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333B1 -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333B1
KR100233333B1 KR1019910007794A KR910007794A KR100233333B1 KR 100233333 B1 KR100233333 B1 KR 100233333B1 KR 1019910007794 A KR1019910007794 A KR 1019910007794A KR 910007794 A KR910007794 A KR 910007794A KR 100233333 B1 KR100233333 B1 KR 10023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yclone separator
bush hammering
container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748A (ko
Inventor
프랑소와 보뎅
쟝 보낭
Original Assignee
리차드 꽁뻬이롱
꼬게마 꽁빠니 제네랄 데 마띠에르 뉘끌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꽁뻬이롱, 꼬게마 꽁빠니 제네랄 데 마띠에르 뉘끌레르 filed Critical 리차드 꽁뻬이롱
Publication of KR91002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7/00Shielded cells or rooms
    • G21F7/06Structural combination with remotely-controlled apparatus, e.g. with manipul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G21F9/005De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objects by ablation

Abstract

유해 매체내의 벽면(A)을 소제하는데, 원격 조정 차량(32)에 장착된 부시 햄머링 수단(34)을 이용한다. 그 수단(34)에 의해 생긴 폐기물은 배출수단(14)에 연결된 수거 파이프(12)에 의해 직접 수거된다. 순서대로 수거 파이프상에 배치된 사이클론 분리기(22, 24), 정전 필터(26) 및 독립 필터(28, 30)는 폐기물을 점점 작은 크기 순으로 회수한다. 사이클론 분리기들은 용기(80)에 형성된 2개의 격실들(76, 78)위에 장착되고, 그 격실들 각각에는 여과후 폐기물 처리 물질을 상기 격실들 안으로 분사한다음 회수하는 장치들(90, 92, 100, 102, 106, 108)이 장착되어 있다. 정전 필터(26) 밑에는 역시 콘테이너(12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소재 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소제할 유해 구역내에 위치한 제1도 장치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거 파이프 14 : 배출 수단
22, 24 : 사이클론 분리기 26 : 정전 필터
28, 30 : 필터 32 : 원격 조정 차량
34 : 부시 햄머링 수단 76, 78 : 격실
80 : 용기 90, 92 : 스프링클러
본 발명은 원자력 공업의 고 방사실과 같은 유해 매체내의 벽면을 원격 조정 열화시켜 소제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에는 또한 상기 열화 공정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회수하고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
지금까지 원자력 공업에서, 방사선 오염실의 소제는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직접 방사실 내부로 들어가서 소제할 벽면을 직접 열화시켜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런 해결책은 방사실의 방사능 상태가 매우 높고 오염도가 아주 커서 사람이 그안에 직접 들어갈 수 없을때는 이용할 수 없다. 게다가, 방사실 안에 사람이 전혀 들어갈 수 없을때에도 사람들은 쏘여서는 안될 상당한 정도의 방사능을 흡수하게된다. 그외에도, 이런 작업에는 벽면의 열화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소정방법으로 처리하여 저장하기전에 방사실 내부에 설치된 매개용기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해 매체내의 벽면의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를 수행하고 상기 열화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자동으로 회수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에 관한 것인바, 이렇게 하면 방사실의 오염도가 어떻든간에 어느 경우에도 본 장치와 장치내부에 설치된 여러 수단들의 정확한 보수에 필요한 이외에는 전혀 사람에 의하지 않고 소제 작업을 할 수 있다. 그외에, 상기 장치로는 매개 용기에 들어가지 않고 폐기물을 직접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결과는 유해 매체내에 위치한 벽면의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와, 그 열화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회수하고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동 수단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절삭날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부시 햄머링 수단(bush hammerring means)이 달려있어, 그 부시 햄머링 수단의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내부에서 상기 벽면을 때리게 하는 원격조정 차량;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서 절삭날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수거하고, 한쪽 단부는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반대쪽 단부는 배출 수단에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수거 파이프상에 순서대로 잇달아 설치된 1개 이상의 사이클론 분리기와 필터 수단;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수거된 폐기물을 회수하고 처리하며, 사이클론 분리기 밑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처리 물질 분사 수단과 그 물질을 필터를 통해 회수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1개 이상의 밀봉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하나의 밀봉 용기를 포함하는바, 그 용기 내부에는 수거 파이프상의 제1사이클론 분리기밑에 연결된 비교적 큰 체적의 제1격실과 제1분리기 하류쪽에 위치한 제2사이클론 분리기밑으로 연결된 비교적 작은 체적의 제2격실이 형성되고, 이런 제1,2격실 내부에는 처리 물질 분사 수단과 그 물질을 필터를 통해 회수하는 수단이 장착된다.
