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026B1 -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026B1
KR100788026B1 KR1020010044619A KR20010044619A KR100788026B1 KR 100788026 B1 KR100788026 B1 KR 100788026B1 KR 1020010044619 A KR1020010044619 A KR 1020010044619A KR 20010044619 A KR20010044619 A KR 20010044619A KR 100788026 B1 KR100788026 B1 KR 10078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ode
output
power suppl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499A (ko
Inventor
우메쓰고지
사사키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출력 라인에 설치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전압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안정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는 복수의 전원 장치가 병렬로 접속된 전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전원은 외부 부하(13)와 접속되는 포지티브 출력 단자(13), 포지티브 출력 단자(13)에 접속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 전압을 제어부에 피드백하는 VF 보정 회로(46),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 전류를 제어부에 피드백하는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 및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트랜스(24)를 스위칭 제어하고,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류에 따라 애노드 전위를 강하시키고,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에 따라 상기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출력 라인, 다이오드, 외부 부하, 전류 검출 회로, 전원 장치.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도 1은 종래의 전원 시스템의 회로 도면이다.
도 2은 상기 종래의 전원 시스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출력 저항의 값을 변경한 경우의 상기 종래의 전원 시스템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시스템 회로 도면이다.
도 6은 VF 보정 회로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보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VF 보정 회로의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VF 보정 회로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에 의한 보정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센스 단자 및 고장 검출 회로를 설치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시스템 회로 도면이다.
도 11은 고장 검출 회로의 고장 검출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출력 라인에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가 형성된 전원 장치, 및 이들 전원 장치가 복수 병렬로 접속된 전원 시스템에 관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전원 장치가 병렬 접속된 전원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전원 장치를 병렬 접속함으로써, 부하(負荷)에 큰 전력을 공급하거나 한쪽 전원이 고장났을 때의 백업으로서 기능한다.
도 1에, 2개의 플라이백형(flyback type)의 스위칭 컨버터를 병렬 접속한 종래의 전원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원 시스템(100)은, 제1 스위칭 컨버터(10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를 포함하고, 이들이 부하(103)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컨버터(10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는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이하,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스위칭 컨버터(101)는, AC 입력 단자(111)와, 입력 필터(112)와, 정류 회로(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위칭 컨버터(101)에는 AC 입력 단자(111)로부터, 예를 들면, 상용(商用)의 교류 전압이 입력된다. 입력된 교류 전압은 입력 필터(112)에 공급된다. 입력 필터(112)는 입력된 교류 전압으로부터 전원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원 노이즈를 제거한 교류 전압을 정류(整流) 회로(113)에 공급한다. 정류 회로(113)는 공급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소정의 전압값으로 된 직류(DC) 입력 전압(Vin)을 출력한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01)는 1차 와인딩(winding)(114a)과 2차 와인딩(114b)을 가지는 트랜스(114), 스위칭 소자(115), 펄스폭 변조 (PWM: pulse width modulating) 회로(116), 정류용 다이오드(117) 및 평활용(平滑用) 콘덴서(118)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트랜스(114)의 1차 와인딩(114a)의 일단(一端)에는, 정류 회로(113)가 접속되고, 이 정류 회로(113)로부터 직류 입력 전압(Vin)이 인가(印加)된다. 또, 이 트랜스(114)의 1차 와인딩(114a)의 타단은 스위칭 소자(115)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칭 소자(115)는, 예를 들면,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이루어진다. 이 스위칭 소자(115)는 그 게이트에 펄스폭 변조 회로(116)가 접속되어 있고, 이 펄스폭 변조 회로(116)로부터 공급되는 PWM 신호에 의해 펄스 구동된다. 그리고, 이 스위칭 소자(115)는 PWM 신호에 의한 펄스 구동에 따라 트랜스(114)의 1차 와인딩(114a)으로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한다.
