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34B1 -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34B1
KR101884134B1 KR1020170138529A KR20170138529A KR101884134B1 KR 101884134 B1 KR101884134 B1 KR 101884134B1 KR 1020170138529 A KR1020170138529 A KR 1020170138529A KR 20170138529 A KR20170138529 A KR 20170138529A KR 101884134 B1 KR101884134 B1 KR 10188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rotor
nozzle
scatte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준
Original Assignee
최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준 filed Critical 최상준
Priority to KR102017013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비산 먼지 제거시 보다 효과적으로 비산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비산 먼지 제거를 위한 유체의 크기와 양을 노즐로터와 비산로터의 다양한 구조적 변형을 통해 동일한 양의 유체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보다 효율적으로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비산 먼지를 형성하는 물질와 밀도에 따라 유체를 따르게 공급하여 해당 물질에 최적화된 비산 먼지 제거용 유체 상태를 형성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양의 유체만으로도 매우 효과적으로 대기 중의 비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SPRAY APPARATUS FOR INHIBITING GENERATION OF FLYING DUST}
본 발명은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되면서도, 효과적으로 비산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비산먼지는 사업장이나 공사현장 등에서 일정한 배출구를 거치지 않고 대기중에 직접 배출되는 먼지로서 비산분진이라 한다.
이렇게 발생된 비산먼지는 입자상 물질 중에서 흙·모래·암석·금속·식물 등 고형물이 파쇄되어서 생긴 지름 0.1㎛~수십㎛인 고형미립자로 공기 중에 부유하면서 호흡을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입자 중 일부는 기침, 재채기, 섬모운동 등에 의하여 제거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폐포 등에 침착, 축적되기 쉬워 다른 대기 오염물질보다 인체 건강에 더 큰 악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사람이 호흡할 때 직경이 10㎛ 이하인 미세입자들은 호흡기를 통하여 폐에까지 도달하여 침착될 수 있다하여 이를 근거로 대기환경기준 항목에 추가하는 실정이다.
한편, 건설폐기물이나 하천 등에서 대기중에 먼지가 비산하고 있다. 이러한 먼지들은 산업의 발전과 자연의 훼손에 따라 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산업 및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분진이나 비산먼지의 표면을 젖게 하는 수분첨가장치는 수분 첨가량을 제어하지 않아서, 많은 수분을 첨가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분진의 양에 비하여 적은 수분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분진에 수분이 고르게 함유되지 않아 분진 및 비산먼지의 방지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는 양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폐콘크리트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입경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진동 스크린, 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 폐기물, 토분, 석분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공정에서 많은 양의 먼지가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송풍기로 강풍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 일시에 대기 중으로 분산되어 전체 작업장을 오염시키거나,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하여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의 인근 주민에게도 피해를 주어 민원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 주위에 방진벽 또는 방진망을 설치하고 골재 저장소 등을 방진시트로 씌워두기도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법으로는 공정자 체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재생시스템을 오염시킨 먼지가 외부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극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생시스템 주위에 살수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살수 지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송풍기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차단할 수 없었고 별도의 인력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사용된 살수 차량을 이용하거나 스프링쿨러를 사용하여 용수를 살수함으로써 작업장 주변에 발생하는 먼지나 비산 분진을 제거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용수살포 장치는 일반 소화전과 같은 굵은 물줄기 형태나 스프링 쿨러 형태로 살수하기 때문에 살수된 주변이 불결하고, 미세한 분진까지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용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좁아 살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살수를 위해 요구되는 장치의 부피가 크고, 살수 시 이용되는 물의 양이 많아 비용과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현장의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25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되면서도, 효과적으로 물을 살수하도록 구성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 먼지 제거시 제거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비산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로터와 비산로터의 다양한 구조적 변형을 통해 동일한 양의 유체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산 먼지를 구성하는 먼지의 종류를 파악하여 해당 먼지 종류에 맞는 유체를 공급하여 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 또 다른 목적은, 주위 대기의 비산 먼지 밀도를 파악하여 해당 비산 먼지 밀도에 맞는 유체의 크기와 양을 대기중으로 분사함으로써, 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유로하우징부재;와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모터부;와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는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부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체를 비산로터로 분사하는 노즐로터;와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부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로터에 의해 분사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비산로터; 및 상기 유로하우징부재 및 상기 모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로터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공급받는 상기 유체를 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로 분사시키기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로하우징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는 유입유도부;와 상기 비산로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모터;와 