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582B1 -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582B1
KR100787582B1 KR1020010041689A KR20010041689A KR100787582B1 KR 100787582 B1 KR100787582 B1 KR 100787582B1 KR 1020010041689 A KR1020010041689 A KR 1020010041689A KR 20010041689 A KR20010041689 A KR 20010041689A KR 100787582 B1 KR100787582 B1 KR 10078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molten iron
melt
level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118A (ko
Inventor
한후재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5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1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28Devices for monitoring the level of the m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용선 및 슬래그가 흐르는 대탕도를 개폐하여 용선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탕도(10)로 출입하여 대탕도(10) 내 용선(50) 및 슬래그(40) 등의 용융물(3)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기와, 상기 레벨기에 연동하여 상기 대탕도(10) 내 용선(50) 및 슬래그(40) 등의 용융물(3)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및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한을 감지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탕도(10) 내로 레벨기를 출입시켜 슬래그(40)를 제거하고, 전체 용융물(3)의 레벨을 하향시키므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모래포를 인력으로 투입하여 모래둑을 형성하지 않고도 대탕도(10) 내 용선(50)이 대탕도(10), 특히 제2블럭(3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레벨기에 의해 제어토록 하므로써 인력의 소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부터 오는 작업환경의 열악화 및 안전사고 등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대탕도, 용선, 스키머, 레벨기, 용선 레벨, 레벨상한인식

Description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Levell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lten iron runner of blast furnace}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의 출선구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의 흐름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고로의 대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고로의 대탕도를 모래포를 이용하여 커트작업을 실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의 레벨기가 고로의 대탕도로 하강 작동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의 레벨기가 고로의 대탕도로 하강 작동한 후, 재상승하여 대탕도 내 용융물의 수준이 하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의 레벨기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의 레벨기에 연동되는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장치의 레벨기의 동작에 따라 대탕도의 용선 및 슬래그의 수준을 조절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로 2 : 출선구
3 : 용융물 4 : 대탕도상부커버
4a : 대탕도상부 10 : 대탕도
20 : 제1블럭
20a : 레벨기 하강시 대탕도 제1블럭 및 제2블럭에서 슬래그가 넘치는 모습
20b : 레벨기 재상승한 후 대탕도 제1블럭의 모습
20-1 : 제1블럭모래둑 20-2 : 제1블럭모래둑
30 : 제2블럭
30a : 레벨기 하강시 대탕도 제1블럭 및 제2블럭에서 용선이 넘치는 모습
30b : 레벨기 재상승한 후 대탕도 제2블럭의 모습
30-1 : 제2블럭모래둑 30-2 : 제2블럭모래둑
40 : 슬래그 50 : 용선
50a : 용융물의 표면
60 : 스키머 70 : 커트기
70a : 지지프레임 70b : 지지프레임
70c : 내화물지지철피 70d : 스터드볼트
70e : 내열내화물 70-1 : 커트기축
71 : 에어실린더 71a : 연결어댑터
71b : 어댑터연결구 72 : 제어기유도보조대
73 : 연결호스 74 : 전자변
75 : 감압밸브 76 : 에어필터
77 : 수동밸브 78 : 구동에어라인
79 : 유도보조대유도로 80 : 용선접촉부
80a : 가이드셀 80b : 비중기유도레일
81 : 내화물지지철심 81a : 비중기플레이트
82 : 내화물 83 : 비중기스토퍼
84 : 용선레벨인식체 84a : 이동로
85 : 용선레벨인식센서 85a : 레벨인식센서고정대
86 : 센서고정프레임 87 : 레벨상한인식검지부
88 : 결합심 90 : 제어패널
100 : 경보장치
본 발명은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온의 용선 및 슬래그가 흐르는 대탕도를 개폐하여 용선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의 출선구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물로서는 용선과 슬래그가 있으며, 이들 용선과 슬래그는 대탕도를 따라 이송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에서의 용융물(3) 배출구인 출선구(2)를 작업자가 개공기를 이용하여 출선구(2)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용융물(3)이 고로(1) 외부로 배출되어 대탕도(10)를 지나면서 용선(50 ; 비중 7.8)과 슬래그(40 ; slag ; 비중 2.3)의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즉, 비중이 작은 슬래그(40)가 비중이 큰 용선(50) 상에 위치하며, 대탕도(10) 상에 대탕도(10)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스키머(60 ; skimmer)에 의해 분리된다. 용선(50)은 상기 스키머(60)의 하방을 통과하여 지탕도(용선이 흐르는 유로폭이 좁아지는 부위 ;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음)로 흘러 경주통(용선을 이송차량에 투입할 수 있도록 가변되는 장치 ;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용선이송차량에 일정량씩 담겨 후공정에 보내지게 되며, 상기 대탕도(10)의 스키머(60)에 의해 용선(50)으로부터 분리된 슬래그(40)는 재탕도(슬래그(40)가 흐르는 통로 ;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음)인 슬래그(40) 러너(slag runner)를 통해 괴재처리되거나 슬래그(40)를 세립화시키는 수재처리설비(slag granuiration)에 의해 수재처리된다.
