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59B1 -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259B1
KR100784259B1 KR1020060110021A KR20060110021A KR100784259B1 KR 100784259 B1 KR100784259 B1 KR 100784259B1 KR 1020060110021 A KR1020060110021 A KR 1020060110021A KR 20060110021 A KR20060110021 A KR 20060110021A KR 100784259 B1 KR100784259 B1 KR 10078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late
steel pipe
hinge
intermedi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9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bringing two tubular members closer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상호 연결할 양쪽 강관을 파지하는 양측 정형기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비되고, 이 연결장치는 틸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자동틸팅작동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관 연결 작업시에 공사 현장 조건과 배관 설치 경사 등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배관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시공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강관, 정형기, 견인 장치, 틸팅, 연결 장치, 슬라이딩

Description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Device for shaping roundness and jointing steel pipes having lifting connector capable of tilting}
도 1은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백호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파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선행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장치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장치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정형기 125 : 정형 장치
130 : 견인 장치 135 : 개폐 장치
138 : 잠금 장치 140, 140A : 연결 장치
141 : 상부 플레이트 143 : 연결봉
144, 144A : 틸팅 힌지 145, 145A : 힌지 블록
146, 146A : 틸팅 축 147 : 힌지 블록
150 : 중간 플레이트 153 : 회전 축
155 : 하부 플레이트 160 : 슬라이딩 블록
170 : 자동회전장치 171 : 구동 모터
172 : 구동 기어 175 : 회전 기어
180 : 틸팅 유압 실린더 180A : 틸팅 유압 모터
181, 182 : 실린더 결합용 브래킷
200 : 강관 외면 용접기 210 : 용접기 주행부
220 : 용접 장치
본 발명은 강관의 연결 시공 장비인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 장착 조건에 따라 틸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반 토사구간이나 가시설 구간 등 모든 현장 조건에 대형 강관 시공시에 배관 및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확보와 용접 접합부의 품질을 높여 배관 시스템의 내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연구 개발의 성과에 힘입어 "강관의 시공방법"(특허 제10-0440555호), "강관의 정형장치"(특허 제10-0440185호), "강관의 정형이음장치"(특허 제10-0598551호)를 특허 출원하여 특허된 바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위의 특허 발명 중 특허 제10-0598551호에 개시된 도면으 로서, 이를 참조하여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 발명의 강관의 정형이음장치(이하 '강관 정형 이음장치'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호우(BH)의 작업용 암(R)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백호우(BH)의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이며, 강관(P)의 생산과정이라든가 시공현장까지 운송 내지 하적 등의 과정에서 변형된 강관(P)의 끝단부분을 소정의 진원도로 성형하고 삽입 연결하고 용접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러한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또는 백호우(BH)의 작업용 암(R) 끝단과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몸체(40)와, 이 연결몸체(40)에 강관(P)을 정형할 수 있도록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동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게 마련되고 복수개로 분할된 호형몸체(11)가 힌지(13)를 중심으로 하여 개폐되도록 연결되어 폐쇄시 하나의 원을 이루며 상기 호형몸체(11)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압실린더(16)가 설치되고 잠금장치(15)가 구비된 정형기(10)와, 이 정형기(10)를 동심선상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 설치된 견인기(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형기(10)의 호형몸체(11)는 상하로 양분된 상부반원형몸체(11a)와, 이 상부반원형몸체(11a)의 양단에 힌지(13)를 통해 연결되고 하부반원형몸체를 좌우로 양분한 쿼터원형몸체(11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반원형몸체(11a)에 대하여 쿼터원형몸체(11b)가 개폐되게 상부반원형몸체(11a) 및 쿼터원형몸체(11b)의 연결부분에 개폐실린더(14)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연결몸체(40)는 상부몸체(41)에 대하여 하부몸체(42)가 회전가능 하게 마련되고 상부몸체(41)의 한쪽에 유압모터(43)가 장착되고 이 유압모터(43)의 출력회전축에 장착된 제1구동기어(44)와 하부몸체(42)의 제2구동기어(45)가 맞물려있으며, 상기 하부몸체(42)에는 정형기의 슬라이더(47)와 결합되는 가이드(46)가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발명의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몸체(40)는, 정형기(10)를 포함한 하부몸체(42)가 상부몸체(41)로부터 기울어질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현장 조건에 따라 정형 이음장치를 강관 주위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켜 배관 시공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형기의 틸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배관 연결 작업시에 다양한 각도에서 보다 용이하게 배관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상호 연결할 양쪽 강관을 파지하는 양측 정형기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 비된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외부의 인양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틸팅 힌지를 통해 틸팅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양쪽 