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968B1 -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968B1
KR100901968B1 KR1020020063615A KR20020063615A KR100901968B1 KR 100901968 B1 KR100901968 B1 KR 100901968B1 KR 1020020063615 A KR1020020063615 A KR 1020020063615A KR 20020063615 A KR20020063615 A KR 20020063615A KR 100901968 B1 KR100901968 B1 KR 100901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lag
sides
blast furnac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955A (ko
Inventor
조남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9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휴풍 후 첫 출선시 또는 고로의 노황 불량으로 인한 출선 직후 출선구로부터 용선이 아닌 슬래그가 우선 배출될 때 효과적으로 슬래그를 차단할 수 있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래를 적치하고 배출하는 호퍼형상의 모래 적치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상단 양측 중앙부에 줄걸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줄걸이 사이에 경계막이 구비되며,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호퍼형상 하부 외측에는 배출 게이트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게이트의 하부에 모래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모래 배출구의 양측 중앙부에 볼트 결합용 홈이 형성된 모래 적치부와;
상기 모래 적치부의 하부에 대탕도 철피와 핀결합되도록 양측에 홈을 형성한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이 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 중앙부에 사각홈의 형성 및 줄걸이가 결합되고 그 양측에 경계막으로 이루어진 모랫둑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랫둑 홈의 양측에는 볼트 체결구가 결합되어서 상기 모래 배출구와 볼트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은 상기 경계막을 사이로 하여 양측의 앞면과 뒷면에 이중으로 금속판재로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재에는 지지구와 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이 시공되는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고로, 대탕도, 슬래그, 스키머

Description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Apparatus for slag intercepting main iron through of blast furn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를 고로의 대탕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대탕도 차단막을 고로의 대탕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래 적치부 11 : 모래 적치 박스
12, 23 : 줄걸이 13, 24 : 경계막
14 : 배출 게이트(gate) 20 :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
21 : 대탕도 차단막 25 : 모랫둑 홈
27 : 금속판재 28 : 지지구
29 : 캐스터블(castable)내화물 30 : 모래
31 : 대탕도 철피 32 : 대탕도 내화물
40 : 출선구 41 : 용선
42 : 대탕도 43 : 슬래그
44 : 스키머 45 : 배재구
46 : 모랫둑 47 : 차단막
본 발명은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의 휴풍 후 첫 출선시 또는 고로의 노황 불량으로 인한 출선 직후 출선구로부터 용선이 아닌 슬래그가 우선 배출될 때 효과적으로 슬래그를 차단할 수 있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조업은 수년간 연속적으로 조업을 함으로써 정기수리와 같은 계획휴지를 하거나 고로의 수명이 다 될때 휴지를 하게되는 데 이때 출선을 중단하고 휴풍하거나, 고로의 일시 노황부조(고로의 내부 상황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일시에 나빠지는 상태)로 인하여 일정시간 출선을 중단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휴풍하거나 일시 출선 중단의 경우 재송풍 조업후의 첫 출선은 비 정상적인 노황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출선구 개공 직후에는 용선이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일상적인 정상조업과는 달리 슬래그가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때 조업자는 용선 또는 슬래그 중 어느 것이 먼저 배출될 것인지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첫 출선 전에는 슬래그 차단막을 설치하고, 모랫둑을 높이 쌓아 놓는 작업을 시행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탕도 차단막을 고로의 대탕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첫 출선시에 슬래그가 우선적으로 배출하게 되면,
