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564B1 -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564B1
KR100571564B1 KR1020020077656A KR20020077656A KR100571564B1 KR 100571564 B1 KR100571564 B1 KR 100571564B1 KR 1020020077656 A KR1020020077656 A KR 1020020077656A KR 20020077656 A KR20020077656 A KR 20020077656A KR 100571564 B1 KR100571564 B1 KR 10057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ntamination
high pressure
dust collector
ai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092A (ko
Inventor
김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7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5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4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radi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or disposing radioactively contamin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설비, 건축물, 장비 및 건축물 내벽, 바닥, 천정 등의 표면에 묻은 방사능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압을 이용한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탄산나트륨 또는 드라이아이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압축한 뒤 고압라인(12)을 통해 공급하는 고압발생수단(30); 제염표면(3)을 향해 상기 고압발생수단(30)의 가스가 분사되고, 타측으로 흡입되는 제염헤드(10); 입력측이 상기 제염헤드(10)의 흡입라인(14)에 연결되는 진공펌프(5); 상기 진공펌프(5)의 출력측이 내부까지 연장되고, 내부에 물(99)이 채워지는 집진장치(50); 상기 집진장치(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 내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기(60) 및 제습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여과장치(62); 상기 집진장치(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내에 침전된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58); 및 상기 원심분리기(58)에 의해 분리된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임시탱크(70) 및 일측이 상기 임시탱크(70)에 연결된 액체여과장치(72);가 제공된다.
방사선, 원자력, 세척, 여과, 펌프, 에폭시, 순환, 제염

Description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A cleansing and collecting device of a radioactive contaminated surface using a high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제염헤드(10)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염헤드(10)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압계(16)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염헤드(10)의 저면도,
도 6은 도 5중 바퀴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1차, 2차 공기투과기(54, 52)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고압발생수단(30)의 내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3 : 제염표면, 5 : 진공펌프, 6 : 압력조절기,
10 : 제염헤드, 12 : 고압라인, 14 : 흡입라인,
16 : 부압계, 17 : 부압밸브, 18 : 흡입구,
19 : 부압스프링, 20 : 바퀴, 22 : 고무핀,
24 : 바퀴스프링, 28 : 헤드 하우징 30: 고압발생수단,
31 : 압축기, 32 : 고압탱크, 33 : 혼합장치,
34 : 조절기, 35 : 노즐, 36 : 재료탱크,
50 : 집진장치, 51 : 배관, 52 : 2차 공기투과기,
54 : 1차 공기투과기, 56 : 제 1 밸브, 58 : 원심분리기,
59 : 드럼, 60 : 제습기, 62 : 공기여과장치,
64 : 제 2 밸브, 70 : 임시탱크, 72 : 액체여과장치,
74 : 펌프, 76 : 배관, 82 : 걸이대,
83 : 바디, 84 : 공극, 99 : 물.
본 발명은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설비, 건축물, 장비 및 건축물 내부 벽면, 바닥, 천정 등의 표면에 묻은 방사능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관련시설(예를 들어, 핵발전소, 원자력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고 수명을 다하여 폐기해야 하는 원자로장치나 설비, 구조물, 건축물들 중에는 방사능에 오염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방사능에 오염된 건축물, 설비, 기계장치, 구조물 등은 단순히 매립하거나 소각하지 못하고 반드시 방사능을 제거 하는 제염 및 절단등의 감용처리를 한 뒤 원자력법 및 환경법상의 규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하고, 이러한 규정에 따라 종래에 많은 제염처리들이 수행되어 왔다.