트랜스(114)의 2차 와인딩(114b)은 일단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트랜스(114)의 2차 와인딩(114b)의 타단에는, 정류용 다이오드(117)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용 다이오드(117)의 캐소드는 평활용 콘덴서(118)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용 다이오드(117)의 캐소드와 평활용 콘덴서(118)와의 접속점을 D점으로 한다. 트랜스(114)의 2차 와인딩(114b)은 스위 칭 소자(115)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1차측으로부터 전압이 유기(誘起)된다. 정류용 다이오드(117) 및 평활용 콘덴서(118)는 2차 와인딩(114b)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동시에 평활화하여, D점에 직류 전압(Vp)을 발생시킨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01)는 분압기(分壓器)(119), 분압기(120), 출력 전압 오차 검출용 차동 증폭기(121), 기준 전압(Vref)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원(122) 및 발광 다이오드(124)와 포토트랜지스터(125)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123)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분압기(119)와 분압기(120)는 D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차동 증폭기(121)는 반전 입력 단자가 분압기(118)와 분압기(119)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가 기준 전압원(122)의 포지티브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준 전압원(122)의 네거티브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123)의 발광 다이오드(124)는, 애노드가 D점과 접속되고, 캐소드가 차동 증폭기(121)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123)의 포토트랜지스터(125)는 이미터(emitter)가 그라운드와 접속되고, 컬렉터(collector)가 펄스폭 변조 회로(116)와 접속되어 있다.
차동 증폭기(121)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D점에서 얻어지는 직류 전압(Vp)을 분압기(119)와 분압기(120)와의 분압비로 분압한 직류 전압(Vp)이 입력된다. 또, 차동 증폭기(12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원(122)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차동 증폭기(121)는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와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분압된 직류 전압(Vp)과 기준 전압(Vref)과의 오차 전압을 출력한다. 이 오차 전압은 포토커플러(123)를 통해 펄스폭 변조 회로(116)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펄스폭 변조 회로(116)는 이 오차 전압에 따라 D점에 생기는 직류 전압(Vp)을 일정한 전압으로 안정화시키도록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가변(可變)하여, 스위칭 소자(115)를 스위칭한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01)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 출력 저항(127)과,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 및 네거티브 출력 단자(129)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는 애노드가 D점과 접속되고, 캐소드가 출력 저항(127)을 통해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에 접속되어 있다. 또, 네거티브 출력 단자(129)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전원 시스템(100)은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1 스위칭 컨버터(10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가 병렬로 접속되어, 부하(103)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가 접속되어, 부하(103)의 포지티브 전원 입력 단자(10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네거티브 출력 단자(129)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네거티브 출력 단자(129)가 접속되어, 부하(103)의 네거티브 전원 입력 단자(105)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전원 시스템(100)에서는, 하나의 스위칭 컨버터로 출력되는 전력 이상의 큰 전력을 부하(103)에 대하여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원을 병렬 접속하는 경우, 각 전원의 출력 전압에 미소한 전위차가 생긴다.
