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362B1 -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362B1
KR100787362B1 KR1020070090675A KR20070090675A KR100787362B1 KR 100787362 B1 KR100787362 B1 KR 100787362B1 KR 1020070090675 A KR1020070090675 A KR 1020070090675A KR 20070090675 A KR20070090675 A KR 20070090675A KR 100787362 B1 KR100787362 B1 KR 10078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main body
coupled
dus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이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주 filed Critical 이석주
Priority to KR102007009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찬넬에 의해 결합되어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 일측으로 분무수단 거치부(104)가 형성되며, 측면 일측으로 연료탱크 거치부(106)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구동풀리(210)가 설치된 동력수단(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분사수단 거치부(104)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의 구동풀리(210)와 밸트결합되는 종속풀리(310)가 마련되며,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에 따라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이 결정되어 분사압력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수단(3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400)과;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면이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동력수단(200)이 보호되도록 형성되며, 판재 상부면 일측으로 복수의 주입공(502)이 형성된 상부덮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철거, 물분사

Description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Water injection device for preventing from dispersing of dust}
본 고안은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낡은 건축물 또는 안전진단상 철거되는 건축물 등의 철거현장에서 건축물의 폭파에 따른 철거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토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이 간편하고, 소음발생이 적으며, 높은 분사압력으로 넓은 범위의 철거현장의 분진, 비산먼지, 토분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면서 민원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도시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를 통하여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높은 빌딩 등과 같은 현대 산업화의 건축물을 들 수 있다. 즉, 현대 대도시의 대부분이 빌딩 등에 의한 건축물의 숲이라고 말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이러한, 대부분의 건축물 등은 반영구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현 대사회의 급격한 사회적 변화와 경제발전에 의해 건물의 사용수명이 실제의 구조적 수명보다 줄어들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물의 기능적 측면이나 설비의 보완, 지진이나 화재 등에 의한 자연재해의 발생, 도시 재개발 등 사회공공적인 요소들로 인해 새로운 건축물을 세우기 위한 건물의 철거작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사회변화로 인한 부실시공, 건축물의 안전성 결여 등에 의해서도 상당한 건축물의 철거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변화 및 경제성을 통한 급속한 변화에 따라 대도시에서는 많은 건축물이 새로이 세워지고 또한 철거되고 있다. 여기서,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건축물의 철거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을 들면 건축물의 철거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에 의한 주변환경의 오염과 대기오염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에 의한 주변환경의 오염은 국민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건축물의 철거 작업시,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하는 조치를 취한 후에 철거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과 같은 대기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 이외에도 상당한 소음으로 인한 주민의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철거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의 공기중으 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대표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물을 건축물에 뿌려 철거작업시 발생되는 분지, 비산먼지, 석면 등이 공기중으로의 방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도공급관으로부터 호스를 연결하여 철거현장의 주변을 뿌리는 정도에 불과하여 건축물 철거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석면 등의 공기중 유출을 방지하기에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철거현장의 넓은 면적에 고르게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진, 비산먼지 등의 공기 중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분사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실시되고 있는 종래의 물분사장치로는 경운기용 엔진이 부설된 펌프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운기용 엔진이 부설된 펌프는 작업자가 직접 뿌리는 방법보다는 넓은 철거현장에 건축물을 향하여 뿌림으로써, 분진, 비산먼지, 토분, 석면 등의 공기 중 비산을 방지할 수 있었지만 앞서 말한 작업자에 의해 국지적으로 뿌려지는 것과 대비하여 큰 효과를 보이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펌프와 경운기 엔진이 각각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노출되어 있어 상당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철거현장의 주변 주민들로부터 민원의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운기용 엔진의 특성상 초기 시동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이로 인해 빠른 작업이 요하는 철거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의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공기의 지연 및 상당한 비용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펌프와 경운기 엔진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사용면적이 크고, 이동성 및 휴대성이 상당히 떨어지며 작동시 연료비의 증대와 함께 가동비용의 증가로 인해 전체적으로 사용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펌프와 경운기 엔진이 떨어져 작동되도록 되어 고속회전시 주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낡은 건축물 또는 안전진단 등에 의해 철거되는 건축물 등의 폭파 및 철거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석면, 