고로(1)에서의 출선작업은 분회식으로 이루어지며, 일정량 씩의 상기한 출선작업이 반복되는 과정에 있어서 대탕도(10)를 관리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대탕도(10)를 통한 출선작업에 있어서, 대탕도(10)를 적절히 개폐작업(cut work)을 하여야 하나, 대탕도(10) 내의 용선(50) 등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일단 출선구(2)의 폐쇄 후에는 수작업으로 대탕도(10)를 개폐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 2인 1조로 모래포에 모래를 적정량 담아 대탕도상부커버(4)에 올라가서 제1블럭(20)과 제2블럭(30)까지 운반하여 출선구(2)로부터 슬래그(40) 및 용선(50)이 전량 커트(cut)될 때까지 대기하여 목측으로 확인한 후, 출선구(2)에서의 커트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블럭(20)과 제2블럭(30) 각각에 모래를 투척하여 제1블럭(20)과 제2블럭(30)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업은 대탕도(10)에서 발생되는 복사열(150℃ 이상)에 의해 작업자가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등 작업환경의 열악화 및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대탕도(10)에 모래를 투척할 때 대탕도(10)에 잔류하는 용융물(3)로부터 비산이 일어나 작업자에게 화상을 입힐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출선구(2) 폐쇄시간이 지나치게 경과한 경우, 차기 출선시 대탕도(10) 상부의 슬래그(40)가 냉각에 의해 팽창되어 제1블럭(20)과 제2블럭(30)을 차단하고 있는 제1블럭모래둑(20-1, 20-2) 및 제2블럭모래둑(30-1, 30-2)을 붕괴시키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슬래그(40) 및 용선(50)의 넘침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역시 수작업에 의하여 상기 모래둑들을 파괴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렛대와 해머 등 물리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타격 등을 가하여 상기 모래둑들을 물리적으로 파괴시켜야 만 하며, 이러한 작업 역시 작업자들이 고로(1) 및 대탕도(10)의 고열과 가스, 분진 등에 그대로 노출되어 화상 기타 가스중독 등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상기 셋째 항의 수작업에 의한 모래둑들의 파괴작업시, 제1블럭(20)과 제2블럭(30) 내의 용선(50) 및 슬래그(40)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도 용선(50)과 슬래그(40)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 주상에 설치되어 있는 산소용접기 등을 이용, 용해에 의한 제거작업을 역시 수작업으로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적어도 5명 정도의 다수의 작업자들(밸브조작요원 1명, 산소호스관리요원 1명, 중간밸브조작요원 1명, 작업보조자 1명, 작업자 1명 등)이 요구되어 작업인력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이들 작업자들에게도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의 대탕도를 자동적으로 개폐하고, 용선(50) 및 슬래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는, 대탕도로 출입하여 대탕도 내 용선 및 슬래그 등의 용융물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기와, 상기 레벨기에 연동하여 상기 대탕도 내 용선 및 슬래그 등의 용융물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및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한을 감지하는 용선 레벨인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벨기는 대탕도의 용융물 내로 출입하는 커트기와, 상기 커트기를 상하로 가변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와, 상기 커트기와 에어실린더를 서로 연결하는 커트기축과 연결어댑터와, 상기 연결어댑터에 취부되는 제어기유도보조대와, 상기 에어실린더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동에어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는 내화물지지철심과, 상기 내화물지지철심을 감싸는 가이드셀과, 상기 가이드셀의 일측면에 상기 레벨기의 제어기유도보조대에 연동되는 비중기스토퍼와, 상기 내화물지지철심의 하단부에 취부되는 결합심과 상기 결합심의 외부를 감싸면서 대탕도의 용융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내화물로 되는 용선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는 상기 가이드셀의 타측면에 상기 비중기스토퍼와 대향되는 위치에 취부되는 용선레벨인식체와 면접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레벨의 상한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상한인식검지부 및 상기 레벨상한인식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기의 하강운동에 의해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가 함께 하강하면서 레벨기의 용융물 내부로의 침입에 의해 용선과 슬래그를 포함하는 용융물의 레벨이 상승할 때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승 및 그에 의하여 상기 용융물제어비중기의 