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65Y1 -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165Y1
KR200461165Y1 KR2020090004703U KR20090004703U KR200461165Y1 KR 200461165 Y1 KR200461165 Y1 KR 200461165Y1 KR 2020090004703 U KR2020090004703 U KR 2020090004703U KR 20090004703 U KR20090004703 U KR 20090004703U KR 200461165 Y1 KR200461165 Y1 KR 200461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urnace
space
molten steel
tapping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604U (ko
Inventor
유대경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6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6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 C21C5/562Manufacture of steel by other methods starting from sc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의 용강 조업중에 미용해물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전기로의 내부 공간을 용강의 용해공간과 출강공간으로 구분하되, 출강공간에 해당하는 출강구의 내측면 일 부위에 중앙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가 축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의 출강공간을 형성하는 내화 연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기로의 조업 중에 용강의 교반성 및 용해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내부 공간의 부위별 온도 편차를 경감시켜 미용해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TAP HOLE STRUCTURAL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로 조업중에 내부 공간의 부위별 온도 편차를 경감시켜 용강 미용해물이 과다 형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기로 출강구인 탭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서 고철을 용해하여 생산된 용강은 전기로의 내부에서 용해가 완료될 경우 출강구를 통하여 레들로 수강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전기로에서 출강 작업중 출강구는 조업전에 샌드를 투입하여 용강의 유출을 막고 있다가 조업이 완료되면 오프너를 열어 샌드를 제거하여 출강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기로 출강작업은 전기로 출강구에 용강이 출강구로 침투하여 굳어지는 현상 및 용강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샌드를 투입하고 있다.
전기로 용해가 완료된 후 레들이 출강구의 하부에 도착하게 되면 오프너가 출강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이를 막고 있던 샌드가 배출되면서 용강의 출강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용강이 레들로 배출되면 레들 하부의 로드셀에서 무게를 검출하고, 설정된 무게가 되면 오프너는 닫히게 되고 배출된 용강은 대차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기존 전기로 내부의 로상 구조는 용강의 용해공간과 용강이 출강되는 출강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용해공간의 하부면 높이가 출강공간의 하부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양 구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경사진 구배를 갖는 전기로의 내부 구조적 특성상 전기로 조업 중에 상기한 용해공간과 출강공간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온도 편차에 의해 용강의 미용해물이 과다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미용해물은 용강의 출강을 위한 전기로의 틸팅동작중에 미용해물이 출강구인 탭홀 내로 유입되어 탭홀의 내부에 지금으로 부착될 경우, 탭홀을 폐쇄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편심로 저출강식(EBT:Electric Bottom Tapping)의 전기로의 경우에 다른 출강방식의 전기로보다 탭홀의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탭홀을 강제로 개공하는 동안 조업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강제 개공 작업 중에 용강이 튀어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로의 내부 출강구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로의 조업중에 미용해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로의 내부 공간을 용강의 용해공간과 탭홀이 배치된 출강공간으로 구분하되,
상기 출강공간을 구성하도록 축조된 내화연와들의 일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내화물 소재의 연와가 상기 탭홀의 상부 내측면에 층을 이루도록 축조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탭홀의 상측에서 다수개의 내화 연와가 원호 형태로 배치되도록 축조된다.
본 고안은 전기로의 용강 조업중에 미용해물이 과다하게 형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의 출강공간을 형성하는 내화 연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기로의 조업 중에 내부 공간의 온도 편차를 경감시켜 미용해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의 일 실시 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전기로(10)의 내부 공간을 용강의 용해공간과 출강공간으로 구분하고, 출강공간에 해당하는 출강구의 내측면 일 부위에 중앙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110)가 축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돌출부(110)는 전기로(10) 내측면에 배치되어 출강구를 구성하는 내화 연와들의 내측 일부위에 층을 이루도록 축조된다.
또한, 돌출부(110)는 평면상에서 볼 때, 탭홀(15)의 일측 부위를 감싸는 원호 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전기로(10) 내부 구조의 용강 교반 및 용해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출강공간을 축소시켜 전기로(10) 내부의 부위별 온도 편차를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전기로(10)의 출강구를 평면에서 볼 때, 전기로(10)의 로체 구조상 최외측에 철피(13)가 배치되고, 철피(13)의 내측에 제 1,2내화 연와(11,12)가 축조되며, 본 고안의 돌출부(110)가 제 1내화 연와(11)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3중 내화 구조로 축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는, 전기로 조업 중에 내부 공간의 부위별 온도 편차를 경감시키기 위해 출강구를 구성하는 제 1내화 연와의 내측에 중앙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110)가 축조되어 출강공간을 감소시킨 것이다.
이때, 돌출부(110)는 출강구 내측면의 제 1내화 연와의 내측에 원호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용강의 출강 작업을 위한 전기로(10) 로체의 경동시 용해공간 내의 용강이 탭홀(15) 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용강의 유입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출강공간을 감소시켜 용해공간과의 온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용강이 출강하는 도중에 용해공간에서 출강구인 탭홀(15) 측으로 이송하는 도중에 용강이 냉각되는 구간을 단축시켜 온도 편차를 저감시켜 용강 중 미용해물이 과다 형성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0)는 제 1,2내화 연와(11,12)가 280mm, 350mm일 경우, 350mm의 두께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110)의 축조시 탭홀(15)과 간섭되지 않고 용강의 출강 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두께를 찾기 위해 다수회 시뮬레이션 시험해 본 결과, 제 1,2내화 연와(11,12)의 두께는 기존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정할 경우, 위와 같은 돌출부(110)의 두께 값이 도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 구조를 개선시켜 용강의 교반성 및 용해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용강 중의 미용해물이 과다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기로 11,12 : 제 1,2내화 연와
15 : 탭홀 110 : 돌출부

