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556B1 -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556B1
KR100783556B1 KR1020060043545A KR20060043545A KR100783556B1 KR 100783556 B1 KR100783556 B1 KR 100783556B1 KR 1020060043545 A KR1020060043545 A KR 1020060043545A KR 20060043545 A KR20060043545 A KR 20060043545A KR 100783556 B1 KR100783556 B1 KR 10078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pack
composition
ski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731A (ko
Inventor
안순애
한상훈
박창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4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55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가루, GABA(피페리딘산), 파파인, 카올린(고령토) 등의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오스(Raffinose)를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과립화된 팩은 물, 유액 등에 개어서 사용하므로 가루날림이 없고 쉽게 과립이 풀려 뭉침없이 발리며 전분(Starch) 또는 전분 유도체의 배합에 의해 도포시 도톰하고 밀착감있게 발리고 건조시 피부 당김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한약재 가루, 카올린, 전분, 파파인, GABA, 라피노오스, 과립, 팩

Description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Granule-type Cosmetic Powder-Pack Cosmetic Composition}
도 1은 실시예 3∼5의 팩 제형의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한 3D 사진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3∼5의 팩 제형의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한 UV 사진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팩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혈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가루, GABA(피페리딘산), 파파인, 카올린(고령토) 등의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오스(Raffinose)를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에는 여러 가지 외부 환경이 원인이 되어 스트레스가 축적되고 있다. 물리적인 자극부터 피로, 수면부족 및 정서적 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피부 호르몬 발란스를 붕괴하고 피지/여드름 및 거친 피부 등의 각종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 특히 뺨과 코 주변의 넓어진 모공 부분의 각질층은 턴오버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여 사이클이 짧아지게 되고 미숙한 세포가 만들어지는 '부전각화(Hyperkeratinization)' 현상이 쉽게 일어나 피부결이 거칠어지고 요철로 인해 칙칙해 보이기 쉽다. 표피의 기저층에서 만들어진 세포는 분화하면서 각질층까지 올라오도록 되어 있고, 완전히 성숙된 세포는 각질층에서 핵이 소실되고 케라틴이라 불리우는 불수용성 단백질로 채워지면서 죽은 세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치며 정상적인 각질박리가 일어난다. 정상 피부의 경우 각질층은 15-20층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완전히 분리되는데 15-20일이 소요된다(British Journal or Dermatology, 86, 14-19 1971). 하지만, 모낭벽 각질세포의 이상증식과 각화현상인 부전각화가 일어나면 미성숙된 세포가 각질층에 올라와 버리게 되고 자외선 등 외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서 각질세포간 결합력이 없어 즉시 너덜너덜해져 피부결이 거칠어진다. 또한 넓어진 모공을 통한 과도한 피지분비, 피지 산화로 인한 블랙헤드는 안색을 더욱 칙칙하게 만든다.
따라서, 피지흡착을 통한 모공청정, 보습 및 각질 턴오버 정상화 효과의 "간편"하고 "즉효성" 있는 옵션케어 제품이 필요하며, 피부고민 해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완화함으로써 심신을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치유'를 위한 웰빙 상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급성장하고 있는 에스테틱, 스파 관련 상품 중 천연소재의 팩과 마스크(Maks)는 즉효성 측면에서 단연 효과적인 제형이다. 특히, 전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채취한 머드(Mud), 황토, 화산재 등 자연상태 그대로 피부에 사용하는 진흙가루팩은 대표적인 피지제거 효과의 팩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다시 붐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기존의 진흙팩 제품들은 단순히 사용된 소재의 기원(Origin)과 희귀성만을 강조할 뿐 미세한 광물 파우더 자체로만 처방되어 있어 사용시 가루날림이 심하고 물 또는 유액에 개어서 사용하는 경우 뭉치거나 혼합이 쉽지 않다. 게다가 혼합된 내용물의 점도가 없어 첨가하는 물 또는 유액의 양 조절이 어렵고, 얼굴에 도포시 흘러내림이 발생하는 등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건조시 심한 피부 당김이 느껴지며, 건조 후 씻어내기가 용이하지 않고 세안 후 오히려 심한 건조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량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피지 흡착력이 우수한 카올린(고령토), 피부 혈행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한약재 가루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파우더에 전분(starch) 또는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오스(Raffinose)를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함으로써 가루날림과 파우더 뭉침 현상을 개선하였고, 건조시 피부 당김 없이 부드러운 질감과 차별화된 외관을 가지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GABA(피페리딘산) 및 천연효소인 파파인을 더 배합함으로써 각질박리를 통한 안색개선 효과를 강화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라피노오스를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를 사용하여 과립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과립화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오스를 함께 배합할 수 있고, 상기 라피노오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되는 파우더는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홍화, GABA(피페리딘산) 및 파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카올린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카올린 30∼90 중량%, 한약재 가루 0.1∼50 중량%, GABA 0.1∼30 중량%, 천연효소(파파인) 0.01 ∼ 5.0 