용선레벨인식체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의 용선레벨인식센서에 접근하면 용융물의 상한을 감지하여 상기 레벨기를 상승시켜 용융물의 레벨이 대탕도의 내부에 저류되도록 하여 용선(50)이 제2블럭을 지나쳐서 지탕도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용선(50)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는 대탕도(10)로 출입하여 대탕도(10) 내 용선(50) 및 슬래그(40) 등의 용융물(3)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기와, 상기 레벨기에 연동하여 상기 대탕도(10) 내 용선(50) 및 슬래그(40) 등의 용융물(3)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및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한을 감지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서와 같이, 대탕도(10)의 스키머(60) 상부에는 대탕도상부커버(4)가 대탕도(10)의 길이만큼 설치되어 있다. 대탕도(10)는 출선구(2)에서부터 제2블럭(30)까지가 약 11° 정도의 경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벨기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대탕도(10) 내 용융물(3)의 레벨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탕도(10)의 용융물(3) 내로 출입하는 커트기(70)와, 상기 커트기(70)를 상하로 가변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71)와, 상기 커트기(70)와 에어실린더(71)를 서로 연결하는 커트기축(70-1) 및 연결어댑터(71a)와, 상기 연결어댑터(71a)에 취부되는 제어기유도보조대(72)와, 상기 에어실린더(7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동에어라인(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벨기는 직경이 큰 사각형의 내화물지지철피(70c)가 상하 2단계로 서로 연결되고, 그 내화물지지철피(70c) 상부에는 와이자형의 내화물(82) 탈락방지용 스터드볼트(70d)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그 상부에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의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내화물(70e ; 캐스터블; castable)이 피복되어 용융물(3)과의 접촉시 용융물(3)에 의한 용융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탕도(10)의 제1블럭(20) 및 제2블럭(30)에 상기 레벨기의 보호를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온도감지 및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역시 상기한 제어패널(90)로 입력되어 온도조절을 위한 고로(1)의 작업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실린더(71)와 커트기축(70-1) 간의 연결어댑터(71a)를 통한 연결에는 어댑터연결구(71b) 등의 수단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71)는 상기 대탕도(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대탕도상부커버(4) 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70a, 70b)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70a, 70b)에는 상기 제어기유도보조대(72)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보조대유도로(79)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71)는 연결호스(73)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동에어라인(78)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71)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에어라인(78)에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1차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수동밸브(77), 압축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76), 압축공기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감압밸브(75) 및 압축공기의 흐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변(74) 등이 설치되며, 이들은 모두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는, 도 8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레벨기의 대탕도(10) 내 용융물(3) 내로의 출입에 따라 증감되는 대탕도(10) 내 용융물(3)의 레벨을 측정하고, 또한 그 상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화물지지철심(81)과, 상기 내화물지지철심(81)을 감싸는 가이드셀(80a)과, 상기 가이드셀(80a)의 일측면에 상기 레벨기의 제어기유도보조대(72)에 연동되는 비중기스토퍼(83)와, 상기 내화물지지철심(81)의 하단부에 취부되는 결합심(88)과 상기 결합심(88)의 외부를 감싸면서 대탕도(10)의 용융물(3)의 표면(50a)에 접촉하는 내화물(82)로 되는 용선접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심(88)을 둘러싸는 내화물(82)로 이루어지는 용선접촉부(80)는 비중기플레이트(81a)를 구성하며, 이 비중기플레이트(81a)의 저면이 곧 용선의 표면(50a)에 접촉하여 용선의 레벨에 따라 용선의 상한을 검출토록 한다. 