필터 수단에는 수거 파이프상의 사이클론 분리기 하류쪽으로 깔때기형 바닥을 갖는 정전 필터가 있는 것이 좋은바, 상기 바닥은 콘테이너에 밀봉 연결될 수 있고 그 콘테이너는 상기 정전 필터가 정지된 뒤 분진을 회수한다.
정전 필터의 인입 깔때기에 전향기들을 설치하면 필터 내부의 기류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정전 필터의 깔때기형 바닥에 진동기를 장착하면 콘테이너를 향한 분진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여과를 완료하기 위해 정전 필터의 하류쪽에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필터 부재를 설치한다.
막힘 탐지기들을 독립된 필터 부재들 각각과 정전 필터에 장착하여, 막힌 것이 탐지될 때 부시 햄머링 수단의 절삭날 작동 수단의 자동 정지와 배출 수단의 자동정지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본 장치를 자동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오염된 방사실(B) 바닥의 오염된 열화 가능 벽면(A)의 소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설비는 유해 매체에서의 어느 방향의 벽면(바닥, 벽, 지붕, 천장등)도 열화시켜서 소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바, 유해 매체는 원자력 공업에서 사용되는 격납고일 수도 있고 또는 사람이 들어가 작업할 시간이 매우 제한되거나 전혀 없는 임의의 구역일 수도 있다.
소제할 벽면을 형성하는 재료의 성질은 부시 햄머링 수단에 의해 열화될 수 있으면 어떤 형식도 가능하다. 이 벽면은 특히 페인트 칠 되거나 되지않을 수 있는 콘크리트나 이에 상당하는 재료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소제 장치는 소제할 유해구역내에, 즉 도시된 실시예의 방사실(B)내에 있는 원격제어 부시 햄머링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원격제어 부시 햄머링 조립체(10)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수거하는 파이프(12)를 통해 상기 조립체는 유해구역외부, 즉 제1도의 방사실(B)외부의 나머지 장치에 연결된다.
폐기물 수거 파이프(12)중 원격제어 부시 햄머링 조립체(10)의 반대쪽 단부는 배출관(16)에 의해 강제로 공기를 내보내는 배출 수단(14)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출 수단(14)은 압축 공기 공급 덕트(20)에 위치한 전기밸브(18)를 개방할 때 벤튜리 효과로 작용하는 공압식 분사기이다.
방사실(B) 외부에서, 폐기물 수거 파이프(12)는 차례대로 제1사이클론 분리기(22), 제2사이클론 분리기(24), 정전 필터(26) 및 2개의 독립된 핵 필터들(28,30)을 거쳐 배출 수단(14)에 연결된다. 이런 각각의 장치들 때문에 파이프(12)에 의해 흡인된 공기로부터 폐기물(찌꺼기와 분진)을 연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바, 폐기물의 양은 배출관(16)에서 배출된 공기가 곧바로 대기중으로 배출될만큼 충분히 깨끗하도록 점점 작아진다.
이제 제2도를 참조하여 원격제어 부시 햄머링 조립체(1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 조립체(10)는 근본적으로 원격제어 차량(32)과 그 차량에 지지된 부시 햄머링 수단(34)으로 구성된다. 특수한 경우에는 원격제어 차량에 여러개의 부시 햄머링 수단들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
원격제어 차량(32)은 작업이 필요한 구역의 지형 특성에 적합하면 어떤 형식도 가능하다.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궤도차량일 수도 있고 또는 바퀴나 발달린 차량일 수도 있다.