중량%, 전분 1∼20 중량% 및 라피노오스 0.1∼2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한약재 가루는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및 홍화 가루를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최근 에스테틱샵, 스파 등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되는 내추럴 성분의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한약재 가루, 다량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고령토, 곡류 및 천연효소 등의 내츄럴 성분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거나,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식물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오스(Raffinose)를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과립화를 위하여 사용한 전분(Starch)은 포도당을 기본구조로 하여 긴 사슬 모양의 아밀로오즈와 가지처럼 연결된 아밀로펙틴의 두 타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품, 섬유, 화장품 등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원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과립화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분 유도체는 부분 α화 전분,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가교전분 등 본 발명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분 유도체 성분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내셔널 스타치(National Starch)사로부터 전분 유도체로서 히드록시프로필 스타치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전분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는 과립화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과립 경화도가 높아져 물에 혼합시 쉽게 풀리지 않고 오랜 시간 혼합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점도가 매우 높아져 펴발림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과립화를 위하여 사용한 라피노오스는 Asahi KASEI (일본)로부터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프락토오스로 구성된 식물 종자 유래 올리고당(삼당류) 성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라피노오스는 다른 당성분에 비해 흡습성이 낮아 비결정성이고 저습환경에서의 수분보유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피노오스를 배합하여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과립화하는 경우, 과립화 수율이 향상되고 생성된 과립의 경화도가 최적화되어 끈적임 없이 매끄러운 발림성을 가지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피노오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라피노오스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과립화 및 피부개선화가 유의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원료 단가가 고가여 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사용한 카올린은 상품명이 콜로이드 카올린(Colloidal Kaolin 2749; MSIP, USA)으로 입자크기가 1㎛ 이하인 특징을 가지는 미세한 점토 광물이며 피지 흡착 능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올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카올린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는 물과 혼합 사용시 점도가 낮아 흘러내림이 심해 팩 제형화 자체에 문제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팩 발림성이 매우 거칠어지고 사용시 심한 건조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한약재 가루를 사용할 수 있는데,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및 홍화 가루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한약재 가루의 복합 성분 추출물을 1:1:1:1:1의 중량비로 분쇄한 성분에서 피부 혈행 촉진 효과를 이미 입증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고(대한공개특허공보 제2005-0112322호 참조),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특히 상기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의 혼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 고민에 적합한 다양한 피부 유용성분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약재 가루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한약재 가루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혈행 개선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질 박리를 통한 안색개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GABA(Aminobutyric acid, 피페리딘산)를 사용하였는데, 성장호르몬(Human Growth Factor) 분비를 촉진하는 생리활성 물질로 아미노산인 동시에 신경전달물질로써 우울증 조절에도 효과적이며 여성들의 생리 전 긴장상태를 완화해 주는 효과도 있는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신체는 GABA 요구량의 모두를 생산하지만 식품첨가물 등의 과잉섭취 등으로 GABA의 생성이 방해되어 신체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유럽, 일본에선 새로운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응용되고 있다. GABA는 피부 보습 및 진정효과, 대사촉진 및 항산화 기능을 보이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거대배아 발아현미에서 추출한 GABA를 사용함으로써 배아의 생명력을 피부에 부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GABA를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3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GABA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피부 개선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안전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질 박리를 통한 안색개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천연효소인 파파인을 사용하였고, 이는 파파인을 고농도로 캡슐화한 나노입자의 액티자임(Nanosphero Actizyme)으로서 각질 박리효과가 우수한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효소인 파파인을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파파인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각질 