용선(41)과 슬래그(43)의 비중차에 의해 분리해 주는 스키머(44) 하단의 용선 통로에서 슬래그(43)가 굳어져 막힘으로써 차후에 배출되는 용선의 흐름을 저해하여 대탕도(50) 외부로 용선(41)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첫 출선 전에는 사전에 배재구(45) 후단과 스키머(44) 사이의 중간 정도에 철판으로 된 차단막(47)을 세우고 그 차단막(47)의 후단에 고정 지지대(48)를 설치하며, 상기 차단막(47) 바로앞 부분에 모랫둑(46)을 두텁게 쌓아 놓는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슬래그(43) 배출시에 슬래그가 스키머(44) 부위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고 배재구(45)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출선구(40)로부터 용선(41)이 배출되면 기존의 차단막(47)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제거한 후 작업자가 근접하여 모랫둑(46)을 허물어 스키머(44)의 하부를 통해 첫 출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첫 출선 시에는 용선과 슬래그 중 어느 용융물이 먼져 배출될지 예측할 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차단막과 모랫둑 설치는 출선 전 사전에 설치를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측면에서 극히 취약하고, 상기 모랫둑을 허무는 과정에서 미 증발된 수분과 용선의 접촉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고로의 휴풍이나 노황부조로 재송풍과 함께 첫 출선 상황하에서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을 설치하여 출선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래그 또는 용선을 선택하여 짧은 시간 안에 완벽한 차단을 하거나 손쉽게 취외할 수 있도록하는 모래 적치박스와 대탕도 차단막을 구비한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로의 휴풍이나 노황부조로 재송풍과 함께 첫 출선하는 상황하에서 설치하는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에 있어서,
모래를 적치하고 배출하는 호퍼형상의 모래 적치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상단 양측 중앙부에 줄걸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줄걸이 사이에 경계막이 구비되며,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호퍼형상 하부 외측에는 배출 게이트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게이트의 하부에 모래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모래 배출구의 양측 중앙부에 볼트 결합용 홈이 형성된 모래 적치부와;
상기 모래 적치부의 하부에 대탕도 철피와 핀결합되도록 양측에 홈을 형성한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이 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 중앙부에 사각홈의 형성 및 줄걸이가 결합되고 그 양측에 경계막으로 이루어진 모랫둑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랫둑 홈의 양측에는 볼트 체결구가 결합되어서 상기 모래 배출구와 볼트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은 상기 경계막을 사이로 하여 양측의 앞면과 뒷면에 이중으로 금속판재로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재에는 지지구와 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이 시공되는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는 슬래그 유무에 따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탕도 차단장치를 고로의 대탕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대탕도 차단장치는 고로의 휴풍이나 노황부조로 재송풍과 함께 첫 출선하는 상황하에서 출선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래그 또는 용선을 선택하여 짧은 시간 안에 완벽한 차단을 하거나 손쉽게 취외할 수 있도록하는 모래 적치부(10)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20)는 볼트체결에 의해서 분리하거나 결합하며, 작업 조건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모래 적치부(10)는 모래를 적치하고 배출하는 호퍼형상의 모래 적치 박스(11)를 구비하여 신속하게 모래를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모래 적치 박스(11)의 상단 양측 중앙부에 크레인(미도시)과 줄(미도시)로 연결되는 줄걸이(1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줄걸이 사이에 경계막(13)이 줄걸이(12)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래 적치 박스(11)의 호퍼형상 하부 외측에는 배출 게이트(14)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 게이트(14)의 하부에 대탕도 차단막(21)의 상판(22)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모래 배출구(15)의 중앙부에 홈(16)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게이트(14)는 출선구(40)에서 가까운 거리에 슬래그 포착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 신호에 의해 실린더가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20)는 상기 모래 적치부(10)의 하부에 대탕도 차단막(21)이 이중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대탕도 차단막(21)에는 대탕도 철피(31)와 삽입과 해체가 용이하고 핀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핀 삽입 홈(22-2)이 형성된 상판(22)이 고정 핀(22-1)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대탕도 철피(31)에도 고정 핀(22-1)에 의해 삽입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철피 양측에 핀 삽입 홈(33)을 가공 설치한다.
