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908B1 -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908B1
KR100783908B1 KR1020060121478A KR20060121478A KR100783908B1 KR 100783908 B1 KR100783908 B1 KR 100783908B1 KR 1020060121478 A KR1020060121478 A KR 1020060121478A KR 20060121478 A KR20060121478 A KR 20060121478A KR 100783908 B1 KR100783908 B1 KR 10078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window
case
contact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085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re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6Relative timing of multiple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47Architecture
    • B60R2021/01054Bus
    • B60R2021/01068Bus between different sensors and airbag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복되는 반대 방향의 강화 유리창을 폭약으로 강제 제거시켜 승강 문을 열지 못하는 전복 사고 시, 승객들이 제거된 창문을 통해 안전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가 양쪽 창문 쪽으로 위치되도록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구비되어,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작동부재(1)와, 상기 작동부재(1)의 경사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통해 접점이 단락되는 릴레이 유니트(10) 및 릴레이 유니트(10)의 접점 단락여부에 따라 버스의 양쪽 창문에 설치된 좌·우 화약(30,30')중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도록 화약을 점화시키는 좌·우 제어기(20,2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Window explosive typed emergency escape device in bus}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전복 시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부재 2 : 케이스
2a : 중앙 챔버 2b,2c : 좌·우 접점챔버
3 : 이동 매스 4 : 가이드로드
5,5',7,7' : 스프링 6,6' : 좌·우 접점플레이트
8,8' : 접점 단자 8a,8a' : 이동 단자
8b,8b' : 고정 단자 9,9' : 인출선
9a,9a' : 이동단자 선 9b,9b' : 고정단자 선
10 : 릴레이 유니트 11,13 : 좌·우 연결선
12,14 : 좌·우 릴레이 20,20' : 좌·우 제어기
30,30' : 좌·우 화약
a : 경사각
본 발명은 사고 시 버스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되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0인 이상의 승객을 태우는 버스와 같은 차량인 경우 자동차 안전기준 규칙 제 30조에 따라, 비상구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또는 창문의 규격이 비상구의 규격이상이거나 또는, 강화유리로 되어 비상구로 대용할 수 있는 창문이 있는 경우는 비상 탈출을 위하여 사용 설명서와 함께 자동차의 유리를 깰 수 있는 도구를 탑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때, 창문은 유효너비 1,200mm 와 유효높이 400mm 이상으로서 총 면적이 2㎡ 이상인 강화유리이고, 자동차의 유리를 깰 수 있는 도구는 차실 안에 4개 이상 설치하며, 탈출 방법등을 기재한 표지를 각각의 도구나 덮개에 붙여야 한다.
그러나, 버스의 비상 탈출 장치인 강화유리 창문과 이를 위한 도구(망치)는 버스를 사용하면서 분실되거나,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시에도 긴급히 사용 할 수 없도록 고정 시켜 두는 경우가 빈번해 실제 긴급 상황에서 사용 할 수 없고, 이는 버스가 전복되어 승강문 고장난 경우 창문을 깨고 나올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해 버스 내부 승객에게는 무척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복되는 반대 방향의 강화 유리창을 폭약으로 강제 제거시켜 승강문을 열지 못하는 전복 사고 시, 승객들이 제거된 창문을 통해 안전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가 그 내부를 빈 공간으로 해 양쪽 창문 쪽으로 위치되도록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길게 위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부를 구획한 중앙 챔버내로 구비되어 버스의 전복 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를 통해 기울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스 및 상기 이동 매스가 이동되는 쪽에서 접촉되어 접점 연결 신호를 발생하는 접점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작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양쪽에서 각각 밖으로 인출된 인출선에 이어진 좌·우 연결선을 통해 전원 회로를 형성하는 좌·우 릴레이로 이루어진 릴레이 유니트 및;
릴레이 유니트의 접점 단락여부에 따라 버스의 양쪽 창문 하부 테두리를 제외한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좌·우 화약중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도록 화약을 점화시키는 좌·우 제어기;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매스는 고정해 케이스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앙 챔버내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해 이동 매스의 양쪽이 각각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연결부재는 케이스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와, 상기 좌·우 접점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 단자, 상기 접점 단자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 및 상기 좌·우 접점 챔버 내에서 좌·우 접점플레이트를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 단자는 이동되는 가이드로드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에 돌출된 이동 단자와, 양쪽으로 구획되어 좌·우 접점 챔버를 형성하는 케이스내부에 고정된 고정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선은 이동 단자에서 인출되는 이동단자 선과, 고정 단자에서 인출되는 고정단자 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는 양쪽 창문 쪽으로 