그러므로, 이 종래의 전원 시스템(100)에서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에 의해, 높은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컨버터로부터 낮은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컨버터에의 전류의 유입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출력 저항(127)에 의해 그 전위차를 흡수하여 2개의 스위칭 컨버터로부터 부하(103)로 공급되는 전류량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D점에 발생하는 전압(Vp)의 전압값을 구체적으로 Vp1로 하고,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D점에 발생하는 전압(Vp)의 전압값를 구체적으로 Vp2로 하여, Vp1<Vp2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로부터 직류 전류(I1)가 출력되고,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로부터 직류 전류(I2)가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만약 이와 같은 경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스위칭 컨버터(102)로부터 출력된 전류(I2)의 일부(역류 전류(Ir))가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분압기(119, 120)로 흘러 들어와, D점에 발생하는 전압(Vp1)이 일정하게 되지 않아 안정되지 못하다. 그러나, 제1 스위칭 컨버터(101)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압기(119, 120)에 역류전류(Ir)가 흘러 들어오지 않아, 일정하고 안정된 전압(Vp1)을 D점에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만약 이 출력 저항(127)이 전원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A점의 직류 전압(Vp)이 높은 제2 스위칭 컨버터(102)가 부하 전류(Io)를 100% 부담하고, A점의 직류 전압(Vp)이 낮은 제1 스위칭 컨버터(101)가 부하 전류(Io)를 전혀 부담하지 않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전원 시스템(100)에서는, 출력 저항(127)이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I1, I2)가 증가하는 데에 따라, 그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VR)이 증가하여,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에 발생하는 출력 전압(VS)을 직선적으로 강하시킨다. 그러므로, 이 전원 시스템(100)에서는, 제1 스위칭 컨버터(101) 및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양자가 부하 전류(Io)를 부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스위칭 컨버터(101, 10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I1, I2)와, 이 전원 시스템(100)이 부하(103)에 공급하는 전압(VS)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 2에 나타낸다.
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D점의 전압(Vp1)과,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D점의 전압(Vp2)에 미소한 전위차가 발생하고 있어도, D점과 출력 단자(128)사이에는 출력 저항(12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출력 저항(127)으로 직선적인 전압 강하(VR)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출력 단자(128)로부터 부하(103)에 인가하는 출력 전압(VS)이 일정하게 되었을 때에도, 부하(103)에 공급하는 전류가 양자로부터 분류된다. 예를 들면, 출력 전압(VS)이 12V였다고 하면, 제1 스위칭 컨버터(101)의 출력 단자(128)로부터 4A의 출력 전류가 출력되고, 제2 스위칭 컨버터(102)의 출력 단자(128)로부터 6A의 출력 전류가 출력된다. 또, 출력 저항(127)의 값을 크게 한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력 전류에 대한 출력 전압의 강하 비율이 커지지만, 출력 전류의 부담비율은 작아진다.
또,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스위칭 컨버터(101, 102)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는, 흐르는 전류량이 어느 일정 이상이면, 출력 저항(125)과 동일하게 강하 전압(VF)이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출력 전류가 어느 일정 이상 흐르고 있으면, 출력 저항(127)과 동일하게 포지티브 출력 단자(128)에 발생하는 출력 전압(VS)을 직선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다.
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를 포함했을 때의 각 스위칭 컨버터(101, 102)의 출력 단자(128)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VS)의 전압 강하량(Vdp)은 아래와 같이 된다.
Vdp= VF+ VR
그런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는 흐르는 전류량이 어느 일정값보다 적을 때에는, 그 강하 전압(VF)이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지 않고, 변화량이 커진다. 예를 들면,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의 경우,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류-전압 특성을 갖고 있다. 이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쇼트키 다이오드의 경우, 흐르는 전류가 2A 이하인 경우,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전압 변화량이 매우 커지고 있다.
또, 개개의 전원 장치마다 각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26)의 온도 특성 등에 불균일이 있고, 또, 온도나 시간 경과 변화에 의해서도, 특성이 변화된다. 또한, 출력 저항(127)도, 역시 개개의 전원 장치마다 불균일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 시스템(100)에서는, 개개의 전원 장치의 전압 강하가 직선적으로 되지 않고, 제1 스위칭 컨버터(10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I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0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I2)와의 불균일이 커져 버려, 부하 전류(Io)의 부담 비율에 편향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와 같이 부하 전류(Io)에 편향이 발생하면 , 제품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출력 라인에 설치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전압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안정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전원 장치, 및, 이들 전원 장치가 복수 병렬로 접속된 전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 장치는
직류(DC) 전압원;
외부 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상기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애노드(anode)가 상기 직류 전압원에 접속되고, 캐소드(cathode)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형성된 다이오드(diode);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順方向) 전압 검출 수단;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 및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키는 전원 장치이다.
