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324B1 -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 Google Patents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324B1
KR100786324B1 KR1020060126310A KR20060126310A KR100786324B1 KR 100786324 B1 KR100786324 B1 KR 100786324B1 KR 1020060126310 A KR1020060126310 A KR 1020060126310A KR 20060126310 A KR20060126310 A KR 20060126310A KR 100786324 B1 KR100786324 B1 KR 10078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oller
paper
press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이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현 filed Critical 이강현
Priority to KR10200601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7/00Dyeing or printing processes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2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continuously and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 D06J1/04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continuously and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by co-operating ribbed or grooved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직물지의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수축공정에 앞서 표면지 공급기(2)로부터 인출된 표면지(A)가 한개 이상의 나염롤러(4b)(4c)(4d)와 점착제 도포롤러(4e)를 갖는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무늬모양으로 나염 및 점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고,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를 통과한 표면지(A)는 이면지 공급기(8)로부터 공급된 이면지(B)와 겹쳐진 상태에서 합포기(6)의 합포롤러(6c)를 통과하면서 합포가 이루어지게 하고, 합포된 합포지(C)는 권취기(10)에 권취되게 하는 작업이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후 진행되는 열수축공정시 팽팽한 긴장감의 이면지(B)로부터 자연스런 입체감으로 부풀어 오른 주름부에 여러가지 색채가 가미되어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이중주름직물지(D)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TEXTILES PRINTING/ATTACH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WRINKLED TEXTILES}
도 1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의 측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 합포기의 측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에 의해 얻은 합포지의 사시도
도 6 : 완성된 이중주름직물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표면지 (B)--이면지
(C)--합포지 (D)--이중주름직물지
(2)--표면지 공급기 (2a)--본체
(2b)--공급롤러 (4)--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
(4a)--본체 (4b)(4c)(4d)--나염롤러
(4e)--점착제 도포롤러 (6)--합포기
(6a)--본체 (6b)--안내롤러
(6c)--합포롤러 (8)--이면지 공급기
(8a)--본체 (8b)--공급롤러
(10)--권취기 (10a)--받침대
(10b)--권취롤러 (12)(14)--감속모터
(16)(18)(20)--안내롤러
본 발명은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든 작업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주름무늬에 색채를 가미하여 더욱 화려한 고품질의 주름직물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름직물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이미 특허출원 제2005-21604호를 제공한바 있으며, 이는 열수축성 표면지를 얻고자 하는 무늬가 조각된 접착제 도포롤러를 통과시켜서 그 일면에 주어진 무늬모양의 외곽선을 따라 점착제가 도포되게 하고 상기 표면지는 적절한 건조후 열수축성 이면지와 겹쳐진 상태에서 합포롤러를 통과시켜서 합포되게 하고, 합포지는 숙성후 그 이면지의 양측을 열수축기의 텐터기에 약간 느슨하게 고정한 상태로 가열실을 통과하도록 하여 합포지의 열수축으로 팽팽한 이면지로부터 표면지가 부풀어올라 입체적인 주름무늬가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고열에 의해 셋팅되게 하여 주름무늬에 의해 공기층을 갖도록 한 상태로 사용토록 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재료의 손실이 전혀 없고 또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얻을 수 있음 은 물론 복잡하고 섬세한 무늬모양까지도 입체감있게 나타내 줄 수 있으며, 신체와의 접촉시에도 부드럽고 매끈한 이면지로 인하여 우수한 촉감을 지니게 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크게 표면지의 점착제 도포공정과 이면지와의 합포공정 및 열수축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각 공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특히 색채를 가미하고자 할 경우 전체 염색을 통한 단일색상의 색채는 부여해 줄 수가 있다 하겠으나 원하는 부위에나 또는 2도이상의 색상은 부여해 주기 어려우며, 단일색상의 부여시에도 별도의 공정소요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주름직물지를 얻기 위한 공정중 열수축공정을 제외한 전공정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나염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주름무늬에는 물론 그 외의 원하는 부분에 2도이상의 색채를 가미해 줄 수가 있어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주름직물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나염 및 합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지 공급기로부터 인출된 표면지가 한개이상의 나염롤러와 하나의 점착제 도포롤러를 갖는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를 통과하면서 그 롤러에 조각된 무늬모양에 따라 나염과 점착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염 및 점착제가 도포된 표면지는 이면지 공급기로부터 인출된 이면지와 겹쳐져 합포기 의 통과중 합포되게 하며, 합포된 합포지는 권취기에 권취되게 한 나염 및 합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표면지 공급기(2) 일측에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가 설치되고, 상기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 일측에 합포기(6)가 설치되며, 상기 합포기(6) 양측에는 이면지 공급기(8)와 권취기(10)가 설치되어 감속모터(12)(14)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치된다.
