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634A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634A
KR20130050634A KR1020110115813A KR20110115813A KR20130050634A KR 20130050634 A KR20130050634 A KR 20130050634A KR 1020110115813 A KR1020110115813 A KR 1020110115813A KR 20110115813 A KR20110115813 A KR 20110115813A KR 20130050634 A KR20130050634 A KR 2013005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r
anchor head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shea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세종알앤디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알앤디, 이재호 filed Critical (주)세종알앤디
Priority to KR102011011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634A/ko
Priority to DE112012004226.3T priority patent/DE112012004226T5/de
Priority to PCT/KR2012/009286 priority patent/WO2013069948A1/ko
Priority to US14/356,893 priority patent/US20150240493A1/en
Priority to BR112014011000A priority patent/BR112014011000A2/pt
Publication of KR2013005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시공시 배근작업을 완료한 후에 전단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제공한다. 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보강 브라켓(20)과 커넥팅 바(40)로 이루어지되, 보강 브라켓(20)은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지는 개수로 배치되고,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전단보강재의 전단보강 성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시공시 배근작업을 완료한 후에 전단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시공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특히, 슬래브(slab), 보(girder & beam), 기둥(column), 벽(wall) 및 코벨(corbel) 등은 전단내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전단성능의 보강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적용하여 시공된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1736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를 통해 스트럽(stirrup; 띠철근)을 적용하는 방법, 전단 스터드(shear stud)를 적용하는 방법 및 전단 밴드(shear band)를 적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제안한 전단보강재는 상현재와 하현재를 수직재 또는 경사재 등의 연결재로 접속시켜 이루어지는 트러스의 상하측에 앵커헤드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부 앵커헤드와 상현재에 의해 상부에서 이중 앵커리지의 기능이 수행되고, 하부 앵커헤드와 하현재에 의해 하부에서 이중 앵커리지의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전술한 기술들에 비해 전단저항 및 연성 성능이 형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장점을 살리면서 그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시공시 배근작업을 완료한 후에 전단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1736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를 통해 제안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공시 배근작업을 완료한 후에 전단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시공되는 슬래브(slab), 보(girder, baem), 기둥(column), 벽(wall), 코벨(corbel) 및 기초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전단내력(shear resistance)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 있어서,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갖고, 상기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판재(26)를 갖는 보강 브라켓(20) 및; 상기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는 커넥팅 바(4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 브라켓(20)은 상기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지는 개수로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상기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의 수평 단면적(A1)은 상기 연결판재(26)의 수평 단면적(A2)보다 10배 이상의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상기 상부 앵커헤드(22), 하부 앵커헤드(24) 및 연결판재(26)는 평편한 금속재의 사각 판재(22', 24', 26')로 이루어지고, 서로 용접을 통해 융착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2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상기 연결판재(26)는 폭과 두께의 비가 5배 이상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단보강재가 배근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배근작업 완료후 전단보강재(10)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전단보강재의 구조를 응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전단보강 성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보강 브라켓의 바람직한 제조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헤드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전용 스페이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보강 브라켓(20)과 커넥팅 바(40)로 이루어지되, 보강 브라켓(20)은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지는 개수로 배치되고,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시공되는 슬래브(slab), 보(girder, baem), 기둥(column), 벽(wall), 코벨(corbel) 및 기초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전단내력(shear resistance)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때, 보강 브라켓(20)은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갖고,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판재(26; Connecting plate; Stem)를 갖는다. 그리고, 커넥팅 바(40)는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된다. 물론, 연결판재(26)는 필요에 따라 상하부 앵커헤드(22, 24)와 임의의 각도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므로, 배근작업이 이루어진 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종래 본 발명자가 제안한 전단보강재{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1736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현장에서의 작업순서는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시공 후, 하부 주근과 부근을 설치하고, 전단보강재를 하부 철근 위에 설치하며, 그리고, 상부 주근과 부근을 설치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배근작업 후, 전단보강재(10)를 설치하는 작업 방법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전단보강재의 전단보강 성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재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 및 작용, 그를 사용해서 슬래브와 기둥을 시공하는 기술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보강 브라켓의 바람직한 제조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앵커헤드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서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전용 스페이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보강 브라켓(20), 커넥팅 바(40) 및 스페이서(50)로 이루어져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시공되는 슬래브(slab), 보(girder, baem), 기둥(column), 벽(wall), 코벨(corbel) 및 기초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전단내력(shear resistance)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때, 보강 브라켓(20)은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갖고,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판재(26)를 갖는다. 