이 전원 장치에서는,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설치된 다이오드가 외부에서의 역류 방지용으로서 기능하고,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 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 성분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 시스템은 복수의 전원 장치가 외부 부하에 병렬로 접속된 전원 시스템으로서, 각 전원 장치는
직류 전압원;
외부 부하와 접속되어, 상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상기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애노드가 상기 직류 전압원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형성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 및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이 전원 시스템에서는, 각 전원 장치의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설치된 다이오드가 외부로부터의 역류 방지용으로서 기능하고,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 성분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원 시스템은 통상 참조 번호 (10)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 시스템(10)은 서로 병렬로 접속한 2개의 플라이백형 스위칭 컨버터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전원 시스템(1)은 제1 스위칭 컨버터(1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를 포함하고, 이들이 부하(13)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컨버터(1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는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하, 제1 스위칭 컨버터(11)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AC 입력 단자(21)와, 입력 필터(22) 및 정류 회로(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위칭 컨버터(11)에는, AC 입력 단자(21)로부터, 예를 들면, 상용의 교류 전압이 입력된다. 입력된 교류 전압은, 입력 필터(22)에 공급된다. 입력 필터(22)는 입력된 교류 전압으로부터 전원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원 노이즈를 제거한 교류 전압을 정류 회로(23)에 공급한다. 정류 회로(23)는, 공급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소정의 전압값으로 된 직류 입력 전압(Vin)을 출력한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1차 와인딩(24a)과 2차 와인딩(24b)을 가지는 트랜스(24), 스위칭 소자(25), 펄스폭 변조(PWM) 회로(26), 정류용 다이오드(27) 및 평활용 콘덴서(28)를 구비하고 있다.
트랜스(24)의 1차 와인딩(24a)의 일단에는, 정류 회로(23)가 접속되고, 이 정류 회로(23)로부터 직류 입력 전압(Vin)이 인가된다. 또, 이 트랜스(24)의 1차 와인딩(24a)의 타단은 스위칭 소자(25)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칭 소자(25)는, 예를 들면, FET이다. 이 스위칭 소자(25)는 그 게이트에 펄스폭 변조 회로(26)가 접속되어 있고, 이 펄스폭 변조 회로(26)로부터 공급되는 PWM 신호에 의해 펄스 구동된다. 그리고, 이 스위칭 소자(25)는 이 PWM 신호에 의한 펄스 구동에 따라 트랜스(24)의 1차 와인딩(24a)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한다.
트랜스(24)의 2차 와인딩(24b)은 일단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스(24)의 2차 와인딩(24b)의 그라운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일단에는, 정류용 다이오드(27)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용 다이오드(27)의 캐소드는 평활용 콘덴서(28)를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정류용 다이오드(27)의 캐소드와 평활용 콘덴서(28)와의 접속점을 A점으로 한다.
트랜스(24)의 2차 와인딩(24b)은 스위칭 소자(25)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1차측으로부터 전압이 유기된다. 정류용 다이오드(27) 및 평활용 콘덴서(28)는 2차 와인딩(24b)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는 동시에 평활화하여, A점에 직류 전압(VQ)을 발생시킨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전류 검출용 저항(30)과,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와, 포지티브 출력 단자(33)와, 네거티브 출력 단자(34)를 구비하고 있다.
전류 검출용 저항(30)은 일단이 A점에 접속되고, 타단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 드(31)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는 캐소드가 포지티브 출력 단자(33)에 접속되어 있다. 또, 네거티브 출력 단자(34)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와, 전류 검출용 저항(30)과의 접속점을 B점으로 한다. 또, 전류 검출용 저항(30)의 발생 전압을 VR로 하고,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을 VF로 한다.
전류 검출용 저항(30)은 출력 단자(33)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기위해 사용된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는 외부로부터 역류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직렬 접속된 분압기(36) 및 분압기(37), 오프셋 저항(38), 출력 전압 오차 검출용 차동 증폭기(39), 기준 전압(Vref)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원(40), 저항(41), 발광 다이오드(43)와 포토트랜지스터(44)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42)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와, VF 보정 회로(46)를 포함하고 있다.