Claims (3)

  1. 전기로의 내부 공간을 용강의 용해공간과 탭홀이 배치된 출강공간으로 구분하되,
    상기 출강공간을 구성하도록 축조된 내화연와들의 일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내화물 소재의 연와가 상기 탭홀의 상부 내측면에 층을 이루도록 축조되고, 상기 탭홀의 상측에서 상기 탭홀의 일부분을 감싸는 원호 형태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내화 연와로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4703U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KR200461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03U KR200461165Y1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03U KR200461165Y1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04U KR20100010604U (ko) 2010-10-28
KR200461165Y1 true KR200461165Y1 (ko) 2012-06-25

Family

ID=4420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703U KR200461165Y1 (ko) 2009-04-20 2009-04-20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69A (ja) * 1991-04-25 1993-01-26 Tokyo Yogyo Co Ltd 電気炉炉底出鋼口用ターミナルブリツク
JPH085249A (ja) * 1994-06-17 1996-01-12 Asahi Glass Co Ltd 直流電気炉の炉床及びその施工方法
JPH11287559A (ja) * 1998-04-03 1999-10-19 Shinagawa Refract Co Ltd 電気炉出鋼口周辺炉床レンガ構造
KR20080057110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개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69A (ja) * 1991-04-25 1993-01-26 Tokyo Yogyo Co Ltd 電気炉炉底出鋼口用ターミナルブリツク
JPH085249A (ja) * 1994-06-17 1996-01-12 Asahi Glass Co Ltd 直流電気炉の炉床及びその施工方法
JPH11287559A (ja) * 1998-04-03 1999-10-19 Shinagawa Refract Co Ltd 電気炉出鋼口周辺炉床レンガ構造
KR20080057110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04U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1446A (ko) 유리 용해 공정 및 장치
CN105798252B (zh) 连铸停浇铸坯尾出封顶方法
JPH028237B2 (ko)
JPS6016298A (ja) 冶金用溶解炉の操業方法
KR200461165Y1 (ko) 전기로의 출강구 구조체
KR101330579B1 (ko) 래들의 벽체 구조
US4274622A (en) Device for separating slag from molten bath
CN107363252A (zh) 一种提高浇注过程中钢水洁净度的控流装置及方法
KR20140112193A (ko) 열변형 방지 구조를 가지는 턴디쉬 커버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CN206065393U (zh) 一种铝铁中间包
TWI450776B (zh) 餵槽衝擊墊、衝擊墊組件以及餵槽總成
CN210789208U (zh) 一种对称型流场的连铸四流中间包
JP5556942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耐火物及びこの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耐火物を用いた取鍋の敷き部構造
KR101552979B1 (ko) 래들
KR20100010603U (ko) 전기로의 로상 구조체
KR200463504Y1 (ko) 수냉식 냉각주형
CN205309288U (zh) 一种倾翻式兑铁运输车
KR20090004963U (ko) 전기로의 출강구용 플랩 커버 구조체
RU1799681C (ru) Ковш дл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JP5369701B2 (ja) ブロック耐火物
KR100840285B1 (ko) 레이들의 보온 커버
KR20170076826A (ko) 래들 필러
KR101586931B1 (ko) 래들
KR101003256B1 (ko) 레들 커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