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603U -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603U
KR20100010603U KR2020090004702U KR20090004702U KR20100010603U KR 20100010603 U KR20100010603 U KR 20100010603U KR 2020090004702 U KR2020090004702 U KR 2020090004702U KR 20090004702 U KR20090004702 U KR 20090004702U KR 20100010603 U KR20100010603 U KR 20100010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urnace
furnace
tapping
molten steel
t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경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603U/ko
Publication of KR20100010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의 출강 중에 미용해물이 탭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내부에 용강의 용해공간과 출강공간으로 구성된 전기로의 로체 바닥면의 일 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탭홀의 테두리 상부면보다 더 높게 형성된 차단턱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의 하부면 일 부위에 탭홀의 상부면보다 높게 연장되는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전기로의 출강시 미용해물이 탭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FURNACE BOTTOM STRUCTURE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용강 미용해물이 탭홀 내부 유입을 차단하도록 전기로의 로 내부 로상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로 출강구인 탭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서 고철을 용해하여 생산된 용강은 전기로의 내부에서 용해가 완료될 경우 출강구를 통하여 레들로 수강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전기로에서 출강 작업중 출강구는 조업전에 샌드를 투입하여 용강의 유출을 막고 있다가 조업이 완료되면 오프너를 열어 샌드를 제거하여 출강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기로 출강작업은 전기로 출강구에 용강이 출강구로 침투하여 굳어지는 현상 및 용강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샌드를 투입하고 있다.
전기로 용해가 완료된 후 레들이 출강구의 하부에 도착하게 되면 오프너가 출강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이를 막고 있던 샌드가 배출되면서 용강의 출강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용강이 레들로 배출되면 레들 하부의 로드셀에서 무게를 검출하고, 설정된 무게가 되면 오프너는 닫히게 되고 배출된 용강은 대차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기존 전기로 내부의 로상 구조는 용강의 용해공간과 용강이 출강되는 출강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용해공간의 하부면 높이가 출강공간의 하부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양 구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용해공간의 하부면에는 용강의 미용해물이 비중 차이로 인해 하부에 침적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용강의 출강을 위한 전기로의 틸팅동작중에 미용해물이 출강구인 탭홀 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미용해물은 탭홀의 내부에 지금으로 부착되어 탭홀을 폐쇄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편심로 저출강식(EBT:Electric Bottom Tapping)의 전기로의 경우에 다른 출강방식의 전기로보다 탭홀의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탭홀을 강제로 개공하는 동안 조업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강제 개공 작업 중에 용강이 튀어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로의 내부 로상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로의 출강 동작중에 미용해물이 탭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용강을 출강하는 탭홀의 상부면보다 높게 배치된 차단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턱부는 내화물 소재의 연와가 상기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축조된 것이다.
상기 차단턱부는 상기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축조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 1걸림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 2걸림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전기로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탭홀의 상부면 테두리 중에 일측 테두리 부위가 타측 테두리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연장부가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기로의 출강 중에 미용해물이 탭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의 하부면 일 부위에 탭홀의 상부면보다 높게 연장되는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전기로의 출강시 미용해물이 탭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내부에 용강의 용해공간과 출강공간으로 구성된 전기로(10)의 로체 바닥면(12)의 일 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탭홀(15)의 테두리 상부면보다 더 높게 형성된 차단턱부(110)를 구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로(10)의 내부는 중앙 부위에 해당되며 용강(M)이 용해되며 바닥면(12)이 원호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용해공간과, 용해공간의 바닥면(12) 일측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연결되며 하부에 탭홀(15)이 배치된 출강공간으로 구성된다.
차단턱부(110)는 내화물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로(10)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축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차단턱부(110)는 탭홀(15)의 테두리 부위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전기로(10) 하부 바닥면(1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턱부(110)의 상부면은 탭홀(15)의 상부면 테두리의 높이보다 더 높 게 형성된다.
이는, 전기로(10)의 출강을 위해 틸팅 동작되는 과정에서 용해공간의 하부에 침적된 미용해물(M1)이 차단턱부(110)에 의해 탭홀(1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단턱부(110)는 전기로(10)의 하부면 중 용해공간과 출강공간 사이의 경사면에 배치된다.
또, 차단턱부(110)는 전기로(10)의 로체 하부 바닥면(12)에 공지의 내화 연와 축조방식으로 일체화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작용을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는, 탭홀(15)과 근접된 위치의 전기로(10)의 내부 로체의 경사진 바닥면(12)에 대해 수직으로 차단턱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강(M)의 용해 작업이 완료된 후에 전기로 로체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경동(틸팅)시켜 타측에 배치된 출강구인 탭홀(15)의 내부로 용강(M)을 유도하여 외부의 레들 측으로 출강하는 과정에서 용강공간내의 용강(M) 중 미용해물(M1)이 차단턱부(110)에 걸려 탭홀(1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전기로(10) 내부의 용해공간 하부에 층을 이루는 미용해물(M1)은 전기로 로체의 경동에 의해 기울기에 따라 로체의 바닥면(12)을 따라 흐르는 도중에 턱 형태로 배치된 차단턱부(110)의 일측면에 간섭되면서 그 흐름이 저지되어 탭홀(15)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전기로 로체 내부의 바닥에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미용해물(M1)은 다음 용해시간에 장입되는 스크랩의 전기로(10) 내부 장입시 초기 용융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해되어 출강될 수 있다.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차단턱부(110)가 제 1,2걸림부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차단턱부(110)가 전기로 로체 하부면에 대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축조되는 제 1걸림부(112)와, 제 1걸림부(112)의 상부에 중앙의 용해공간 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2걸림부(114)로 구성된다.
제 1,2걸림부(112,114)는 앞의 선 실시 예와 동일한 내화물 소재로 된 것을 채택할 수 있으며, 제 1,2걸림부(112,114)가 일체화된 구조의 연와 블록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걸림부(112)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작용과 동일하게, 출강을 위한 전기로 로체의 경동시 용강(M) 내의 미용해물(M1)이 탭홀(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 2걸림부(114)는 전기로 로체의 경동시 미용해물(M1)이 제 1걸림부(112)을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차단턱부(110)의 기능을 갖는 연장부(120)가 탭홀(15)의 상부면 테두리중 일측 테두리측에 턱 형태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것이다.
이는, 연장부(120)가 로체의 바닥면(12)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탭홀(15) 의 테두리 일 부위에 축조되어 앞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전기로 로체의 출강시 용강(M) 중의 미용해물(M1)이 탭홀(1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기로 12 : 로체 바닥면
15 : 탭홀 110 : 차단턱부
112,114 : 제 1,2걸림부 120 : 연장부
M : 용강 M1 : 미용해물