특히, 방사능에 오염된 장치, 설비, 건축물 내부 벽면, 바닥, 천정 등의 표면이 에폭시로 마감된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제염방법은 드라이아이스 또는 중탄산나트륨을 분사하는 방법(일명 고압제염)이었다. 이러한 분사방법의 경우 오염된 에폭시의 제거성능은 인정되는 반면, 비산되는 물질에 의해 오히려 방사능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필터가 채택된 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폐기물의 입자가 굵어 필터를 더 자주 교체하게 되었고, 이로서 오염된 폐필터의 양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집진시설 보다 폐기물 발생량이 극히 적고, 별도의 폐기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제염작업이 가능한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탄산나트륨 또는 드라이아이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압축한 뒤 고압라인(12)을 통해 공급하는 고압발생수단(30); 제염표면(3)을 향해 상기 고압발생수단(30)의 가스가 분사되고, 타측으로 흡입되는 제염헤드(10); 입력측이 상기 제염헤드(10)의 흡입라인(14)에 연결되는 진공펌프(5); 상기 진공펌프(5)의 출력측이 내부까지 연장되고, 내부에 물(99)이 채워지는 집진장치(50); 상기 집진장치(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 내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기(60) 및 제습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여과장치(62); 상기 집진장치(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내에 침전된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58); 및 상기 원심분리기(58)에 의해 분리된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임시탱크(70) 및 일측이 상기 임시탱크(70)에 연결된 액체여과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염헤드(10)는, 상기 제염헤드(10)와 상기 제염표면(3)에 의해 형성된 공간까지 연장되는 상기 고압라인(12); 상기 제염헤드(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라인(14)과 연통되는 흡입구(18); 상기 제염헤드(10)와 상기 제염표면(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소정치 이상의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압계(16); 상기 제염헤드(1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20); 및 상기 제염헤드(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소정두께로 고정되는 고무핀(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바퀴(20)는 바퀴 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집진장치(50)는,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균일하게 공극(84)이 형성된 1차 공기투과기(54); 및 상기 1차 공기투과기(52)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 공기투과기(54)의 공극(84)보다 작은 공극이 균일하게 형성된 2차 공기투과기(52);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습기(60)에 의해 제습된 액체가 수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집 진장치(50)와 연통하는 제 2 밸브(64)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입력측이 상기 임시탱크(7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출력측이 상기 집진장치(50)의 내부까지 연장된 펌프(74)를 더 포함함으로서 분리된 액체를 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진장치(50)의 하부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장치(50)의 최하부와 상기 원심분리기(58) 사이에는 제 1 밸브(56)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압발생수단(30)은,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31); 상기 압축기(31)의 출력측과 연결된 고압탱크(32); 제 1 입력측이 상기 고압탱크(32)와 연결되고, 제 2 입력측이 중탄산나트륨 또는 드라이아이스가 저장된 재료탱크(36)와 연결된 혼합장치(33); 및 상기 혼합장치(33)의 출력측과 연결되어 혼합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34)로 구성되는 것도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염 및 집진장치는 대략적으로 고압발생수단(30), 제염헤드(10), 집진장치(50), 제습기(60), 원심분리기(58), 임시탱크(70) 및 펌프(74)로 구성될 수 있다.
고압발생수단(30)은 공기를 압축한 뒤, 중탄산나트륨 또는 드라이아이스를 혼합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는 장치로서, 상세한 내부구성은 도 8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압력조절기(6)는 고압발생수단(30)으로부터 제염헤드(10)로 이어지는 고압라인(12)의 중간에 설치되며, 제염헤드(10)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제염헤드(10)는 실제로 방사능에 오염된 제염표면(3)에 밀착되어 제염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염헤드(10)의 구체적인 내부구성은 도 2, 3, 4, 5, 6에서 하기로 한다.
진공펌프(5)는 부압(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흡입라인(14)을 통해 제염헤드(10) 내부에서 분사된 가스를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진공펌프(5)의 흡입측은 흡입라인(14)에 연결되고, 배출측은 집진장치(50)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집진장치(50)는 밀폐된 공간으로서 내부에 소정높이까지 물(99)이 채워져 있고, 상부에는 연결관(51)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장치(50)의 중간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1차 공기투과기(54) 및 2차 공기투과기(52)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투과기는 직경이 큰 공기방울, 기포 를 작은 크기로 변경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공기투과기(52, 54)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집진장치(50)의 하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최하부는 관의 굵기 정도까지 축소된다. 따라서, 물(99)에 섞인 각종 이물질 등은 침전되어 최하부에 쌓이게 된다.
제습기(60)는 집진장치(50) 내의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 등으로 포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연결관(51)의 일측이 집진장치(50)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향경사진 타측이 제습기(60)와 연결된다. 또한, 제습기(60)내의 물을 집진장치(50) 내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하여 제 2 밸브(64)의 일단이 집진장치(50)와 연결되고, 제 2 밸브(64)의 타단이 제습기(60)중 물이 수납되는 곳과 연결된다.