상기 회전 사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터 및 상기 비산로터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롤러;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롤러에 제공하는 롤러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유도부와 상기 배출유도부는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에는 망 형상의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금속 선재가 망의 형태로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에는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 방향 또는 강/약을 제어하기 위한 분사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제어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사용자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패널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로터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유체를 공급받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유체를 상기 노즐 블레이드 방향으로 제공하는 유체 제공부; 및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고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타격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유체로 바꾸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 제공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유체 제공부를 회전 시키는 회전 샤프트 연결부;와 상기 노즐블레이드가 연결되어 위치하는 노즐 블레이드 연결 몸통;과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노즐 블레이드 방향으로 분사하는 유체 분사팔; 및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마찰력이 적은 윤활물질로 고팅되어 있는 급수관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블레이드에서 상기 비산로터 방향을 전면,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방향을 후면이라 하면,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후면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전면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후면 공간에 담겨져 있는 상기 유체를 회전시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홀은 외측을 향할수록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외측 단부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는 방향에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시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내부 공간에 있는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여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산로터는, 중심축에 상기 회전 샤프트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로터판; 및 상기 몸통 및 상기 로터판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노즐로터로부터 제공받은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플렛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렛블레이드는 상기 몸통에 연결되는 부분을 하측부, 상기 몸통에서 멀어지는 부분을 상측부라고 할때, 회전시 상기 상측부가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렛블레이드의 상측부에는 상기 노즐로터로부터 제공받은 유체에 충격을 주어 상기 유체를 미세 크기의 유체로 변형하는 블레이드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렛블레이드에는 복수 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산로터는, 상기 노즐로터와 가까운 방향이 전방부, 상기 노즐로터와 먼 방향이 후방부라고 하면, 상기 몸통의 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이 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비산로터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넓어지는 폭을 갖는 절두원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에는, 상기 노즐로터와 상기 비산로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통신단말을 통해 원격에서 상기 컨트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비산로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제어부재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디퓨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로터와 상기 회전 샤프트 사이에 상기 노즐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노즐로터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노즐로터 기어부의 기어변속을 제어하여 상기 비산로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노즐로터의 회전 속도를 조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크기와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산 먼지의 종류 및 밀도를 측정하는 비산 먼지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비산 먼지 측정 센서로부터 주위의 비산 먼지 종류와 밀도 정보를 수신하여 주위의 비산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체를 제공하고 최적의 유체 상태를 만들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되면서도, 효과적으로 물을 살수여 비산 먼지 제거에 이용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 운영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 현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즐로터와 비산로터의 간단한 구조적 변경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비산 먼지 제거용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비산 먼지를 형성하는 물질 밀도에 따라 유체를 따르게 공급하여 해당 물질에 최적화된 비산 먼지 제거용 유체 상태를 형성하여 분사함으로써, 적은 양의 유체만으로도 매우 효과적으로 대기 중의 비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내에서 유체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수평 단면도 구조와 그에 따른 유체의 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플렛블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0 내지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노즐로터의 구성과 노즐블레이드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유입유도부 및 배출유도부의 또 다른 구조와 배출유도부에 연결되는 분사제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분사제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유입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컨트롤 유닛이 노즐로터 기어부와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산업 및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비산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유로하우징부재와 모터부 및 지지부로 크게 구성된다.
유로하우징부재는 유체를 공급받아 내부에서 공급받은 유체를 비산 먼지 제거용 형태(미세 알갱이 입자로 구성된 안개와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배출한다.