이 보강 브라켓(20)은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지는 개수로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에서 보강 브라켓(20)은 평편한 금속재의 사각 판재(22', 24', 26')를 용접하여 형성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 하부 앵커헤드(24) 및 연결판재(26)는 평편한 금속재의 사각 판재(22', 24', 26')로 이루어지고, 도 4의 (b)와 같이, 서로 용접을 통해 융착되어 보강 브라켓(20)을 형성한다. 물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앵커헤드(22), 하부 앵커헤드(24) 및 연결판재(26)에는 다른 부가 구성의 결합 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홀(60), 돌기(61) 등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브라켓(2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규격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는 판재를 적용함으로써 제조의 단가를 낮추고, 별도의 특수 가공이나 성형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에서 커넥팅 바(40)는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된다. 이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 바(40)는 전술한 보강 브라켓(20)의 제조와 동일하게 평편한 사각 판재를 사용하고, 용접을 통해 보강 브라켓(20)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조를 편리하게 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에서 커넥팅 바(40)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 다양한 개수와 체결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8은 두 개의 판재(40', 40")를 서로 평행하게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상에 배치시키고, 볼트(42)로서 고정시키는 형태의 커넥팅 바(40)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의 수평 단면적(A1)이 연결판재(26)의 수평 단면적(A2)보다 바람직하게 10배 이상의 큰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연결판재(26)는 폭과 두께의 비가 5배 이상 되도록 하여 본 발명자가 선출원{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1736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을 통해 제안한 구조의 장점{수직방향의 전단보강범위가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제외한 전체범위까지 보강되기 때문에 전단보강 성능을 극대화됨}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71736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에서 제안한 다양한 형태의 앵커헤드에서 사각 플레이트 구조{도 10의 (a)}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각 플레이트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상하부 앵커헤드(22, 24)와 연결판재(26)가 일방향{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폭(B)를 갖도록 한다{도 5의 (b)}. 이때, 연결판재(26)는 폭과 두께의 비가 5배 이상 되도록 하고, 상하부 앵커헤드(22, 24)의 수평방향 단면적(A1)은 연결판재(26)의 수평방향 단면적(A2)보다 10배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충분한 앵커리지 효과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하부 앵커헤드(22, 24)의 단면적에 대한 제한은 Abdel-Salam Mokhtar, Amin Ghali 및 Walter Dilger 등이 ACI 저널(TECHNICAL PAPER) Title no. 82-60 "Stud Shear Reinforcement for Flat Concreate Plates"에서 스터드(stud)와 스템(stem)의 가장 적합하다고 제안한 단면적의 비례관계를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오랜기간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앵커헤드의 안쪽 특히, 앵커헤드와 접하는 Stem의 둘레에 작용하는 지압응력이 낮을수록 전단보강재의 효과는 우수하다는 것이 실험 등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스터드(stud) 방식에 비해 더욱 향상된 전단보강효과를 제공한다. 즉, 스터드 방식은 원형봉강으로서 직경이 D일 때 앵커헤드와 접하는 둘레길이는 πD이다. 그리고, 이 둘레길이는 직경 D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며 더 증가시킬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재(10)는 얇은 판재로서 연결판재(26, stem)의 폭을 B라 할 때, 앵커헤드와 접하는 둘레길이는 2B이다. 따라서, 스터드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재가 같은 단면적(A)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재(10)는 두께 t를 줄이고 폭 B를 증가시켜 둘레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전단보강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터드 방식은 헤드의 하부가 스템(stem)과 90도보다 훨씬 큰 각도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재는 90도를 형성하여 동일한 힘을 받아도 지압응력이 스터디 방식의 경우보다 낮으므로 전단보강효과가 향상된다. 즉, 스터드 방식에서는 앵커헤드의 안쪽에 P 라는 힘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력(R)은 R=P/cosθ와 같이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인 경우에는 앵커헤드의 안쪽에 P 라는 힘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지압력(R)은 R=P 와 같이 동일한 힘이 작용하므로 스터드방식보다 낮은 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는 보강 브라켓(20)의 하부 앵커헤드(24)에 쉽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50)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전단보강재(10)를 설치하여도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자동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공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면서 건설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에서 스페이서(50)는 지지판(52), 걸림훅(54) 및 높이 돌기(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훅(54)은 지지판(52)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양측으로 보강 브라켓(20)의 하부 앵커 헤드(24)가 삽입되는 공간(51)을 형성하면서 하부 앵커 헤드(24)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높이 돌기(56)는 지지판(52)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단보강재(10)가 필요한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재(10)가 콘크리트 구조물(슬래브)에 사용되는 방법을 보면, 먼저, 도 7의 (a)와 같이, 하부 주근(2)과 부근(3)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철근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스페이서(1)를 철근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인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강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용 스페이서(5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바로 설정되어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의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배근작업과 동일하게 상부 주근(4)과 부근(5)을 설치한다. 그리고,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10)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놓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전단보강재(10)는 스페이서(50)에 의해 자연스럽게 필요한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작업자는 상부 철근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다른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20 : 보강 브라켓
22 : 상부 앵커헤드
24 : 하부 앵커헤드
26 : 연결판재
22', 24', 26' : 사각 판재