박리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제조된 과립형 팩 제조기술은 상기의 소재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 한 천연 파우더(건강식품, 약용식물 등)에도 적용해 피부고민에 맞는 소재별, 기능별 팩 제형으로 다양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팩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은 과립화를 위하여 전분 유도체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단독 또는 라피노오스와의 혼합물을 배합한 것이고, 비교예 1은 덱스트린을 사용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 성분 1∼2를 평량한 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실온 조건에서 3시간 교반하면서 각각 성분 3∼6을 외부에서 녹여 분무 건조(spray dry) 공정으로 과립화를 진행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팩 제형을 제조하였다(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1 콜로이드 카올린 2749*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한약재 가루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및 홍화 가루의 1:1:1:1:1 중량비 혼합물) 10 10 10 10
3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15 25 15 0
4 라피노오스 - - 10 -
5 덱스트린 - - - 25
6 탈이온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1] 과립 팩의 경화도 및 물성 비교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각 8g을 12g의 이온수와 혼합하고 유리판에 도포하여 과립화한 팩의 경화도 및 물성을 비교 품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분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입자형태 과립형 과립형 과립형 부정형(분말)
입자경화도 다소높음 높음 적당 낮음
물 혼합시 상용성평가 보통 불량 (입자 풀리지않음) 우수 불량 (가루날림, 뭉침)
발림성 양호 (약간입자감) 불량 (뭉쳐지지않음) 우수 (도톰,매끈함) 불량 (얇고 끈적임)
향취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종합평가 x x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보편적인 분말화 기제로 사용되는 덱스트린을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의 경우, 과립 형태 및 크기 제어가 어려워 뭉침이 심한 분말상이 되고, 물과 혼합 시 간장냄새와 같은 특이취가 강하며 얇은 발림성과 끈적임이 심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전분류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3의 경우, 구형의 과립 형태 및 크기 제어가 용이하며, 가루 날림이 없고, 물과 혼합시 팩제로써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어 매끄러운 발림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전분류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0.1∼20 중량%로,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2처럼 과립 경화도가 높아져 물에 혼합시 쉽게 풀리지 않고 오랜 시간 혼합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점도가 매우 높아져 펴발림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라피노오스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 전분만을 사용한 실시예 1∼2에 비해 과립의 경화도 최적화가 용이하여 뭉침없이 혼합되고 매끄러운 발림성을 강화해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5]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4∼5의 팩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1 콜로이드 카올린 2749* 잔량 잔량
2 한약재 가루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및 홍화 가루의 1:1:1:1:1 중량비 혼합물) 10 10
3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15 15
4 라피노오스 10 10
5 탈이온수 적량 적량
6 GABA 10 -
7 나노입자의 액티자임 (Nanosphere Actizyme) 0.5 0.5
[시험예 2] 인체에서 각질 제거 효과 측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3∼5의 팩 제형을 인체에 도포하였을 때 나타나는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20명의 건강한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박을 깨끗이 씻은 후, 항온항습 조건(24±1℃, 40∼50%)에서 일정시간을 대기시키고 시료 도포전 피시험자의 팔 하박 내측면에 형광물질(Dansyl Chloride)을 24시간 동안 첩포/염색하였다. 하박부 내측면을 염색한 다음 연구자의 육안평가/사진촬영을 통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후 실시예 3∼5의 팩 시료를 각각 물과 혼합하여 1주일 동안 2일에 1회씩, 총3회 도포하고 15분 건조한 후 세안한 다음 UV사진 촬영을 통한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A: 실시예 4, B: 실시예 5, N: 실시예 3). UV 사진과 3D 사진 평가시 형광물질(Dansyl Chloride)을 염색한 부위가 밝을수록 원기둥의 높이가 높으며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할수록 형광물질이 쉽게 탈색되고 원기둥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도 1 및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4(A)를 사용한 부위에서 실시예 3(N)에 비해 형광물질의 탈색 속도가 가장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각질 박리 효능이 높았다. 본 시험결과를 통해 보습 및 각질층 기능 정상화 효과를 가진 아미노산 성분인 GABA와 파파인 효소간의 상승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실시예 4의 경우 실제 피부 각질 박리 효과가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시험예 3] 혈행촉진 및 안색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한약재 가루가 함유된 과립형 한방팩의 피부 혈행 촉진작용을 확인하고자, 평소 손발이 차갑다고 느끼는 25∼35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실제 팩 사용 전후의 피부온도 및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피부온도 측정 장비는 Thermacam PM575(FLIR Systems AB, Sweden) 혈류량 측정 장비는 LDPI(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 Perimed AB, Sweden)를 이용하였다. 세안 후 항온항습실 온도 21±2℃, 상대습도 40±2%)에서 피험자들이 10분 적응한 다음 피부온도 측정을 위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촬영과 뺨 부위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피험자들이 실시예 4의 팩을 얼굴에 도포한 후 15분 건조한 다음 세안하고 다시 항온항습실에서 10분 적응한 뒤 측정을 반복하였다.