정형기에 각각 연결되고,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 힌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플레이트에서 각각 돌출된 힌지 블록이 상호 겹친 상태에서 틸팅 축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플레이트가 상기 틸팅 힌지를 중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틸팅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틸팅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틸팅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자동틸팅장치는 상기 틸팅 힌지에 구비된 틸팅 축을 강제 회전시키는 틸팅 유압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대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회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회전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플레 이트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가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6은 정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양쪽 강관을 견인하기 전과 양쪽 강관을 견인한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강관(P)을 각각 정형할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원형 몸체(111,112)로 이루어진 2개의 정형기(100A, 100B)가 나란히 배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견인 장치(130) 및 연결 장치(140)에 의해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정형기(100A)(100B)의 원형 몸체(111,112)는 도 6에서와 같이 반원형 구조의 상부 몸체(113)와, 이 상부 몸체(113)의 양쪽에 결합되어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는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몸체(113)는 원형 구조에서 1/2의 크기로 분할되고, 쿼터형 몸체(114,115)는 1/4의 크기로 분할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강관(P)의 둘레를 파지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는 상기 상부 몸체(113)에 회동축(137)을 통해 연결되어 정형기(100A, 100B) 폐쇄시에는 전체가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회전하 고, 강관(P)의 둘레에 삽입될 때와 같이 개방시에는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정형기(100A, 100B)에는 상기 각 원형 몸체(111,112)의 내부에 강관의 진원을 조정하고, 강관의 둘레에 본 발명의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정형 장치(125)가 구성된다.
이 정형 장치(125)는 각 원형 몸체(111,112)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데,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정형 실린더(126) 및 이 실린더의 끝단부에 패드(127)가 부착되어 강관(P)의 외면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형 실린더(126)의 측면에는 유압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28)가 바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다음, 상기 양쪽 원형 몸체(111,112) 사이에는 견인 장치(130)가 구비되는데, 이 견인 장치(13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양쪽 강관(P)을 양쪽 정형기(100A, 100B)를 통해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양쪽 강관(P)이 상호 접속되어 이어지도록 한쪽 강관을 견인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견인 실린더(131)를 작동하여 진원이 확보되는 강관(P)에 정확하게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견인 실린더(131)의 양측에는 양쪽 원형 몸체(111,112)를 서로 연결하는 견인 가이드봉(132)이 구비된다.
다음, 상기 상부 몸체(113)와 쿼터형 몸체(114,115)의 연결부분 사이에는 강관(P)의 둘레에 결합시킬 때, 쿼터형 몸체(114,115)를 벌린 상태에서 다시 모아지도록 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136)가 포함된 개폐 장치(135)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양쪽 쿼터형 몸체(114,115)의 상호 마주하는 끝단부에는 강관에 둘레에 결합될 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 장치(138)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에는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상부에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장치(140)가 구비되는 바, 이에 대하여 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정형 이음장치의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장치(140)는 외부의 인양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부 플레이트(141)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의 하부에 틸팅 힌지(144)를 통해 틸팅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플레이트(150)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50)의 하부에 회전축(153)으로 연결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155)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55)의 하부에서 양쪽 정형기(100A, 100B)에 각각 연결되고,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5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블록(16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장치(140)는 상부 플레이트(141)의 중간 플레이트(150)가 상기 틸팅 힌지(144)를 중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틸팅장치(180 또는180A)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50)의 하부 플레이트(155)가 상기 회전축(153)을 중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대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회전장치(1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 장치(140)의 주요 구성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는 대략 'U'자형 구조로 양측이 절곡되고, 그 사이에 외부 인양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봉(143)이 구비된다.
이 상부 플레이트(141)의 저면에는 틸팅 힌지(14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힌지 블록(145)이 설치된다.
