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900B1 - 강관 거더 - Google Patents

강관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900B1
KR100786900B1 KR1020060047265A KR20060047265A KR100786900B1 KR 100786900 B1 KR100786900 B1 KR 100786900B1 KR 1020060047265 A KR1020060047265 A KR 1020060047265A KR 20060047265 A KR20060047265 A KR 20060047265A KR 100786900 B1 KR100786900 B1 KR 10078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abdomen
attached
pier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691A (ko
Inventor
이흥수
손유식
정철헌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비비엠코리아(주)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엠코리아(주),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비비엠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6004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90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을 교각의 상단에 설치하고, 강관에 전단연결재나 수직연결재 등을 부착함으로써, 시공상의 작업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과,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전단연결재와,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전단연결재와 콘크리트층과의 부착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관, 전단연결재, 수직연결재, 복부, 부착돌기

Description

강관 거더{Steel pipe gir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10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재에 대한 부호의 설명]
콘크리트층 : 100 강관 : 200
복부 : 300 부착돌기 : 302
부착공 : 304 스터드 : 306
전단연결재 : 400a, 400b, 400c 부착편 : 402
플랜지 : 500 수직연결재 : 602a, 602b, 602c
본 발명은 교량의 주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을 교각의 상단에 설치하고, 강관에 전단연결재나 수직연결재 등을 부착함으로써, 시공상의 작업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교각의 상단에 강관이 배치되고, 강관의 상면에 전단연결재가 부착되며, 콘크리트층은 전단연결재가 소정의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고,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교량의 상판이 시공된다. 이 경우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별도의 상판을 시공하지 아니하고 콘크리트층을 직접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교량의 거더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상자형 거더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자형 거더는 두 개의 수직판을 양 옆으로 세우고 그 상, 하단에 각각 플랜지를 고정하여 사각의 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자형 거더는 그 폭을 크게 하여 단독으로 교량의 상판을 떠받치거나 폭을 작게 제작하여 여러 개를 사용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자형 거더의 내부에는 거더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을 설치하게 되고, 이웃하는 박스형 거더는 보로 연결되어 하중을 고루 분담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복부와 상, 하부의 플랜지로 I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후, 이렇게 구성된 여러 개의 I자형의 구조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서로 브레이싱하여 교량의 거더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복부판과 플랜지를 용접하여 고정한 후에 수직 및 수평의 여러 개의 보강재를 별도로 다시 부착하거나 별도의 브레이싱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가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많은 보강 부재들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재료의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재료의 소모도 줄이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거더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관에 전단연결재를 부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만으로 주형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한편, 불필요한 재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전단연결재와 수직연결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교량의 주형으로서 탁월한 역학적 성능을 가지는 것이어서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능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그 바람 직한 실시예로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과,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전단연결재와,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거나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전단연결재와 콘크리트층과의 부착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강관 거더의 다른 실시예는,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과,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가 그 상단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취되어 있고, 절취된 그 상단을 따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부착편이 구비되어 있는 전단연결재와,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거나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강관 거더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과,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와,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거나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 삼각형, 반원형 등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 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다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거더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강관(200)은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며 원형의 관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강관(200)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강관(20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이외에도 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단연결재(400a)는 강관(200)의 상면에 강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며, 복부(300), 부착돌기(302), 부착공(304), 스터드(306) 등으로 구성된다. 전단연결재(400a)는 그 높이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콘크리트층(100)이 타설된다. 콘크리트층(100)은 교량의 상판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즉, 교각의 상단에 강관(200)이 배치되고, 강관(200)의 상면에 전단연결재(400a)가 부착되며, 콘크리트층(100)은 전단연결재(400a)가 소정의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고, 콘크리트층(100)의 상면에 교량의 상판이 시공된다. 이 경우 콘크리트층(100)의 상면에 별도의 상판을 시공하지 아니하고 콘크리트층(100)을 직접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부착돌기(302)는 복부(300)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전단연결재(400a)와 콘크리트층(100)과의 부착력을 강화하여 주형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부착공(304)은 복부(300)를 천공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층(100)과의 부착강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도면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착공(304)의 형상은 원형 이외에도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스터드(306)는 복부(3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되며, 역시 콘크리트층(10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교량의 주형으로서 탁월한 내구적 성능을 가지는 것이어서 공기의 단축과 함께 구조물의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불필요한 재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단연결재(400c)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반원형의 홈은 콘크리트(100)와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단연결재(400c)의 상단에 소정의 철근이 배치되는 경우 철근의 스페이서(spacer)로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홈은 반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부착공(300)을 대신하여 도 2에서의 스터드(306)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두 개의 구성을 병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강관 거더의 전단연결재(400d)는 복부(300)의 상단이 일정 간격마다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취되어 있다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이렇게 절취된 복부(300)의 상단을 따라 부착편(402)이 구비되어 있으며, 복부(300)를 천공한 부착공(304)이 형성되어 있다.