이를 위해서 유로하우징부재는 유체를 공급받고 이를 외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와 결합하여 작은 물입자로 분해하는 유입유도부(10)와, 유입유도부(1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입자(알갱이) 형태의 물을 보다 미세한 형태의 입자로 구성된 안개와 같은 형태로 파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유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가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를 포함하여 각종 전기배선들과 모터, 벨트 등의 전체 구성들이 보다 공간효율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모터부는 유로하우징부재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로하우징부재 내부에 구성된 유체를 비산 먼지 제거용 형태로 변형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인 노즐로터(100) 및 비산로터(200)에 회전 샤프트(45)와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모터부는 모터(40)와 롤러벨트(42) 및 롤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40)는 롤러벨트(42)로 롤러(41)와 연결되어 롤러(41)를 회전 시키고, 롤러(41)는 회전 샤프트(45)와 연결되어 노즐로터(100) 및 비산로터(2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지지부(60)는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와 모터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지지부(60)에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나 롤러 같은 이동 수단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의 유로하우징부재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가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유도부(20)는 유입유도부(10)로부터 제공받은 내부의 유체가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유도부(20)의 후방부에 유입유도부(10)가 직각 형태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서는 급수관(30)을 통해서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 공급된 유체가 비산먼지 제거를 위해 작은 미세 알갱이의 유체 형태로 분사되어 배출된다.
이를 위해서 유입유도부(10)는 급수관(30)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유체를 내부의 노즐로터(100)를 통해 배출유도부(20)의 비산로터(200) 쪽으로 분사한다.
또한, 비산로터(200)와 노즐로터(100)는 회전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유도부(10) 내부로 흡입한다.
즉, 유입유도부(10)는 유체(물)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유체를 작은 알갱이 형태로 변형한 후 배출유도부(20)의 비산로터(200)로 제공한다.
배출유도부(20)는 유입유도부(10)로부터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를 제공받고, 이를 내부의 비산로터(200)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비산로터(200)는 노즐로터(100)를 통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변형된 유체를 보다 미세한 형태의 안개와 같은 형태의 유체로 변형하여 배출구(2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4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5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의 좌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의 전체적인 형상은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입유도부(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30)과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다.
배출유도부(20)는 일측면에 유입유도부(10)가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측면에 모터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3을 보면 배출유도부(20)는 우측면에 유입유도부(10)가 결합되어 연결되고 좌측면에 모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입유도부(1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배출유도부(20)는 직사각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의 형상은 원통형 및 직사각형을 비롯한 그밖의 다양한 형태로 외형이 디자인될 수도 있다.
또한, 유로하우징부재에는 유입유도부(10)의 노즐로터(100)와 배출유도부(20)의 비산로터(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유닛(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4에서는 컨트롤 유닛(50)이 배출유도부(20)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 유닛(5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1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내에서 유체(물)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공급받은 유체를 내부에서 작은 알갱이 구조를 가진 안개 형상의 유체로 변형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유입유도부(10)와 연결된 급수관(30)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급수관(3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일반적으로 물을 의미하나, 대기 중의 비산 먼지의 종류에 따라 해당 비산 먼지와 잘 결합되어 대기중의 비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물 이외의 다른 유체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급수관(30)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비산 먼지의 종류에 따라 해당 비산 먼지를 구성하는 물질과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무게를 증가시켜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물 이외의 안전한 유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유입유도부(10)의 노즐로터(100)는 모터부의 롤러(41)와 연결된 회전 샤프트(45)와 연결되어 회전을 하며, 노즐로터(100)의 회전은 외부 공기(A)의 유입을 돕는다.
그리고, 노즐로터(100)는 상기 급수관(30)을 통해 공급받은 유체(B)를 회전 운동을 통해 작은 알갱이 구조의 유체(C)로 변형하여 배출유도부(20)의 비산로터(200)로 제공한다.
