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520B1 -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520B1
KR102055520B1 KR1020190040393A KR20190040393A KR102055520B1 KR 102055520 B1 KR102055520 B1 KR 102055520B1 KR 1020190040393 A KR1020190040393 A KR 1020190040393A KR 20190040393 A KR20190040393 A KR 20190040393A KR 102055520 B1 KR102055520 B1 KR 10205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workplace
water
scattering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성
Original Assignee
진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민성 filed Critical 진민성
Priority to KR102019004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하고,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장의 일측에 차량이 정차하여 건설폐기물을 하차하면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도록 차량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분사부와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와 연결되어 분사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부를 통해 미세 물방울로 형성된 일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 및 건설폐기물이 하차되는 영역과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맨홀이 형성되어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맨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맨홀을 연결하는 관로가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DUST DISPERSING}
본 발명은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을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부를 설치하여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 공장, 시멘트 공장, 공사장, 야적장, 건설폐기물 재활용 처리장 등에는 각종 파쇄설비의 가동이나 차량이 사토 등의 자재를 운반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비산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 비산먼지로 인한 환경피해와 대기 오염을 줄이고 있다.
예컨대, 물을 가압하여 파이프로 송수하고 노즐로 분사하는 살수차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야적장의 자재 주위에 물을 흩어 뿌려서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살수차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방식은 대개 자재의 주위에서 살수하는 특성상 살수 면적 및 범위가 좁은 데다 주위의 환경과 바람에 따라 살수 상태가 좌우되므로 비산먼지의 발생 억제를 위한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즉, 바람의 세기나 방향 및 먼지 발생 정도와 상관없이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이 있을 때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먼지가 날리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흩날림에 따라 바람이 부는 방향 쪽은 먼지의 비산을 억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물방울이 바람의 방향과 직각방향에 많이 분포, 즉 특정 지점에 물 뿌림이 집중되어 자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73270호(2016.11.01. 등록)인 "분무 살수장치"를 살펴보면 분무 살수장치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개구부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송풍기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1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용수를 공급하는 제1 살수 파이프 및 제1 살수 파이프와 병렬배치되며, 복수개의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용수를 공급하는 제2 살수 파이프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먼지가 비산하는 범위가 넓은 경우 복수개로 구비해야하고, 송풍기에 의해 물의 분사범위가 넓어질 수 있으나 송풍기의 바람으로 먼지가 더욱 광범위하게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먼지 발생량에 비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7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32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폐기물을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부를 설치하여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하고,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일측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여 건설폐기물을 하차하면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분사부,
상기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통해 미세 물방울로 형성된 일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이 하차되는 영역과 상기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맨홀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맨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맨홀을 연결하는 관로가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작업장의 지면에 일정한 높이로 세워지는 중공형상의 메인포스트,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부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단에 수직한 축을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분사노즐이 형성된 암파이프 및 상기 메인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되는 건설폐기물의 측면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사이드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벽체, 상기 작업장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복수개의 관통된 홀이 형성된 포집부,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포집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과한 공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포집부의 외측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은 차량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벽체에 설치된 서브분사부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벽체로 넘어가는 먼지를 하부로 이동시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은 사이드분사노즐이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여,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 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은 벽체에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를 설치하여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하고 여과하여 작업장내로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도록 환기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분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집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분사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집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의 집진부를 통해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10)은 분사부(100), 급수부(200), 집진부(300) 및 배수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10)은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하고,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장의 일측에 차량(11)이 정차하여 건설폐기물(12)을 하차하면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도록 차량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분사부(100),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와 연결되어 분사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부를 통해 미세 물방울로 형성된 일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 및 건설폐기물이 하차되는 영역과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맨홀(410)이 형성되어 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물이 맨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맨홀을 연결하는 관로(420)가 형성된 배수부(4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사부(100)는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하면서 비산되는 먼지를 억제하기 위해 작업장에 설치된다.
특히, 분사부(100)는 차량이 정차하는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차량의 하차에 따른 건설폐기물이 쌓이는 부분의 상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비산되는 먼지를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사부(100)는 메인포스트(110), 회전부(120), 암파이프(130) 및 사이드분사노즐(140)을 포함한다.