차량(32)은 유해구역 외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원격조정 수단에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파이프에 의한 기계적 연결이 전혀 없이 무선조정될 수 있고, 작업자는 그 조정 수단에 의해 차량의 이동, 부시 햄머링 수단(34)을 소제할 벽면(A)에 붙인다음 그 부시 햄머링 수단의 작동을 대단히 안전하게 조정한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의 이동과 부시 햄머링 수단을 소제할 벽면에 붙이는 것을 보증하는 제어 신호를 차량(32)에 송신하는 것은 원격조정 차량(32)의 후미에 연접된 브래킷(38)에 설치된 케이블/파이프 조립체(36)에 의해 수행된다.
브래킷(38)의 방향은 수평이고 벽면(A)이 수평일 때 차축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차량이 후진할 때, 상기 브래킷(38)은 차량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움직여 케이블/파이프 조립체(36)가 차량 운행 구역을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격 조정 차량(32)의 상부 지지판(40)은 차량 전방에서 부시 햄머링 수단(34)을 지지하는 판(42)과 차량 후미에서 브래킷(38)에 각각 연접된다. 특히, 판(42)은 차량(32)에 횡방향인 축(44)에 의해 지지판(40)에 연접되고 차량이 수평면(A)위에 있을 때 수평으로 된다.
공압식 또는 전기식의 1개 이상의 잭들(46)의 양단은 지지판(40)의 윗면에 일체인 부재(40a)와 판(42)의 윗면에 일체인 부재(42a)에 각각 연접된다. 해당 피봇 핀들은 각각 제2도에 48과 5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보다시피, 정상 상태에서 잭(46)은 늘어나있고 판(42)은 거의 지지판(40)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차량(32)의 이동이 시작될때는, 부시 햄머링 수단(34)이 바닥에서 떨어지도록 잭(46)이 수축된다. 물론, 문제 지역의 바닥을 소제하기위한 이런 형상은 소제할 벽면이 수직이나 하향일 때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제2도에서 보다시피, 부시 햄머링 수단(34)은 완충기(52)를 통해 판(42)의 밑면에 장착되고, 완충기 때문에 햄머링 수단(34)에 의해 생긴 진동이 차량(32)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부시 햄머링 수단(34)의 케이싱(54) 내부에는 햄머링 수단이 수평면(A)에 맞닿아 있을 때 수평 격벽(56)의 양쪽으로 상부 제어 구역(57)과 하부 폐쇄 공간(58)이 형성된다. 상부 제어 구역안에는 하부공간(58)에 있는 1개 이상의 절삭날(62)을 격벽(56)에 수직으로 직선 왕복운동시키도록 배치된 1개 이상의 모터들(60)(공압식이 바람직함)이 있다. 절삭날(62) 각각의 격벽(56) 반대쪽 면에는 강철 톱니들이 있고, 절삭날(62)이 제2도의 화살표(F)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벽면(A)을 때릴 때 상기 톱니들 때문에 부시 햄머링 수단(34)을 붙인 벽면(A)을 열화시킬 수 있다. 모터(60)의 작동은 전기 밸브(66)로 조정되는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64)에 의해 조정된다. 케이블/파이프 조립체(36)와 마찬가지로, 파이프(64)역시 방사실 외부의 도시되지 않은 조정 수단에 연결된다. 상부 제어 구역(57)에서 모터(60)를 빠져나온 공기는 케이싱(54)에 연결된 배출 파이프(68)에 의해 방사실안으로 직접 보내진다. 상기 파이프(68)의 단면적은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64)의 단면적의 2배 이상이다.