비산로터(200)는 노즐로터(100)로부터 공급받은 작은 알갱이 구조의 유체(C)를 회전운동을 통해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비산로터는 노즐로터(100)로부터 공급받은 작은 알갱이 구조의 유체(C)를 보다 더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형성된 안개 형태의 유체(D)로 변형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의 구성에 따른 주요 기능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즐노터(100)에서 회전 운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A)를 유입구(11)를 통해 흡입하고 급수관에서 공급받은 유체(B)을 회전 운동을 통해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로 변형하는 단계.
2. 노즐로터(100)는 회전 운동을 통해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배출유도부(20)의 비산로터(200)로 제공하는 단계.
3. 비산로터(200)가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회전운동을 통해 보다 미세한 알갱이 구조의 안개 형태의 유체(D)로 변형하는 단계.
4. 비산로터(200)가 안개 형태의 유체(D)를 배출유도부(20)의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여기서, 노즐노터(100)의 구조 및 기능은 도10과 도11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비산로터(200)는 도7, 도8 및 도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의 (a)는 비산로터(200)의 정면도이고, 도7의 (b)는 비산로터(2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비산로터(200)는 중심축에 상기 회전 샤프트(45)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4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205)과 몸통(205)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로터판(201, 202) 및 플렛블레이드(210)를 포함한다.
플렛블레이드(210)는 몸통(205) 및 상기 로터판(201,202)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유체에 충격을 주어 미세 크기의 유체(안개 형태의 유체)로 만들어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비산로터(200)에는 몸통(205)과 몸통(205)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된 로터판(201,202) 및 플렛블레이드(210)로 둘러싸인 일측이 개방된 복수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7의 (b)를 보면 몸통(205)과 몸통(205)의 측면에 결합된 로터판(201,202) 및 플렛블레이드(210)로 둘러싸인 일측이 개방된 복수개의 공간이 도시되어 있다.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는 이러한 복수개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비산로터(200)가 회전을 하게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배출구(21)를 통해 배출유도부(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유체를 외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C)하기 위해서 플렛블레이드(210)는 비산로터(200)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렛블레이드(210)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옆으로 누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렛블레이드(210)의 상단부(215)가 노즐로터(100)로부터 전달되는 물알갱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산로터(200) 회전에 의해 노즐로터(100)로부터 전달되는 물알갱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쇄하여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수평 단면도 구조와 그에 따른 유체의 배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산로터(200)는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산로터(200)의 수평 단면도 구조에 따라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달라질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의 (a)는 비산로터(200)의 수평 단면도가 사각형 구조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의 (b)는 비산로터(200)의 수평 단면도가 사다리 모양의 구조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산로터(200)의 수평단면도 구조를 옆으로 누운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하여 노즐로터(10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와 보다 원활히 접촉하여 물방울을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산로터(200)에서 노즐로터(100)에 가까운 방향을 전방부, 노즐노터(100)로부터 먼 부분을 후방부라고 하면, 몸통(205)의 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이 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비산로터(200)가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넓어지는 폭을 갖는 절두원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비산로터(200)의 수평단면도는 도8의 (c)에서와 같이 후방부의 길이가 전방부의 길이 보다 긴 옆으로 누운 사다리꼴 모양의 구조가 된다.
상기 비산로터(200)의 평면적 형태는 플렛블레이드(210)의 구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산로터의 플렛블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산로터(200)는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타격하여 잘게 분쇄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산로터(200)의 플렛블레이드(210)의 구조를 변경하여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한 알갱이 구조 유체(D)로 변형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
즉, 플렛블레이드(210)의 구조를 도9 (a) 및 도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렛블레이드(210)의 상부에 복수개의 절개부들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블레이드암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블레이드암부(211)는 비산로터(200)가 회전을 하게되면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단위 시간 당 보다 효율적으로 많은 미세한 알갱이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암부(211)의 각 모서리 부분들이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와 부딪혀 보다 미세한 크기의 유체인 안개 형태의 유체(D)로 변형할 수 있다.