메인포스트(110)는 작업장의 지면에 일정한 높이로 세워지는 중공형상인 것으로 작업장을 둘러싸는 벽체(310)의 상단 또는 벽체(310)보다 높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포스트(110)는 후술하는 급수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암파이프(130)로 물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120)는 메인포스트(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메인포스트(110)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메인포스트(110)를 서로 상하로 배치하여 상부의 메인포스트(110)를 회전되게 결합시켜 준다. 또한, 회전부(120)는 기어방식으로 형성되어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부에 위치한 메인포스트(1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부(120)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암파이프(130)는 메인포스트(110)의 상단에 수직한 축을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이러한 암파이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작업장의 내부로 진입하여 건설폐기물을 작업장에 하차하는 경우, 먼지가 바람에 날리거나 하차하는 압력에 의해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건설폐기물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에서 물이 하부로 분사된다.
이로 인해, 비산되는 먼지를 억제하여 작업장 주변의 환경 및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사이드분사노즐(140)은 메인포스트(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11)으로부터 하차되는 건설폐기물의 측면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사이드분사노즐(140)은 차량(11)의 적재함이 위치하는 방향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암파이프(130)의 물분사만으로 억제되지 않는 먼지를 억제시키도록 물을 분사한다.
이때, 사이드분사노즐(140)은 복수개의 노즐이 방사형으로 분사되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분사하여 비산되는 먼지를 억제시킨다.
즉, 사이드분사노즐(140)은 작업장을 둘러싸는 벽체(310)의 하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고, 후술하는 서브분사부(101)는 벽체(310)의 상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암파이프(130)와 함께 3방향에서 물을 분사하는 것 중 하나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분사부(101)를 더 포함한다.
서브분사부(101)는 작업장을 둘러싸는 벽체(3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다. 그리고 서브분사부(101)는 별도의 급수관이 연결되어 분사부(100)의 물분사와 별도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시킨다.
이를 위해, 서브분사부(10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관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노즐이 형성된다. 그리고 비산되는 먼지가 벽체(310)의 상부를 통해 작업장의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건설폐기물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급수부(200)는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와 연결되어 분사부(100)로 물을 공급한다.
즉, 급수부(200)는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를 상수관에 연결하여 물을 일정량 이상 저장하고, 작업에 따라 물탱크의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분사부(100)로 공급을 한다.
여기서, 급수부(200)는 분사부(100)에 물을 공급하되, 별도의 관을 더 구비하여 메인포스트(110)의 내부에 매립하고, 암파이프(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미도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집진부(300)는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사부(100)를 통해 미세 물방울로 형성된 일부의 먼지를 흡입한다.
이를 위해, 집진부(300)는 벽체(310), 포집부(320), 흡입팬(330), 필터부(340) 및 배출구(350)를 포함한다.
벽체(310)는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장을 둘러싸도록 하여 작업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건설폐기물의 하역, 분리 선별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리고 벽체(3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어 비산되는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포집부(320)는 작업장의 일측에 배치되되, 벽체(3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복수개의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포집부(320)는 박스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는 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되, 홀의 지름은 1.5cm 내지 3cm로 형성되어 건설폐기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포집부(320)는 분사부(100) 및 서브분사부(101)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먼지를 흡입하여 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입팬(330)은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를 포집부(3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흡입팬(330)은 포집부(3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모터가 형성된다. 그리고 모터가 포집부(32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모터의 일측와 포집부(320)의 상부 내측에 연결되는 연결부(331)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팬(330)은 하부에 후측방향으로 경사면이 상승하는 경사부(332)를 형성한다. 이는, 포집부(320)로 유입된 공기를 후측에 위치한 필터부(340)로 모아지게 하여 공기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서이다.