상기 대탕도 차단막(21)의 상판(22) 중앙부에는 사각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각홈 양측 중앙부에 줄걸이(23)가 용접결합되며, 그 양측에 모랫둑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계막(24)으로 이루어진 모랫둑 홈(25)이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모랫둑 홈(25)의 양측에는 볼트 체결구(26 )가 용접결합되어 지며 상기 모래 배출구(15)와 볼트(26-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대탕도 차단막(21)은 상기 경계막(24)을 사이로 하여 양측의 앞면과 뒷면에 이중구조의 금속 판재(27)로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재(27)에는 지지구(28)와 캐스터블(castable)내화물(29)이 시공되어 고열의 슬래그 접촉 시 내열 내침식에 견디도록 한다. 상기 금속판재(27)는 20㎜ 이상의 고내열 강판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탕도 차단장치는 대탕도(42)에 설치된 스키머(44) 전단과 배재구(45) 후단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로의 휴풍이나 노황부조로 재송풍과 함께 첫 출선하는 상황하에서 출선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래그 또는 용선을 선택하여 짧은 시간 안에 완벽한 차단을 하거나 손쉽게 취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로의 출선구(40)를 개공하여 첫 출선을 하기 전에 모래(30)가 모래 적치박스(11)에 채워진 모래 적치부(10)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20)가 연결 결합되어진 상태로 대탕도(42)에 설치된 스키머(44) 전단과 배재구(45) 후단의 중간 위치에 안착시킨다.
출선구 개공기에 의해서 출선구(40)를 개공한 직후에 출선구(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물이 슬래그(43)로 확인되면, 모래 적치박스(11)의 하단부에 설치된 양측의 배출 게이트(14)를 열어서 모래 적치 박스(11) 내에 적재되어 있던 모래(30)를 모랫둑 홈(25)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모랫둑 홈(25)으로 급격히 배출되는 모래(30)는 대탕도 내화물(32)과 경계막(24) 사이의 모랫둑홈(25)을 메워 슬래그(43)가 스키머(44)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만일, 출선구(4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물이 용선(41)으로 확인되면, 천정 크레인으로 줄걸이(12)와 결합시켜서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 모래 적치부(10)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20)가 결합되어진 상태로 손쉽게 취외할 수 있다. 이때 대탕도 철피(31) 상부의 핀 삽입홈(22-2)에 끼워진 고정 핀(22-1)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면서 손쉽게 취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대탕도 차단장치는 출선구 개공 후에 모래 차단을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의 출선구 개공전에 본 발명의 대탕도 차단장치를 적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모래 차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선구 개공 후에 배출되는 용융물을 확인하고 모래 차단을 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가 있으며, 슬래그가 우선적으로 배출될 경우 배출 게이트만을 조작함으써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적은 양의 모래로도 완벽한 차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용선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 본 발명의 장치를 손쉽게 취외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모랫둑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며, 종래와 같은 용선과의 접촉시에도 폭발의 위험이 매우 낮으며 안전사고와 설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로의 휴풍이나 노황부조로 재송풍과 함께 첫 출선하는 상황하에서 설치하는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에 있어서,
    모래를 적치하고 배출하는 호퍼형상의 모래 적치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상단 양측 중앙부에 줄걸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줄걸이 사이에 경계막이 구비되며, 상기 모래 적치 박스의 호퍼형상 하부 외측에는 배출 게이트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게이트의 하부에 모래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모래 배출구의 양측 중앙부에 볼트 결합용 홈이 형성된 모래 적치부와;
    상기 모래 적치부의 하부에 대탕도 철피와 핀결합되도록 양측에 홈을 형성한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이 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의 상판 중앙부에 사각홈의 형성 및 줄걸이가 결합되고 그 양측에 경계막으로 이루어진 모랫둑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랫둑 홈의 양측에는 볼트 체결구가 결합되어서 상기 모래 배출구와 볼트결합되며,