복부(300)는 그 상단이 일정 간격마다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취되어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와의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해 부착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복부(300) 상단의 절취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사각형 이외에도 반원형, 삼각형, 사다 리꼴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한다. 한편, 도 4에서 부착편(402)이 절취된 부분에는 설치되지 아니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복부(300)의 절취된 부분에도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부착편(402)은 복부(300) 상단의 절취된 선을 따라 부착되며, 이 역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전단연결재(400d)에도 부착공(304) 및/또는 스터드(306)를 부착하여 부착강도를 개선할 수 있음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또 다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도시된 수직연결재들을 변형함으로써 각각 본 발명의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강관 거더는 크게 콘크리트층(100), 수직연결재(602a) 및 강관(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연결재(602a)는 강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강관(200)의 상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형의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이렇게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접촉시킨다. 이 경우 두 강판의 절곡된 부분은 서로 마주보면서 육각기둥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연결재(602a)는 주형의 수직하중 및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내구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한편, 교량의 주형으로서 시공상의 작업성도 크게 개선함으로써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막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콘크리트층(100)은 이 경우에도 수직연결재(602a)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거나 교량의 상판으로 사용된다.
도 6 및 도 7는 도 5에서 도시된 수직연결재(602a)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수직연결재(602b)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반원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20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의 수직연결재(602c)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름모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20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부착공(304)이나 스터드(306)를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두 구성을 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도시된 강관 거더는 도 5에서 도시된 강관 거더에 플랜지(500) 및 전단연결재(400)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수직연결재(602a)의 상단에 강판으로 구성된 플랜지(500)를 부착하고 플랜지(500)의 상면에 전단연결재(400a)를 2 열로 부착한 것이다. 도 8에서는 도 1에서의 전단연결재(400a)가 사용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전단연결재(400b, 400c, 400d)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수직연결재(602a)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수직연결재(602b, 602c)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플랜지(500)는 수직연결재(602a)의 상단에 놓이며 콘크리트층(100)을 받침하는 동시에 하부 거푸집로서 작용하게 된다.
플랜지(5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전단연결재(400)는 지금까지 설명된 전단연결재와 마찬가지로 복부(300), 부착돌기(302), 부착공(304) 및 스터드(306) 등으로 구성되어 지며, 플랜지(500)와 콘크리트층(100)과의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9에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에도 부착공(304)이나 스터드(306)를 적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도 8에서 사용된 수직연결재(602a)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이렇게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접촉시킨 것이다.
도 8에서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8에서의 수직연결재(602a)는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된 단일의 강판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한다.
즉 단일의 강판을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절곡하여 수직연결재(602a)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직연결재의 굴곡 형상은 사다리꼴 뿐만 아니라,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굴곡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한편 수직연결재는 부드럽게 굴곡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파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도 8에서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수직연결재(602a) 대신에 지지관(700)을 사용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강관(200)의 상부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관(700)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관(700)은 플랜지(500)를 강관(20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플랜지(500)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9에서는 지지관(700)의 형상이 육각기둥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될 것은 아니며 원기둥, 사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하는 것들이다.
또한, 지지관(700)을 강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지지관(700)을 2열로 배치하는 경우, 강관(200)의 직경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지관(700)끼리 서로 평행하게 하여 나란히 배치할 수 있을 것이고, 지지 관(700)을 비스듬하게 기울임으로써 상기 강관(200)의 직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지관(700)끼리 서로 "V"자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단연결재(400)는 도 8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전단연결재(400b, 400c, 400d)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강관에 전단연결재를 부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만으로 주형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전단연결재와 수직연결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교량의 주형으로서 탁월한 역학적 성능을 가지는 것이어서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능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기존의 박스형 거더와 비교하여 불필요한 재료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24)