이때, 플렛블레이드(2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홀(2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블레이드홀(212)들 역시 노즐로터(100)로부터 제공받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유체(C)를 보다 미세한 크기의 유체인 안개 형태의 유체(D)로 변형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조이다.
도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노즐로터의 구성과 노즐블레이드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노즐로터(100)는 노즐블레이드(110)와 유체 제공부(120)를 포함한다.
도10은 노즐블레이드(110)의 후면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노즐블레이드(110)는 급수관(30)을 통해 제공받은 유체를 타격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유체로 바꾸어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노즐블레이드(110)는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를 유입구(11)를 통해 흡입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유체 제공부(120)는 급수관(30) 및 회전 샤프트(45)와 연결되어 급수관(30)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고 회전 샤프트(45)의 회전 시, 상기 유체를 노즐 블레이드(110)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유체 제공부(120)는 중심부의 노즐 블레이드 연결 몸통, 유체 분사암(123), 급수관 연결홀(125) 및 회전 샤프트 연결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샤프트 연결부(127)가 배치되는 노즐 블레이드 연결 몸통의 외부면에는 노즐블레이드(110)가 결합되어 위치한다.
유체 분사암(123)은 급수관(3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노즐블레이드(110) 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서 유체 분사암(123)에는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도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즐블레이드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급수관 연결홀(125)은 급수관(30)이 끼워져서 연결되는 구멍으로서, 유체 제공부(12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잘 새지 않도록 급수관의 크기에 맞게 형성한다.
그리고 유체 제공부(120)는 상기 급수관(3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시 급수관(30)과의 마찰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력이 적은 윤활물질로 고팅되거나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급수관(3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연결부(127)는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요철 형태나 본딩 처리 등 회전 샤프트(45)와 견고히 연결이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노즐블레이드(11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노즐블레이드(110)에서 비산로터(200) 방향을 전면, 유체 제공부(12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방향을 후면이라 하면, 노즐블레이드(110)의 후면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유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블레이드(110)의 전면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블레이드(11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분사홀(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노즐블레이드(110)를 형성하면, 노즐로터(100)가 회전하게 되면, 유체 제공부(120)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유체가 노즐블레이드(110)의 후면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유체는 노즐블레이드(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에 내에 머무르면서 분사홀(112)을 통해 노즐블레이드(110)의 전면으로 분사되어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유체 제공부(120)로부터 노즐블레이드(110)의 후면으로 분사되는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노즐블레이드(110)의 외측에 주로 분사가 된다.
따라서, 노즐블레이드(110)의 형상도 유체가 주로 분사되는 방향에 많은 양의 유체가 고일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의 공간이 더 넓도록 후면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분사홀(112)들 방사상 외측을 향할수록 더 큰 분사홀(112)을 형성하여, 회전시 방사상 방향으로 고른 양의 유체가 분사홀(112)을 통해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분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블레이드(110)의 표면에 격자 형태의 미세한 오목부를 형성하여, 물과 접촉되는 노즐블레이드(110)의 표면이 거칠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물이 상기 노즐블레이드(110)의 표면을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표면으로 분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다 미세한 물입자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12는 노즐블레이드(110)가 파이프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노즐블레이드(110)는 외측 단부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노즐블레이드(110)는 파이프 형태의 내부 공간이 유체 제공부(120)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회전 운동시 원심력에 의해서 내부의 유체가 분사홀(112)을 통해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분사된다.
여기서, 분사홀(112)들은 노즐블레이드(110)의 외측을 향할수록 보다 크게 형성하여 회전시 균일한 양의 유체가 분사홀(112)을 통해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12 에 도시된 실싱에에서 각각의 노즐블레이드(110)는 비산로터(200)를 향하여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분사되는 유체가 비산로터(200)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분사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유입유도부 및 배출유도부의 또 다른 구조와 배출유도부에 연결되는 분사제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는 각각 사각형 형상, 원통형 형상, 원추형 형상 등 다양한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13에서는 유입유도부(10)와 배출유도부(20)가 사각형 형태로 이로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13에서는 배출유도부(20)는 비산로터로부터 배출구(21)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노즐과 같이 유체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유도부(20)에는 내부 유체의 분사 방향 또는 강/약을 제어하기 위한 분사제어부재(22)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13에서는 분사제어부재의 형상이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디퓨져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분사제어부재(22)가 디퓨져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분사제어부재(22)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은 상승된다.