도포 전 도포 후
혈류량(혈류지수; A.U.) 0.973±0.15 1.16±0.17
시험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팩 사용 전후 뺨 부위 혈류량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팩 사용 후 혈류량 증가로 인한 피부온도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 설문 결과 전반적으로 피부결이 매끈해졌고 안색이 환해진 느낌이 든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약재 가루, GABA(피페리딘산), 파파인 및 카올린(고령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에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여, 바람직하게는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와 라피노오스를 함께 배합하여 과립화시킴으로써 가루날림과 뭉침이 없도록 파우더 팩의 사용성을 개선하였고, 각질 박리 및 피부 혈행 개선을 통한 안색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한방 과립형 팩 제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최근의 웰빙, SPA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즉 효성 있는 천연 팩류 제품 개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당귀, 두충, 산사자, 지황, 홍화, GABA(gamma amino butyric acid) 및 파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부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파우더; 및
    전분; 또는 부분 α화 전분,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및 가교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 유도체;를 배합하여 과립화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라피노오스를 더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피노오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피부 유용성분으로서 카올린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각질박리 증진용 또는 피부혈행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043545A 2006-05-15 2006-05-15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078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545A KR100783556B1 (ko) 2006-05-15 2006-05-15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545A KR100783556B1 (ko) 2006-05-15 2006-05-15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31A KR20070110731A (ko) 2007-11-20
KR100783556B1 true KR100783556B1 (ko) 2007-12-07

Family

ID=3908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545A KR100783556B1 (ko) 2006-05-15 2006-05-15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53B1 (ko) 2012-01-12 2014-07-07 한국콜마주식회사 전분 및 카올린을 포함하는 압축 분말 화장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40B1 (ko) * 2011-06-30 2014-02-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5211A (ja) 1986-05-13 1987-11-18 Pola Chem Ind Inc 皮膚化粧料
JPH02258719A (ja) * 1989-03-30 1990-10-19 Taisho Pharmaceut Co Ltd 粒剤の製造方法
KR910002463A (ko) * 1989-07-26 1991-02-25 차재춘 식물의 추출물과 분말로 부터 팩(Pack)을 제조하는 방법
KR950007823A (ko) * 1993-09-01 1995-04-15 히데코 사카나시 화장품 배합물
KR20050019101A (ko) * 2002-06-14 2005-02-28 피르메니히 에스아 비-결정질 향료 또는 향미료의 방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5211A (ja) 1986-05-13 1987-11-18 Pola Chem Ind Inc 皮膚化粧料
JPH02258719A (ja) * 1989-03-30 1990-10-19 Taisho Pharmaceut Co Ltd 粒剤の製造方法
KR910002463A (ko) * 1989-07-26 1991-02-25 차재춘 식물의 추출물과 분말로 부터 팩(Pack)을 제조하는 방법
KR950007823A (ko) * 1993-09-01 1995-04-15 히데코 사카나시 화장품 배합물
KR20050019101A (ko) * 2002-06-14 2005-02-28 피르메니히 에스아 비-결정질 향료 또는 향미료의 방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53B1 (ko) 2012-01-12 2014-07-07 한국콜마주식회사 전분 및 카올린을 포함하는 압축 분말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31A (ko)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8332B (zh) 一种含有海洋贝类活性肽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444200B (zh) 皮膚保濕用化妝品組成物
CN106109284A (zh) 一种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70002718A (ko)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3865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08261367A (zh) 一种抗衰老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220111928A (ko) 화장료 조성물
CN106035938A (zh) 一种叶黄素酯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KR100783556B1 (ko)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anlayavattanakul et al. Preparation and efficacy assessment of malva nut polysaccharide for skin hydrating products
JP2015027998A (ja) 保湿剤、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trpv4発現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脂質合成促進剤、血流改善剤及びクマ改善剤
KR20160012387A (ko) 나노유화물을 함유하면서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조절형 모델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940B1 (ko)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7941A (ko) 저분자량 히알우론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각질제거용 조성물
JPS617208A (ja) 植物粉末を主成分としたパツク剤又はピ−リング剤
US20080305193A1 (en) Cosmetic compositions
JPH07278001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CN100525744C (zh) 修复霜
JP2004107242A (ja) 乾燥肌改善用キット
KR100414903B1 (ko) 약용식물 복합추출액 함유 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CN108783435A (zh) 一种黄参百合复合咀嚼片的配方备及其制备方法
KR100463457B1 (ko) 천연 생약 재료들을 이용한 두발용 무스의 제조 방법
KR102096549B1 (ko) 실리카실릴레이트 펠렛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