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024B1 -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024B1
KR100784024B1 KR1020010074298A KR20010074298A KR100784024B1 KR 100784024 B1 KR100784024 B1 KR 100784024B1 KR 1020010074298 A KR1020010074298 A KR 1020010074298A KR 20010074298 A KR20010074298 A KR 20010074298A KR 100784024 B1 KR100784024 B1 KR 10078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nozzle
guide frame
unload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226A (ko
Inventor
이병학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0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에 의해서 선박으로부터 하역되는 철강공정용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호퍼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역호퍼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하역호퍼 대향측벽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압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노즐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레일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노즐지지판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노즐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살수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광 제거를 원격으로 수행함에 따라 하역 작업중에도 부착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역, 호퍼, 부착광, 방풍벽, 버킷

Description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the attaching ore from the upper part of the unloader hopper}
도 1은 종래의 하역호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 작업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지지부 및 회전부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살수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일측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a, 4b : 회전원판
11a, 11b, 11c, 11d : 모터
14 : 분사노즐
18 : 가이드 프레임
26 : 레일
28a, 28b : 지지판
본 발명은 하역호퍼의 상부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선박을 통해 운반된 광석 또는 석탄 등의 원료 또는 연료를 버킷을 이용하여 하역호퍼에 하역할 때 원료 또는 연료가 하역호퍼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용 광석 또는 석탄 등의 원료 또는 연료는 선박을 통해 운반되고 이러한 원료 또는 연료는 버킷(미도시)에 의해 선박으로부터 하역호퍼에 하역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버킷(미도시)에 의해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원료 또는 연료는 하역호퍼(1)에 투입된 후 그 하부의 피더(8)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5)로 배출되어 야적장소로 이송된다. 버킷에는 약 30톤 정도의 원료 또는 연료가 적재된다.
이와 같이 버킷에 의해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될 때, 상기 버킷의 흔들림과 운전자의 부주의 등에 의하여 또는 하역되는 원료의 입도와 비중, 종류 또는 수분함량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하역되는 원료의 일부가 하역호퍼(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풍벽(2)에 부착되어 부착광(3)을 형성한다. 특히, 하역호퍼(1)의 수용공간 상부에 제공된 필터 프레임(6)과 하역호퍼(1)의 측벽상부에 제공된 방풍벽(2)의 사이에 다량의 부착광(3)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착광(3)은 원료의 하역작업을 방해하므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더(8)를 진동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착광 제거작업에 의하여 하역호퍼의 상부로부터 원료 또는 연료가 일시에 낙하되며 그 결과 벨트 컨베이어에 과하중을 인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역호퍼(1)의 상부에 30톤 이상으로 누적되어 있는 부착광(3)이 피더(8)의 진동으로 인하여 탈락되고, 이들이 불출되는 원료와 함께 벨트 컨베이어(5)로 배출되는 경우에 벨트 컨베이어(5)에 과중한 무게가 인가되어 설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역호퍼(1)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광을 제거하는 부착광 제거작업은 삽 또는 괭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는 작업자(7)의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7)는 하역호퍼(1)의 방풍벽(2)에 누적된 부착광(3)을 수작업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하역호퍼(1)의 상부로 올라가서 삽 또는 괭이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부착광을 탈락시켰다. 이러한 작업자의 수작업 결과, 하역호퍼(1)의 상부의 부착광(3)이 일시에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부착광 제거작업은 고착된 부착광(3)의 고착강도 및 누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을 요구하였다. 또한, 고소에 위치하는 방풍 벽(2)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착광(3)을 제거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으로부터 버킷에 의해서 원료를 하역호퍼에 하역시킬 때 원료 또는 연료의 일부가 하역호퍼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에 의해서 원료 또는 연료의 하역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부착광의 일시적인 탈락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에 과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광 제거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버킷에 의해서 선박으로부터 하역되는 철강공정용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호퍼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하역호퍼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하역호퍼 대향측벽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압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노즐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 기 레일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노즐지지판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노즐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 구성은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하역호퍼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광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지지부 및 회전부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살수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일측 회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역호퍼(1)의 상부에 부착된 부착광(3)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고압수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를 부착광(3)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14)을 갖는다. 이때, 하역호퍼(1) 상부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8)이 가로질러 설치되고 가이드 프레임(18)에는 노즐 지지판(15)이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분사노즐(14)은 이러한 노즐 지지판(15) 상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지지판(15) 상에는 노즐 회전판(16)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분사노즐(14)은 노즐 회전판(16) 상에 고정걸이(30)에 의해서 고정 설치된다.
