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608B1 -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608B1
KR100784608B1 KR1020070010960A KR20070010960A KR100784608B1 KR 100784608 B1 KR100784608 B1 KR 100784608B1 KR 1020070010960 A KR1020070010960 A KR 1020070010960A KR 20070010960 A KR20070010960 A KR 20070010960A KR 100784608 B1 KR100784608 B1 KR 10078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filtered
diatomaceous earth
herbal medicine
herb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7001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은, 한약, 물 및 배지를 혼합한 용액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상기 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시킨 용액을 부직포를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키는 단계; 1차 여과시킨 용액을 바깥면이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키는 단계; 및 2차 여과시킨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한약 용액 또는 탕전한약 용액을 부직포, 규조토 여과기 및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여과과정을 통해 약재 찌꺼기, 약재에 묻어 있는 흙,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맑은 액상의 한약액을 추출할 수 있다.
정제된 한약액, 발효한약, 미생물, 배지

Description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refined herbal liqu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한 한약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한 한약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e는 도 2d의 원심분리기에 의한 원심분리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한 한약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한약액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을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용액 또는 한약을 탕전한 용액을 수 차례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한약액을 정제시키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약액을 제조할 때, 물을 용매로 하여 약 100℃에서 2~3시간 끓인 후 삼베천이나 부직포를 이용하여 약재와 액체를 분리한 후 액체를 포장용기에 넣어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액체 내에 약재 찌꺼기, 약재에 묻어 있는 흙, 먼지 등의 불순물이 함유되게 된다. 이러한 불순물은 한약액의 복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불순물을 줄이기 위해 한약을 끓일 때, 감압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저온에서 끓게 하여 한약액을 기화시킨 후, 기체를 다시 액화하여 한약(일명, 증류한약이라고 함)을 만드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약의 성분으로 기체화되는 물질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이러한 물질만으로는 약효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약을 발효시킨 용액 또는 한약을 탕전한 용액을 부직포, 규조토 여과기 및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정제된 한약액을 얻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은, 한약, 물 및 배지를 혼합한 용액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상기 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시킨 용액을 부직포를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키는 단계; 1차 여과시킨 용액을 바깥면이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키는 단계; 및 2차 여과시킨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은, 식용가능한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직포가 씌어진 통 안의 기압을 감압하여 상기 용액을 여과시킨다.
상기 철망은, 상기 용액을 여과시킨 후, 상기 용액이 여과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상기 규조토에 엉겨붙은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탕전한 용액을 부직포를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키는 단계; 1차 여과시킨 용액을 바깥면이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키는 단계; 및 2차 여과시킨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한 한약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미생물 반응기(발효조)에 한약 및 물을 넣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한약이 혼합된 용액을 발효시킨다(S100 단계). 이 때, 한약은 분말 형태인 것을 사용하며, 이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발효시키는 한약에는 예를 들어 인삼, 백출, 복령, 황기 등의 초본류의 약재가 많이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약재가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친 한약은 복용시 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발효된 한약은 면역력을 증가시켜 알레르기 질환, 아토피, 비염 등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오는 질병에 효과가 크다.
미생물은 식용가능한 미생물로서, 예를 들어, 아스퍼질러스(Aspergilus)속, 모나스커스(Monascus)속 등의 곰팡이류, 동충하초 등의 버섯류,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바실러스(Bacillus)속, 루코노스톡(Luconostoc)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us)속 등의 유산균류 등일 수 있다.
미생물의 분리, 배양에는 미생물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맞는 배지가 필요하다.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당 성분, 단백질 성분, 무기질 성분 등의 영양소를 적당량 가지는 배지가 미생물과 함께 발효조(210)에 투입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한약의 발효는 통상 3일 내외에서 행해지고,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달리한다.
또한, 발효조(210) 내부에는 스크류 교반기(212)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류 교반기(212)가 회전하면서 미생물과 한약이 골고루 섞이게 된다.
부직포 여과기를 사용하여 용액을 1차 여과시킨다(S110 단계). 부직포 여과 기(220)에는 철망(222) 위에 부직포(224)가 설치된다. 용액이 부직포(224)를 통과하면서 균사체 및 한약재가 용액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감압기(226)를 사용하여 부직포 여과기(220) 통 안의 기압을 낮춤으로써, 여과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직포 여과기(220)에 의해 약 40 내지 50 ㎛ 이상의 불순물 및 균사체와 한약재가 걸러진다.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2차 여과시킨다(S120 단계).
규조토(diatomaceous earth)는 다수의 조그만 구멍이 있어서 여과제, 흡착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규조토 여과기를 프리코트 여과기라고 한다. 이러한 프리코트 여과기는 당업자라면 널리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는 간략하게 도시한다.
규조토 여과기(230)의 내부 중앙에는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232)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234)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용액이 여과봉(232)의 외부에서 내부로 여과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규조토 여과기(230)에 의해 약 20 내지 30 ㎛ 이상의 불순물들이 제거된다.
미세한 규조토 틈새에 불순물이 많이 끼는 경우, 여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규조토에 엉겨붙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다(S130 단계). 원심분리기(240)는 모터(244)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축(246)이 회전하면서 회전통(242)의 하부에 침전물이 생긴다. 이렇게 생긴 침전물을 제거함으로써, 정제된 한약액을 얻을 수 있다. 원심분리기(240)에 의해 원심분리한 후, 약 5 내지 10 ㎛ 정도 크기 이하의 물질만 용액에 남게 된다.
도 2e는 도 2d의 원심분리기에 의한 원심분리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하는 도로서, 원심분리하기 전에는 약간 혼탁한 용액을 나타내는 반면에, 원심분리한 후에는 비교적 맑은 용액을 나타내고 하부에는 침전물이 생긴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한약을 발효시키지 않고 종래의 방법에 따라 한약재를 탕전하는 단계(S300 단계)를 거친다. S300 단계 이외의 과정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여, 부직포 여과기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하고(S310 단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한 후(S320 단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한다(S330 단계).
한약재를 발효시키지 않고 탕전하여 얻어진 한약의 경우에도 S310 내지 S330 단계를 거치면 맑게 걸러진 한약액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한약 용액 또는 탕전한약 용액을 부직포, 규조토 여 과기 및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여과과정을 통해 약재 찌꺼기, 약재에 묻어 있는 흙,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맑은 액상의 한약액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약액을 복용할 때 불순물로 인한 거부감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한약, 물 및 배지를 혼합한 용액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상기 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시킨 용액을 부직포를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키는 단계;
    1차 여과시킨 용액을 바깥면이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키는 단계; 및
    2차 여과시킨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식용가능한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직포가 씌어진 통 안의 기압을 감압하여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은, 상기 용액을 여과시킨 후, 상기 용액이 여과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상기 규조토에 엉겨붙은 불순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5. 한약재를 탕전한 용액을 부직포를 통과시켜 1차 여과시키는 단계;
    1차 여과시킨 용액을 바깥면이 규조토로 코팅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여과봉을 통과시켜 2차 여과시키는 단계; 및
    2차 여과시킨 용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여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부직포가 씌어진 통 안의 기압을 감압하여 상기 용액을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은, 상기 용액을 여과시킨 후, 상기 용액이 여과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상기 규조토에 엉겨붙은 불순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방법.
KR1020070010960A 2007-02-02 2007-02-02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KR10078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960A KR100784608B1 (ko) 2007-02-02 2007-02-02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960A KR100784608B1 (ko) 2007-02-02 2007-02-02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608B1 true KR100784608B1 (ko) 2007-12-11