토분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동이 간편하고, 소음발생이 적으며, 높은 분사압력으로 넓은 범위의 철거현장의 분진, 비산먼지, 토분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공기의 단축과 비용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점 및 대기환경 등의 주변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토분, 석면 등의 대기환경오염원으로부터 국민건강을 확보하고, 소음 등으로 인한 철거현장의 주변 주민들의 민원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분사되는 펌핑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동성이 우수하고, 원터치 구동을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구동시, 주변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는 다수의 찬넬에 의해 결합되어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 일측으로 분무수단 거치부(104)가 형성되며, 측면 일측으로 연료탱크 거치부(106)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구동풀리(210)가 설치된 동력수단(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분사수단 거치부(104)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의 구동풀리(210)와 밸트결합되는 종속풀리(310)가 마련되며,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에 따라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이 결정되어 분사압력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수단(3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400)과;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면이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동력수단(200)이 보호되도록 형성되며, 판재 상부면 일측으로 복수의 주입공(502)이 형성된 상부덮개(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는 본체프레임(100) 일측 측면으로 복수의 찬넬에 의해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결합통공(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동력수단(200)은 상기 연료공급수단(4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으로 크랭크 샤프트(C)가 구비된 엔진(E)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측면 일측에 배터리(B)가 구비되고, 배터리(B)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엔진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시동 판넬(201)과; 상기 시동 판넬(201) 직하에 엔진(E)의 변속이 조절되도록 마련된 조절레버(202)와; 상기 본체프레임(100) 측면 하측에 형성되고, 기어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기 구동풀리(210)에 밸트결합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기어물림을 해제토록 구비된 클러치 레버(204)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C)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210)와; 일측으로 상기 크랭크 샤프트(C)의 외연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본체프레임(10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ㄴ"형상의 동력수단 고정브라켓(2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수단(200)의 엔진(E)은 측면 타측으로 엔진소음이 저감되도록 소음기(206)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 타측으로 라지에이터(208)가 형성된 디젤엔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료공급수단(400)은 연료주입구(412)가 형성되고, 상측 일면에 연료공급관(414)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안치되는 연료탱크(410)와; 상기 연료탱크(410)의 상측 외연에 접하도록 "ㄷ"형으로 절곡되고, 양끝단에 수나사(42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420)과;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의 결합통공(108)에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수나사(422)가 끼움결합되어 너트(42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500)의 상부면 일측 전면으로 견인고리(504)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을 통한 본 발명은 낡은 건축물 또는 안전진단 등에 의해 철거되는 건축물 등의 폭파 및 철거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석면, 토분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동이 간편하고, 소음발생이 적으며, 높은 분사압력으로 넓은 범위의 철거현장의 분진, 비산먼지, 토분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공기의 단축과 비용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점 및 대기환경 등의 주변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 비산먼지, 토분, 석면 등의 대기환경오염원으로부터 국민건강을 확보하고, 소음 등으로 인한 철거현장의 주변 주민들의 민원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분사되는 펌핑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동성이 우수하고, 원터치 구동을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구동시, 주변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실시예를 이하 첨 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일측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우측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좌측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연료공급수단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는 크게 본체프레임(100), 동력수단(200), 분무수단(300), 연료공급수단(400), 상부덮개(50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다수의 찬넬을 이용하여 본 발며에 따른 다수의 구성을 결합하도록 형성되되, 사각형의 육면체상으로 찬넬을 구성하여 단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후술되는 동력수단(200)이 안치되어 고정결합되는 수용부(102)가 다수의 찬넬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 상측 일측으로 후술되는 분무수단이 거치결합되는 분무수단 거치부(104)가 "ㄷ"형 찬넬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체프레임의 측면 일측으로 후술되는 연료공급수단(400)이 안치 결합되는 연료탱크 거치부(106)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연료탱크 거치부(106)에는 복수의 결합통공(108)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료공급수단(400)의 연료탱크(41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동력수단(200)은 엔진(E), 시동 판넬(201), 조절 레버(202), 클러치 레버(204), 구동풀리(210), 고정브라켓(22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 (E)은 후술되는 연료공급수단(4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으로 크랭크 샤프트(C)가 구비된다.