케이싱(54)은 절삭날(62) 둘레로 해서 격벽(56)밑으로 뻗고, 그 끝의 환형 연부에는 배출 수단(14)에 의해 공간(58)에 생긴 진공 효과로 인해 처리할 벽면(A)에 밀착될 수 있는 브러시(70)가 달려있다. 이런 조건에서, 절삭날(62)의 직선 왕복운동을 조정하는 모터(60)는 후퇴해 있을 때 절삭날이 벽면(A)에서 떨어지도록 움직인다. 그러나, 절삭날(62)이 모터(60)에 의해 벽면(A)쪽으로 이동할때는 절삭날 각각의 밑면이 벽면에 부딪칠 수 있다.
부시 햄머링 수단(34)을 격리하는동안, 배출 수단(49)에 의해 폐기물 수거파이프(12)내에 생긴 진공 때문에 공간(58)의 동적인 격리가 보장된다. 따라서 처리할 벽면(A)과 격벽(56)사이의 간격은 부시 햄머링 수단이 작업위치에 있을 때 거의 일정하다.
절삭날(62)의 작용에 의해 벽면(A)에 생긴 폐기물의 수거를 할 수 있도록, 튜브(72)에 파이프(12)를 연결하고, 그 튜브는 부시 햄머링 수단(34)의 케이싱(54)의 뒷면을 가로질러 공간(58)안으로 들어간다. 튜브(72)의 단부에 면하는 상기 공간내에 전향기(74)가 있어, 튜브가 벽면(A) 바로 근처에서 부시 햄머링 수단의 전체 폭에 걸쳐 좁은 폭의 통로를 만든다. 이렇게 하여 생긴 압력 강하 때문에, 벽면에 절삭날(62)이 부딪쳐 생긴 분진보다 큰 폐기물과 입자들을 부시 햄머링 수단의 전체 폭에 걸쳐 뒷부분까지 흡인할 수 있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방사실(B)외부의 폐기물 수거 파이프(12)에 차례대로 배치된 2개의 사이클론 분리기들(22,24)은 수직 격벽(82)에 의해 밀봉 수용/처리 용기(80)에 형성된 2개의 밀봉 격실(76,78)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격벽(82)의 양쪽에서 각 격실들(76,78)에 수직으로 용기(80) 윗벽에 형성된 입구들에 사이클론 분리기들(22,24)이 급속 커플링들(84,86)을 통해 밀봉 연결된다.
격실들(76,78)에 각각 들어갈 수 있는 입자들의 크기차를 감안하여 격실(76)의 체적은 격실(78) 체적보다 거의 15-20배 더 크게 한다. 용기(80)는 콘크리트 콘테이너(88)내에 설치하는바, 그 콘테이너(88)에는 뚜껑이 없으며 생물학적 보호를 확실하게 한다.
용기(80)의 각 격실(76,78) 상부에는 1열의 스프링클러(90,92)가 들어있고, 이 스프링클러들은 해당 격실에 들어있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물질을 격실로 분사할 수 있게하는 적당한 도관(도시안됨)에 연결된다. 특별한 경우에는 격실들(76,78)을 다 채운 뒤 한번만 처리작업을 할 수도 있고 또는 격실을 채우는동안 각 단계별로 작업을 할 수도 있다.
각 격실(76,78)의 바닥(94,96)은 각각의 최저점(98,100)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그 지점들 위에는 격벽(도시안됨)에 의해 바람직하게 격실의 나머지에서 이격된 필터들(102,104)이 설치된다. 각 필터들(102,104)의 위쪽으로 용기(80)의 윗벽상에 설치된 파이프(106,108) 때문에, 그 파이프를 적당한 배출관이나 흡인관에 연결했을 때 스프링클러(90,92)에서 분사된 처리 물질이 액체라면 격실들(76,78)안에 있는 폐기물과 필터들(102,104)을 통과한후 그 처리 물질을 회수할 수 있다.