Claims (4)

  1.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용강을 출강하는 탭홀의 상부면보다 높게 배치된 차단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턱부는 내화물 소재의 연와가 상기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턱부는 상기 전기로의 내부 하부면에 상측으로 축조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 1걸림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 2걸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4. 전기로 내부의 하부에 배치된 탭홀의 상부면 테두리 중에 일측 테두리 부위가 타측 테두리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연장부가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KR2020090004702U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KR20100010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02U KR20100010603U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02U KR20100010603U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03U true KR20100010603U (ko) 2010-10-28

Family

ID=442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702U KR20100010603U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6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9414A (ko) 레이들
AU2010321669B2 (en) Method for removing slag from a furnace
KR20100010603U (ko)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EP0160185B1 (de) Kippbares metallurgisches Ofengefäss
RU2351432C2 (ru) Броневой вкладыш дл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ковша
CN106944608B (zh) 控制钢液中大型夹杂物的装置与操作方法
KR100901968B1 (ko) 고로의 대탕도 슬래그 차단장치
LU88517A7 (fr)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four électrique
KR200461165Y1 (ko)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KR101159589B1 (ko) 고로용 대탕도
CN105841495A (zh) 一种高温熔体连续排放溜槽前床
JP3789984B2 (ja) 高炉出銑樋
RU2339887C2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ения шлака от металла при выпуске их в виде расплава из плав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CN218425479U (zh) 一种铁水过滤箱
JP2009530577A (ja) 前炉
US9849508B2 (en) Ladle bottom and ladle
EP3753649B1 (en) Tundish dam
KR20110120602A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CN218097210U (zh) 一种适合熔炼合金的潜流式工频感应炉
KR102441034B1 (ko) 용강 출강 시 슬래그 혼입 방지 방법 및 와류방지체
US20180001376A1 (en) Tundish for a continuous casting plant
RU2480698C1 (ru) Дуговая электропечь
JP6423337B2 (ja) スラグタップ方法及びスラグホール構造並びに溶融炉の操業方法
KR101572381B1 (ko) 고로 대탕도의 용융물 배출 장치
CN105274367B (zh) 一种镁合金保护气体熔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