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46Y1 -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 Google Patents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46Y1
KR200428646Y1 KR2020060020623U KR20060020623U KR200428646Y1 KR 200428646 Y1 KR200428646 Y1 KR 200428646Y1 KR 2020060020623 U KR2020060020623 U KR 2020060020623U KR 20060020623 U KR20060020623 U KR 20060020623U KR 200428646 Y1 KR200428646 Y1 KR 200428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work
angle
bucket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이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복 filed Critical 이용복
Priority to KR2020060020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굴삭작업의 편리성 신속성 정확성 및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는데에 있으며 굴삭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와 굴삭기 본체의 연결부위에 만능클램프 라는 버킷의 좌,우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만능클램프를 제공 하는데있다.
이 만능클램프 에는2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쪽에는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를 자동으로 장착될수있어 작업도구 탈부착이 용이하며 한쪽에는 굴삭기 아암의 핀에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이 판과 판 사이에는 2개의 판을 연결해주는 중간 핀이 있으며 이핀을 중심축으로하여 각도를 조절되게해주는 유압실린더가설치되어 각도조절 역활을하기때문에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는 판과연결되어있어서 작업도구의 각도가 운전자의 생각대로 자유자재로 변환해 가면서 굴삭작업을 수행할수있음.
때문에 굴삭기 작업시 굴삭기본체는 수평으로 안전하게 위치하면서도 굴사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구배 또는 수평작업을 할수있을뿐 아니라 여러(버킷각도조절,크락샤 각도조절,부레카각도조절 등)작업에 효율성있게 사용될수 있음.
굴삭기 본체, 붐, 아암, 만능클램프, 작업도구(버킷)

Description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Excarator angle regulate all-purpose clamp}
도1은 굴삭기본체에 만능클램프가 장착된모습 과 만능클램프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굴삭기작업시 굴사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의 좌,우 각도를 자유롭게 함으로서 굴삭기의 작업시 신속성 편리성 정확성을 크게 개선하게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에 관한것임.
일반적으로 굴삭기라함은 토공작업이나 크락샤(구조물해체 작업) 부레카(암석파쇄 구조물파쇄등)작업등 굴삭기 아암에 클램프 라는 부속이달려있어서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를 탈부착 해가면서 여러가지(버킷,크락샤,부레카작업)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임.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예를들어 버킷으로 땅고르기를 할때에는 굴삭기본체가 수평으로 세워져있어야 버킷의 각도도 수평을 유지하기때문에 작업중에 굴삭기 본체를 수평을 유지해가면서 작업하기란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와 어려움 정확성 편리 성등이 매우 떨어지며 또한 땅을 구배나 면을 정리할때에는 굴삭기본체를 기울어지게 위치하지않으면 작업효률과 정확성이 매우떨어지며 굴삭기본체의 기울기를 경사지게 위치하면 굴삭기의 전복 운전자의 피로등 매우 위험한 사태가 벌어질수있음.
그러나 본 고안인 만능클램프는 차체를 안정되게 위치하면서도 굴삭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를 운전자의 마음대로 각도를 조절할수 있기에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고 정확히 작업을 수행할수있음.