격실(76) 윗쪽으로는 용기(80)의 윗벽에 회전날(112)이 설치된 레벨 탐지기(110)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용기(80)에 연결된 레벨 탐지기(110)가 회전날(112)의 정지에 의해 격실(76)이 채워진 것을 탐지하면, 배출 수단(1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격조정 부시 햄머링 조립체(1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 뒤 급속 커플링(84,86)을 분리하여 사이클론 분리기(22,24)를 후퇴시킨다. 이렇게해서 생긴 용기(80) 윗벽의 구멍들 때문에 각 격실들(76,78)안에 들어있는 찌꺼기들을 봉쇄하는 콘크리트등의 물질을 각 격실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이어서 스프링클러들(90,92)과 파이프들(106,108)을 분해한다음, 용기(80)의 기계적/생물학적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콘테이너(88)를 밀폐하는 뚜껑을 만들기위해 용기(80)에 콘크리트를 바른다.
용기(80)의 2개 격실들(76,78)에서 회수되지 않은 찌꺼기와 분진은 폐기물 수거 파이프(12)에 의해 정전 필터(26)로 보내진다. 정전 필터(26)의 인입 깔때기(114)에는 전향기(116)를 설치하여 확산기와 그뒤의 정전 필터의 전리기를 가로지르는 기류에 분진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다. 전리기의 하부에는 깔때기형 바닥(118)이 설치되는바, 바닥의 하단부는 용접 슬리이브(122)에 의해 콘테이너(120)에 밀봉 연결된다. 깔때기형 바닥(118)에는 진동기(124)를 장착한다.
정전 필터(26)를 가동시키면, 그안에 갇혀있는 분진이 필터에 붙게된다.
그러나, 필터(26)의 전원을 끊으면, 그안에 갇혀있는 분진이 중력에 의해 깔때기형 바닥(118)을 따라 콘테이너(120)에 떨어진다. 분진의 낙하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때 진동기(124)를 작동시킨다.
정전 필터(26)의 막힘을 탐지하기 위해 필터에 소정의 수단(도시안됨)을 연결한다. 막힘이 탐지되면 배출 수단(14)과 함께 원격조정 부시 햄머링 조립체(10)가 정지된다. 정전 필터(26)의 전원이 끊어지고 진동기(124)가 작동된후 전술한 방식대로 콘테이너(120)안으로 분진이 떨어진다.
콘테이너(120)의 만재를 또다른 수단(도시안됨)이 탐지한다. 이것이 탐지되면 모든 장치가 정지되고 그 뒤 슬리이브(122)를 당겨 정전 필터(26)에서 콘테이너(120)를 분리 제거한다. 이어서 콘테이너(120)의 상부에 뚜껑을 달아 콘테이너의 생물학적 보호를 완료한다.
정전 필터(26)에 머물러있는 공기에 아직 남아있는 분진은 파이프(12)를 통해 독립 필터들(28,30)로 보내진다. 이 필터들내의 깨끗한 공기는 배출 수단(14)을 거쳐 관(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독립 필터들(28,30) 각각에는 마노스탓(manostat)(126,128)을 장착하여 필터의 작동중에 막힌 것을 검사하는 것이 좋다.
이하 설명되는 모든 장치는 원격조정되고 각 부품들은 서로 연결된다. 특히, 전기밸브(18)의 개폐에 의해 조정되는 배출 수단(14)은, 마노스탓(126,128)의 작동하에 정전 필터(26)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고 레벨 탐지기(110)의 작동하에 날(112)이 회전할때만 동작한다.
배출 수단(14)이 동작하면, 파이프(64)를 통해 모터(60)에 보내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조정하는 전기밸브(66)의 개폐에 의해 부시 햄머링 수단(34)의 작동을 제어한다.
미노스탓(126,128)이 작동되고, 정전 필터(26)의 막힘이 탐지되거나 레벨 탐지기(110)의 날이 걸리면 자동적으로 모터(6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66)가 폐쇄된다음 배출 수단(1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18)가 폐쇄된다.