필터부(340)는 흡입팬(330)을 통과한 공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2중 또는 3중구조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350)는 필터부(340)를 통과한 공기가 벽체(310)의 내측으로 배출되도록 포집부(320)의 외측에 연통한다. 이로 인해, 공기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를 작업장의 내부로 배출하여 공기의 순환을 도와주고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수부(400)는 건설폐기물이 하차되는 영역과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맨홀(410)이 형성되어 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물이 맨홀(410)을 통해 배수되도록 맨홀을 연결하는 관로(420)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배수부(400)는 분사부(100)에서 물이 지속적으로 분사되더라도 작업장의 바닥이 일정 수분만 유지하고 남은 수분이 배출되게 하여 작업장의 습도를 일정 수준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맨홀(4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작업장의 바닥이 경사지게 하여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물이 맨홀(410)로 모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11 : 차량
12 : 건설폐기물
100 : 분사부
101 : 서브분사부
110 : 메인포스트
120 : 회전부
130 : 암파이프
140 : 사이드분사노즐
200 : 급수부
300 : 집진부
310 : 벽체
320 : 포집부
330 : 흡입팬
340 : 필터부
350 : 배출구
400 : 배수부
410 : 맨홀
420 : 관로

Claims (3)

  1. 차량에 적재된 건설폐기물을 하차하고, 분리 선별하는 작업장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의 일측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여 건설폐기물을 하차하면서 비산되는 먼지를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에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분사부;
    상기 작업장의 지중에 매립된 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벽체;와 상기 작업장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벽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복수개의 관통된 홀이 형성된 포집부;와 이물질이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포집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통과한 공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포집부의 외측에 연통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미세 물방울로 형성된 일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이 하차되는 영역과 상기 작업장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맨홀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맨홀을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맨홀을 연결하는 관로가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의 내측 상부를 따라 복수개의 노즐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장의 내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서브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작업장의 지면에 일정한 높이로 세워지는 중공형상의 메인포스트;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부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단에 수직한 축을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분사노즐이 형성된 암파이프; 및
    상기 메인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되는 건설폐기물의 측면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사이드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분사노즐은 물이 방사형으로 분사되되, 제1개의 노즐이 상부로 분사 시 제2개의 노즐이 하부로 분사되어 제1개 내지 제n개의 분사노즐이 서로 교차되게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0393A 2019-04-05 2019-04-05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KR10205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93A KR102055520B1 (ko) 2019-04-05 2019-04-05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93A KR102055520B1 (ko) 2019-04-05 2019-04-05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20B1 true KR102055520B1 (ko) 2019-12-12

Family

ID=6900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93A KR102055520B1 (ko) 2019-04-05 2019-04-05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0928A (zh) * 2021-04-26 2021-09-07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自适应包围式施工降尘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81Y1 (ko) * 2004-04-19 2004-08-05 김동호 건설현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 세척장치
KR100628522B1 (ko)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KR100885119B1 (ko) * 2007-10-25 2009-02-20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무동력 물 뿌림 장치
KR101231725B1 (ko) 2010-10-05 2013-02-21 주식회사 하나테크 유체분사장치
KR101673270B1 (ko) 2009-12-02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 분무 살수장치
KR20160141548A (ko) *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81Y1 (ko) * 2004-04-19 2004-08-05 김동호 건설현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륜 세척장치
KR100628522B1 (ko)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KR100885119B1 (ko) * 2007-10-25 2009-02-20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무동력 물 뿌림 장치
KR101673270B1 (ko) 2009-12-02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 분무 살수장치
KR101231725B1 (ko) 2010-10-05 2013-02-21 주식회사 하나테크 유체분사장치
KR20160141548A (ko) *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0928A (zh) * 2021-04-26 2021-09-07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自适应包围式施工降尘装置
CN113350928B (zh) * 2021-04-26 2022-05-10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自适应包围式施工降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8021B2 (ja)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US5125126A (en) High pressure cleaner equipped with a recovery means for the cleaning liquid and waste
KR101970624B1 (ko) 펄싱 작업에 필터링 공기를 이용하는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JP2009007823A (ja) 道路清掃車
US7846331B2 (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for vacuum truck
US7676965B1 (en) Air powered vacuum apparatus
KR102069546B1 (ko)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
JP5537503B2 (ja) 粉塵回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切削機
KR20070100600A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0627027B1 (ko) 진공흡입식 살수차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US11648591B2 (en) Pressure-washing apparatus
KR102055520B1 (ko) 비산먼지 방지 시스템
KR20130005079A (ko) 더스트 포집장치
KR101884134B1 (ko) 비산 먼지 억제용 살수장치
KR102118685B1 (ko) 고압용 오배수 펌프시스템
US20040003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debris
KR101062155B1 (ko) 도로 및 터널 벽면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2008119556A (ja) 塗装ブースろ過網の目詰まり防止装置
CN211815905U (zh) 一种多功能道路污染清除车
CN205549921U (zh) 一种粉尘处理设备
US48390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ooling tower basins
KR102298494B1 (ko) 차량용 도로 청소 흡입 장치
KR100233333B1 (ko)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KR20120083258A (ko) 공기증폭기를 이용한 압축공기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