위치되도록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구비되어,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작동부재(1)와, 상기 작동부재(1)의 경사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통해 접점이 단락되는 릴레이 유니트(10) 및 릴레이 유니트(10)의 접점 단락여부에 따라 버스의 양쪽 창문에 설치된 좌·우 화약(30,30')중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도록 화약을 점화시키는 좌·우 제어기(20,20')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1)는 그 내부를 빈 공간으로 해 양쪽 창문 쪽으로 위치되도록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길게 위치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내부를 구획한 중앙 챔버(2a)내로 구비되어 버스의 전복 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를 통해 기울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스(3) 및 상기 이동 매스(3)가 이동되는 쪽에서 접촉되어 접점 연결 신호를 발생하는 접점연결부재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 매스(3)는 고정해 케이스(2)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2b,2c)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4)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2)의 중앙 챔버(2a)내에 구비된 스프링(5,5')을 통해 이동 매스(3)의 양쪽이 각각 탄발 지지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점연결부재는 케이스(2)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2b,2c)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4)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6,6')와, 상기 좌·우 접점플레이트(6,6')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 단자(8,8'), 상기 접점 단자(8,8')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2)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9,9') 및 상기 좌·우 접점챔버(2b,2c)내에서 좌·우 접점플레이트(6,6')를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7,7')으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점 단자(8,8')는 이동되는 가이드로드(4)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6,6')에 돌출된 이동 단자(8a,8a')와, 양쪽으로 구획되어 좌·우 접점챔버(2b,2c)를 형성하는 케이스(2)내부에 고정된 고정 단자(8b,8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출선(9,9')은 이동 단자(8a,8a')에서 인출되는 이동단자 선(9a,9a')과, 고정 단자(8b,8b')에서 인출되는 고정단자 선(9b,9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단자 선(9a,9a')과 고정단자 선(9b,9b')이 케이스(2)밖으로 인출된 후 서로 이어져 1개의 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 유니트(10)는 케이스(2)의 양쪽에서 각각 밖으로 인출된 인출선(9,9')에 이어진 좌·우 연결선(11,13)을 통해, 좌·우 제어기(20,20')와 더불어 각각 전원 회로를 형성하는 좌·우 릴레이(12,14)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 제어기(20,20')는 버스의 기울어지는 쪽에서 작동부재(1)의 접점이 연결될 때, 작동부재(1)의 접점이 연결되지 않은 쪽의 릴레이 유니트(10)가 연결된 제어기에서 화약을 폭발시켜 창문을 제거하도록 작용되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 화약(30,30')은 버스의 창문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되, 창문의 하부 테두리에는 설치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버스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는 버스가 전복될 때 발생하는 10G이상의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전복된 버스의 반대쪽 부위의 창문을 화약으로 파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복된 버스의 승강문 고장 시에도 버스 내부 승객이 파괴된 창문을 통해 안전하게 버스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가 전복됨에 따라 한쪽으로 케이스(2)가 경사각(a)을 갖고 기울어지면,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설치된 작동부재(1)를 이루 는 케이스(2)내 중앙으로 위치된 이동 매스(3)는, 버스의 전복 방향으로 중력 가속도(이때 10g이상이 작용함)를 받아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 매스(3)는 기울지는 방향(도 2 좌측)에 위치된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좌측 접점 챔버(2b)쪽으로 가이드로드(4)를 이동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 좌측 접점 챔버(2b)쪽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로드(4)는 그 끝단에 구비된 좌측 접점플레이트(6)를 함께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 접점플레이트(6)는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접점 단자(8)를 접촉 즉, 상기 좌측 접점플레이트(6)의 이동 단자(8a)가 좌측 접점챔버(2b)의 고정 단자(8b)에 접촉되어 회로를 형성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점 단자(8)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릴레이 유니트(10)의 좌측 릴레이(12)는, 상기 접점 단자(8)의 이동·고정 단자(8a,8b)와 이에서 각각 인출된 이동·고정 단자 선(9a,9b)을 1개로 일체화시킨 인출선(9)을 통해 이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케이스(2)의 우측 접점 챔버(2c)에 구비된 접점 단자(8')는, 좌측 접점 챔버(2b)쪽으로 이동되는 이동매스(3)로 인해 접점 단자(8')가 서로 떨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점 단자(8')의 이동·고정 단자(8a',8b')와 이에서 각각 인출된 이동·고정 단자 선(9a',9b')을 1개로 일체화시킨 인출선(9')이 이어진 우측 릴레이(14)는 이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스의 전복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스(3)를 통한 접점연결 여부에 따라, 좌측 릴레이(12)와 우측 릴레이(14)의 접점 연결 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제어기(20,20')는 버스의 전복 반대 방향 쪽의 창문을 파괴해 승객의 비상 탈출을 가능케 한다.