다음, 상기 중간 플레이트(150)는 대략 원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상기 틸팅 힌지(14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힌지 블록(147)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틸팅 힌지(144)는 도면에서와 같이 두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와 중간 플레이트(150)의 힌지 블록(145)(147)들이 상호 겹친 상태에서 두 개의 틸팅 축(146)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자동틸팅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의 중간 플레이트(150) 사이에서 양쪽 위치에 연결되는 틸팅 유압 실린더(180)로 이루어진다. 이 틸팅 유압 실린더(180)는 그 양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와 중간 플레이트(150)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바,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와 중간 플레이트(150)에는 실린더 결합용 브래킷(181)(18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틸팅 유압 실린더(180)의 양단부는 상기 실린더 결합용 브래킷(181)(18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틸팅 힌지(144) 및 틸팅 유압 실린더(180)가 구비됨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틸팅 축(146)을 중심으로 상부 플레이트(141)와 연결된 외부 인양 장치 쪽과 중간 플레이트(150)와 연결된 본 발명의 정형 이음장치가 일정 각도 내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배관 연결 및 시공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자동회전장치(170)는, 상기 회전축(153)에 회전 기어(175)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150)에 구동 모터(171)가 설치되어, 이 구동 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172)가 상기 회전 기어(175)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171)는 유압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동 모터로 대신하여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150)에는 상기 구동 모터(171)가 설치될 수 있도록 U자형 홈 구조를 갖는 모터 설치부(1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동회전장치(170)에 의해 본 발명의 정형 이음 장치가 외부 인양 장치 등에 매달린 상태에서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배관 시공 작업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하부 플레이트(155)는 대략 사각 구조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슬라이딩 가이드(157)가 구성된다.
즉,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견인 실린더(131)가 작동하여 양쪽 강관을 접속할 때 한쪽 정형기(100A, 100B)가 이동(도면에서 오른쪽)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하는 쪽의 정형기(100B)에 연결된 슬라이딩 블록(160R)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55)의 슬라이딩 가이드(157)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슬라이딩 블록(160)은 다시 도 9에서와 같이 각 정형기(100A, 100B)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쪽에 연결홀(161)이 각각 형성된다. 물 론 상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57)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16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블록(160)은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정형기(100A, 100B)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바, 양쪽 강관(P)을 접속하기 위한 정형 작동시에 도 8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만 이동하도록 한 쪽 슬라이딩 블록(160L)은 하부 플레이트(155)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다른 쪽 슬라이딩 블록(160R)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연결 장치가 구비된 강관 정형 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0은 측면도, 도 11은 정면도, 도 12는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크게 다른 부분은 연결 장치(140A)에 구비된 자동틸팅장치로 유압 모터(180A)를 이용한다는 점과 한쪽 정형기(100A, 100B)의 외측면에 강관 외면 용접기(200)가 설치되는 점이다. 이러한 다른 구성 부분을 제외한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자동틸팅장치(180)는 팅팅 축(146A)을 강제 회전시는 틸팅 유압 모터(180A)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틸팅 힌지(144A)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41)와 중간 플레이트(150)의 힌지 블록(145A, 146)들이 상호 겹친 상태에서 틸팅 축(146A)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틸팅 축(146A)을 틸팅 유압 모터(180A)로 회전시켜 틸팅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플레이트(141)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 블록(145A)의 홀에 기어치(145g)가 형성되고, 틸팅 축(146A)의 둘레에 상기 힌지 블록(145)의 기어치(145A)와 치합되는 기어치(146g)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틸팅 축(146A)을 유압 모터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틸팅 작동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유압 모터(180A)는 중간 플레이트(150)에 설치된 힌지 블록(147) 또는 중간 플레이트(1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힌지 블록(147)에는 상기 틸팅 축(146A)이 삽입된 후에 장착되어 축을 지지하는 부쉬(Bush)(148A)가 설치된다.