공기여과장치(62)는 제습기(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분이나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장치이다.
제 1 밸브(56)의 일측은 집진장치(50)의 최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원심분리기(58)에 연결되어, 집진장치(50)내의 침전물을 단속적으로 원심분리기(58)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원심분리기(58)는 제 1 밸브(56)를 통해 집진장치(50)의 최하부에 설치되며, 분리후 고형물, 고체 등을 배출하는 출구에는 드럼(59)이 준비되고, 액체가 배출되는 출구에는 임시탱크(70)가 구비된다.
임시탱크(70)는 원심분리기(58)의 액체 출구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구측에는 액체여과장치(7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임시탱크(70)의 재질은 sus로 제작되며, 외부면에는 납이 코팅되어 방사능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액체여과장치(44)는 액체 속에 포함된 최소 0.1㎛ 정도의 입자까지 걸러낼 수 있다. 이러한 액체여과장치(44)는 방사능이 누적적으로 모이는 곳이므로 외면에는 납이 코팅되어 방사능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펌프(74)의 흡입측은 임시탱크(7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측은 집진장치(50)의 상부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펌프(74)는 원심분리된 액체를 집진장치(50)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중 제염헤드(1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염헤드(10)는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각 모서리에 바퀴(20)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는 고압라인(12)과 흡입라인(1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2개의 부압계(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염헤드(10)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라인(12)은 제염헤드(10)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18)는 제염헤드(10)중 길이가 긴 변에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라인(14)은 제염헤드(10)의 상부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라인(12)으로 공급된 가스는 흡입구(18)를 통해 흡입라인(14)으로 유동한다. 특히, 고압라인(12)의 분사량보다 흡입라인(14)의 흡입량이 크도록 하기 때문에 제염헤드(10)의 내부는 부압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압계(16)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밸브(17)가 상하로 이동하여, 제염헤드(10)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부압스프링(19)이 부압밸브(17)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제염헤드(10) 내부의 부압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대기압에 의한 힘이 부압스프 링(19)의 힘을 초과하면서 부압밸브(17)가 개방되어 부압이 낮아지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염헤드(10)의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염헤드(1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회전 가능한 바퀴(20)가 설치되어 있고, 길이가 긴 변측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흡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가 짧은 변측에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핀(2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고압라인(12)은 제염헤드(10)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라인(12)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흡입구(18)로 흡입된다.
도 6은 도 5중 바퀴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하우징(28)으로부터 내향 돌출된 지지대(26)의 내부에 바퀴(20)가 부착되며, 바퀴(20)는 바퀴스프링(24)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지지대(26)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가능하다.
고무핀(22)은 제염표면(3)에 밀착되며, 내부의 부압에 의하여 고무핀(22)이 압축되면서 바퀴(20)가 제염표면(3)에 닿을 수 있는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1차, 2차 공기투과기(54, 52)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투과기(54, 52)는 사각의 판재 형상이며, sus 소재로 제작된다. 내부와 표면에는 소정크기의 공극(84)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장치(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 영역에는 걸이대(8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1차 공기투과기(54)의 공극(직경 약 10mm)은 2차 공기투과기(52)의 공극(직경 약 1 mm)보다 크다. 또한, 1차 공기투과기(54)는 수직방향의 아래쪽에 설 치되고, 2차 공기투과기(52)가 수직방향의 윗쪽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투과기(52, 54)의 재질은 "SUS-316" 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고압발생수단(3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발생수단(30)의 내부는 대략 압축기(31), 고압탱크(32), 혼합장치(33), 조절기(34), 노즐(35) 및 재료탱크(36)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31)는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압력으로 압축하는 장치이고, 고압탱크(32)는 압축기(31)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재료탱크(36)는 내부에 드라이아이스 또는 중탄산나트륨이 저장되어 있다.