Family

ID=3914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960A KR100784608B1 (ko) 2007-02-02 2007-02-02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423A (ko) * 2001-10-08 2003-04-14 이정식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균사체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8973A (ko) * 2006-04-03 2006-05-04 김기태 복숭아 술 제조방법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423A (ko) * 2001-10-08 2003-04-14 이정식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균사체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8973A (ko) * 2006-04-03 2006-05-04 김기태 복숭아 술 제조방법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9624A (zh) 一种烟用浸膏、其制备方法及烟草制品
CN106823552A (zh) 一种高效快速的茶多酚茶渣分离装置
CN103468628A (zh) 一种净化灵芝孢子的方法
CN102835651A (zh) 一种基于膜技术提取虫草头孢菌丝体的方法
KR100784608B1 (ko) 정제된 한약액의 제조 방법
CN109722426A (zh) 一种纳豆激酶的制备方法
CN101628857B (zh) 一种从虎杖中提取白藜芦醇的生产工艺
CN107522692A (zh) 一种利用葛根淀粉生产废液分离葛根素的方法
CN206715368U (zh) 一种用于头孢类系列母核生产用的环隙式离心萃取器
CN107190028A (zh) 一种米糠粕中阿魏酸的提取方法
CN107937337A (zh) 一种c2c12成肌细胞分化培养的培养基
CN217247296U (zh) 一种天然产物提取用离心过滤装置
CN209679606U (zh) 一种便捷式中药提取液过滤器
CN206184074U (zh) 一种花椒油过滤设备
TWI726713B (zh) 青檸酵素製作方法
CN106890477A (zh) 杜仲天然药物成分提取工艺及其提取设备
CN107549330A (zh) 一种豆腐加工用豆浆绒渣过滤自排杂装置
CN101283709A (zh) 速溶普洱茶膏
CN107227327A (zh) 一种贻贝寡糖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03450320B (zh) 一种从赭色小莫勒菌中提取藿烷醇的方法
CN209854111U (zh) 一种酒类生产精密过滤装置
CN209530294U (zh) 一种用于提取药材液体成分的固液分离装置
CN217391760U (zh) 一种植物提取物过滤装置
CN112125947A (zh) 一种人参皂苷提取物中塑化剂的脱除方法及设备
CN102008508A (zh) 一种抑制乙酰胆碱酯酶的中华真地鳖提取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