여기서, 엔진(E)의 측면 타측으로 엔진소음이 저감되도록 소음기(206)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 타측으로 라지에이터(208)가 형성되되, 디젤엔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기물로 버려지는 디젤엔진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동 판넬(210)은 전술한 본체프레임(100)의 측면 일측에 배터리(B)가 구비되고, 배터리(B)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엔진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즉, 자동차의 초기 시동시, 차량에 구비된 자동차 키를 통해 키박스에 키를 꽂아 초기 시동을 거는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시동 판넬(210)에 시동키(도시없음)를 꽂아 초기 전술한 엔진(E)의 시동을 걸어 구동함으로써, 후술되는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 레버(202)는 전술한 시동 판넬(201) 직하에 구비되어 엔진(E)과 연결된다. 여기서, 조절 레버(202)를 사용자가 당김과 풀림을 함으로써, 엔진의 변속을 통한 가속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액셀레이터를 운전자가 밟게 되면 자동차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이 후술되는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의 증감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 레버(204)는 본체 프레임(100)의 측면 하측에 결합형성된다. 여기서 클러치 레버(204)는 자동차의 사이드브레이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되, 엔진(E)의 클러치부(도시없음)와 결합되어, 후술되는 구동풀리(210)의 회전이 제어된다. 즉, 기어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크랭크 샤프트(C)에 결합되어 있는 후술되는 구동풀리(210)에 밸트결합시, 크랭크 샤프트(C)의 기어물림을 해제하여 구동풀리(210) 용이하게 회전됨으로써, 밸트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후술되는 분무수단(300)의 종속풀리(310)와 밸트결합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210)는 전술한 엔진(E)에 구비된 크랭크 샤프트(C)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풀리(210)는 후술되는 종속풀리(310)과 밸트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동력수단 고정브라켓(220)은 전술한 크랭크 샤프트(C)의 외연 일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으로 본체프레임(10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동력수단(200)이 본체프레임(1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ㄴ"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무수단(300)은 전술한 본체프레임(100)의 분사수단 거치부(104)에 결합된다. 여기서, 분사수단(300)은 유입구와 분사구가 구비된 통상의 분사수단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분사수단(300)의 일측으로 전술한 동력수단(200)의 구동풀리(210)와 밸트결합되는 종속풀리(3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종속풀리(310)는 조절 레버(202)의 작동에 따른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력이 결정되어 분사수단(300)의 분사압력이 조절된다. 여기서, 종속풀리(310)를 구비한 분무수단(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공급수단(400)은 연료탱크(410), 고정브라켓(420) 등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료탱크(410)은 일측으로 연료주입구(412)가 형성되고, 상측 일면에 연료공급관(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프레임(100)의 측면 일측에 돌출형성된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안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410)의 상측 외연에 접하도록 "ㄷ"형으로 절곡되고, 양끝단에 수나사(422)가 형성되어 전술한 연료탱크 거치부(106)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통공(108)에 끼움결합되어 너트(424)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상기 상부덮개(5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면이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동력수단(200)이 보호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덮개(500)의 판재 상부면 일측으로 복수의 주입공(502)이 형성되되, 복수의 주입공(502)는 엔진(E)에 오일 등의 보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면 일측 전면으로 견인고리(504)가 구비되어 건축물의 철거 등에 따른 시공현장에서 크레인 등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 엔진(E)이 내설된다. 여기서, 엔진(E)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206) 및 라지에이터(208)이 구비되고, 일측으로 엔진에 구비된 크랭크 샤프트(C)에 축결합된 구동풀리(210)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체프레임(100)의 상측 일측으로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연료공급수단(400)이 구비되어, 엔진(E)에 연료를 공급하여 엔진(E)가 구동토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0)의 일측 상측으로 분무수단 거치부(104)에 유입구(부호생략), 분사구(부호생략)가 구비된 분무수단(300)이 결합되되, 분무수단(300)에는 축결합된 종속풀리(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분무수단(300)은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0) 하측 일측으로 형성된 클러치 레버(204)를 잡아당겨 엔진(E)의 클러치부(도시없음)의 기어물림을 해제한다. 이후, 기어물림이 해제됨과 함께 크랭크 샤프트(C)가 공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C)의 끝단측에 축결합된 구동풀리(210)도 함께 공회전된다.