혼합장치(33)는 고압의 공기와 드라이아이스 또는 중탄산나트륨을 일정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장치이고, 조절기(34)는 혼합되는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이나 배출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또한 노즐(35)은 조절된 압력을 분사하기 위한 부품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을 이용한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대기중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다음, 고압탱크(32)에 저장된다. 또한, 드라이아이스 또는 중탄산나트륨은 재료탱크(36)내에 저장된다. 혼합장치(33)는 재료탱크(36)로부터 드라이아이스 또는 중탄산나트륨을 제공받고, 고압탱크(32)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제공받아 이를 적절히 혼합한다. 조절기(34)는 혼합된 가스의 양과 압력을 조절하여 공정에서 필요한 양만큼만 노즐(3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고압발생수단(30)에서 배출된 가스는 압력조절기(6)를 통해 원하는 압력으로 다시 한번 조정된 후 제염헤드(10) 내부로 공급된다. 이 때, 제염헤드(10)를 제염표면(3)에 부착하면, 분사된 가스가 제염표면(3)의 에폭시를 분쇄하면서 함께 혼합되어 흡입구(18)를 통해 흡입라인(14)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또한, 고압발생수단(30)에 의한 분사량보다 진공펌프(5)에 의한 흡입량을 더 크게 함으로서 제염헤드(10)의 내부에 대기압 이하의 부압이 걸리도록 한다. 이 때, 지나친 부압이 형성된 경우 제염헤드(10)가 제염표면(3)에 딱 달라붙어 이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대기압이 부압스프링(19)의 힘을 이기고 부압계(16)의 부압밸브(17)를 눌러 부압계(16)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대기압이 제염헤드(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피드백 작용에 의해 제염헤드(1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부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부압에 의해 제염헤드(10)는 제염표면(3)에 적절한 강도로 밀착된다. 만약, 제염헤드(10)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살짝 눌러서 고무핀(22) 뿐만 아니라 바퀴(20)가 제염표면(3)에 닿도록 한다. 그 다음, 아래 위로 이송시키면, 고무핀(22)의 접촉 마찰을 이기고 바퀴(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염헤드(10)가 제염표면(3)에 달라 붙은 채로 이동된다. 즉, 바퀴스프링(24)의 스프링 계수, 고무핀(22)의 크기와 탄성력 및 부압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서, 제염헤드(10)의 흡착과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흡입라인(14)을 통해 진공펌프(5)를 경유한 가스와 에폭시 물질, 방사능 물 질, 먼지, 각종 이물질 등은 집진장치(50)내의 물(99)로 투입된다. 이 때, 물(99)속에 상당한 기포가 발생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커다란 기포는 1차 공기투과기(54)의 공극(84)을 통과하면서, 작은 기포로 변화하고, 연이어 2차 공기투과기(52)를 통과하면서 더 작은 기포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포와 상부의 공기는 연결관(51)을 통해 제습기(60)로 공급되고, 제습기(60)의 제습작용에 의해 발생한 수분, 물방울 등은 아래로 흘러내려 수집되고, 건조한 공기, 가스 등은 상부에 연결된 공기여과장치(62)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제습기(60) 내부에 액체가 소정량 이상 수집되면 제 2 밸브(64)를 개방하여 다시 집진장치(50)로 순환시킨다. 이러한 액체 속에는 아직 방사능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배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집진장치(50)내의 방사능 물질, 에폭기 가루, 먼지, 각종 이물질 등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흘려 내리고, 하부의 경사면에 의하여 최하부에 모이게 된다. 그러면, 제 1 밸브(56)를 개방하여 일정량을 원심분리기(58)로 투입한다.