이때, 상기 분사제어부재(22)는 하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사제어부재(22)를 통과함으로써 압력이 상승된 유체가 먼지에 압력을 가하여 하방으로 하강시킨다.
그리하여, 설치 현장에 부유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20)에는 디퓨져 형태(22)의 분사제어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23)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분사제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유도부(20)의 배출구에는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방향 또는 강/약을 제어하기 위해 분사제어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데, 또 다른 분사제어부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분사제어부재의 구조는 배출구(21)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배출구(21)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패널(25)과, 패널(25)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 수동조작에 의해 패널(25)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패널(25)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널 고정장치(27, 28)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26)을 통해 패널의 위치를 조정하고 패널 고정장치(27, 28)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패널(25)을 고정하여 유체의 분사 방향 또는 강/약을 제어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유입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유입구(11)는 비산로터(200)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유입구(11)를 형성하는 이유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유입유도부(10)로부터 배출유도부(20)로 신속히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유입구(11)에는 망 형상의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부재는 금속 선재가 망의 형태로 상호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컨트롤 유닛이 노즐로터 기어부와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에는 노즐로터(10)와 비산로터(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유닛(50)이 포함될 수 있다.
도15는 컨트롤 유닛(50)이 유로하우징부재의 배출유도부(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컨트롤 유닛(50)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단말을 통해 컨트롤 유닛(50)과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에서 컨트롤 유닛(50)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비산먼지 제거 장치에서는 대부분 수분 첨가량을 제어하지 않아서, 비산 먼지 제거시 필요한 양보다 많은 수분을 첨가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분진의 양에 비하여 필요한 양보다 너무 적은 수분이 첨가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종래에는 분진이나 비산 먼지의 제거를 위한 유체을 분사할때, 대기중의 비산먼지의 밀도에 맞지 않은 유체를 분사하여 분진 및 비산먼지의 방지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에서는 컨트롤 유닛(50)이비산로터(200)의 회전 속도와 노즐로터(1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의 크기(형태)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현재 대기 중의 비산 먼지의 종류나 밀도 정보를 알면 그에 따른 최적의 비산 먼지 제거용 유체 상태를 형성하여 비산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로터(100)와 비산로터(200)는 모두 회전 샤프트(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로터(10)와 비산로터(200)는 모두 동일한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배출구(21)를 통해 분사하는 유체의 크기와 양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즐로터(100)와 회전 샤프트(45)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노즐로터 기어부(150)를 구성하여 노즐로터 기어부(150)의 기어변속에 따라 노즐로터(100)의 회전 속도를 다양한 속도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 유닛(50)은 노즐로터 기어부(150)의 기어변속을 제어하여 노즐로터(100)의 회전 속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모터(40)의 동작을 제어하여 비산로터(2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컨트롤 유닛(50)을 통해 노즐로터(100)의 회전 속도와 비산로터(200)의 회전 속도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고 이를 조합하여 배출구(21)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크기와 양을 다향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해당 비산먼지의 밀도에 따라 최적의 유체 크기와 양을 형성하여 분사하는 경우에 비산먼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비산 먼지의 종류 및 밀도를 측정하는 비산 먼지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유닛(50)은 비산 먼지 측정 센서로부터 주위의 비산 먼지 밀도 정보를 수신하여, 주위의 비산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량의 유체를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노즐로터(100)의 회전 속도와 비산로터(2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0 : 유입유도부
11 : 유입구
20 : 배출유도부
21 : 배출구
22 : 디퓨져 형태의 분사제어부재
23 : 지지다리
25 : 패널
26 : 손잡이
27 : 패널 고정장치
30 : 급수관
40 : 모터
41 : 롤러
42 : 롤러벨트
45 : 회전 샤프트
50 : 컨트롤 유닛
60 : 지지부
100 : 노즐로터
110 : 노즐블레이드
112 : 분사홀
120 : 유체 제공부
123 : 유체 분사팔
125 : 급수관 연결홀
127 : 회전 샤프트 연결부
150 : 노즐로터 기어부
200 : 비산로터
201, 202 : 로터판
210 : 플렛블레이드
211 : 블레이드살
212 : 블레이드홀