배출 수단(14)이 정지되고 정전 필터(26)가 작동되지 않을때만 필터가 막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분진이 콘테이너(120)에 떨어지는 것을 돕기위해 진동기(124)를 가동시킬 수 있다. 스프링클러들(106,108)을 이용해 용기(80)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은 언제라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원격 소제장치는 장치의 보수에 필요한 이외에는 사람에 의하지 않고 유해 매체내의 벽면을 열화시켜 소제할 수 있고, 이런 벽면 열화의 결과로부터 생긴 폐기물과 분진을 복잡하고 위험한 조작을 전혀 할 필요없이 직접 회수, 처리 및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1)

  1. 유해 매체내에 위치한 벽면의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와, 그 열화에 의해 생긴 폐기물의 회수 및 처리용 장치에 있어서; 작동 수단에 의해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시 햄머링 수단을 지지하여, 그 부시 햄머링 수단의 케이싱으로 둘러싸인 밀폐 공간내에서 상기 벽면을 때리도록하는 원격 조정 차량;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절삭날에 의해 생긴 폐기물을 수거하고, 일단은 상기 케이싱에 타단은 배출 수단에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수거 파이프상에 순서대로 잇달아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 분리기와 필터 수단;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수거된 폐기물을 수용해 처리하며, 사이클론 분리기밑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처리 물질 분사 수단과 그 처리 물질을 필터를 통해 회수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파이프상의 제1사이클론 분리기 밑의 비교적 큰 체적의 제1격실과 제1사이클론 분리기의 하류측에 위치한 제2사이클론 분리기 밑에 연결된 비교적 작은 체적의 제2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격실들 내부에는 처리 물질을 분사하는 수단과 그 처리 물질을 필터를 통해 회수하는 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밀봉 용기를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실내에 날달린 레벨 탐지기가 설치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단은 수거 파이프상의 사이클론 분리기 하류쪽에 바닥이 깔때기형인 정전 필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은 콘테이너에 밀봉 연결되고, 그 콘테이너는 상기 정전 필터의 정지후 분진을 회수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필터는 필터 내부에서 기류를 균질하게 분산시키는 전향기들이 내장된 인입 깔때를 포함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필터의 깔때기형 바닥에 진동기가 장착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단은 정전 필터의 하류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필터와 독립 필터 부재에 막힘 탐지기들이 장착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탐지기들중 어느것에서 송신된 막힘 신호도 부시 햄머링 수단의 절삭날 작동 수단의 자동 정지와 배출 수단의 자동 정지를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부시 햄머링 수단의 절삭날 작동 수단은 공압식이고,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에 의해 공급되며, 단면적이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2배 이상인 배출 파이프에 의해 상기 부시 햄머링 수단의 외부로 상기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햄머링 수단이 완충기를 통해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
KR1019910007794A 1990-05-15 1991-05-14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KR100233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9006040A FR2662296B1 (fr) 1990-05-15 1990-05-15 Installation d'assainissement a distance, par degradation, d'une surface situee en milieu hostile, avec recuperation et traitement des dechets.
FR9006040 1990-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748A KR910020748A (ko) 1991-12-20
KR100233333B1 true KR100233333B1 (ko) 1999-12-01

Family

ID=939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794A KR100233333B1 (ko) 1990-05-15 1991-05-14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58583A (ko)
EP (1) EP0457669B1 (ko)
JP (1) JP3009753B2 (ko)
KR (1) KR100233333B1 (ko)
DE (1) DE69107889D1 (ko)
FR (1) FR2662296B1 (ko)
ZA (1) ZA913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271B (fi) 2000-02-04 2003-11-14 Sandvik Tamrock Oy Menetelmä ja sovitelma pölyhaittojen vähentämiseksi kallionporauksessa
KR100571564B1 (ko) * 2002-12-09 2006-04-17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US6833016B2 (en) * 2003-03-27 2004-12-21 Oneida Air Systems, Inc Dust collection system
FR2900270A1 (fr) * 2006-04-21 2007-10-26 Guillaume Chay Procede et equipement d'assainissement et de conditionnement automotique ou semi-automatique de matieres radioactives ou contaminees non fixees
US9200423B2 (en) * 2011-06-06 2015-12-01 Gms Mine Repair And Maintenance, Inc. Cleaning vehicle, vehicle system and method