원심분리기(58)의 회전으로 인해 고체, 고형분 등이 가라앉고, 액체가 부유하여 분리되게 된다. 고체, 고형분 등은 별도의 드럼(59)에 넣은 후 밀봉하여 보관하게 되고, 액체는 임시탱크(7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펌프(74)는 임시탱크(70) 내의 액체를 다시 집진장치(50)로 재공급하여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임시탱크(70)내의 액체가 사용기한을 초과하였거나 농도가 높아진 경우, 다량의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또는 원자력법상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액체여과장치(72)를 통하게 하여 폐수처리장 등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배출이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배출양 만큼의 물을 다시 공급하여 집진장치(5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99)이 존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여과공정에서 고밀도 액체여과필터(미도시)를 직렬로 부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밀도 액체여과필터는 최소 0.1 ㎛ 까지의 금속입자를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밀도 액체여과필터는 수명이 다한 세정액 액체에서 고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금속입자를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액체내에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수지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서, 제염 및 집진공정을 위한 각종 전원장치, 밸브장치, 압력조절장치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액체여과필터(72)의 필터도 차압상태가 기준치 이상이면 새것으로 교체되며, 교환된 필터에는 다량의 방사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보관되고, 폐기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펌프를 설치하였으나, 펌프의 갯수와 위치 및 용량은 제염시설의 크기와 용량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거나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전체적인 세척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하여 마이컴을 구비하고, 각종 센서 등의 디지털화된 값들이 마이컴으로 입력 되며, 펌프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명령이 출력되어 별도의 릴레이 등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집진시설 보다 폐기물 발생량이 극히 적고, 별도의 폐기시설이 없는 장소에서도 제염작업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중탄산나트륨 또는 드라이아이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압축한 뒤 고압라인(12)을 통해 공급하는 고압발생수단(30);
    제염표면(3)을 향해 상기 고압발생수단(30)의 가스가 분사되고, 타측으로 흡입되는 제염헤드(10);
    입력측이 상기 제염헤드(10)의 흡입라인(14)에 연결되는 진공펌프(5);
    상기 진공펌프(5)의 출력측이 내부까지 연장되고, 내부에 물(99)이 채워지는 집진장치(50);
    상기 집진장치(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 내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기(60) 및 제습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여과장치(62);
    상기 집진장치(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50)내에 침전된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기(58); 및
    상기 원심분리기(58)에 의해 분리된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임시탱크(70) 및 일측이 상기 임시탱크(70)에 연결된 액체여과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염헤드(10)는,
    상기 제염헤드(10)와 상기 제염표면(3)에 의해 형성된 공간까지 연장되는 상기 고압라인(12);
    상기 제염헤드(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라인(14)과 연통되는 흡입구(18);
    상기 제염헤드(10)와 상기 제염표면(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소정치 이상의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압계(16);
    상기 제염헤드(1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20); 및
    상기 제염헤드(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소정두께로 고정되는 고무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퀴(20)는 바퀴 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50)는,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균일하게 공극(84)이 형성된 1차 공기투과기(54); 및
    상기 1차 공기투과기(52)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 공기투과기(54)의 공극(84)보다 작은 공극이 균일하게 형성된 2차 공기투과기(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60)에 의해 제습된 액체가 수거되는 부분에 는 상기 집진장치(50)와 연통하는 제 2 밸브(64)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측이 상기 임시탱크(7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출력측이 상기 집진장치(50)의 내부까지 연장된 펌프(74)를 더 포함함으로서 분리된 액체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50)의 하부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장치(50)의 최하부와 상기 원심분리기(58) 사이에는 제 1 밸브(56)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수단(30)은,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31);
    상기 압축기(31)의 출력측과 연결된 고압탱크(32);
    제 1 입력측이 상기 고압탱크(32)와 연결되고, 제 2 입력측이 중탄산나트륨 또는 이산환탄소가 저장된 재료탱크(36)와 연결된 혼합장치(33); 및
    상기 혼합장치(33)의 출력측과 연결되어 혼합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 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KR1020020077656A 2002-12-09 2002-12-09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KR10057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656A KR100571564B1 (ko) 2002-12-09 2002-12-09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656A KR100571564B1 (ko) 2002-12-09 2002-12-09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678U Division KR200306274Y1 (ko) 2002-12-09 2002-12-09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92A KR20040050092A (ko) 2004-06-16