Claims (23)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유로하우징부재;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모터부;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관;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는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부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받는 유체를 비산로터로 분사하는 노즐로터;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부와 회전 샤프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로터에 의해 분사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비산로터; 및
    상기 유로하우징부재 및 상기 모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로터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공급받는 상기 유체를 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의 내부로 분사시키기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로하우징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는 유입유도부;와
    상기 비산로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모터;와
    상기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로터 및 상기 비산로터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롤러;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롤러에 제공하는 롤러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유도부와 상기 배출유도부는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망 형상의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금속 선재가 망의 형태로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분사 방향 또는 강/약을 제어하기 위한 분사제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일측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연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사용자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패널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터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유체를 공급받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유체를 노즐 블레이드 방향으로 제공하는 유체 제공부; 및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고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를 타격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유체로 바꾸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공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유체 제공부를 회전 시키는 회전 샤프트 연결부;
    상기 노즐블레이드가 연결되어 위치하는 노즐 블레이드 연결 몸통;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노즐 블레이드 방향으로 분사하는 유체 분사팔; 및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마찰력이 적은 윤활물질로 고팅되어 있는 급수관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레이드에서 상기 비산로터 방향을 전면,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방향을 후면이라 하면,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후면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전면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후면 공간에 담겨져 있는 상기 유체를 회전시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표면에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홀은 외측을 향할수록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외측 단부가 폐쇄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는 방향에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시 상기 노즐블레이드의 내부 공간에 있는 상기 유체 제공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비산로터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레이드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하여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로터는,
    중심축에 상기 회전 샤프트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
    상기 몸통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로터판; 및
    상기 몸통 및 상기 로터판에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노즐로터로부터 제공받은 유체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플렛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블레이드는 상기 몸통에 연결되는 부분을 하측부, 상기 몸통에서 멀어지는 부분을 상측부라고 할때, 회전시 상기 상측부가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블레이드의 상측부에는 상기 노즐로터로부터 제공받은 유체에 충격을 주어 상기 유체를 미세 크기의 유체로 변형하는 블레이드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블레이드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로터는,
    상기 노즐로터와 가까운 방향이 전방부, 상기 노즐로터와 먼 방향이 후방부라고 하면, 상기 몸통의 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이 후방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비산로터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를 향하여 넓어지는 폭을 갖는 절두원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부재에는,