표면지 공급기(2)는 무동력으로서 받침대(2a)에 공급롤러(2b)가 회전가능케 연결설치되는 것이면 만족하며,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와의 사이에는 표면지(A)를 안내하는 수개의 안내롤러(16)가 설치된다.
도 2는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의 측면구성도로서,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는 본체(4a)의 하부 타측에 1차나염롤러(4b)가 설치되고, 상기 1차나염롤러(4b) 일측에 2차나염롤러(4c)가 설치되고, 상기 2차나염롤러(4c)의 상부 일측에 3차나염롤러(4d)가 설치되고, 3차나염롤러(4d)의 타측 상부에 점착제 도포롤러(4e)가 설치되며, 합포기(6)와의 사이에는 표면지(A)를 안내하는 수개의 안내롤러(18)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나염롤러(4b)(4c)(4d)들은 외면에 원하는 무늬모양이 조각되어 가압롤러와 접촉되게 설치되며 염료도포롤러나 스퀴즈에 의해 적당량의 염료가 도포되어 가압롤러와의 사이로 표면지(A)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염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한개이상이 설치되는 것이면 만족한다.
또한 점착제 도포롤러(4e)는 나염롤러가 갖는 무늬모양에 따라 적절한 무늬모양이 조각되고 또 하부에 갖는 점착제 받이통의 점착제에 일부침수되도록 설치되며, 스퀴즈와 가압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와의 사이로 표면지(A)가 통과되게 하는 것으로 주어진 무늬모양에 따라 점착제가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합포기의 측면구성도로서, 상기 합포기(6)는 본체(6a) 상부에 안내롤러(6b)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러 아래에 상하한쌍으로 이루어진 합포롤러(6c)가 설치되는데 합포롤러(6c)에는 가열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표면지(A)와 이면지(B)가 가열가압에 의해 합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면지 공급기(8)는 합포기(6)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이역시 무동력으로서 받침대(8a)에 공급롤러(8b)가 회전가능케 연결설치되는 것이면 만족하며, 합포기(6)와의 사이에는 이면지(B)를 안내하는 수개의 안내롤러(20)가 연결설치된다.
또한 권취기(10)는 합포기(6) 타측에 설치되는데 이는 받침대(10a)에 권취롤러(10b)가 회전가능케 연결설치되어 합포된 합포지(C)를 권취해 주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가 갖는 각 나염롤러(4b)(4c)(4d)와 점착제 도포롤러(4e)에는 감속모터(12)의 동력이 체인벨트와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고, 감속기가 갖는 다른 한축은 긴 축봉을 통하여 합포기(6)의 합포롤러(6c)와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하며, 권취기(10)의 권취롤러(10b)는 별도의 감속모터(12)와 연결되게 하여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와 권취기(10)에 적절한 회전력을 부여해 줄 수 있는 것이면 모두 만족한다.
본 발명은 표면지 공급기(2)로부터 인출된 표면지(A)가 안내롤러(16)를 거쳐서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가 갖는 나염롤러(4b)(4c)(4d)와 점착제 도포롤러(4e)를 통과하도록 하고,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를 통과한 표면지(A)는 안내롤러(18)를 거쳐서 합포기(6)에 이르게 되면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이면지 공급기(8)로부터 인출된 이면지(B)가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합포롤러(6c)를 통과하도록 하고, 합포기(6)의 통과로 합포된 합포지(C)는 권취기(10)의 권취롤러(10b)에 권취되게 한 상태에서 모터(12)(14)에 전원을 인가해 주는 것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표면지 공급기(2)로부터 인출된 표면지(A)는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의 통과중 하나 이상의 나염롤러(4b)(4c)(4d)들에 의해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색상의 나염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나염롤러의 통과후 점착제 도포롤러(4e)의 통과중 나염무늬의 경계선을 비롯한 원하는 부위에 점착제가 도포된다.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의 통과로 나염 및 점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진 표면지(A)는 합포기(6)에 이르러 이면지(B)와 겹쳐진 상태에서 합포롤러(6c)를 통과하면서 표면지에 도포된 점착제에 의해 표면지와 이면지의 합포가 이루어지게 되고, 합포된 합포지(C)는 권취기(10)의 권취롤러(10d)에 권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지(A)의 공급과, 공급된 표면지(A)의 나염 및 점착제 도포와, 이면지(B)의 공급과 표면지와 이면지의 합포 및 합포된 합포지(C)의 권취작업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질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은 합포지(C)는 숙성을 통한 점착제의 안정화후 열수축기로 운반하여 그 이면지의 양측을 텐터기의 양측 고정핀에 약간 느슨하게 고정한 상태로 텐터기를 따라 가열실을 통과하도록 하게 되면 열수축으로 텐터기에 고정된 이면지는 팽팽한 긴장감을 갖게 되고 그 표면지는 이면지와의 접착된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부풀어 올라 주름무늬가 형성됨과 동시에 고열에 의해 셋팅이 이루어진 이중주름직물지(D)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주름직물지(D)는 도 5에서와 같이 점착부를 제외한 전부분이 부풀어올라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갖게 됨은 물론 그 주름무늬에 나염된 여러가지 색상이 어우러져 화려함과 고급스러움이 더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주름직물지(D)를 얻기 위한 공정중 열수축을 제외한 표면지(A)의 나염과 점착재의 도포 및 표면지(A)와 이면지(B)의 합포공정등이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특히 얻고자 하는 주름무늬에 나염을 통하여 적절한 여러가지 색상의 색채를 가미해 줄 수가 있어 더욱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이중주름직물지를 얻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받침대와 공급롤러로 구성되는 표면지 공급기(2)와;