분압기(36)는 일단이 B점에 접속되고, 타단이 분압기(37)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기(37)는 분압기(36)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일단이 오프셋 저항(38)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분압기(36)와 분압기(37)와의 접속점은 차동(差動) 증폭기(39)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기준 전압원(40)은 네거티브 단자가 오프셋 저항(38)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단자가 차동 증폭기(3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저항(41)을 통해 A점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42)의 발광 다이오드(43)는 애노드가 A점과 접속되고, 캐소드가 차동 증폭기(39)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42)의 포토트랜지스터(43)는 이미터가 그라운드와 접속되고, 컬렉터가 펄스폭 변조 회로(26)와 접속되어 있다.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는 전류 검출용 저항(30)의 발생 전압(VR)을 검출하고, 검출한 발생 전압(VR)에 비례하여 증감되는 보정 전류를 분압기(37)에 주입한다. 즉, 출력 전류량에 비례한 보정 전류가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로부터 분압기(37)에 주입된다.
VF 보정 회로(46)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을 검출하고, 검출한 순방향 전압(VF)에 비례한 보정 전류를 오프셋저항(38)에 주입한다.
차동 증폭기(39)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B점에서 얻어지는 직류 전압(Vp)을 분압기(36, 37)의 분압비로 분압한 직류 전압에 대하여,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로부터 발생되는 보정 전류와 분압기(37)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이 가해진 전압이 입력된다.
또, 차동 증폭기(3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원(40)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전압(Vref)과, VF 보정 회로(46)로부터 발생되는 오프셋 전압(VF )이 가해진 전압(Vref+VF)이 입력된다. 차동 증폭기(39)는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와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오차 전압으로서 출력한다. 오차 전압은 포토커플러(42)를 통해 펄스폭 변조 회로(26)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펄스 변조 회로(26)는 이 오차 전압이 네거티브인 때 온(on) 기간을 짧게 하도록 PWM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변경하고, 이 오차 전압이 포지티브인 때 온 기간을 길게 하도록 PWM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B점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안정화시키도록 스위칭 소자(25)를 스위칭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포지티브 출력 단자(33)와 네거티브 출력 단자(34) 사이에 안정화된 직류 출력 전압(VS)을 출력한다.
전원 시스템(10)은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1 스위칭 컨버터(1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가 부하에 병렬로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스위칭 컨버터(11)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33)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의 포지티브 출력 단자(33)가 접속되어, 부하(13)의 포지티브 전원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스위칭 컨버터(11)의 네거티브 출력 단자(34)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의 네거티브 출력 단자(34)가 접속되어, 부하(13)의 네거티브 전원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전원 시스템(10)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부하(13)에 대하여 하나의 스위칭 컨버터로 출력되는 전력 이상의 큰 전력을 부하(13)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전원 시스템(1)에서는, 어느 한쪽의 스위칭 컨버터가 동작 불능으로 되었을 때에 다른 쪽의 정상적인 스위칭 컨버터에 의해 백업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VF 보정 회로(46)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VF 보정 회로(46) 및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의 양자가 기능하고 있지 않다고 한 경우, 제1 스위칭 컨버터(11)로부터 발생되는 출력 전류를 I1, 출력 전압을 VS라고 하면, 도 6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전류/전압 특성으로 된다. 즉, 이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B점의 전압(Vp)을 일정하게 하도록 피드백(feedback) 제어되어 있으므로, B점과 출력 단자(33) 사이에 설치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만큼 감소된 출력 전압(VS)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VF 보정회로(46)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을 검출하고, 이 순방향 전압(VF)에 비례한 보정 전류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보정 전류를 오프셋 저항(38)에 주입함으로써, 오프셋 저항(38)에 오프셋 전압(Voffset)을 발생시켜, 기준 전압(Vref)을 상승시키고 있다. 즉, 도 6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기준 전압원(40)에 의해 출력된 기준 전압(Vref)과 VF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된 오프셋 전압(Voffset)을 합한 전압(Vref + Voffset)이 출력되어, B점의 직류 전압(Vp)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분이 상쇄되어, 포지티브 출력 단자(33)서 출력된 출력 전압(VS)이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온도와 출력 전류(I1)에 관계 없이 일정한 전압으로 된다.