CA2844484C (en) * 2011-08-12 2018-05-29 Environmental Acid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er bed unloading and loading
AT513585B1 (de) * 2012-10-17 2022-02-15 Wacker Neuson Linz Gmbh Baufahrzeug
US9418710B1 (en) * 2015-06-17 2016-08-16 HGST Netherlands B.V. Nanoparticulate-trapping filter for hard disk drive
EP3488751B1 (en) * 2017-11-22 2023-06-07 Guido Valentini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4495A (en) * 1935-10-18 1936-12-15 Queneau Augustin Leon Jea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vaporized metal compounds
GB1035330A (en) * 1962-12-28 1966-07-06 Nihon Genshiryoku Kenkyujo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olid radioactive wastes
US3581469A (en) * 1968-09-18 1971-06-01 Scientific Industries Conditioner for gaseous sample
US4055331A (en) * 1973-11-06 1977-10-25 Gottfried Bischoff Bau Kompl. Gasreinigungs Und Wasserruckkuhlanlagen Kommanditgessellschaft Method of cleaning stack gas and using same fo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SE434865B (sv) * 1979-08-22 1984-08-20 Atlas Copco Ab Sett och anordning for bindning av borrdamm
CA1127980A (en) * 1979-08-29 1982-07-20 Joseph J. Paluch Mobile air cleaner
DE3138484A1 (de) * 1981-09-28 1983-04-14 Deutsche Gesellschaft für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nnstoffen mbH, 3000 Hannover "verfahren zur instandhaltung von vorrichtungen und bauteilen in heissen zellen, insbesondere von wiederaufarbeitungsanlagen fuer abgebrannte kernbrennstoff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FR2530163B1 (fr) * 1982-07-15 1986-08-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finement de la pollution d'un local a l'aide d'une veine gazeuse
FR2538604A1 (fr) * 1982-12-28 1984-06-29 Sfermi Vehicule pour la decontamination de surfaces par electropolissage
DE3700814A1 (de) * 1987-01-14 1988-07-28 Ntg Neue Technologien Gmbh & C Rettungsfahrzeug zum einsatz in strahlenverseuchten raeumen
US4865629A (en) * 1988-07-05 1989-09-12 Industrial Filter & Pump Mfg. Co. Control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gas 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13628B (en) 1992-02-26
EP0457669B1 (fr) 1995-03-08
US5158583A (en) 1992-10-27
JP3009753B2 (ja) 2000-02-14
KR910020748A (ko) 1991-12-20
FR2662296B1 (fr) 1994-06-17
FR2662296A1 (fr) 1991-11-22
JPH05113499A (ja) 1993-05-07
EP0457669A1 (fr) 1991-11-21
DE69107889D1 (de) 199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385A (en) Recyclable abrasive blasting system and method
EP0003005B1 (en) Dust-collecting suction system for a rock-drilling apparatus
US4774974A (en) System for removing asbestos from structures
CA2347163C (en) Industrial dust collector with multiple filter compartments
US4790865A (en) Two compartment industrial dust collector
US4618103A (en) Hospital waste disposal system
EP0660684B1 (en) Self-contained cleaning and retrieval apparatus
US4613348A (en) Disposable HEPA filtration device
US4121915A (en) Vacuum cleaning apparatus
KR100233333B1 (ko)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US4373227A (en) Surface maintenance equipment
JPH06154142A (ja) 直接前方放り投げ式スイーパ
US20070226950A1 (en) Vacuum loader with louvered tangential cyclone separator
US4175933A (en) Dust filter apparatus
KR101384729B1 (ko) 소형 청소차
US20040003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debris
KR20170025522A (ko) 제진 장치
KR100696577B1 (ko) 환기를 겸할 수 있는 터널공사용 차량탑재형 집진장치
JPH082435B2 (ja) 潜在的に危険な材料を取扱う装置
US5016314A (en)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removal assembly
WO1991004805A1 (en) An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removal assembly and method
US20170095892A1 (en) Cross flow table
CN220975883U (zh) 一种骨料装车装置
JP4486349B2 (ja) 環境汚染物回収システム
EP0246106A2 (en) Improvements in decontamin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