상기 내화물지지철심(81)의 일측면에 취부되는 비중기스토퍼(83)의 반대면에는 용선레벨인식센서부의 용선레벨인식센서(85)와 면접하여 용선(50)의 상한을 감지하기 위한 용선레벨인식체(84)가 더 취부된다. 즉,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는 원통형 파이프의 형태가 되며, 그 양측 중간부를 비중기의 축방향으로 비중기유도레일(80b)이 바람직하게는 2개가 설치된다. 상기 용선접촉부(80)는 내화물지지철심(81)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심(88)에 의해 연결되며, 장시간 사용으로 손상되었을 경우,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는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가 작동할 때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이물질에 의한 용선(50) 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용선(50) 레벨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는 용선(50)보다 비중이 가볍고, 슬래그(40)보다 비중이 무거운 내침식성, 내화물(82) 재질로서 비중은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2가 되도록 하며,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제2블럭(30)의 내용적의 1/10이 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셀(80a)에는 후술하는 용선레벨인식체(84)가 이동하는 이동로(84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는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하 운동에 의해 용선(50)의 레벨을 감지하고, 그 상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셀(80a)의 타측면에 상기 비중기스토퍼(83)와 대향되는 위치에 취부되는 용선레벨인식체(84)와 면접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85)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레벨의 상한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상한인식검지부(87) 및 상기 레벨상한인식검지부(87)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선레벨인식체(84)는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에 의해 용선(50)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 자성을 띤 금속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수/발광센서 등 상용화된 접근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장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는 레벨인식센서고정대(85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레벨인식센서고정대(85a)는 통상 대탕도상부커버(4)에 취부된다. 상기 제어패널(90)에는 경보장치(100)가 더 연결되어 제어패널(90)에 의해 대탕도(10) 내 용선(50)이 상한에 다다르면 경고음이나 경고신호 등을 송출토록 한다.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는 대탕도상부(4a) 즉, 상기 대탕도상부커버(4)에 고정된 센서고정프레임(86)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탕도(10)의 저면이 용선(50)의 고화에 의해 그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의 높 이를 가변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센서고정프레임(86)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벨인식센서고정대(85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벨기의 하강운동에 의해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가 함께 하강하면서 레벨기의 용융물(3) 내부로의 침입에 의해 용선(50)과 슬래그(40)를 포함하는 용융물(3)의 레벨이 상승할 때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승 및 그에 의하여 상기 용융물(3)제어비중기의 용선레벨인식체(84)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의 용선레벨인식센서(85)에 접근하면 용융물(3)의 상한을 감지하여 상기 레벨기를 상승시켜 용융물(3)의 레벨이 대탕도(10)의 내부에 저류되도록 하여 용선(50)이 제2블럭(30)을 지나쳐서 지탕도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용선(5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벨기는 대탕도(10)의 스키머(60)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대탕도(10) 자체의 경사각(11°)에 의해 용융물(3)로서의 슬래그(40)와 용선(50)이 가장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1)의 대탕도(10)를 개폐하는 레벨기의 동작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로(1)로부터 방출된 용융물(3) 즉, 용선(50)과 슬라그의 배출 완료 시점에서 출선구(2) 폐쇄기 선회버튼을 동작시켜 출선구(2)를 폐쇄시키면서, 상기 레벨기의 동작을 위해 상기 에어실린더(71)의 전자변(74)을 동작시키면, 상기 전자변(74)에 의하여 그 흐름이 