고랑(44)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43)이 쐐기형 고랑(44)에 안착할 수 있게 한 후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통수단을 갖춘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KR20060053089A 2006-06-13 2006-06-13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KR10078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3089A KR100788737B1 (ko) 2006-06-13 2006-06-13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3089A KR100788737B1 (ko) 2006-06-13 2006-06-13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56A KR20070118856A (ko) 2007-12-18
KR100788737B1 true KR100788737B1 (ko) 2007-12-26

Family

ID=3913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53089A KR100788737B1 (ko) 2006-06-13 2006-06-13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7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153A (ja) * 1994-02-24 1995-09-05 Hitachi Ltd 廃ウレタン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34041A (ja) 1997-07-15 1999-02-09 Mitsubishi Chem Corp 反応撹拌押出機
JPH11262920A (ja) 1998-03-17 1999-09-28 Asahi Giken Kogyo:Kk 発泡樹脂成型品の再生処理装置
JP2000238113A (ja) 1999-02-25 2000-09-05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管の製造方法
KR20010102860A (ko) * 2001-06-29 2001-11-17 류유천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자동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153A (ja) * 1994-02-24 1995-09-05 Hitachi Ltd 廃ウレタン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34041A (ja) 1997-07-15 1999-02-09 Mitsubishi Chem Corp 反応撹拌押出機
JPH11262920A (ja) 1998-03-17 1999-09-28 Asahi Giken Kogyo:Kk 発泡樹脂成型品の再生処理装置
JP2000238113A (ja) 1999-02-25 2000-09-05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管の製造方法
KR20010102860A (ko) * 2001-06-29 2001-11-17 류유천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자동 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56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304B2 (en) Drift eliminator with formed beveled tip
EP1937384B1 (en) Sewage slurry separation system
US114587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organic material out of waste
CN101340961B (zh) 格栅结构及其用途以及带有格栅结构的容器
SE530012C2 (sv) Platta och packning för plattvärmeväxlare
CN103657219B (zh) 与托盘集成包塑的吸式过滤器介质
CZ251496A3 (en) Compacting press
KR100788737B1 (ko) 공기유통수단을 가진 발포플라스틱의 압축식 감용기
CN113734734B (zh) 一种稳定的板材切割用干燥输送设备
KR100750348B1 (ko) 압축수단에 다수개의 공기배출공을 가지는 발포플라스틱의압축식 감용기
EP2043851B1 (en) Compacting apparatus for waste material and method of compacting using such apparatus
US20090008319A1 (en) Filter Assembly
JP2007117931A (ja) ジョークラッシャ用歯板、ジョークラッシャ、及び自走式破砕機
JP4203787B2 (ja) 流体フィルタ
CN210875751U (zh) 改良型建筑废弃物分离破碎装置
US7765921B2 (en) Cage bar comprising a spacer, and pressing device
KR200433264Y1 (ko) 폐비닐 파쇄기
CN211053754U (zh) 一种药材切片机
CN220426293U (zh) 一种标签生产废料破碎收集装置
CN219044153U (zh) 一种工业固体废物压缩装置
CN210789101U (zh) 一种高空间利用率砂模旧砂回收仓
CN219905852U (zh) 自清扫滚筒
CN219726856U (zh) 一种密炼机下料口
CN215038668U (zh) 布料机的卸料结构及布料机
JP2006102674A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