하역호퍼(1)의 대향측벽의 상부에는 레일(26)이 각각 설치되고, 레일(26) 상에는 가이드 프레임(18)의 단부가 고정결합된 지지판(28a, 28b)이 활주가능하게 설 치된다. 레일(26)의 일단부는 하역호퍼(1)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고정축(33)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레일(26)의 중간부위는 하역호퍼(1)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유압실린더(32)에 의해서 승하강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하여 레일(26)은 고정축(33)을 중심으로 선회동작한다. 이때, 레일(26)의 타단부에는 지지판(28a, 28b)의 후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횡단프레임(31)이 제공된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18)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2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지지판(28a, 28b)의 양측에는 레일(26)을 따라서 이동하는 차륜(25)이 장착된다. 가이드 프레임(18)의 일단부는 제2지지판(28b)에 제2회전축(10b)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원판(4b)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가이드 프레임(18)의 타단부는 제1지지판(28a)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된 제1회전원판(4a)에 결합된다. 제1지지판(28a)의 타측면에는 양단에 롤러(23, 25)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판(29) 상에 제1베어링블록(23a)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전축(10a)이 연결된다.
제2회전축(10b)의 단부에는 피동풀리(24d)가 설치된다. 제2지지판(28b) 상에는 제1회전모터(11b)가 설치되고, 제1회전모터(11b)의 축단부에 제공된 전동풀리(24c)와 회전축(10)의 피동풀리(24d)는 전동벨트(22)를 통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제1회전모터(11b)의 가동에 의하여 제2회전원판(4b)이 제2회전축(10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그 결과 노즐 지지판(15) 상에 장착된 분사노즐(14)은 노즐 지지판(15)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제2지지판(28b)의 일측에는 제1구동모터(11a)가 제공되고, 제1구동모터(11a)의 샤프트(24e)는 하나의 차륜(25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1a)가 구동함으로써 지지판(28a, 28b)은 레일(26)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제1회전원판(4a)의 중앙부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구(h1)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h1)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자동권취릴(12)을 통해서 분사노즐(14)의 유입구에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살수호스(13)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고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는 분사노즐(14)을 통해서 하역호퍼(1)의 상부에 부착된 부착광(3)에 분사된다.
제1지지판(28a) 상에는 제2구동모터(11d)가 설치된다. 제1회전원판(4a)에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소형관통구(h2, h3)가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원판(4b)의 내측면에는 제1회전풀리(24f)가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제2구동모터(11d)의 전동풀리에는 제1와이어(19a)가 감겨져 있고, 제1와이어(19a)의 일단부는 하나의 소형관통구(h2)를 관통하여 노즐 지지판(15)의 일측에 제공된 제1결합돌기(21a)에 결합되고, 제1와이어(19a)의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소형관통구(h3)를 관통하여 제1회전풀리(24f)를 경유해서 노즐 지지판(15)의 타측에 제공된 제2결합돌기(21b)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11d)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노즐 지지판(15)은 가이드 프레임(18)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판(28a) 상에는 제2회전모터(11c)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1회전원판(4a)에는 서로 대응하는 다른 한 쌍의 소형관통구(h4, h5)가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원판(4b)의 내측면에는 제2회전풀리(24e)가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제2회 전모터(11c)의 전동풀리에는 제2와이어(19b)가 감겨져 있고, 제2와이어(19b)의 일단부는 하나의 소형관통구(h4)를 관통하여 노즐 회전판(16)의 후방에 제공된 제3결합돌기(17)에 결합되고, 제2와이어(19b)의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소형관통구(h5)를 관통하여 제2회전풀리(24e)를 경유해서 제3결합돌기(17)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회전모터(11c)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노즐 회전판(16)은 노즐 지지판(15) 상에서 회전하며 그 결과 분사노즐(14)은 수평방향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광 제거장치는 하역용 버킷을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 철강공정용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되는 동안 하역호퍼(1)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레일(26)의 연장부에 대기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되는 동안 하역호퍼(1)의 필터 프레임(6)과 방풍벽(2) 사이에 연료 또는 원료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3)이 누적되면, 이러한 부착광(3)을 제거하기 위하여 운전실의 데스크 패널(미도시)에서 유압 실린더(32)를 가동하여 레일(26)을 고정축(33)을 중심으로 선회동작시킴으로써 하역호퍼(1)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유지시킨다. 즉, 레일(26)을 방풍벽(2)의 높이에 평행하게 유지시킨다.