다음으로, 공회전되는 구동풀리(210)에 밸트(부호생략)를 결합한 후, 각각의 분무수단(300)에 구비된 종속풀리(310)에 밸트를 걸쳐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풀리(210)의 공회전에 따라 종속풀리(310)과 구동풀리(21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시동키(도시없음)를 시동 판넬(201)을 통해 엔진(E)의 초기시동을 걸게되면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B)를 통해 초기 점화스파크가 방진되어 엔진(E)이 구동된다. 이때, 전술한 클러치 레버(204)는 원상 태로 복귀하여 기어물림상태로 크랭크 샤프트(C)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시동에 따라 엔진(E)가 작동되고, 엔진(E)의 작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C)가 작동되어 구동풀리(210)가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풀리(21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구동풀리(210)과 밸트결합된 각각의 종속풀리(310)이 동일하게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종속풀리(310)에 축결합된 분무수단(300)의 내부 플런저(도시없음)가 작동됨과 함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를 통해 물 등의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가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분무수단(30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분사구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어 공사장, 건축물의 철거현장 등에서 발생되기 쉬운 분진, 먼지 등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분사될 뿐만 아니라, 강한 압력을 통해 넓은 지역의 현장의 분진, 먼지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무수단(300)의 유입압력과 토출압력은 분무수단(300)에 출결합된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은 밸트결합되어 있는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조절레버(202)를 사용자에 의해 조정하게 되면 엔진의 가속력이 조절되고, 이와 함께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이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이 조절레버(202)의 당겨짐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밸트결합된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이 제어되는 것으로, 분무수단(300)의 유입압력과 토출압력이 결정되어 공사장, 철거현장 등의 사용 면 적에 따라 유입압력과 토출압력의 조절을 통해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동력수단(200)을 수명을 다한 자동차 등의 디젤엔진을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음기 등에 의한 물분사장치의 소음이 현저히 줄어듬으로써, 주변 민원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유체의 분사 토출압력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공사장, 철거현장 등의 분진, 먼지 등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대기환경오염의 방지 뿐만 아니라 국민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일측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우측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좌측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연료공급수단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프레임 102 : 수용부
104 : 분무수단 거치부 106 : 연료탱크 거치부
108 : 결합통공 200 : 동력수단
201 : 시동 판넬 202 : 조절 레버
204 : 클러치 레버 206 : 소음기
208 : 라지에이터 210 : 구동풀리
220 : 동력수단 고정브라켓 300 : 분무수단
310 : 종속풀리 400 : 연료공급수단
410 : 연료탱크 412 : 주입구
414 : 연료공급관 420 : 고정브라켓
422 : 수나사 424 : 너트
500 : 상부덮개 502 : 주입공
504 : 견인고리 B : 배터리
C : 크랭크축 E : 엔진

Claims (6)

  1. 다수의 찬넬에 의해 결합되어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상측 일측으로 분무수단 거치부(104)가 형성되며, 측면 일측으로 연료탱크 거치부(106)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구동풀리(210)가 설치된 동력수단(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분사수단 거치부(104)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의 구동풀리(210)와 밸트결합되는 종속풀리(310)가 마련되며, 구동풀리(210)의 회전력에 따라 종속풀리(310)의 회전력이 결정되어 분사압력이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무수단(3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400)과;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면이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동력수단(200)이 보호되도록 형성되며, 판재 상부면 일측으로 복수의 주입공(502)이 형성된 상부덮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는 본체프레임(100) 일측 측면으로 복수의 찬넬에 의해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결합통공(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200)은
    상기 연료공급수단(4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으로 크랭크 샤프트(C)가 구비된 엔진(E)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측면 일측에 배터리(B)가 구비되고, 배터리(B)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엔진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시동 판넬(201)과;
    상기 시동 판넬(201) 직하에 엔진(E)의 변속이 조절되도록 마련된 조절레버(202)와;
    상기 본체프레임(100) 측면 하측에 형성되고, 기어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기 구동풀리(210)에 밸트결합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기어물림을 해제토록 구비된 클러치 레버(204)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C)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210)와;