이 VF 보정 회로(46)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산 증폭기( 오퍼레이셔널 앰프(operational amplifier))의 반전/증폭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는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입력저항(Rs)을 통해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출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는 피드백 저항(Rf)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출력 전압(Va)은, 하기식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값으로 된다.
Va = (1 + Rf/Rs) ×VF
예를 들면, Rs = 10 kΩ, Rf = 250 kΩ라고 하면, Va = 26 × VF로 된다.
따라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과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출력 전압(Va) 사이의 출력 특성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전원 전압을 단전원(單電源)의 +20V로 하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이 0∼0·8V 사이에서 리니어(linear)하게 증폭되지만, VF가 0·8 이상인 경우에는 출력이 20볼트에서 클램프(clamp)된다. 이와 같이 전원 전압으로 출력 전압(Va)를 클램프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파괴 등 에 의해 순방향 전압(VF)이 이상 상승한 경우라도, B점의 전압(Vp)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 전압(Va)을 클램프시키는 조건은, 이하와 같다. 즉,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의 최대값을 VFMAX,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출력 최대 전압을 VaMAX로 하면, 오퍼레이셔널 앰프(51)의 증폭률(G)은
G = VaMAX/VFMAX
로 된다.
그리고, VF 보정 회로(46)는 이와 같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을 검출하여, 출력 저항(52)을 통해 검출 전압(VF)에 비례한 보정 전류를 오프셋 저항(38)에 주입한다.
이 결과,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분이 상쇄되어, 출력 단자(33)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VS)이 온도나 출력 전류(I 1)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다음에,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는 제1 스위칭 컨버터(11)와 제2 스위칭 컨버터(12)사이의 출력 전압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출력 전류량에 따라 출력 전압이 직선적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전류 검출용 저항(30)에는, 출력 전류에 비례한 전압(VR)이 발생한다.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는 전류 검출용 저항(30)에 발생하는 전압(VR)을 검출하고, 이 발생 전압(VR)에 비례한 보정 전류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보정 전류의 주입량에 비례하여, 분압기(36)와 분압기(37)와의 접속점의 전압값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출력 전압 오차 검출용 차동 증폭기(39)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출력 전류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이 제1 스위칭 컨버터(11)는 출력 전류(I1)의 증가에 따라, 출력 전압(VS)이 비례적으로 감소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시스템(10)에서는, 출력 전류 검출/보정 회로(45) 및 VF 보정 회로(46)를 설치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력전류(I1)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출력 전압(VS)이 감소된다.
이 전원 시스템(10)에서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을 검출하고, 이 순방향 전압(VF)의 강하량을 보정하여 스위칭 전압의 안정화 제어를 하므로, 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 강하량이나 온도 불균일의 영향을 제거한 출력 전압(VS)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원 시스템(10)에서는, 출력 전류량을 검출하고, 이 출력 전류량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VS)을 강하시키므로, 전압 강하용 출력 저항이나 배선 저항의 저항값 세트마다의 불균일의 영향, 온도 특성에 따른 불균일을 없앨 수 있어, 직선적인 전압 강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직선적인 전압 강하가 저항값 그 자체로 결정되어 있었지만, 전원 시스템(10)에서는, 전류 검출용 저항(30)의 저항값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메이커 표준의 저항값을 사용할 수 있어, 염가의 저항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스 단자(sense terminal)(60)를 설치하고,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애노드로부터 부하(13)의 플러스 단자까지의 전압 강하를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배선 상태 등으로 발생하는 배선 저항의 저항값의 불균일에 의한 각 스위칭 컨버터마다의 전압 강하의 불균일도 보정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같이, VF 보정 회로(46) 내의 오퍼레이셔널 앰프 출력 전압(Va)을 검출하여,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고장 검출 회로(61)를 설치해도 된다.