이 후에, 분사노즐(14)이 부착광 누적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구동모터(11a)를 기동시켜 제1구동모터(11a)의 샤프트(24e)에 연결된 차륜(25)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판(28a, 28b)을 하역호퍼(1)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또한 제2구동모터(11d)를 기동시켜 노즐 지지판(15)을 가이드 프레임(18) 상의 적정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분사노즐(14)의 팁부가 부착광(3)의 누적위치를 향하도록 제1회전모터(11b)를 구동시켜 회전원판(4a, 4b)을 회전시키고 제2회전모터(11c)를 구동시켜 노즐 회전판(16)을 회전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은 모터(11a, 11b, 11c, 11d)의 구동에 의해서 분사노즐(14)이 부착광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압수 공급수단으로부터 살수호스(13)를 통해서 고압수를 공급하면 이러한 고압수는 분사노즐(14)을 통해서 부착광(3)으로 분사되며, 그 결과 하역호퍼(1)의 상부로부터 부착광(3)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고압수의 분사에 의해서 부착광을 제거한 후 제1구동모터(11a)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부착광 제거장치를 레일(26)의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2)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레일(26)이 고정축(33)을 중심으로 하향동작하도록 한다.
참고로, 제2회전모터(11c)는 제2구동모터(11d)와 연동하지 않고 않고 단독으로 기동하며 이때, 플렉시블 연결부(27)는 제2구동모터(11d)의 구동에 의한 노즐 지지판(15)의 좌우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작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제2구동모터(11d)와 제2회전모터(11c)의 기동에 의한 노즐 지지판(15)과 노즐 회전판(16)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스 권취릴(12)은 살수호스(13)를 권취시키거나 또는 권취해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수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광 제거를 원격으로 수행함에 따라 하역 작업중에도 부착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3)

  1. 버킷에 의해서 선박으로부터 하역되는 철강공정용 연료 또는 원료가 하역호퍼의 상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역호퍼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하역호퍼 대향측벽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압수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노즐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레일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노즐지지판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상기 노즐지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지지판 상에서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제공된 노즐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노즐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회전판을 선회동작시키기 위한 선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20010074298A 2001-11-27 2001-11-27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078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298A KR100784024B1 (ko) 2001-11-27 2001-11-27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298A KR100784024B1 (ko) 2001-11-27 2001-11-27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26A KR20030043226A (ko) 2003-06-02
KR100784024B1 true KR100784024B1 (ko) 2007-12-07

Family

ID=2957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298A KR100784024B1 (ko) 2001-11-27 2001-11-27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0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235U (ja) * 1992-02-03 1993-08-24 株式会社クボタ 穀粒収容タンク
KR200183951Y1 (ko) * 1999-12-14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하역용 호퍼의 분사장치
KR20010063926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하역호퍼의 방풍벽 부착광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235U (ja) * 1992-02-03 1993-08-24 株式会社クボタ 穀粒収容タンク
KR200183951Y1 (ko) * 1999-12-14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하역용 호퍼의 분사장치
KR20010063926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하역호퍼의 방풍벽 부착광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26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19B2 (en) Mill box for materials grinder
JP2004528246A (ja) バルク材料のコンテナ化された取扱いおよび装置
JP2011110642A (ja) 回転ドラム式研掃設備
KR101256527B1 (ko) 하역기 호퍼의 분진차단장치
JP6195751B2 (ja) 無端ベルトコンベアの落下物受板の自動ローラー傾動式水洗浄装置
KR100784024B1 (ko) 하역호퍼 상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JPS59501588A (ja) ばら材料を荷卸し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0127344B (zh) 启动感应翻卸料装置
CN216972018U (zh) 一种电石生产系统
JP6835640B2 (ja) タンク内吹付け装置及びタンクの内面に吹付け剤を吹付ける方法
CN113182509B (zh) 一种钢包清渣装置及钢包清渣方法
CN212284375U (zh) 一种移动破碎装置
JP2017166305A (ja) 散布装置
JP2003261224A (ja) 屋内貯炭場における払出システム
KR20130088387A (ko) 페이로더용 살수장치
CN215847664U (zh) 一种塔机平台上耳板自动上料与下料抛丸机构
CN212402136U (zh) 一种小型履带车辆运输装置
KR100856321B1 (ko) 언로더 호퍼의 낙광 제거장치
KR100743024B1 (ko) 수분함유 슬러지의 자동 필터링 장치
CN220200722U (zh) 一种无人值守取料机
KR100817165B1 (ko) 원형 필터프레임을 이용한 호퍼의 누적광 제거장치
KR101299782B1 (ko) 리크레이머의 버켓 수세장치
JP2586610Y2 (ja) 連続アンローダ
KR10138800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20240001476A (ko)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세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