따라서 틸팅 자동 작동을 위해 상기 유압 모터(180A)가 작동하면, 틸팅 축(146A)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틸팅 축(146A)에 상부 플레이트(141)가 회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정형 이음 장치가 상부 플레이트(1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팅 작동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본 실시예의 강관 외면 용접기(200)는 도 8에서와 같이 견인 실린더(131)가 작동하여 양쪽 강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면을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로서, 도 10을 참고하면, 한쪽 정형기(100A)의 측면에 원형 구조로 된 용접기 주행부(210)가 설치된다. 이 용접기 주행부(210)의 내면에는 용접 장치(220)가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레일(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용접 장치(220)가 상기 용접기 주행부(21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강관(P)의 외면 접속부(PS)를 자동으로 용접(W)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는, 연결 장치의 구성을 틸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자동틸팅작동도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배관 연결 작업시에 공사 현장 조건과 배관 설치 경사 등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배관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시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상호 연결할 양쪽 강관을 파지하는 양측 정형기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인양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장치가 구비된 강관 정형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외부의 인양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틸팅 힌지를 통해 틸팅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양쪽 정형기에 각각 연결되고,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힌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중간 플레이트에서 각각 돌출된 힌지 블록이 상호 겹친 상태에서 틸팅 축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플레이트가 상기 틸팅 힌지를 중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틸팅장치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틸팅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틸팅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틸팅장치는 상기 틸팅 힌지에 구비된 틸팅 축을 강제 회전시키는 틸팅 유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축을 중 심으로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상대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회전장치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회전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가 상기 회전 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KR1020060110021A 2006-11-08 2006-11-08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KR10078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1A KR100784259B1 (ko) 2006-11-08 2006-11-08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1A KR100784259B1 (ko) 2006-11-08 2006-11-08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259B1 true KR100784259B1 (ko) 2007-12-11

Family

ID=3914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21A KR100784259B1 (ko) 2006-11-08 2006-11-08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2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116A (ja) * 1994-03-25 1995-10-09 ▲吉▼田 安孝 バケットの首振り装置
KR0163221B1 (ko) * 1992-04-01 1998-12-15 스티그 브롬그렌 커플링장치
KR100440185B1 (ko) 2004-01-27 2004-07-15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강관의 정형장치
KR20060087365A (ko) * 2005-05-24 2006-08-02 임영주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200428646Y1 (ko) 2006-07-31 2006-10-16 이용복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221B1 (ko) * 1992-04-01 1998-12-15 스티그 브롬그렌 커플링장치
JPH07259116A (ja) * 1994-03-25 1995-10-09 ▲吉▼田 安孝 バケットの首振り装置
KR100440185B1 (ko) 2004-01-27 2004-07-15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강관의 정형장치
KR20060087365A (ko) * 2005-05-24 2006-08-02 임영주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200428646Y1 (ko) 2006-07-31 2006-10-16 이용복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42B1 (ko) 강관 내부정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현장시공 자동 연결방법
KR100829993B1 (ko) 강관의 외면접합부 용접장치
KR101329454B1 (ko) 튜브형 부재의 센터링 및 클램핑 장치
KR100739104B1 (ko) 현장공사의 티그(tig) 자동 용접 장치 및 방법
KR100953114B1 (ko) 파이프 배관용 정형이음장치
CN104499483A (zh) 一种管桩切割破碎机
JP2009286610A (ja) 管体吊込み用把持装置
CN202428437U (zh) 一种更换挡渣闸阀机构的机械手
KR101638849B1 (ko)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
KR101229137B1 (ko) 굴삭기 작업구
CN100458253C (zh) 钢管的构造方法
DE102009054325A1 (de) Verlegegerät für Rohre
US9217303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threaded coupling between two riser joints
KR100784259B1 (ko)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CN208732455U (zh) 一种油气弯管抓取装置
KR100598551B1 (ko) 강관의 정형이음장치
JP5248419B2 (ja) 杭打機及び鋼管杭の施工方法
KR100808914B1 (ko) 강관의 외면자동용접장치
CN205184522U (zh) 一种用于弯折管环缝抛光机的夹持机构
KR20060123824A (ko) 관의 연결부분가공장치
CN204401617U (zh) 一种用于清理管桩的切割破碎机
JP6997353B1 (ja) 鋼製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0739106B1 (ko)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100784255B1 (ko) 강관 정형 이음 장치의 연결 장치
KR100848547B1 (ko) 강관 시공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외면 자동용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