즉, 좌측으로 전복됨에 따라 좌측 릴레이(12)의 접점이 이어짐을 감지한 좌측 제어기(20)쪽으로 이어진 좌측 화약(30)을 폭발시키지 않는 반면, 우측 릴레이(14)의 접점이 이어지지 않은 상태를 감지한 우측 제어기(20')는 쪽으로 이어진 우측 화약(30')을 폭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이 파손되면서 승객의 비상 탈출 경로를 형성해 버스로부터 탈출을 가능케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가 전복될 때 전복 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를 이용해 버스의 전복을 감지하면서, 전복 방향의 반대쪽 창문을 화약을 이용해 강제 제거시키게 되므로, 전복 사고에 의해 승강 문을 열지 못하는 승객들이 제거된 창문을 통해 안전하게 탈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그 내부를 빈 공간으로 해 양쪽 창문 쪽으로 위치되도록 버스의 지붕 폭을 따라 길게 위치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내부를 구획한 중앙 챔버(2a)내로 구비되어 버스의 전복 시 발생되는 중력 가속도를 통해 기울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스(3) 및 상기 이동 매스(3)가 이동되는 쪽에서 접촉되어 접점 연결 신호를 발생하는 접점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작동부재(1)와;
    상기 케이스(2)의 양쪽에서 각각 밖으로 인출된 인출선(9,9')에 이어진 좌·우 연결선(11,13)을 통해 전원 회로를 형성하는 좌·우 릴레이(12,14)로 이루어진 릴레이 유니트(10) 및;
    릴레이 유니트(10)의 접점 단락여부에 따라 버스의 양쪽 창문에 설치된 좌·우 화약(30,30')중 기울어진 버스의 반대편 창문을 파괴하도록 화약을 점화시키는 좌·우 제어기(20,20');
    로 구성되어진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매스(3)는 고정해 케이스(2)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2b,2c)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4)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2)의 중앙 챔버(2a)내에 구비된 스프링(5,5')을 통해 이동 매스(3)의 양쪽이 각각 탄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연결부재는 케이스(2)내부의 양쪽으로 구획된 좌·우 접점챔버(2b,2c)쪽으로 이어진 가이드로드(4)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6,6')와, 상기 좌·우 접점플레이트(6,6')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접점 단자(8,8'), 상기 접점 단자(8,8')로부터 인출되어 케이스(2)외부로 인출되는 인출선(9,9') 및 상기 좌·우 접점챔버(2b,2c)내에서 좌·우 접점플레이트(6,6')를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7,7')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점 단자(8,8')는 이동되는 가이드로드(4)의 끝단에 각각 구비된 좌·우 접점플레이트(6,6')에 돌출된 이동 단자(8a,8a')와, 양쪽으로 구획되어 좌·우 접점챔버(2b,2c)를 형성하는 케이스(2)내부에 고정된 고정 단자(8b,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선(9,9')은 이동 단자(8a,8a')에서 인출되는 이동단자 선(9a,9a')과, 고정 단자(8b,8b')에서 인출되는 고정단자 선(9b,9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자 선(9a,9a')과 고정단자 선(9b,9b')이 케이스(2)밖으로 인출된 후 서로 이어져 1개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화약(30,30')은 버스의 창문 하부 테두리를 제외한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KR1020060121478A 2006-12-04 2006-12-04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KR10078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78A KR100783908B1 (ko) 2006-12-04 2006-12-04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78A KR100783908B1 (ko) 2006-12-04 2006-12-04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908B1 true KR100783908B1 (ko) 2007-12-10

Family

ID=3914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478A KR100783908B1 (ko) 2006-12-04 2006-12-04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90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6401A1 (zh) * 2009-07-15 2011-01-20 东莞市汉华安防设备有限公司 玻璃自动破碎装置,采用该装置的逃生系统及采用该逃生系统的交通工具
CN103192786A (zh) * 2013-01-07 2013-07-1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碰撞后逃生通道开启方法及系统
CN104200598A (zh) * 2014-07-01 2014-12-10 徐州工程学院 一种公交车火灾预警及车窗钢化玻璃爆裂远程控制系统
CN104260686A (zh) * 2014-10-20 2015-01-07 李铁基 公交车安全控制方法及系统
KR20160073545A (ko) 2014-12-17 2016-06-27 (주)수아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WO2016141502A1 (zh) * 2015-03-06 2016-09-15 北京航天达盛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破碎玻璃应急逃生及报警系统和交通工具
CN108058672A (zh) * 2018-01-02 2018-05-22 四川华川工业有限公司 一种车载破玻装置控制系统
KR20190025294A (ko) 2017-09-01 2019-03-11 서혜은 사고시 비상 탈출용 버스 창문 구조