    수개의 나염롤러와 한개의 점착제 도포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표면지 공급기(2)의 일측에 설치되는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와;
    안내롤러(6b)와 한쌍의 합포롤러(6c)로 구성되어 상기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 일측에 설치되는 합포기(6)와;
    받침대와 공급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합포기 일측에 설치되는 이면지 공급기(8)와;
    받침대와 권취롤러로 구성되어 합포기(6) 타측에 설치되는 권취기(10) 및;
    상기 나염 및 점착제 도포기(4)와 권취기(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모터(12)(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직물지의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KR1020060126310A 2006-12-12 2006-12-12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KR10078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10A KR100786324B1 (ko) 2006-12-12 2006-12-12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310A KR100786324B1 (ko) 2006-12-12 2006-12-12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24B1 true KR100786324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310A KR100786324B1 (ko) 2006-12-12 2006-12-12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286A (ko) * 1992-09-01 1994-04-26 이상준 무늬롤러를 이용한 다색상의 무늬나염장치 및 방법
JPH06240563A (ja) * 1993-02-15 1994-08-30 Kimura Senko Kk プリーツ加工ウエブの製造法
KR20000071981A (ko) * 2000-06-01 2000-12-05 김향숙 주름 직물의 제조방법
JP2002227072A (ja) 2001-01-29 2002-08-14 Chuo Giken Kogyo:Kk 皺セット加工法
KR20040012160A (ko) * 2002-08-01 2004-02-11 오창호 다색의 주름모양직물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286A (ko) * 1992-09-01 1994-04-26 이상준 무늬롤러를 이용한 다색상의 무늬나염장치 및 방법
JPH06240563A (ja) * 1993-02-15 1994-08-30 Kimura Senko Kk プリーツ加工ウエブの製造法
KR20000071981A (ko) * 2000-06-01 2000-12-05 김향숙 주름 직물의 제조방법
JP2002227072A (ja) 2001-01-29 2002-08-14 Chuo Giken Kogyo:Kk 皺セット加工法
KR20040012160A (ko) * 2002-08-01 2004-02-11 오창호 다색의 주름모양직물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635B1 (en) Embossing and laminatin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ulti-ply web products and relative product
EP1970193B1 (en) Embossed sheet material, embossing uni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US3458376A (en) Process for laminating hides with foil
KR100786324B1 (ko) 주름직물지 제조를 위한 나염 및 합포장치
CN206870581U (zh) 一种纸张、薄膜印刷复合剥离转移复合压纹切张生产设备
US2729267A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edge embossed paper article and product thereof
CN210824589U (zh) 一种墙布及装帧布复合加工设备
US4151033A (en) Printed textile web material and method
KR20140000741U (ko) 원단의 주름형성장치
KR101153741B1 (ko) 직물지의 무늬 형성장치
JPH0450423B2 (ko)
KR101029703B1 (ko) 나염직물지의 장식지 접착방법 및 그 장치
JP4760263B2 (ja) エンボス加工用離型紙
KR20160114418A (ko) 필름을 이용한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는 주름형성장치 및 주름형성방법
US351815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abric-film laminates
KR101533522B1 (ko) 다중 프린트 유닛을 포함한 기능성 화장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JP3767020B2 (ja) シート印刷・発泡・エンボス加工装置
US4161563A (en) Printed textile web material
JP5269993B2 (ja) 2つ以上のペーパーウェブ又は層を接着によって結合する装置及び方法
US3700539A (en) Laminated sheet material having a contoured surface
JP4708140B2 (ja) エンボス加工用離型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978908B1 (ko) 직물 엠보싱 장치
KR20000072143A (ko) 엠보싱벽지의 제조방법
KR100889812B1 (ko) 주름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주름원단
KR200269341Y1 (ko) 습식 폴리우레탄 코팅 필름의 엠보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