단속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71)가 작동하여 대탕도(10) 상의 레벨기가 하강하여 용융물(3) 중으로 투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벨기의 제어기유도보조대(72)에 걸려있던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비중기스토퍼(83)가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전체가 하강하면서 용선접촉부(80)가 용융물(3) 중의 슬래그(40)층을 지나 용선(50)의 표면에까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벨기의 커트기(70)의 용융물(3) 중의 투입으로 용융물(3)의 레벨이 상기 레벨기의 커트기(70)의 용적만큼 상승하게 되며, 그에 의해 도 5에서 20a 및 30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슬래그(40)의 일부가 재탕도인 슬래그러너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용선(50)은 스키머(60)의 하방을 통해 제2블럭(30)까지 유입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대탕도(10)에 저선된 용융물(3) 즉, 제2블럭(30)에서의 용선(50)의 레벨은 상승하게 된다. 용선(50)의 레벨이 상승하여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전체가 상승하면서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기 용선레벨인식체(84)가 용선레벨인식센서(85)에 접근하여 사전에 설정된 상한레벨이 검출되게 되면, 그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제어패널(90)에 입력되고, 그에 의해 용선(50)의 상한으로 판단하여 대탕도(10) 내의 레벨기를 재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레벨기의 재상승에 의해 레벨기의 커트기(70)가 대탕도(10) 내 용융물(3)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용융물(3)의 전체 레벨이 다시 하강하게 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탕도(10) 내 용융물(3) 즉, 슬래그(40)와 용선(50)의 레벨이 하강하여 20b 및 30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슬래그(40)나 용선(50) 어느것도 대탕도(10)의 제1블럭(20) 및 제2블럭(30)으로부터 흘러넘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출선작업 종료 후 종래처럼 수작업에 의해 모래둑을 형성하지 않아도 대탕도(10) 내의 슬래그(40) 및 용선(50) 이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대탕도(10)를 완전히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탕도(10) 내로 레벨기를 출입시켜 슬래그(40)를 제거하고, 전체 용융물(3)의 레벨을 하향시키므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모래포를 인력으로 투입하여 모래둑을 형성하지 않고도 대탕도(10) 내 용선(50)이 대탕도(10), 특히 제2블럭(30)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레벨기에 의해 제어토록 하므로써 인력의 소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부터 오는 작업환경의 열악화 및 안전사고 등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대탕도(10)로 출입하여 대탕도(10) 내의 용융물(3)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기와, 상기 레벨기에 연동하여 상기 대탕도(10) 내의 용융물(3)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 및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한을 감지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벨기는 대탕도(10)의 용융물(3) 내로 출입하는 커트기(70)와, 상기 커트기(70)를 상하로 가변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71)와, 상기 커트기(70)와 에어실린더(71)를 서로 연결하는 커트기축(70-1)과 연결어댑터(71a)와, 상기 연결어댑터(71a)에 취부되는 제어기유도보조대(72)와, 상기 에어실린더(7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동에어라인(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는 내화물지지철심(81)과, 상기 내화물지지철심(81)을 감싸는 가이드셀(80a)과, 상기 가이드셀(80a)의 일측면에 상기 레벨기의 제어기유도보조대(72)에 연동되는 비중기스토퍼(83)와, 상기 내화물지지철심(81)의 하단부에 취부되는 결합심(88)과 상기 결합심(88)의 외부를 감싸면서 대탕도(10)의 용융물(3)의 표면에 접촉하는 내화물(82)로 되는 용선접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는 상기 가이드셀(80a)의 타측면에 상기 비중기스토퍼(83)와 대향되는 위치에 취부되는 용선레벨인식체(84)와 면접하는 용선레벨인식센서(85)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85)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레벨의 상한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상한인식검지부(87) 및 상기 레벨상한인식검지부(87)에 연결되어 상기 레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기의 하강운동에 의해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가 함께 하강하면서 레벨기의 용융물(3) 