  1.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 및
    상기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강관 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3.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에 일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 및
    상기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강관 거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6.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 및
    상기 복부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부는 일정 간격마다 상기 부착돌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그에 갈음하여 그 상단을 사각형으로 절취한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8.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며,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9.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며, 부드럽게 절곡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1.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2.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반원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3.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름모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재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수직연결재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5.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6.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반원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7.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재;
    상기 수직연결재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연결재는 강판을 일정 주기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절곡시키고, 그와 같이 절곡된 두 개의 강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름모의 형상을 이루도록 강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에 일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는 일정 간격마다 그 상단이 사각형으로 절취되어 있고,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21. 삭제
  22.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받침하는 교각의 거더에 있어서,
    교각의 상단에 거치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상부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며 부착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전단연결재; 및
    상기 수직연결재가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강관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번갈아가며 양쪽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부의 양 측면에는 스터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복부를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착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부착되는데,
    이 경우 이웃하는 지지관끼리 서로 평행하게 하여 나란히 배치되거나,
    지지관을 비스듬하게 기울임으로써 상기 강관의 직경 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지관끼리 서로 "V"자를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KR1020060047265A 2006-05-25 2006-05-25 강관 거더 KR10078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65A KR100786900B1 (ko) 2006-05-25 2006-05-25 강관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265A KR100786900B1 (ko) 2006-05-25 2006-05-25 강관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691A KR20070113691A (ko) 2007-11-29
KR100786900B1 true KR100786900B1 (ko) 2007-12-17

Family

ID=3909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65A KR100786900B1 (ko) 2006-05-25 2006-05-25 강관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96B1 (ko) 2009-02-03 2011-03-15 유호산업개발(주) 조립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거더
KR101111242B1 (ko) * 2009-02-03 2012-03-13 유호산업개발(주) 강재 거더와 전단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강-콘크리트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99B1 (ko) * 2015-08-12 2016-09-06 장병조 전단연결재 및 그를 구비한 거더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440A (en) 1976-10-05 1978-08-29 Bill David Hewitt Structural section
US5414972A (en) 1993-11-09 1995-05-16 Composite Building Systems Incorporated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constructions
KR200369732Y1 (ko) 2004-09-23 2004-12-09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원통형 강관 구조빔
JP2005002594A (ja) 2003-06-10 2005-01-06 Dps Bridge Works Co Ltd 波形鋼板ウェブpc橋における波形鋼板ウェブとコンクリート床版との接合部構造
KR20050032421A (ko) * 2003-10-01 2005-04-07 비비엠코리아(주) 유공 및/또는 서로 엇갈리게 찢은 강판을 이용한 전단연결재
KR20050063280A (ko) * 2003-12-22 2005-06-28 노윤근 강관을 주형으로 사용한 스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60042724A (ko) * 2004-11-10 2006-05-15 유성근 일측 개방 구멍을 형성시킨 반강절 전단 연결재
KR20060107710A (ko) * 2005-04-11 2006-10-16 비비엠코리아(주)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합성교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440A (en) 1976-10-05 1978-08-29 Bill David Hewitt Structural section
US5414972A (en) 1993-11-09 1995-05-16 Composite Building Systems Incorporated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constructions
JP2005002594A (ja) 2003-06-10 2005-01-06 Dps Bridge Works Co Ltd 波形鋼板ウェブpc橋における波形鋼板ウェブとコンクリート床版との接合部構造
KR20050032421A (ko) * 2003-10-01 2005-04-07 비비엠코리아(주) 유공 및/또는 서로 엇갈리게 찢은 강판을 이용한 전단연결재
KR20050063280A (ko) * 2003-12-22 2005-06-28 노윤근 강관을 주형으로 사용한 스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369732Y1 (ko) 2004-09-23 2004-12-09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원통형 강관 구조빔
KR20060042724A (ko) * 2004-11-10 2006-05-15 유성근 일측 개방 구멍을 형성시킨 반강절 전단 연결재
KR20060107710A (ko) * 2005-04-11 2006-10-16 비비엠코리아(주)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합성교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96B1 (ko) 2009-02-03 2011-03-15 유호산업개발(주) 조립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거더
KR101111242B1 (ko) * 2009-02-03 2012-03-13 유호산업개발(주) 강재 거더와 전단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강-콘크리트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691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062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6088B1 (ko) 수평부재
CN106065566A (zh) 一种消能减震墩柱
KR100676627B1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100786900B1 (ko) 강관 거더
JP489764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鋼床版桁橋
KR100952931B1 (ko)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1024991B1 (ko)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 구조 및 중공 슬래브형 데크플레이트의 시공방법
KR100952930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JP6266246B2 (ja) 鋼製柱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30050634A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JP2010229733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KR20140147469A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CN110952457A (zh) 一种钢板组合梁桥无支架现浇混凝土装置及施工方法
CN205839572U (zh) 一种消能减震墩柱
KR20190044763A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200375153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JP2006307589A (ja) 免震建物の基礎構造
JP5729566B2 (ja) コンクリート平版のせん断補強の形成方法と、道路床版及びフラットスラブ
CN205688442U (zh) 一种预制混凝土槽形板桩桩头加固装置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100761741B1 (ko) 공기 단축이 가능한 교량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120022531A (ko) 토목건축용 용접 빔
JPH0771090A (ja) コンクリート板の配筋構造
CN211872641U (zh) 一种桥梁面板的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