    일측으로 상기 크랭크 샤프트(C)의 외연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본체프레임(10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ㄴ"형상의 동력수단 고정브라켓(22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200)의 엔진(E)은 측면 타측으로 엔진소음이 저감되도록 소음기(206)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수용부(102) 타측으로 라지에이터(208)가 형성된 디젤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수단(400)은
    연료주입구(412)가 형성되고, 상측 일면에 연료공급관(414)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에 안치되는 연료탱크(410)와;
    상기 연료탱크(410)의 상측 외연에 접하도록 "ㄷ"형으로 절곡되고, 양끝단에 수나사(42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420)과;
    상기 연료탱크 거치부(106)의 결합통공(108)에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수나사(422)가 끼움결합되어 너트(42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500)의 상부면 일측 전면으로 견인고리(50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KR1020070090675A 2007-09-06 2007-09-06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KR10078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75A KR100787362B1 (ko) 2007-09-06 2007-09-06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75A KR100787362B1 (ko) 2007-09-06 2007-09-06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362B1 true KR100787362B1 (ko) 2007-12-18

Family

ID=3914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75A KR100787362B1 (ko) 2007-09-06 2007-09-06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34B1 (ko) * 2017-10-24 2018-07-31 최상준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960A (en) 1988-06-30 1990-11-06 Futrell Edgar V Vehicle wash system
JPH08197016A (ja) * 1995-01-27 1996-08-0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温水洗浄機
JPH11290634A (ja) 1998-04-09 1999-10-26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装置
JPH11343746A (ja)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JP2000037644A (ja) 1998-07-24 2000-02-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動力噴霧機
JP2000117203A (ja) 1998-10-15 2000-04-25 Okatsune Haguruma Seisakusho:Kk 洗浄装置
JP2002136905A (ja) 2000-11-02 2002-05-14 Maruyama Mfg Co Ltd 動力噴霧機
KR200342579Y1 (ko) 2003-11-21 2004-02-18 윤도원 동력분무기의 이동대차
KR200359611Y1 (ko) 2004-05-28 2004-08-21 윤도원 콤프레서와 분무기가 설치된 농용 작업기
KR200429088Y1 (ko) 2006-07-28 2006-10-17 조남혜 해수용 고압 세척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960A (en) 1988-06-30 1990-11-06 Futrell Edgar V Vehicle wash system
JPH08197016A (ja) * 1995-01-27 1996-08-0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温水洗浄機
JPH11290634A (ja) 1998-04-09 1999-10-26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装置
JPH11343746A (ja)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JP2000037644A (ja) 1998-07-24 2000-02-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動力噴霧機
JP2000117203A (ja) 1998-10-15 2000-04-25 Okatsune Haguruma Seisakusho:Kk 洗浄装置
JP2002136905A (ja) 2000-11-02 2002-05-14 Maruyama Mfg Co Ltd 動力噴霧機
KR200342579Y1 (ko) 2003-11-21 2004-02-18 윤도원 동력분무기의 이동대차
KR200359611Y1 (ko) 2004-05-28 2004-08-21 윤도원 콤프레서와 분무기가 설치된 농용 작업기
KR200429088Y1 (ko) 2006-07-28 2006-10-17 조남혜 해수용 고압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134B1 (ko) * 2017-10-24 2018-07-31 최상준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724B2 (en) Hybrid drive for hydraulic power
KR100833614B1 (ko) 아이들스탑 기능을 가진 차량의 엔진 제어 방법
CA2398012A1 (en) Automatic stop and start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688482A (zh) 内燃机的停止起动控制装置
CN1906392A (zh) 内燃机的引擎起动控制系统
CN1847633A (zh) 用于内燃机的燃料供给装置
EP2055608A3 (en) Method for monitoring an auxiliary pump for a hybrid powertrain
WO2007106354A3 (en) Gasoline engine system using variable direct ethanol injection and engine shutdown
CN1693632A (zh) 车载式多功能混凝土施工设备
KR100787362B1 (ko)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EP1400687A3 (en) Starting method and starting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method and device of estimating starting energy employed for starting method and starting device
DE102017119754B4 (de) Anlasssystem einer maschine
CN102501850A (zh) 一种新型自动启停系统
CN110242449A (zh) 进气预热与水循环散热联合的装载机发动机
CN203570438U (zh) 一种无级变速箱怠速启停供油装置、无级变速箱及车辆
CN2813774Y (zh) 车载式多功能混凝土施工设备
US20100278663A1 (en) Pump Drive System
DE102013219108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Start/Stopp-Automatik
JP3814962B2 (ja) 油圧作業装置搭載車
CN103098786A (zh) 自走式喷杆喷雾机及应用方法
CN102817758B (zh) 用于重新起动发动机的设备和方法
CN213253509U (zh) 一种自动驱动筑路机械
CN203262099U (zh) 自走式喷杆喷雾机
CN209066412U (zh) 一种夯实机的震动器
CN103174533A (zh) 利用废气智能无电启动技术实现汽车自动起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