이 고장 검출 회로(61)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출력 전압(Va)이 17.5V 이상인가 또는, 출력 전압(Va)이 2.5V 이하 인가를 검출한다. 고장 검출 회로(61)는 오퍼레이셔널 앰프의 출력 전압(Va)이 2.5볼트 이하인 경우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이 너무 작다고 판단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또, 고장 검출 회로(61)는 오퍼레이셔널 앰프의 출력 전압이 17.5볼트 이상인 경우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의 순방향 전압(VF)이 너무 크다고 판단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VF 보정 회로(46)의 오퍼레이셔널 앰프의 출력 전압(Va)을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31)가 단락(短絡)되어 있거나, 오픈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알람 신호를 제어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원 등을 스톱할 수 있어, 안전 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전술한 상한의 전압값(17.5볼트)이나 하한의 전압값(2.5볼트)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어떠한 값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 장치에서는,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설치된 다이오드가 외부로부터의 역류 방지용으로서 기능하고,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 성분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이 전원 장치에서는, 출력 라인에 설치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전압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또한, 출력 전류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출력 전압이 강하되어, 고정밀도로 안정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 시스템에서는, 각 전원 장치의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설치된 다이오드가 외부에서의 역류방지용으로서 기능하고,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 성분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각 전원 장치에서는, 출력 라인에 설치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전압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또한, 출력 전류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출력 전압이 강하되어, 고정밀도 로 안정된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직류(DC) 전압원;
    외부 부하와 접속되고, 상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상기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애노드(anode)가 상기 직류 전압원에 접속되고, 캐소드(cathode)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형성된 다이오드(diode);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順方向) 전압 검출 수단;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 및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키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sensing)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비례하여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전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준 전압원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와의 차분(差分) 전압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에 가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키는 전원 장치.
  6. 복수의 전원 장치가 외부 부하에 병렬로 접속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전원 장치는
    직류 전압원;
    외부 부하와 접속되어, 상기 외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상기 직류 전압원과 출력 단자 사이에, 애노드가 상기 직류 전압원에 접속되 고, 캐소드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형성된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 및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키는 전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 전원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 상승을 정지시키는 전원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각 전원 장치는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원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각 전원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순방향 전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류에 비례하여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전원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각 전원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기준 전압원과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와의 차분 전압에 따라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순방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순방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에 가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위를 상승시키는 전원 시스템.