    상기 노즐로터와 상기 비산로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통신단말을 통해 원격에서 상기 컨트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비산로터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비산로터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어부재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디퓨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터와 상기 회전 샤프트 사이에 상기 노즐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노즐로터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노즐로터 기어부의 기어변속을 제어하여 상기 비산로터의 회전 속도와 상기 노즐로터의 회전 속도를 조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크기와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비산 먼지의 종류 및 밀도를 측정하는 비산 먼지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비산 먼지 측정 센서로부터 주위의 비산 먼지 종류와 밀도 정보를 수신하여 주위의 비산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체를 제공하고 최적의 유체 상태를 만들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KR1020170138529A 2017-10-24 2017-10-24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KR10188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29A KR101884134B1 (ko) 2017-10-24 2017-10-24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29A KR101884134B1 (ko) 2017-10-24 2017-10-24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134B1 true KR101884134B1 (ko) 2018-07-31

Family

ID=6307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29A KR101884134B1 (ko) 2017-10-24 2017-10-24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031B1 (ko) 2019-09-06 2019-11-0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회전식 링 노즐을 갖는 비산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KR102041945B1 (ko) * 2019-07-04 2019-11-07 김영호 구조물 해체공법용 인공지능형 비산먼지 제거시스템
KR102051869B1 (ko) * 2019-06-04 2019-12-05 (주)선바이오투 미세 먼지 저감 장치
KR102065272B1 (ko) * 2018-09-18 2020-01-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야적장 비산분진 배출 억제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83A (ja) * 1993-07-05 1995-01-27 Oohata Seisakusho:Kk 紙の解繊装置
WO2000027503A1 (en) * 1998-11-06 2000-05-18 Antonio Germano Gomes Pinto A rotor for spraying liquids, and an exhaust-gas washer
CN2628130Y (zh) * 2003-01-29 2004-07-28 遵义力天环境保护工程有限责任公司 离心式机械洗涤机
KR100787362B1 (ko) * 2007-09-06 2007-12-18 이석주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KR100812570B1 (ko) 2007-09-05 2008-03-12 (주)서동 터널의 발파 공사시 적용되는 비산 먼지 제거용 살수 장치
KR20120035278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하나테크 유체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83A (ja) * 1993-07-05 1995-01-27 Oohata Seisakusho:Kk 紙の解繊装置
WO2000027503A1 (en) * 1998-11-06 2000-05-18 Antonio Germano Gomes Pinto A rotor for spraying liquids, and an exhaust-gas washer
CN2628130Y (zh) * 2003-01-29 2004-07-28 遵义力天环境保护工程有限责任公司 离心式机械洗涤机
KR100812570B1 (ko) 2007-09-05 2008-03-12 (주)서동 터널의 발파 공사시 적용되는 비산 먼지 제거용 살수 장치
KR100787362B1 (ko) * 2007-09-06 2007-12-18 이석주 분진비산방지용 물분사장치
KR20120035278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하나테크 유체분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272B1 (ko) * 2018-09-18 2020-01-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야적장 비산분진 배출 억제방법
KR102051869B1 (ko) * 2019-06-04 2019-12-05 (주)선바이오투 미세 먼지 저감 장치
KR102041945B1 (ko) * 2019-07-04 2019-11-07 김영호 구조물 해체공법용 인공지능형 비산먼지 제거시스템
KR102040031B1 (ko) 2019-09-06 2019-11-0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회전식 링 노즐을 갖는 비산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134B1 (ko)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AU2004202581B2 (en) Dust suppressor with multi-jet nozzles
JP6638021B2 (ja)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KR20130142260A (ko)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KR101910602B1 (ko) 도로건설현장용 미세먼지 방지장치
KR20130059478A (ko)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KR101394545B1 (ko) 도료 분진 제거 장치
JPH06296818A (ja) 集塵装置
JP6401810B2 (ja) 集塵装置の泡液供給機構
KR20040096819A (ko) 터널 발파공사용 비산먼지 제거장치
KR101481422B1 (ko) 비산먼지 제거용 분사노즐
JP5918616B2 (ja) 密閉式廃棄物処分場の粉塵除去システム
KR102055520B1 (ko)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JP6756578B2 (ja) 帯電水粒子散布装置
KR100466220B1 (ko) 도로청소차의 부유먼지 비산방지장치
KR100670170B1 (ko) 공기 송풍식 골재 분리장치
KR101404201B1 (ko) 도료 흡착을 방지하는 도료 분진 제거 장치
KR102575349B1 (ko) 대기오염물질 흡입 제거용 벤투리형 복합노즐장치
CN108608336A (zh) 一种转椅用管材喷砂除锈装置
KR20020079613A (ko)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CN219765986U (zh) 一种振动筛的除尘装置
KR200320458Y1 (ko) 도로청소차의 부유먼지 비산방지장치
JP2021001503A (ja) 有害物質を含む塗装材の飛散防止装置、防止方法、およびその防止足場
CN215917755U (zh) 破碎生产线的综合抑尘系统
CN212017271U (zh) 一种圆筒混合机进料端的扬尘治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