또한 굴삭기의 작업도구인 크락샤(구조물해체)작업시 크락샤의 각도를 조절할수 있어서 안전하고 정확 신속하게 구조물 해체작업을 수행할수 있으며 또한 부레카(암석파쇄 구조물파쇄등) 작업시 모서리부분도 정확히 굴삭 할수있는 장점이있음.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것으로 굴삭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등)의 각도를 운전자의 마음대로 조절되어 작업의 편리성 신속성 안전성 및 효율성을 크게 개선한 각도가 조절되는 만능클램프 를 제공 하는데 있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굴삭기 붐 아암 및 굴삭작업도구를 탈 부착할수있는 만능클램프이며 이 클램프 에는 두개의 판으로 되어있어서 한쪽은 붐에 핀으로연결되며 한쪽은 굴삭기 작업 도구를 탈 부착할수있는 클램프 에 연결되며 그래서 이판과 판사이에는 각도조절 역활 을 하는 유압실린더가 구비 되며 판과 판을 연결하는 중간핀으로 구성되어서 운전자는 작업시에 유압을 콘트롤하는 스위치 하나로 굴삭기 작업도구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할수있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1은 굴삭기와 작업도구인 버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굴삭기본체(11) 붐(12) 아암(13) 만능클램프(20) 작업도구(14)와 아래와같이 만능클램프의 정면도와 측면도의 상세한 도면이다
만능클램프(20) 아암에 부착되는판과핀(30) 작업도구를 탈 부착할수있는판과핀(40) 각도조절용 유압실린더(50) 두개의 판을연결하는 중간핀(60) 작업도구를 탈부착 할수있는 연결부 판(70)
위와같이 구성되며 굴삭기(11)작업시 아암(13)과 연결된 판(70)과 작업도구(14) 와 연결 된 판(70)사이에 각도를 조절할수 있게 해주는 유압실린더(50)가 장착되기때문에 어떠한 작업도구(14)(버킷,크락샤,부레카)를 장착해도 각도가 운전자의 마음대로 조절될수 있기에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효율성있는 작업을 할수있게 하는 만능클램프 .
위에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의 벗킷작업 크락샤의작업(구조물 해체작업) 부레카작업(암석파쇄 구조물파쇄) 등 어떠한 작업도구를 부착하여도 각도가 자유로와 굴삭기의 작업이 편리하고 정확하고 신속하며 안전하며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굴삭기의 아암핀으로 연결되는 판과 굴삭기의 작업도구(버킷,크락샤,부레카)를 탈부착 할수 있게 하는 링크쪽의 판이 있으며 이두개의 판과 판사이에는 두개의 판을 연결해주는 중간 핀이 있으며 이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판의 각도가 변환 하게 하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 이판의 각도가 변하게 되는데 따라서 이 판의 부착되는 굴삭기의 작업도구(벗킷,크략샤,부레카) 의 각도도 같이 변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만능클램프.
  2. 제1항에있어서, 운전자는 이 유압실린더를 콘트롤 할수있는 전기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로 운전석에서 작업의특성에 맞게 각도를 조절한면서 굴삭기의 작업을 수행할수있는 각도가 조절되는 만능클램프.
KR2020060020623U 2006-07-31 2006-07-31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KR200428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23U KR200428646Y1 (ko) 2006-07-31 2006-07-31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23U KR200428646Y1 (ko) 2006-07-31 2006-07-31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46Y1 true KR200428646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23U KR200428646Y1 (ko) 2006-07-31 2006-07-31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59B1 (ko) 2006-11-08 2007-12-11 웰텍 주식회사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59B1 (ko) 2006-11-08 2007-12-11 웰텍 주식회사 틸팅 가능한 연결장치를 갖는 강관 정형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629B1 (ko) 굴삭기용 진동리퍼
US9945093B1 (en) Excavator, excavator boom, stick object coupler receiver for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798127B1 (en) Wear pad assembly
US6539650B2 (en) Swivel mounting for quick attachment bracket
US20150176241A1 (en)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KR200428646Y1 (ko) 각도가 조절되는 굴삭기의 만능클램프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US5111888A (en) Hammer-swinging mechanism
KR101540422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2271813B1 (ko) 나무뿌리 제거가 가능한 굴삭기용 버킷
US3901328A (en) Implement mounting arrangement for earthmoving equipment
KR101006305B1 (ko) 전자석을 이용한 굴삭기의 버켓체결장치
KR102326514B1 (ko) 굴삭기용 그레이더
KR20120123936A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KR20120116647A (ko) 휠타입 굴삭기의 펜더
CN210636497U (zh) 一种侧移架
KR20030095207A (ko) 파쇄기의 버킷 주위 기구
JPH0414516Y2 (ko)
NL2011961C2 (en) Modular visor for a drag head.
CA2968761A1 (en)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JP2015166513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CN209779731U (zh) 一种正铲反铲自由转换的挖掘机机臂
CN203145086U (zh) 一种挖土机具用卡环齿装置
CA2837019C (en)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bar
KR101727635B1 (ko)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