KR1020010044619A 2000-07-28 2001-07-24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KR100788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9726A JP4453172B2 (ja) 2000-07-28 2000-07-28 電源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JPJP-P-2000-00229726 2000-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99A KR20020010499A (ko) 2002-02-04
KR100788026B1 true KR100788026B1 (ko) 2007-12-21

Family

ID=1872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619A KR100788026B1 (ko) 2000-07-28 2001-07-24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25947B2 (ko)
JP (1) JP4453172B2 (ko)
KR (1) KR100788026B1 (ko)
CN (1) CN1218463C (ko)
MY (1) MY1271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0812A1 (en) * 2000-09-28 2002-05-02 Michael Hoffman Tri-range power supply system
JP3463675B2 (ja) * 2001-06-29 2003-11-05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R2830386B1 (fr) * 2001-10-02 2003-12-05 Schneider Electric Ind Sa Dispositif de couplage pour un systeme de transmission a courant porteur a bas debit
US6738268B1 (en) * 2001-11-28 2004-05-18 Em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signals to operating circuitry mounted on circuit boards
JP4214484B2 (ja) * 2002-12-12 2009-01-2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KR100909576B1 (ko) * 2004-02-17 2009-07-29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내장형 공급 스위칭을 가진 스위칭 전원 제어기
JP2005261112A (ja) * 2004-03-12 2005-09-22 Sanken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3979417B2 (ja) * 2004-11-29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回路、電子機器、半導体装置、電力供給制御回路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4618121B2 (ja) * 2005-12-26 2011-0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JP4983177B2 (ja) * 2006-09-15 2012-07-25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電源装置の過熱検出回路
CN101188363B (zh) * 2006-11-17 2010-07-21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充电模块
US7554318B2 (en) * 2007-03-13 2009-06-30 Taipei Multipower Electronics Co., Ltd. Transient reversing voltage detecting circuit
WO2008126282A1 (ja) * 2007-03-30 2008-10-23 Fujitsu Limited 増幅回路
JP4380747B2 (ja) * 2007-07-25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充電装置
JP2011004503A (ja) * 2009-06-18 2011-01-06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電源装置及び補正回路
EP2369127A1 (en) * 2010-03-09 2011-09-2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rock drill bit, a drill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percussive rock drilling
CN102332827B (zh) * 2011-06-24 2014-08-2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具省电机制的电源转换器及电源转换方法
JP6020212B2 (ja) * 2013-01-30 2016-11-02 Tdk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電源システム
CN104333230A (zh) * 2014-11-13 2015-02-04 江苏兆伏爱索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逆变器的boost电路
TWI575837B (zh) * 2015-12-29 2017-03-21 律源興業股份有限公司 切換式電源供應器及使用其之電源供應設備
JP6149953B1 (ja) * 2016-02-01 2017-06-2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保護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
CN111385941A (zh) * 2018-12-26 2020-07-0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控制系统和照明系统
EP4060217A1 (en) 2021-03-18 2022-09-21 Hanil Tube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retainer and ver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322A (en) * 1997-08-14 2000-01-11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supply unit, parallel operation control circuit applied thereto, and parallel operation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0447A (ja) * 1999-06-01 2000-12-15 Sony Corp 電源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322A (en) * 1997-08-14 2000-01-11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supply unit, parallel operation control circuit applied thereto, and parallel operat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7169A (en) 2006-11-30
JP4453172B2 (ja) 2010-04-21
KR20020010499A (ko) 2002-02-04
US20020015317A1 (en) 2002-02-07
US6525947B2 (en) 2003-02-25
CN1348250A (zh) 2002-05-08
JP2002051557A (ja) 2002-02-15
CN1218463C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026B1 (ko) 전원 장치 및 전원 시스템
US20040251854A1 (en) Power supply for lighting
US6122180A (en) SMPS with constant power control circuit
JP4050325B2 (ja) 電流及び電圧検出回路
US9974129B1 (en) Circuit and method for LED current regulation and ripple control
KR20110095771A (ko) 스위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스위치 제어방법
EP1058176B1 (en) Power unit, and power supply system
JP5612024B2 (ja) ハイサイド電流検出回路
US5387822A (en) Error signal isolator circuit
KR101919120B1 (ko) 음성인식 구동 led 장치
JPH0785648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回路
JPH09265328A (ja) アクティブダミー回路
JPH0241274B2 (ko)
JP352309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40095783A1 (en) Power circuit
JPH041588B2 (ko)
JPH082055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0143689Y1 (ko) 주파수 변환회로
KR93000356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과전압 보호회로
KR0172862B1 (ko) 스위칭 전원장치의 펄스 폭 제어 회로
KR930002309Y1 (ko) 고압출력 안정화회로
JPH07336881A (ja) 電源装置およびその電力供給方法
JP2001145345A (ja) 出力電圧監視回路付き電源回路
JPH0518288U (ja)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ータの過電流保護回路
JPH0526074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電流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