KR100571564B1 true KR100571564B1 (ko) 2006-04-17

Family

ID=3734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656A KR100571564B1 (ko) 2002-12-09 2002-12-09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36B1 (ko) 2010-11-09 2012-08-30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오염튜브다발 내부표면을 제염하기 위한 연마분사장치
KR20190091019A (ko) 2018-01-26 2019-08-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사 제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202B1 (ko) * 2006-05-22 2006-12-14 주식회사 데콘엔지니어링 물 집진기를 이용한 방사능 집진장치
KR100795777B1 (ko) * 2006-12-29 2008-01-17 한국원자력연구원 드라이아이스 펠렛 분사 제염성능과 오염입자 포집성능향상방법 및 장치
KR100879774B1 (ko) * 2007-07-20 2009-01-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헤드 주변의 이물질 클리닝 장비
KR100925481B1 (ko) * 2009-07-08 2009-11-06 선광원자력안전(주) 방사성 오염 금속폐기물용 제염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5978A2 (en) * 1983-06-30 1985-04-03 Container Products Corporation A decontamination apparatus
JPH02284099A (ja) * 1989-04-25 1990-11-21 Toshiba Corp 制御棒案内管洗浄装置
JPH0365699A (ja) * 1989-08-03 1991-03-20 Genshiryoku Daiko:Kk 乾式砥粒噴射研磨装置における砥粒回収再使用装置
KR910020748A (ko) * 1990-05-15 1991-12-20 지 꾸뛰르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US5125126A (en) * 1989-12-04 1992-06-30 Cogema - Compagn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ires High pressure cleaner equipped with a recovery means for the cleaning liquid and waste
JPH05113494A (ja) * 1991-09-07 1993-05-07 Ebara Kogyo Senjiyou Kk ドライアイスブラストによる除染方法及び装置
KR20000018335A (ko) * 1998-09-01 2000-04-06 이종훈 초고압수 제염설비
JP2002196097A (ja) * 2000-12-26 2002-07-10 Asahi Kasei Corp 放射性物質使用施設の除染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5978A2 (en) * 1983-06-30 1985-04-03 Container Products Corporation A decontamination apparatus
JPH02284099A (ja) * 1989-04-25 1990-11-21 Toshiba Corp 制御棒案内管洗浄装置
JPH0365699A (ja) * 1989-08-03 1991-03-20 Genshiryoku Daiko:Kk 乾式砥粒噴射研磨装置における砥粒回収再使用装置
US5125126A (en) * 1989-12-04 1992-06-30 Cogema - Compagn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ires High pressure cleaner equipped with a recovery means for the cleaning liquid and waste
KR910020748A (ko) * 1990-05-15 1991-12-20 지 꾸뛰르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JPH05113494A (ja) * 1991-09-07 1993-05-07 Ebara Kogyo Senjiyou Kk ドライアイスブラストによる除染方法及び装置
KR20000018335A (ko) * 1998-09-01 2000-04-06 이종훈 초고압수 제염설비
JP2002196097A (ja) * 2000-12-26 2002-07-10 Asahi Kasei Corp 放射性物質使用施設の除染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36B1 (ko) 2010-11-09 2012-08-30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발생기 오염튜브다발 내부표면을 제염하기 위한 연마분사장치
KR20190091019A (ko) 2018-01-26 2019-08-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사 제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092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006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plant parts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
KR100571564B1 (ko)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CN111595106B (zh) 沉渣干燥装置
KR102157572B1 (ko) 집진 탈취기용 스컴 및 침전물 제거장치
KR200306274Y1 (ko)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
US53264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and water
US4820426A (en) Process for the processing of fluids containing suspended particles
KR101109551B1 (ko) 반도체 오염폐수 처리장치
US3683594A (en) Modular fume scrubber
US4851016A (en) Device for filtering a stream of air
KR101943027B1 (ko) 집진장치
CN211753495U (zh) 一种含尘废气吸附分离装置
JPH1149504A (ja) 廃活性炭と水との分離装置
KR101019353B1 (ko) 드라이어 흡착재 교체 장치
KR100657202B1 (ko) 물 집진기를 이용한 방사능 집진장치
KR102169511B1 (ko)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포집 공조 시스템
KR102030750B1 (ko) 침전조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512986B1 (ko) 화력발전소용 이동형 습식 집진장치
AU8697898A (en) Purification system for dry cleaning separator waste water
CN210674599U (zh) 一种废气处理用离心净化装置
KR102286731B1 (ko) 고농도의 유분액 추출구조를 갖는 유수 분리장치
KR20200109051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379938B1 (ko) 공기 중 방사성 삼중 수소 이동식 제거 장치
CN210729097U (zh) 一种喷漆房废气治理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