내부로의 침입에 의해 용선(50)과 슬래그(40)를 포함하는 용융물(3)의 레벨이 상승할 때 상기 용융물레벨제어비중기의 상승 및 그에 의하여 상기 용융물(3)제어비중기의 용선레벨인식체(84)가 상기 용선레벨인식센서부의 용선레벨인식센서(85)에 접근하면 용융물(3)의 상한을 감지하여 상기 레벨기를 상승시켜 용융물(3)의 레벨이 대탕도(10)의 내부에 저류되도록 하여 용선(50)이 제2블럭(30)을 지나쳐서 지탕도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용선(50)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1)의 대탕도(10)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KR1020010041689A 2001-07-11 2001-07-11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KR10078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89A KR100787582B1 (ko) 2001-07-11 2001-07-11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89A KR100787582B1 (ko) 2001-07-11 2001-07-11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118A KR20030006118A (ko) 2003-01-23
KR100787582B1 true KR100787582B1 (ko) 2007-12-21

Family

ID=2771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689A KR100787582B1 (ko) 2001-07-11 2001-07-11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68B1 (ko) * 2002-10-17 2009-06-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208A (ja) * 1986-09-26 1988-04-13 Nkk Corp 高炉銑滓分離方法
KR940007145U (ko) * 1992-09-16 1994-04-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압력감지 살수장치
KR19990033237A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고로 대탕도 내의 용융물 높이 자동측정장치 및그 방법
JPH11229013A (ja) * 1998-02-13 1999-08-24 Kawasaki Steel Corp 樋耐火物の損耗抑制方法及び装置
KR20020045216A (ko) * 2000-12-08 2002-06-19 이구택 고로 잔선 탕도의 용선레벨 연속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208A (ja) * 1986-09-26 1988-04-13 Nkk Corp 高炉銑滓分離方法
KR940007145U (ko) * 1992-09-16 1994-04-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압력감지 살수장치
KR19990033237A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고로 대탕도 내의 용융물 높이 자동측정장치 및그 방법
JPH11229013A (ja) * 1998-02-13 1999-08-24 Kawasaki Steel Corp 樋耐火物の損耗抑制方法及び装置
KR20020045216A (ko) * 2000-12-08 2002-06-19 이구택 고로 잔선 탕도의 용선레벨 연속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68B1 (ko) * 2002-10-17 2009-06-10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118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1415A (en) Vortex inhibitor for molten metal discharge
JP2012102998A (ja) 直接製錬装置
KR100787582B1 (ko)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JP2827126B2 (ja) 溶湯・溶滓の連続排出方法及びその装置
FI104381B (fi) Sähköuunin syöttölaite
KR100815805B1 (ko) 고로 대탕도의 유선폰드 용융물 배출장치
KR100426672B1 (ko) 직립로의주조장에서액상금속을이송하는장치및이장치의작동방법
DE2731227A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loecken nach dem elektroschlacke-umschmelzverfahren
KR100838838B1 (ko) 배재구 자동개폐장치
JP2572187B2 (ja) 出銑樋残銑抜き装置およびそのストッパ操作装置
KR100373700B1 (ko) 고로슬래그에혼입된용선검지방법및그장치
JP2006317111A (ja) 溶融メタル出湯時の安全対策システム
DE1991623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techen von Metallschmelzen aus metallurgischen Schmelzgefäßen
JPH0942851A (ja) 電気炉における電極折損事故防止装置
KR101560620B1 (ko) 대탕도 커버 장치
EP00629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lags
JPS60210352A (ja) 溶融金属容器の出湯孔からのスラグ流出防止方法
KR20050005985A (ko) 전기로 출강구 개공장치
JPH039393B2 (ko)
KR101572381B1 (ko) 고로 대탕도의 용융물 배출 장치
KR101445090B1 (ko) 노저 출선 전기로를 이용한 용융물을 드레인하는 방법
Adasczik et al. Laminar barrier inerting for specialty steelmaking
KR19990010308U (ko) 용광로 대탕도의 슬라그 응고 방지장치
KR200185485Y1 (ko) 래들카바 구조체
KR100775499B1 (ko) 정련로 출강온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