A1 : 상부 앵커헤드와 하부 앵커헤드의 각 수평 단면적
A2 : 연결판재의 수평 단면적

Claims (4)

  1. 철근과 콘크리트의 적용을 통해 시공되는 슬래브(slab), 보(girder, baem), 기둥(column), 벽(wall), 코벨(corbel) 및 기초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전단내력(shear resistance)을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에 있어서,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갖고, 상기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판재(26)를 갖는 보강 브라켓(20) 및;
    상기 보강 브라켓(20)의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는 커넥팅 바(4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 브라켓(20)은 상기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지는 개수로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 바(40)는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보강 브라켓(20)의 각 상부 앵커헤드(22)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앵커헤드(22)와 하부 앵커헤드(24)의 수평 단면적(A1)은 상기 연결판재(26)의 수평 단면적(A2)보다 10배 이상의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앵커헤드(22), 하부 앵커헤드(24) 및 연결판재(26)는 평편한 금속재의 사각 판재(22', 24', 26')로 이루어지고, 서로 용접을 통해 융착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2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재(26)는 폭과 두께의 비가 5배 이상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KR1020110115813A 2011-11-08 2011-1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KR20130050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813A KR20130050634A (ko) 2011-11-08 2011-1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DE112012004226.3T DE112012004226T5 (de) 2011-11-08 2012-11-06 Schubbewehrung für Stahlbetonstruktur
PCT/KR2012/009286 WO2013069948A1 (ko) 2011-11-08 2012-11-06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US14/356,893 US20150240493A1 (en) 2011-11-08 2012-11-06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R112014011000A BR112014011000A2 (pt) 2011-11-08 2012-11-06 reforço ao cisalhamento para uma estrutura reforçada de conc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813A KR20130050634A (ko) 2011-11-08 2011-1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634A true KR20130050634A (ko) 2013-05-16

Family

ID=4829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813A KR20130050634A (ko) 2011-11-08 2011-1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40493A1 (ko)
KR (1) KR20130050634A (ko)
BR (1) BR112014011000A2 (ko)
DE (1) DE112012004226T5 (ko)
WO (1) WO201306994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79B1 (ko) * 2020-02-27 2020-08-13 (주)힐엔지니어링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모듈구조
KR20230070821A (ko) * 2021-11-15 2023-05-23 류승일 콘크리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방법
KR20230114925A (ko) * 2022-01-26 2023-08-02 류승일 코일형 정착헤드를 구비한 무용접 콘크리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131B2 (en) * 2018-05-04 2022-11-01 B.T. Innovation Gmbh Shear force anch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7444A (en) * 1927-09-22 1929-06-18 Thomas J Foster Building construction
US1812195A (en) * 1928-10-08 1931-06-30 Pittsburgh Steel Co Building structure
US2114773A (en) * 1936-03-24 1938-04-19 Truscon Steel Co Grid or grating structure
US2192183A (en) * 1937-05-27 1940-03-05 Deutsch Maurice Method of making concrete slabs
US4259822A (en) * 1979-05-14 1981-04-07 Mcmanus Ira J Precast concrete joist system
US4741138A (en) * 1984-03-05 1988-05-03 Rongoe Jr James Girder system
JP2001081729A (ja) * 1999-09-13 2001-03-27 Nippon Steel Corp 合成床版
JP2002013108A (ja) * 2000-06-28 2002-01-18 Hitachi Zosen Corp 合成床版
US6412132B1 (en) * 2000-08-02 2002-07-02 Anton B. Majnaric Methods for constructing a bridge utilizing in-situ forms supported by beams
US7017314B2 (en) * 2002-07-17 2006-03-28 Pace Malcolm J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concrete and steel floor construction
US20050066609A1 (en) * 2003-09-26 2005-03-31 Olah Timothy J. Preassembled roof and floor deck panel system
KR20090006512A (ko) * 2007-07-12 2009-01-15 (주)화인테크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US20090077758A1 (en) * 2007-09-21 2009-03-26 Groupe Canam Inc. Bridge deck panel
KR100971736B1 (ko) * 2009-04-03 2010-07-21 이재호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79B1 (ko) * 2020-02-27 2020-08-13 (주)힐엔지니어링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모듈구조
KR20230070821A (ko) * 2021-11-15 2023-05-23 류승일 콘크리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방법
KR20230114925A (ko) * 2022-01-26 2023-08-02 류승일 코일형 정착헤드를 구비한 무용접 콘크리트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1000A2 (pt) 2017-06-06
DE112012004226T5 (de) 2014-07-10
US20150240493A1 (en) 2015-08-27
WO2013069948A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736B1 (ko) 상하 각각 이중 앵커리지 기능을 갖는 전단보강재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JP6108595B2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100676627B1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20130000105A (ko) 내진보강용 슬랩 휨/보 전단 겸용 보강구조
KR20130050634A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전단보강재
KR100952931B1 (ko)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0952930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0947339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JP6204027B2 (ja) 補強構造
KR20060102872A (ko) 유공형 절곡 철판 전단보강체 및 그 설치방법
JP2012509421A (ja) プレストレストスラブ要素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20190044763A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JP2008202389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101177316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JP5729566B2 (ja) コンクリート平版のせん断補強の形成方法と、道路床版及びフラットスラブ
JP2007009591A (ja) フラットプレートのせん断補強構造
KR20070053836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JP6681709B2 (ja) 鉄骨梁の補剛構造
JP674180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造
JP2019085836A (ja) 鉄筋部材、及び鉄筋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