CN113276893A (zh) * 2021-04-29 2021-08-20 株洲南冠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破玻器控制系统
CN113356719A (zh) * 2021-06-30 2021-09-07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汽车逃生系统、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1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버스의 위급 상황시 대형 유리 파손장치
KR20020010353A (ko) * 2000-07-29 2002-02-04 이계안 자동차용 글래스 파괴장치
KR20050067791A (ko) * 2003-12-29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복 감지센서
KR20050122150A (ko) * 2004-06-23 2005-12-28 이원구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창문파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515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버스의 위급 상황시 대형 유리 파손장치
KR20020010353A (ko) * 2000-07-29 2002-02-04 이계안 자동차용 글래스 파괴장치
KR20050067791A (ko) * 2003-12-29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복 감지센서
KR20050122150A (ko) * 2004-06-23 2005-12-28 이원구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창문파괴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6401A1 (zh) * 2009-07-15 2011-01-20 东莞市汉华安防设备有限公司 玻璃自动破碎装置,采用该装置的逃生系统及采用该逃生系统的交通工具
CN103192786A (zh) * 2013-01-07 2013-07-1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碰撞后逃生通道开启方法及系统
CN103192786B (zh) * 2013-01-07 2015-09-0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碰撞后逃生通道开启方法及系统
CN104200598A (zh) * 2014-07-01 2014-12-10 徐州工程学院 一种公交车火灾预警及车窗钢化玻璃爆裂远程控制系统
CN104260686A (zh) * 2014-10-20 2015-01-07 李铁基 公交车安全控制方法及系统
KR20160073545A (ko) 2014-12-17 2016-06-27 (주)수아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WO2016141502A1 (zh) * 2015-03-06 2016-09-15 北京航天达盛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破碎玻璃应急逃生及报警系统和交通工具
KR20190025294A (ko) 2017-09-01 2019-03-11 서혜은 사고시 비상 탈출용 버스 창문 구조
CN108058672A (zh) * 2018-01-02 2018-05-22 四川华川工业有限公司 一种车载破玻装置控制系统
CN113276893A (zh) * 2021-04-29 2021-08-20 株洲南冠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破玻器控制系统
CN113356719A (zh) * 2021-06-30 2021-09-07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汽车逃生系统、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908B1 (ko) 버스의 창문 제거 비상 탈출 장치
US7836810B2 (en) Protected vehicle or ship
US10622176B2 (en)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US1061939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vehicle door in emergency
CN106581878A (zh) 一种气动破窗逃生器
PL194447B1 (pl) Układ do awaryjnego otwierania drzwi pojazdu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US10763064B2 (en) Electric fuse box or junction box assembly with a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KR101158564B1 (ko) 자동차의 안전 개방 장치
KR101305046B1 (ko) 차량 긴급 탈출용 유리창 파괴 장치
JPH11253922A (ja) 火薬点火器を持つ乗客保護装置用廃棄処理装置及び廃棄処理方法
US6053271A (en) Device for opening side window glass of automobile synchronously with expansion of air bags
KR20100086120A (ko) 비상용 차량 유리 제거 시스템
WO2014133242A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KR101082976B1 (ko)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차량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KR100645206B1 (ko) 복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드 리프트 업 장치
CN106274780A (zh) 用于车辆的安全系统及车辆
WO2016017911A1 (ko)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EP1620292A1 (en) Airbag module with controlled venting of inflation gas
JP2791175B2 (ja) エレベータかご
KR100494787B1 (ko) 차량의 충돌 발생시의 윈도우 글래스 하강장치
KR200178461Y1 (ko) 버스의 위급 상황시 대형 유리 파손장치
KR20050122150A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창문파괴장치
KR200205860Y1 (ko) 자동차용 화재 및 폭발 방지장치
KR19980054712A (ko) 자동차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