    상기 대탕도 차단막은 상기 경계막을 사이로 하여 양측의 앞면과 뒷면에 이중으로 금속판재로 설치되며, 상기 금속판재에는 지지구와 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이 시공되는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적치부와 대탕도 슬래그 차단부는 슬래그 유무에 따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KR1020020063615A 2002-10-17 2002-10-17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KR100901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15A KR100901968B1 (ko) 2002-10-17 2002-10-17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15A KR100901968B1 (ko) 2002-10-17 2002-10-17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55A KR20040034955A (ko) 2004-04-29
KR100901968B1 true KR100901968B1 (ko) 2009-06-10

Family

ID=3733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615A KR100901968B1 (ko) 2002-10-17 2002-10-17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67B1 (ko) * 2008-06-17 2011-01-14 주식회사 포스코 임시 탕도 내의 용융물 차단 장치
KR101105910B1 (ko) * 2008-12-24 2012-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토퍼
KR200483669Y1 (ko) 2016-09-07 2017-06-12 봉하종 회전식 선반
CN109900114B (zh) * 2019-04-22 2020-02-14 石嘴山市惠农区宏丰工贸有限公司 翻转炉合金熔炼炉渣处理设备
CN114593597B (zh) * 2022-03-09 2023-07-21 云南曲靖钢铁集团凤凰钢铁有限公司 一种高回收率金属冶炼炉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549U (ja) * 1982-09-30 1984-04-10 川崎製鉄株式会社 出銑溶融金属の分注装置
JPS6275054U (ko) * 1985-10-29 1987-05-14
JPH05117731A (ja) * 1991-10-23 1993-05-14 Kawasaki Steel Corp 溶滓流切替装置
KR100787582B1 (ko) * 2001-07-11 2007-12-2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KR100838838B1 (ko) * 2001-12-22 2008-06-17 주식회사 포스코 배재구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549U (ja) * 1982-09-30 1984-04-10 川崎製鉄株式会社 出銑溶融金属の分注装置
JPS6275054U (ko) * 1985-10-29 1987-05-14
JPH05117731A (ja) * 1991-10-23 1993-05-14 Kawasaki Steel Corp 溶滓流切替装置
KR100787582B1 (ko) * 2001-07-11 2007-12-21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대탕도를 개폐하는 레벨장치
KR100838838B1 (ko) * 2001-12-22 2008-06-17 주식회사 포스코 배재구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55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968B1 (ko)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JP6610359B2 (ja) 高炉溶銑大樋での溶銑滓処理方法
CN101761908B (zh) 一种余热锅炉
KR20140142507A (ko) 대탕도 보수방법
KR101159589B1 (ko) 고로용 대탕도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KR940007145Y1 (ko) 고로의 대탕도내 용선레벨 자동조절장치
KR20020053508A (ko) 대탕도용 스키머제어장치
KR100843859B1 (ko) 용광로 대탕도의 스프래쉬 카바 손상방지장치
CN216966263U (zh) 一种在线随时排渣的中间罐
CN212669728U (zh) 一种高炉铁口窜煤气的治理装置
JP6361622B2 (ja) 転炉排滓用防護部材、転炉設備および転炉精錬方法
RU2339887C2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ения шлака от металла при выпуске их в виде расплава из 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CN218666122U (zh) 高炉用新型渣铁分离结构
US6174492B1 (en) Forebay for am Metallurgical furnace
CN213295400U (zh) 一种用于出铁场下渣沟快速改道的截止装置
CN212800407U (zh) 一种高炉耐火用撇渣器
CN210367741U (zh) 临时撇渣器
KR20100010603U (ko)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JP3854451B2 (ja) 溶融メタル出湯口の緊急遮断装置
KR100797952B1 (ko) 대탕도에서 와류억제형 내화물 블럭장치
CN218155541U (zh) 一种基于熔炼炉溜槽的应急自动切断机构
CN218270261U (zh) 一种适用于冶金炉窑熔体排放的导流装置
RU171240U1 (ru) Металлоприемник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ковша
CN209243090U (zh) 炉缸冻结临时铁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